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0340Y1 - 조립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립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340Y1
KR200320340Y1 KR20-2003-0013543U KR20030013543U KR200320340Y1 KR 200320340 Y1 KR200320340 Y1 KR 200320340Y1 KR 20030013543 U KR20030013543 U KR 20030013543U KR 200320340 Y1 KR200320340 Y1 KR 200320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coupling
leg
coupling hol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수
Original Assignee
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수 filed Critical 정연수
Priority to KR20-2003-0013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3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단위판(100)과; 상기 단위판(100)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보강부(110)와; 상기 보강부(110)의 인접한 두면에 형성되고, 하측이 절개된 원형상으로 형성된 결합공(120)과; 상기 보강부(110)의 결합공(120) 형성면을 제외한 두면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결합공(120)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131)가 형성되고, 결합부(131)의 단부에는 이탈방지편(132)이 형성된 결합돌기부재(130)와; 상기 단위판(100)의 하부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다리결합홈부(140); 그리고,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결합홈부(140)에 결합되는 다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인접한 단위판(100)의 결합공(120)에 결합돌기부재(130)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단위판(100)과 단위판(100)을 결합시킴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식 테이블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조립/해체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단위판을 결합시킴에 의해 테이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테이블{sectional table}
본 고안은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테이블을 상호간에 조립함에 의해 완성된 테이블이 형성되고, 단위테이블의 결합수에 따라 테이블의 크기가 조절되며, 설치 및 휴대가 간편한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립식 테이블은 한 쌍의 상자형 식탁체를 경첩으로 결합시키고 모서리에는 접철되게 다리를 설치하여 간단히 휴대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크기에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고 부분품이 파손되는 경우 테이블 전체를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일본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29626호에 분리테이블대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본체를 4등분하는 것으로, 테이블편(41)의 측면에 다수의 맞춤돌부(42)를 형성하며 이와 마주하는 다른 테이블편의 측면에 상기 맞춤돌부(42)를 끼워 맞추도록 하는 맞춤공(43)이 상기 맞춤돌부(42)와 동일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외부 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맞춤돌부(42)와 맞춤공(43)이 결합되는 것을 견고히 하기 위한 고정금속구(44)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맞춤돌부를 맞춤공에 단순히 끼움에 의해 테이블편과 테이블편을 연결시키고 측면에 설치된 고정금속구로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돌출된 고정금속구에 의해 사용자의 옷 및 몸에 해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은 구조상 4개의 테이블편만을 연결 결합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 본체의 크기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다른 종래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31732호에 조립식 테이블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조립성은 우수하나, 테이블판이 4개로 형성되고 테이블판과 테이블판 사이를 테이블 결합부로 연결하는 방식을 취함에 의해, 4개의 테이블판만 결합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 본체의 크기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131850호에 크기조절 조립식 테이블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 또한 가로방향으로의 크기조절은 가능하나 세로방향으로의 크기조절은 불가능하여 실질적으로 테이블 본체의 크기조절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해체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한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가로/세로방향으로의 크기를 사용자가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을 나타낸 도.
도2 -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사시도.
도3 - 단위판의 사시도.
도4 - 단위판의 배면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위판 110:보강부
120 : 결합공 130 : 결합돌기부재
131 : 결합부 132 : 이탈방지편
140 : 다리결합홈부 150 : 강성보강편
160 : 보조강성보강편 170 : 다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단위판과; 상기 단위판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인접한 두면에 형성되고, 하측이 절개된 원형상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보강부의 결합공 형성면을 제외한 두면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결합공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의 단부에는 이탈방지편이 형성된 결합돌기부재와; 상기 단위판의 하부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다리결합홈부; 그리고,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결합홈부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인접한 단위판의 결합공에 결합돌기부재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단위판과 단위판을 결합시킴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식 테이블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보강부의 내부면과 상기 다리결합홈부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형상의 강성 보강편이 형성되고, 단위판의 하부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단위판과 상기 보강부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형상의 보조강성보강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은 절개된 입구측의 직경이 내부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편은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립/해체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단위판을 결합시킴에 의해 테이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3은 단위판의 사시도이고, 도4는 단위판의 배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테이블은 크게 단위판(100)과, 보강부(110)와, 결합공(120)과, 결합돌기부재(130)와, 다리결합홈부(140)와, 강성보강편(150)과, 보조강성보강편(160) 그리고 다리부(170)로 구성되어 단위판(100)을 상호간에 결합시키고 다리부(170)를 결합시킴에 의해 조립식 테이블이 형성된다.
먼저 단위판(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단위판(100)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이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본 고안의 조립식 테이블의 단위체가 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판(100)의 하부면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다리결합홈부(140)가 형성되어 상기 다리결합홈부(140)에 후술하는 다리부(170)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단위판(100)의 모서리를 따라서는 단위판(100)의 하측으로 소정돌출된 형상의 보강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10)는 단위판(100)의 네모서리를 따라 상기 단위판(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위판(100)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단위판(100)의 보강부(110)에는 결합공(120)과 결합돌기부재(130)가 형성되는 바, 상기 결합공(120)은 인접한 두모서리의 보강부(110)에 형성되고 나머지 두 모서리의 보강부(110)에는 결합돌기부재(1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0)은 상기 보강부(110)의 하측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대략 원형상이며, 절개된 입구측의 직경이 내부보다 좁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결합돌기부재(130)가 상기 결합공(12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부재(130)가 무단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된 결합이 되게 한다.
