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8215B1 - Automobile hub puller - Google Patents

Automobile hub pu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215B1
KR101688215B1 KR1020140192470A KR20140192470A KR101688215B1 KR 101688215 B1 KR101688215 B1 KR 101688215B1 KR 1020140192470 A KR1020140192470 A KR 1020140192470A KR 20140192470 A KR20140192470 A KR 20140192470A KR 101688215 B1 KR101688215 B1 KR 10168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egrees
hub
main body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0524A (en
Inventor
안준승
Original Assignee
안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승 filed Critical 안준승
Priority to KR102014019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215B1/en
Priority to PCT/KR2015/006887 priority patent/WO2016108365A1/en
Publication of KR2016008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5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2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1/00Apparatus or tool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축(A)에서 허브(H)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허브용 풀러(1)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허브(H)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결합볼트(H1)가 통과되도록 수개의 결합공(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가운데에 관통공(22)이 형성된 결합판(2)이 구비되며, 결합판(2)의 후방 가운데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본체(3)가 구비되며, 본체(3)의 후방 가운데에 전후 슬라이딩되게 결합 구성된 슬라이드너트(4)가 구비되며, 슬라이드너트(4)에 나사 결합된 스크루샤프트(5)가 구비되며, 스크루샤프트(5)의 선단에 차축(A)에 지지되게 결합된 지지패드(6)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며, 이때 상기 결합공(21)은 장공 형태로 10개가 0도, 30도, 54도, 90도, 126도, 180도, 210도, 234도, 270도, 306도 각도의 방사상으로 위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차축(A)이나 허브(H)에 파손이나 변형 없이 신속하고 안정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갖는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차종에 두루 적용할 수 있으며, 차축(A)과 허브(H)의 분리 시 수동이나 유압유닛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구매비나 제조원가 등을 절감시킬 수 있으면서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lley (1) for an automotive hub which can easily separate a hub (H) from an axle (A) of an automobile. A coupling plate 2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 formed radially so as to allow the coupling plate H1 to pass therethrough and a through hole 22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ear plate of the coupling plate 2 A slide nut 4 screwed to the slide nut 4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3 and the slide nut 4 is slidably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3, The support hole 21 is formed in a shape of a long hole such that ten holes are arranged at 0 degree, 30 degree, 54 degree, 90 degree , 126 degrees, 180 degrees, 210 degrees, 234 degrees, 270 degrees, and 306 degrees. And can be quickly and stably separated without damaging or deforming the axle A or the hub H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vehicles with a single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 manual or an oil pressure un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when the oil separator H is separated, an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while reducing the purchase cost and the manufacturing cost.

Description

자동차 허브용 풀러{Automobile hub puller}[0001] Automobile hub puller [0002]

본 발명은 자동차 허브용 풀러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동차의 차축에서 허브를 분리시킬 때 차축이나 허브에 파손이나 변형을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허브용 풀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r for an automobile hub.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r for an automobile hub,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damaging or deforming the axle or hub when the hub is separated from the axle of the automobile.

일반적으로 차축(axle)의 단부에 베어링에 의해서 결합된 허브(hub)를 차축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종래 별도의 분리장치가 없을 시에는 대형 기어풀러 등의 대형 금속제 공구를 사용해서 허브에 탈거력을 가하면서 타격하여 차축과 허브를 분리하였으나, 이와 같이 금속제 공구를 사용하여 타격하는 방식의 경우 허브나 차축의 타격지점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단점과 함께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실정이다.Generally, in order to separate a hub coupled by a bearing at the end of an axle from an axle, a large metal tool such as a large gear puller is used to remove the hub However, in the case of the hitting method using the metal tool, the hitting point of the hub or the axle is damaged or deformed, and the operator is injured.

