[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8326B1 - 스코어 보드 - Google Patents

스코어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326B1
KR101688326B1 KR1020150119610A KR20150119610A KR101688326B1 KR 101688326 B1 KR101688326 B1 KR 101688326B1 KR 1020150119610 A KR1020150119610 A KR 1020150119610A KR 20150119610 A KR20150119610 A KR 20150119610A KR 101688326 B1 KR101688326 B1 KR 101688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score
clip
unit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열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to KR102015011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3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63B71/0672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using non-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사용이 편리하고 길이 방향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코어 보드를 제시한다. 제시된 스코어 보드는 바닥면 및 측면에 결합부재가 형성된 단위 결합체, 단위 결합체에 결합되되 점수판이 끼워지는 클립부, 및 단위 결합체와 이웃한 단위 결합체 간의 결합을 도와주는 결합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코어 보드{Score board}
본 발명은 스코어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탁구 경기 등에 사용되는 스코어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나 테니스 등의 구기 종목을 비롯한 여러 경기를 진행하는 데 있어서 경기자의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스코어 보드가 필요하다.
종래의 탁구 스코어 보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단이 접히도록 형성된 판부재(1), 판부재(1)의 상단에 뚫린 구멍에 끼워져 점수판(3)을 양 쪽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하는 고리(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탁구 스코어 보드는 판부재(1)의 저면에 벨크로 파스너(4)가 구비되어, 설치시에는 붙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떼어내고 완전히 접어서 보관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사용/미사용시마다 벨크로 파스너(4)의 잦은 착탈을 요하기 때문에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벨크로 파스너(4)의 기능이 갈수록 저하됨으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리(2)가 완전히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점수판(3)을 다른 쪽으로 넘기기가 불편해진다.
그리고, 기존의 탁구 스코어 보드는 고정된 사이즈의 판부재(1)를 이용함으로써 확장이 불가능하였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4418호(점수 표시대)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6000호(점수표시판)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9811호(전자식 디지털 분리형 탁구 스코어보드)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05603호(전자식 스코어보드) 선행기술 5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43483호(점수표시대)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길이 방향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코어 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스코어 보드는, 바닥면 및 측면의 양단부에 결합부재가 형성된 단위 결합체; 상기 단위 결합체에 결합되되 점수판이 끼워지는 클립부; 및 상기 단위 결합체와 이웃한 단위 결합체 간의 결합을 도와주는 결합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 결합체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어느 한 모서리 부분이 절개되고 절개된 부분에 상기 클립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는, 상기 단위 결합체의 절개된 모서리 부분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와 체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대는, 소정 길이의 판, 및 상기 판의 일면에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결합체는 상기 끼움돌기와 결합하는 결합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결합체는 결합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결합체의 결합턱에 결합되는 결합훅을 포함하는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결합체를 연속적으로 결합시켜서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단위 결합체의 확장으로 인해 원하는 크기의 점수판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점수판 뿐만 아니라 세트 스코어 등을 손쉽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여러 개의 단위 결합체가 결합되었을 경우 결합 지지대로 단위 결합체 간을 단단히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코어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 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위 결합체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클립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위 결합체와 클립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결합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하나의 점수판이 채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복수의 점수판이 채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 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위 결합체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클립부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위 결합체와 클립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결합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 보드는, 단위 결합체(10), 커버(20, 30), 클립부(40), 및 결합 지지대(50)를 포함한다.
단위 결합체(10)는 소정 폭을 갖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단위 결합체(10)의 본체(80)는 다각형(특히, 삼각형)으로 형성되되 어느 한 모서리 부분이 절개되고, 절개된 부분에 클립부(40)가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위 결합체(10)를 삼각형의 형상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단위 결합체(10)의 일 면은 바닥면이 되고, 다른 두 면은 측면이 될 수 있다.