상기 결합돌기부재(130)는 크게 결합부(131)와 이탈방지편(132)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131)는 상기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110)의 외측으로 소정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위판(100)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131)가 인접된 단위판(100)의 결합공(120)에 착탈되게 수용결합되어 단위판(100)과 단위판(10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편(132)은 상부가 일부 절개된 원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13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31)의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31)가 인접한 단위판(100)의 결합공(120)에 수용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탈방지편(132)이 인접한 단위판(100) 보강부(110)에 접촉됨에 의해 단위판(100)과 단위판(100)이 안정되게 결합되게 한다.
상기 강성보강편(150)은 소정폭을 가지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위판(100)의 후면에 상기 단위판(1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강성보강편(150)은 상기 단위판(100) 후면에 상기 보강부(110)의 내측면과 상기 다리결합홈부(140)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단위판(100)의 강성을 보강시킨다. 즉, 상기 강성보강편(150)은 형상이 십자 또는 엑스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강성보강편(160)은 상기 단위판(100)의 후면에 상기 보강부(110)의 내측면과 단위판(100) 하면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위판(100)에 결합된 보강부(110)의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다리부(170))는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결합홈부(140) 내부에 일부 삽입수용되고 일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됨에 의해 상기 단위판(10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조립식 테이블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단위판(100)을 여러개 결합시킨다.
상기 단위판(100)의 결합은 인접한 단위판(100)의 보강부(110)에 형성된 결합공(120) 내부로 결합돌기부재(130)의 결합부(131)를 결합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단위판(100)을 결합시키면 테이블의 상판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단위판(100)에 형성된 다리결합홈부(140)에 다리부(170)를 결합시키고 상기 다리부(170)의 일측면을 지면에 접촉시키면 조립식 테이블이 완성되는 것이다.
조립식 테이블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리부(170)를 제거하고 상기 단위판(100)을 상호간에 분리하기만 하면 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운반하므로 부피도 줄어들게 되고 운반이 간단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조립/해체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위판을 상호간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테이블 상판을 형성시킴에 의해 가로/세로방향으로의 크기를 사용자가 임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단위판(100)과;
    상기 단위판(100)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보강부(110)와;
    상기 보강부(110)의 인접한 두면에 형성되고, 하측이 절개된 원형상으로 형성된 결합공(120)과;
    상기 보강부(110)의 결합공(120) 형성면을 제외한 두면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결합공(120)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131)가 형성되고, 결합부(131)의 단부에는 이탈방지편(132)이 형성된 결합돌기부재(130)와;
    상기 단위판(100)의 하부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다리결합홈부(140); 그리고,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결합홈부(140)에 결합되는 다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인접한 단위판(100)의 결합공(120)에 결합돌기부재(130)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단위판(100)과 단위판(100)을 결합시킴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100)의 하부면에는 상기 보강부(110)의 내부면과 상기 다리결합홈부(140)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형상의 강성 보강편(1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100)의 하부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단위판(100)과 상기 보강부(110)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형상의 보조강성보강편(16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20)은 절개된 입구측의 직경이 내부보다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편(132)은 원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KR20-2003-0013543U 2003-04-30 2003-04-30 조립식 테이블 KR200320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543U KR200320340Y1 (ko) 2003-04-30 2003-04-30 조립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543U KR200320340Y1 (ko) 2003-04-30 2003-04-30 조립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340Y1 true KR200320340Y1 (ko) 2003-07-22

Family

ID=4941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543U KR200320340Y1 (ko) 2003-04-30 2003-04-30 조립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3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565B1 (ko) 2009-03-25 2013-02-21 주식회사 대성기업 끼움식 연결 탁자용 상판
KR101487184B1 (ko) * 2013-07-04 2015-01-28 이상규 휴대용 조립식 멀티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565B1 (ko) 2009-03-25 2013-02-21 주식회사 대성기업 끼움식 연결 탁자용 상판
KR101487184B1 (ko) * 2013-07-04 2015-01-28 이상규 휴대용 조립식 멀티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653U (ko) 무용접 테이블 조립구조
KR200320340Y1 (ko) 조립식 테이블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130006907U (ko) 책상 다리연결용 브라켓 구조
KR20200062017A (ko) 조립식 가구
KR200436927Y1 (ko) 벽체 배치가 용이한 테이블 조립구조
US5427341A (en) Furniture base construction
KR20150002434U (ko) 장부맞춤을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JP3217229U (ja) ベッドフレーム
CA2880099C (en) Composite table top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KR200415689Y1 (ko) 다리 교체가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
KR102270346B1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200327978Y1 (ko) 테이블 지지용 사각받침다리의 결합구조
KR20060128674A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200212374Y1 (ko) 테이블
KR200474399Y1 (ko) 의자용 조립 키트
KR101835275B1 (ko) 봉안단 안치대
KR102184825B1 (ko) 가구 조립용 조인트키트 장치
KR20190108803A (ko) 조립식 테이블
KR200443464Y1 (ko) 조립식 찻상
KR200396163Y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20220111154A (ko) 조립형 가구용 연결장치
KR200241896Y1 (ko) 간이 탁자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4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5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