이에 차축과 허브를 공구 등으로 파손되지 않고 작업자도 안전하게 차축과 허브를 분리시키도록 한 전용공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전용공구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16834호(1998년 6월 10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액슬 탈거용 공구가 개발되어 왔으며, 이는 허브에 장착된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장공을 갖는 원판에 스터드볼트를 결합하고 원판에 용접 고정되는 두 프레임을 교차시켜서 교차부 중앙에 슬라이드 해머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구멍을 갖는 보스를 돌설하여 구성된 것으로 슬라이드 해머에서 미끄럼 봉을 타고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미끄럼 봉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로 슬라이딩되면서 가격해서 허브를 차축에서 분리시키도록 한 것이나, 슬라이더가 걸림부를 가격할 시 그 충격력이 약하여 차축에서 허브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Therefore, a special tool was developed to separate the axle and the hub from the axle and the hub without any damage by the tool, and the operator was able to securely separate the axle and the hub from each other. As this special tool, Korean Utility Model No. 116834 (published on June 10, 1998) As shown, a tool for removing an axle of an automobile has been developed. The stud bolt is coupled to a circular plate having a slot in which a stud bolt mounted on a hub is inserted, and two frames welded and fixed to the circular plate are crossed to slide at the center of the intersection A slider slidably mounted on the slider is slid to the slider formed at the end of the slider to be separated from the axle at a cost. However, when the slider hits the catch, its impact force is weak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ub was not properly separated from the axle.

이밖에도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8년 제39323호(1998년 9월 15일자 공개)에 게재된 차량의 앞바퀴 허브 탈거기는 허브지지판을 허브에 고정한 후 허브지지판에 나사 결합되는 연장봉을 토오크파이프를 결합 후 수동으로 연장봉을 회전시켜서 허브를 분리시키도록 개발되었으나, 수동으로 연장봉을 회전시켜 허브지지판과 차축을 분리시키려면 과도한 힘이 들어서 작업성이 떨어지면서 장갑 등을 껴도 손에 물집 등의 상처가 발생되는 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108744호(1997년 11월 3일자 공고)에 게재된 차축허브 분리장치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진행방향에 소정길이의 고정관을 부착하고 고정관 선단에 다수의 결합공을 갖는 결착판을 구성하여 유압펌프와 연결호스로 연결하여 유압에 의해서 차축과 허브를 분리하도록 개발하여 차축과 허브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유압만을 이용하므로 설비비나 유지비, 보수비 등이 많이 들었으며, 장치의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영세한 정비업체 등에서 구비하기 어려워서 보급률이 극히 저조하였던 것이며, 상기 종래 기술들은 모두 다양한 차종에 따라서 차축과 허브의 치수 및 형태가 상이하여 다양한 차종에 따라서 여러 개를 구비해야 하므로 구매비용이 상승하므로 영세사업장에서는 더욱더 구비하기 어려운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In addition, a front wheel hub detacher of a vehicl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39323 (published on Sep. 15, 1998) has a hub support plate fixed to a hub, and an extension rod screwed to a hub support plate is coupled to a torque pipe However, when the extension rod is manually rotated to separate the hub support plate and the axle, the work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excessive force, and blisters on the hand are generated even when the glove is applied The axle hub separating device disclosed in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108744 (published on Nov. 3, 1997), attaches a fixed length fixing pipe to the piston rod moving direction of the cylinder, A coupl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is formed, and the hydraulic pump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hose to separate the axle and the hub by hydraulic pressure However, since only the hydraulic pressure is used, the equipment cost, the maintenance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have been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has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the maintenance cost in the maintenance companies such as a small maintenance company. , All of the related arts have various problems in that the sizes and shapes of the axle and the hub are different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vehicles, .