단위 결합체(10)의 바닥면 및 측면의 양단부에는 이웃한 단위 결합체(10) 및/또는 커버(20, 3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가 형성된다. 단위 결합체(10)의 바닥면 및 측면의 양단부는 이웃한 단위 결합체(10) 또는 커버(20, 30)와 접촉하므로 접촉부라고 할 수도 있다. 단위 결합체(10)는 결합부재를 통해 이웃한 단위 결합체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결합체(10)의 결합부재는 장홈(74), 끼움돌기(75, 77, 78, 85, 86, 87), 및 끼움홈(76, 79, 84)을 포함할 수 있다. 장홈(74)은 단위 결합체(10)의 단부에 형성된다. 끼움돌기(75)는 장홈(74)이 형성된 측면의 반대편 단부에 형성된다. 끼움홈(76, 79) 및 끼움돌기(77, 78)는 단위 결합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끼움홈(84)은 단위 결합체(10)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다. 끼움돌기(85)는 끼움홈(84)이 형성된 측면의 반대편 단부에 형성된다. 끼움돌기(86)는 단위 결합체(10)의 일 측면의 하부에 형성된다. 끼움돌기(87)는 단위 결합체(10)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 결합체(10)의 바닥면에는 결합턱(88, 89)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턱(88)은 끼움돌기(78)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고, 결합턱(89)은 끼움홈(79)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단위 결합체(10)의 내측면에는 결합 지지대(50)와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위한 결합구(60, 82, 83)가 형성된다. 결합구(60, 82, 83)는 해당 단위 결합체(1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결합구(60)는 절개된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해당 단위 결합체(10)의 상부에서 양 측면을 가로지르게 설치된 지지대(81)에 형성된다. 즉, 다수의 단위 결합체(10)를 끼움부재 등으로 상호 결합시킨 후에 결합 지지대(50)와 결합구(60, 82, 83)를 결합시키게 되면 다수의 단위 결합체(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구가 3군데에 형성된 것으로 하였으나, 적어도 1군데 이상이어도 무방할 것이다.
커버(20, 30)는 단위 결합체(10)의 양측 단부에 끼워진다. 즉, 커버(20)는 단위 결합체(10)의 왼쪽 단부의 결합부재와 결합할 수 있고, 커버(30)는 단위 결합체(10)의 오른쪽 단부의 결합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단위 결합체(10)의 결합부재와 결합구(60, 82, 83)를 별개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구(60, 82, 83)와 결합부재를 결합부재로 통칭할 수도 있다.
커버(20, 30)는 단위 결합체(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버(20, 30)의 결합부재는 장홈(33), 끼움홈(32, 36), 및 끼움돌기(31, 34, 37)를 포함한다.
한편, 커버(20, 30)는 결합턱(88, 89)에 결합되는 결합훅(35, 3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결합훅(35, 38)과 결합턱(88, 89) 간의 결합으로 인해, 단위 결합체(10)와 커버(20, 3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20, 30)는 체결편(91)을 추가로 포함한다. 체결편(91)은 클립부(40)의 체결구멍(45)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편(91)은 체결구멍(45)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진다고 볼 수 있다.
클립부(40)는 단위 결합체(10)의 절개된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 클립부(40)에는 점수판이 끼워진다.
클립부(40)는 결합부(41) 및 고리부(42)를 포함한다. 결합부(41)는 단위 결합체(10)의 절개된 모서리 부분의 내측면(즉, 단위 결합체(10)의 양 측의 내측면)에 끼워진다. 즉, 결합부(41)의 일측 외면이 단위 결합체(10)의 어느 한 측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결합부(41)의 타측 외면이 단위 결합체(10)의 타 측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고리부(42)의 일단이 결합부(41)에 고정되고, 고리부(42)의 타단은 체결고리(44)가 형성되어 결합부(41)의 체결고리(43)와 체결된다. 고리부(42)의 저면이 단위 결합체(10)의 안착부(72, 73)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71은 절개부이다. 절개부(71)는 절개된 모서리 부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결합부(41)의 중앙에는 체결구멍(45)이 형성된다. 체결구멍(45)은 커버(20, 30)의 체결편(91)과 결합된다.