KR 20-0116834 Y1 1998. 6. 10.KR 20-0116834 Y1 1998. 6. 10. KR 20-1998-039323 U 1998. 9. 15.KR 20-1998-039323i 1998. 9. 15. KR 20-0108744 Y1 1997. 11. 3.KR 20-0108744 Y1 1997. 3. 3.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축이나 허브에 파손이나 변형 없이 신속하고 안정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차종에 따라 치수 및 형태가 상이한 차축과 허브에 하나의 장치로 두루 적용하여 차축과 허브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수동이나 유압유닛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서 작업성과 경제성을 감안할 수 있도록 하며, 차축과 허브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허브용 풀러를 제공코자 함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cycle which can be quickly and stably separated from an axle or hub without breakage or deforma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axle and hub by applying one unit to different axle and hub, and it is possible to apply the manual or hydraulic unit selectively, so that it is possible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can easily separate the axle and hub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e a puller for an automobile hub.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허브용 풀러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풀러는 허브의 단부에 수개의 결합볼트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개의 결합공 후방에서 통과 후 나사 체결되어 허브와 결합 구성되면서 가운데에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판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판의 후방 가운데에는 본체가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되면서 이러한 본체의 후방 가운데에는 전후 소정 간격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너트가 결합 구성되며, 슬라이드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자체 회전 시 전진 및 후진되는 스크루샤프트(screw shaft)가 구비되며, 스크루샤프트의 선단에 결합 구성되어 차축의 일단에 지지되는 지지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uller for an automotive hub is provided. In the pu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bolts radi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hub, And a slide nut is slid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ear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spacing therebetween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nd a support shaft which is screwed to the slide nut and is provided with a screw shaft that is advanced and retracted when the motor shaft rotates by itself and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screw shaft and supported at one end of the axle.

이때 상기 결합공은 장공 형태로 10개가 구비되어 결합판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10개의 결합공을 0도, 30도, 54도, 90도, 126도, 180도, 210도, 234도, 270도, 306도의 각도로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a radial shape on the coupling plate, and the ten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0, 30, 54, 90, 126, 180, 210, Can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an angle of 306 degrees.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 허브용 풀러는 허브에 결합판을 고정시킨 후 스크루샤프트의 선단에 결합된 지지패드를 차축의 일단에 접하게 지지시킨 다음, 스크루샤프트를 회전시키면켜서 슬라이드너트를 후방으로 최대한 당긴 상태에서 스크루샤프트의 후단을 작업자가 해머로 가격하거나 유압유닛으로 치거나 밀어내면 차축과 허브가 극히 간단하게 분리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하여 수동이나 유압유닛을 작업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선택의 폭이 넓은 이점이 있으며, 이와 함께 본 발명은 풀러라는 별도의 전용공구를 제공하여 차축이나 허브에 파손이나 변형 없이 신속하고 안정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때 차축과 허브가 분리되면서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염려가 없으며, 특히 허브와 결합되는 결합판에 장공 형태의 결합공 10개를 정해진 각도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다양한 차종에 따라 치수 및 형태가 상이한 차축과 허브에 하나의 장치로 두루 적용할 수 있어서 차종에 따른 여러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매비 절감과 함께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제조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차축과 허브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허브의 분리 작업 시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According to a specific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automotive hub pu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a coupling plate is fixed to a hub, a support pad coupled to a tip end of a screw shaft is held in contact with one end of an axle, , The axle and the hub are extremely simp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rear end of the screw shaft with the hammer or pushes or pushes the hydraulic unit with the slide nut pulled back to the maximum extent by turning on the slide nu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parate special tool called a puller so that it can be quickly and stably separated from the axle or hub without breakage or deformation, and at this time, As the axle and hub are separated, there is no risk of injury to the operato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axle and a hub which are different in size and shape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vehicle by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en holes having a long hole shape are formed radially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on a coupling plate coupled with a hub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devices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reduction of the purchase cost,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axle and the hub,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in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hub. The effect is a very inventive 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의 풀러가 전륜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풀러가 후륜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결합판의 일례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본체의 다른 실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결합판과 본체의 다른 결합수단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 풀러의 결합판에 다양한 종류의 허브가 결합되는 상태들을 보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front wheels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rear wheel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upling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coupling means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tates in which various kinds of hubs are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of the inventive pull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축과 차축의 끝에 강제적으로 결합 설치된 허브를 분리하기 위한 자동차 허브용 풀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ub puller for separating an axle of an automobile and a hub forcibly coupled to an end of an axle,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본 발명의 자동차 허브용 풀러(1)는 도 1과 2의 사시도 및 도 3a와 3b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허브(H)에 결합되는 결합판(2)과, 결합판(2)에 결합 구성된 본체(3)와, 본체(3)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된 슬라이드너트(4)와, 슬라이드너트(4)에 나사 결합되어 차축(A) 일단에 지지되는 지지패드(6)가 선단에 결합 구성된 스크루샤프트(5)로 대분되게 이루어진다.The puller 1 for an automotive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upling plate 2 coupled to a hub H a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of FIGS. 1 and 2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FIGS. 3a and 3b, A slide nut 4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3 and a support pad 6 screwed to the slide nut 4 and supported at one end of the axle A are coupled And is generally divided into a screw shaft 5.

상기 결합판(2)은 허브(H)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개의 결합볼트(H1)가 통과되도록 전후로 관통 형성된 수개의 결합공(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볼트(H1)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개의 결합공(21) 중 일부에 통과시켜서 허브(H)의 단부에 체결하게 되면 허브(H)와 결합판(2)이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판(2)의 가운데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개의 결합공(21) 내측으로 관통공(22)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The coupling plate 2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 radially formed to pass through several coupling bolts H1 threaded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hub H, The hub H and the coupling plate 2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by passing through some of the plurality of radially formed coupling holes 21 to be fastened to the ends of the hub H, A through hole 22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coupling hole 21 in the radial direction.

이때 상기 결합볼트(H1)는 도 3a에서와 같이 트럭이나 버스 등의 대형차의 전륜에서 차축 단부의 스핀들암에 테이퍼롤러베어링으로 결합되어 브레이크드럼 또는 브레이크디스크 및 타이어림이 고정 설치되는 허브(H)의 단부에 허브캡을 결합하는 허브캡볼트가 될 수도 있고, 도 3b에서와 같이 대형차의 후륜에서 차축이 내부로 통과되는 액슬하우징의 단부에 테이퍼롤러베어링으로 결합되어 브레이크드럼 또는 브레이크디스크 및 타이어림이 고정 설치되는 허브(H)의 단부에 차축인 액슬샤프트를 결합하는 액슬샤프트고정볼트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허브캡볼트나 액슬샤프트고정볼트와 각각 동일한 치수를 갖는 별도의 체결볼트를 구비하여 허브(H)의 단부에 형성된 허브캡볼트 체결공이나 액슬샤프트고정볼트 체결공에 나사 체결하여 허브(H)의 단부에 결합판(2)을 결합볼트(H1)로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3A, the coupling bolt H1 is coupled to a spindle arm of an end portion of an axle at a front wheel of a large truck such as a truck or a bus by a tapered roller bearing so that a brake drum or a hub H, A hub cap bolt for coupling the hub cap to an end of the brake drum or brake disc, and a hub cap bolt for coupling the hub cap to the end of the brake drum or the tire rim And an axle shaft fixing bolt for coupling an axle shaft that is an axle to an end portion of the hub H to which the hub is fixedly installed. The hub bolt and the axle shaft fixing bolt may have separate fastening bolts, Screwed to a hub cap bolt fastening hole or an axle shaft fastening bolt fastening hole formed at the end of the hub H to form an end portion of the hub H A bolt (H1) binding the binding plate (2) is to be fixed combination.

이러한 결합판(2)에 형성된 결합공(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2)의 외측 방사상으로 장공 형태로 10개가 관통 형성되며, 도 4의 정면도에서 볼 때 결합판(2)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 수직방향을 0도라고 할 시 10개의 결합공(21)은 시계방향으로 0도, 30도, 54도, 90도, 126도, 180도, 210도, 234도, 270도, 306도의 각도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결합공(21)을 장공 형태로 10개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함은 다양한 차종에 따라서 허브(H)의 크기나 결합볼트(H1)인 허브캡볼트나 액슬샤프트고정볼트의 위치 및 개수 등이 다양하여 이러한 다양한 차종에 따른 차축(A)과 허브(H)에 하나의 장치를 두루 사용하여 차축(A)과 허브(H)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4, ten coupling holes 21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on the outer radial side of the through holes 22, and the coupling holes 21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2 And the upper vertical direction is assumed to be 0 degree, the ten coupling holes 21 are arranged at 0 degree, 30 degree, 54 degree, 90 degree, 126 degree, 180 degree, 210 degree, 234 degree, 270, and 306 degrees. The ten holes of the coupling hole 21 in the form of a long hole have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ize of the hub H or the size of the coupling bolt H1,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cap bolts and the axle shaft fixing bolts are varied so that the axle A and the hub H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using one device for the axle A and the hub H, .