특히, 고리부(42)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됨이 좋다. 그리하여야, 사용자가 외력을 고리부(42)에 가하여 체결고리(44)를 체결고리(43)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외력을 고리부(42)에 가하여 체결고리(44)를 체결고리(43)로부터 체결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점수판을 고리부(42)에 걸거나 고리부(42)에서 떼어낼 수 있다. 또한, 고리부(42)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었으므로, 점수판을 쉽게 넘길 수 있다.
결합 지지대(50)는 단위 결합체(10)의 결합구(60, 82, 83)와 결합한다. 예를 들어, 결합 지지대(50)는 결합구(60, 82, 83)에 끼워져서, 다수의 단위 결합체(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도 8에는 결합 지지대(50)를 하나만 도시하였는데, 이는 편의상 그렇게 한 것이다. 실제로는 결합 지지대(50)가 3개의 결합구(60, 82, 83)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여기서, 결합 지지대(50)는 소정 길이의 판(51), 및 판(51)의 일면에 형성된 끼움돌기(5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끼움돌기(52)가 결합구(60, 82, 83)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반대로 결합구(60, 82, 83)가 끼움돌기(52)의 내부에 끼워지게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하나의 점수판이 채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는 하나의 점수판(100)을 이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나의 단위 결합체(10)와 커버(20, 30) 및 하나의 클립부(40)가 있으면 될 것이다.
하나의 단위 결합체(10)의 상부에는 하나의 클립부(40)가 결합되고, 하나의 단위 결합체(10)의 왼쪽에는 커버(20)가 결합되고, 하나의 단위 결합체(10)의 오른쪽에는 커버(30)가 결합된다.
그리고, 하나의 클립부(40)에는 하나의 점수판(100)이 끼워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복수의 점수판이 채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다수의 점수판(100)을 이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다수의 단위 결합체(10)와 커버(20, 30) 및 다수의 클립부(40)가 있으면 될 것이다.
다수의 단위 결합체(10)가 서로 연결되고, 다수의 단위 결합체(10)의 상부에는 다수의 클립부(40)가 결합된다. 또한, 다수의 단위 결합체(10)가 연결된 연결체의 왼쪽에는 커버(20)가 결합되고, 다수의 단위 결합체(10)가 연결된 연결체의 오른쪽에는 커버(30)가 결합된다.
그리고, 다수의 클립부(40)를 통해 다수의 점수판(100)이 끼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원하는 대로 단위 결합체(10)를 연속적으로 결합시켜서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원하는 개수의 단위 결합체(10)를 손쉽게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확장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단위 결합체의 확장으로 인해, 점수판의 크기가 크더라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단위 결합체(10)가 결합되었을 경우 결합 지지대(50)로 단위 결합체 간을 단단히 연결시킴으로써, 단위 결합체의 원하지 않는 결합 해제를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점수판 뿐만 아니라 세트 스코어 등을 손쉽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단위 결합체 20, 30 : 커버
40 : 클립부 41 : 결합부
42 : 고리부 43, 44 : 체결고리
45 : 체결구멍 50 : 결합 지지대
60, 82, 83 : 결합구 74 : 장홈
75, 77, 78, 85, 86, 87 : 끼움돌기 76, 79, 84 : 끼움홈

Claims (7)

  1. 바닥면 및 측면에 결합부재가 형성된 단위 결합체;
    상기 단위 결합체에 결합되되 점수판이 끼워지는 클립부; 및
    상기 단위 결합체와 이웃한 단위 결합체 간의 결합을 도와주는 결합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결합체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이웃한 단위 결합체와 연결되고,
    상기 단위 결합체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어느 한 모서리 부분이 절개되고 절개된 부분에 상기 클립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단위 결합체의 절개된 모서리 부분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와 체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지지대는,
    소정 길이의 판, 및 상기 판의 일면에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위 결합체는 상기 끼움돌기와 결합하는 결합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결합체는 결합턱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보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위 결합체의 결합턱에 결합되는 결합훅을 포함하는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보드.