상기 체(3)는 도 3a 내지 도 3b에서와 같이 결합판(2)의 후방 가운데에 결합판(2)과 이격되게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되며, 이러한 본체(3)는 도 1 내지 도 3b에서와 같이 후방 가운데에 슬라이드너트(4)가 결합되면서 전방에 개방되게 개구(30)가 형성된 컵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가운데에 슬라이드너트(4)가 결합되면서 수개의 스터드볼트(stud bolt)(32)의 후단이 통과되어 후방에서 스터드고정너트(33)로 체결되는 고정홀(34)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요크(yoke)(31)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3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plate 2 at the center of the rear of the coupling plate 2 as shown in Figs. 3A to 3B, 5 to 6, the slide nut 4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ear portion, as shown in FIGS. 5 to 6, And a yoke 31 having a fixing hole 34 through which the rear end of the stud bolt 32 passes and which is fastened to the stud fixing nut 33 from the rear side.

상기 본체(3)가 컵 형태로 이루어질 시 상기 결합판(2)에는 관통공(22)의 후방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3)가 구비되며, 결합판(2)의 결합돌기(23)에 컵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3)의 개구(30)가 결합수단(7)에 의해서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되며, 상기 결합수단(7)은 도 1에서와 같이 결합돌기(23)의 단부에 외향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분할 형성된 수개의 외향결합턱(71)과 개구(30)의 내면에 외향결합턱(71)과 대응되게 내향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분할 형성된 수개의 내향결합턱(72)으로 이루어져 결합돌기(23)가 개구(30) 내측으로 삽입 후 본체(3)를 회전시킨 다음, 본체(3) 측방에 관통되어 결합돌기(23)의 외면에 가압되게 나사 결합되는 세트스크루(set screw)(73)에 의해서 결합 구성되며, 상기 결합수단(7)의 다른 실례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2) 결합돌기(23)의 외면에 수나사부(74)를 형성하면서 본체(3) 개구(30)의 내면에 암나사부(75)를 형성하여 상호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밖에도 알려진 다양한 결합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main body 3 is in the form of a cup, the coupling plate 2 is provided with coupling projections 23 annularly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through holes 22. The coupling projections 23 of the coupling plate 2, The opening 30 of the cup 3 in the form of a cup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means 7 and the coupling means 7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rojection 23, A plurality of radially projecting outwardly coupling jaws 71 and a plurality of inwardly coupled jaws 7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30 so as to project radially inward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outwardly engaging jaws 71, A set screw 73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0 and then rotates the main body 3 and is screw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23 through the side of the main body 3 As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means 7, as shown in Fig. 7, The male screw portion 74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3 so that the female screw portion 7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30 of the main body 3 so as to be screwed to each other. It can be configured.

그리고 상기 본체(3)가 요크(31)와 수개의 스터드볼트(32)로 이루어질 시 상기 결합판(2)은 관통공(22) 외측의 결합공(21) 사이에 암나사(81)가 내면으로 형성된 수개의 스터드체결공(8)이 구비되어 결합판(2)의 스터드체결공(8)에 본체(3)의 스터드볼트(32) 선단이 나사 체결되어 결합판(2)과 본체(3)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main body 3 is constituted by the yoke 31 and several stud bolts 32, the coupling plate 2 has a female screw 81 inserted between the coupling holes 21 on the outer side of the through hole 22, The stud bolts 32 of the main body 3 are screwed to the stud fastening holes 8 of the coupling plate 2 so that the coupling plate 2 and the main body 3 are screw- Can be combined.

상기 본체(3)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너트(4)는 본체(3)의 후방 가운데에 전후 소정 간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전이 되지 않도록 슬라이드너트(4)의 외면과 본체(3)와의 사이에 키(key)(41)가 삽입 구성되며, 외측의 선단에는 슬라이드너트(4)가 전후로 슬라이딩될 때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42)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측 후단에는 본체(3)에 슬라이드너트(4)가 결합된 후 전후로 슬라이딩될 때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멈춤 기능을 갖는 스냅링(43)이 고정 결합되어 걸림턱(42)과 스냅링(43) 사이 거리를 본체(3)의 후방 뚜께보다 슬라이딩되는 소정 간격만큼 더 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slide nut 4 coupled to the main body 3 is sli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ack and forth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3 so that the slide nut 4 is push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e nut 4 and the main body 3, A locking nut 42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so that when the slide nut 4 is slid forward and rearward, the slide nut 4 is protruded outward. On the outer rear end, a slide nut A snap ring 43 having a stop function is fixedly engaged so that the stopper 43 is not detached forward when the slide member 4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3,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본체(3)의 내측으로 나사 결합되는 스크루샤프트(5)는 선단에 도 3a 및 도 3b에서처럼 차축(A)의 일단으로 평평하게 지지되도록 결합 구성되어 허브(H)에 결합된 결합판(2)과 본체(3) 및 슬라이드너트(4)를 스크루샤프트(5)의 회전에 의해서 후방으로 당길 때 차축(A)에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금속제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패드(6)가 구비되며, 이러한 지지패드(6)는 도 1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스크루샤프트(5)의 선단이 내입된 후 지지패드(6)의 측방에서 관통 결합된 세트스크루(73)에 의해서 고정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스크루샤프트(5)의 후단은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각형단부(51)로 이루어져서 기계적으로 스크루샤프트(5)를 회전시키거나 유압유닛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가격하거나 밀어내어 슬라이드너트(4)가 본체(3)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차축(A)과 허브(H)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유압유닛 없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스크루샤프트(5) 후단의 각형단부(51)를 해머로 타격해서 차축(A)과 허브(H)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스크루샤프트(5)의 선단에 볼(52)을 삽입하여 중심유지 및 마모방지의 작용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crew shaft 5 screw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 is coupled to the hub H so as to be flat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axle A as shown in Figs. A support pad 6 made of metal or the like is provided to prevent the axle A from being damaged or deformed when the main body 3 and the slide nut 4 are pulled rearwar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5 The support pad 6 is fixedly coupled by a set screw 73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side of the support pad 6 after the tip of the screw shaft 5 is inserted as shown in FIG. 1 or FIG. 5 The rear end of the screw shaft 5 is formed by a rectangular end 51 such as a square or a hexagon and mechanically rotates the screw shaft 5 or pushes or pushes the screw shaft 5 forward by using the hydraulic unit so that the slide nut 4 In the main body 3, The operator can manually engage the angular end portion 51 of the rear end of the screw shaft 5 with the hammer to separate the axle A and the hub H from each other without using the hydraulic unit, And a ball 52 may be inserted into the tip of the screw shaft 5 as necessary to prevent centering and abras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 허브용 풀러(1)는 자동차의 차축(A) 일단에 강제 결합된 허브(H)를 보다 쉽게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uller 1 for an automotive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more easily and easily separate the hub H forci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axle A of the automobile, same.

우선 자동차의 허브(H)에 결합너트(H1)에 의해서 결합되는 결합판(2)의 후방에 본체(3)를 탈착 가능토록 결합한 후 본체(3)의 후방 가운데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너트(4)에 스크루샤프트(5)를 나사 결합되게 설치하여 스크루샤프트(5)의 선단에 결합된 지지패드(6)가 차축(A)의 일단에 지지되게 한다.A slide nut 4 which slides back and forth in the rear center of the main body 3 after detach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3 to the rear of the coupling plate 2 coupled to the hub H of the car by a coupling nut H1, The screw shaft 5 i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screw shaft 5 so that the support pad 6 coupled to the tip of the screw shaft 5 is supported on one end of the axle A. [