KR1020150119610A 2015-08-25 2015-08-25 스코어 보드 Expired - Fee Related KR101688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10A KR101688326B1 (ko) 2015-08-25 2015-08-25 스코어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10A KR101688326B1 (ko) 2015-08-25 2015-08-25 스코어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326B1 true KR101688326B1 (ko) 2016-12-20

Family

ID=5773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6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8326B1 (ko) 2015-08-25 2015-08-25 스코어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32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577Y1 (ko) * 2003-04-03 2003-06-28 홍성태 탁상 달력형 생활 정보지.
JP2005007112A (ja) * 2003-06-19 2005-01-13 Fukoku Denki Kogyo Kk 多機能スコアボード装置
KR200389811Y1 (ko) 2005-04-06 2005-07-14 백승엽 전자식 디지털 분리형 탁구 스코어보드
KR100617638B1 (ko) * 2004-11-19 2006-09-04 유봉호 탁상용 캘린더
KR200454418Y1 (ko) 2009-04-09 2011-07-01 주식회사평화산업 점수 표시대
KR20110105603A (ko) 2010-03-19 2011-09-27 홍성열 전자식 스코어보드
KR20130006000U (ko) 2013-09-24 2013-10-15 이병철 점수표시판
KR20130143483A (ko) 2012-06-21 2013-12-31 이은아 점수표시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577Y1 (ko) * 2003-04-03 2003-06-28 홍성태 탁상 달력형 생활 정보지.
JP2005007112A (ja) * 2003-06-19 2005-01-13 Fukoku Denki Kogyo Kk 多機能スコアボード装置
KR100617638B1 (ko) * 2004-11-19 2006-09-04 유봉호 탁상용 캘린더
KR200389811Y1 (ko) 2005-04-06 2005-07-14 백승엽 전자식 디지털 분리형 탁구 스코어보드
KR200454418Y1 (ko) 2009-04-09 2011-07-01 주식회사평화산업 점수 표시대
KR20110105603A (ko) 2010-03-19 2011-09-27 홍성열 전자식 스코어보드
KR20130143483A (ko) 2012-06-21 2013-12-31 이은아 점수표시대
KR20130006000U (ko) 2013-09-24 2013-10-15 이병철 점수표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150B2 (en) Modular shelving
US9718076B2 (en) Sprinkler side frame coupling device
USD517947S1 (en) Stud fastener component
JP2010091111A (ja) ファスナ及びファスナ組立体
US9630542B2 (en) Mat fixing clip for vehicle carpet
US9629751B2 (en) Fixed structure for the constricting band of snow goggles
US20070034584A1 (en) Assembling type sectional shelf structure
US8579536B2 (en) Metal to plastic connector for toy structures
TW200603777A (en) Goggles
US9579533B2 (en) Floor exercise slider
KR101688326B1 (ko) 스코어 보드
US11419394B2 (en) Structure of watchcase and watch strap connected based on magnetic attraction force
US10952514B2 (en) Interchangeable luggage perimeter
USD917263S1 (en) Fastener assembly
KR20170083013A (ko) 캠핑용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101827945B1 (ko) 체결구조
KR200410573Y1 (ko) 케이크 고정구
JP3194124U (ja)
JP3160266U (ja) 組立式置物棚
KR20170135656A (ko) 캠핑용 테이블
KR20170105386A (ko) 변형 및 확장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JP2003339478A (ja) ベッド装置
USD516953S1 (en) Stud fastener component
US20090275422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shaft and a grip member of a golf club
KR200320340Y1 (ko) 조립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