이후 스크루샤프트(5)를 회전시켜서 슬라이드너트(4)가 후진되도록 하면, 슬라이드너트(4)가 스크루샤프트(5)를 타고 후진하면서 본체(3)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된 후 슬라이드너트(4)의 선단 걸림턱(42)이 본체(3)에 걸리게 되면 본체(3)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서 컵 형태의 본체(3)와 결합수단(7)으로 결합되거나, 요크(31) 및 스터드볼트(32)의 본체(3)와 스터드볼트(32)와 스터드체결공(8)의 나사 체결로 결합된 결합판(2)을 후방으로 당기게 되어 결합판(2)에 결합된 허브(H)와 최대한 후방으로 당겨져 긴장된 상태에서 스크루샤프트(5)의 후단을 작업자가 해머로 타격하거나 유압유닛을 이용하여 가격하거나 밀어내면 차축(A)과 허브(H)를 신속하고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때 차축(A)이나 허브(H)에 파손 또는 변형이 생기지 않고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slide nut 4 is then moved backward by rotating the screw shaft 5, the slide nut 4 is slid backward from the main body 3 while moving backward along the screw shaft 5, The main body 3 is pulled backward when the leading end stopping chuck 42 is caught by the main body 3 and the main body 3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 by the coupling means 7, The hub H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2 pulls back the coupling plate 2 coupled to the main body 3 of the rotor 32 by the screw connection of the stud bolt 32 and the stud coupling hole 8,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imply and accurately separate the axle A and the hub H when the operator hits the rear end of the screw shaft 5 with the hammer or presses or pushes the rear end of the screw shaft 5 with the hydraulic unit, At this time, if the axle (A) or the hub (H) is not broken or deformed, It can be don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풀러(1)는 허브(H)와 결합된 결합판(2)에 방사상으로 10개의 결합공(21)을 장공 형태로 형성하면서 10개의 결합공(21)을 상부 수직방향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0도, 30도, 54도, 90도, 126도, 180도, 210도, 234도, 270도, 306도의 각도로 위치토록 하여 다양한 차종에 따라 치수와 형태가 상이한 차축(A)과 허브(H)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중 일부 형태의 허브(H)를 살펴보면, 도 8의 (가)와 (나)는 허브(H)의 단부에 허브캡볼트 또는 액슬샤프트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차륜의 홀 개수가 5개일 때 결합볼트(H1) 3개를 54도, 126도, 270도의 결합공(21)에 통과시켜서 허브(H)의 단부에 체결하거나, 결합볼트(H1) 3개를 90도, 234도, 306도의 결합공(21)에 통과시켜서 허브(H)의 단부에 체결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허브(H)와 결합판(2)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8, the pull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en coupling holes 21 radially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2 coupled with the hub H, while ten coupling holes 21 )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upper vertical direction at an angle of 0 degrees, 30 degrees, 54 degrees, 90 degrees, 126 degrees, 180 degrees, 210 degrees, 234 degrees, 270 degrees, 306 degrees, 8 (a) and 8 (b) illustrate a hub H of a different type, in which a hub cap H is attached to an end of the hub H, When three bolts or axle shaft fixing bolts are coupled to five wheel holes, three coupling bolts H1 are passed through the coupling holes 21 of 54 degrees, 126 degrees, and 270 degrees to be fastened to the ends of the hub H And the coupling bolts H1 are passed through the coupling holes 21 of 90 degrees, 234 degrees and 306 degrees to be fastened to the ends of the hub H, the hub H and the coupling plate 2 can be stably fixedThat will.

도 8의 (다)와 (라)는 허브(H)의 단부에 허브캡볼트 또는 액슬샤프트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차륜의 홀 개수가 6개 또는 8개일 때 결합볼트(H1) 4개를 30도, 90도, 210도, 270도의 결합공(21)에 통과시키거나, 0도, 90도, 180도, 270도의 결합공(21)에 통과시켜서 허브(H)의 단부에 각각 체결하면 되는 것이며, 도 8의 (마)와 (바)는 허브(H)의 단부에 허브캡볼트 또는 액슬샤프트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차륜의 홀 개수가 10개 또는 12개일 때 결합볼트(H1) 6개를 54도, 90도, 126도, 234도, 270도, 306도의 결합공(21)에 통과시키거나, 0도, 30도, 90도, 180도, 210도, 270도의 결합공(21)에 통과시켜서 허브(H)의 단부에 각각 체결하면 허브(H)와 결합판(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바, 상기 6가지의 예를 들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허브용 풀러(1)는 차종에 따른 다양한 치수와 형태를 갖는 차축(A) 및 허브(H)에 두루 적용할 수 있으므로 치수나 형태에 따라 여러 공구나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치만 구비하면 어떠한 자동차의 차축(A)과 허브(H)라도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서 범용성이 높은 것이며, 이로 인하여 구매비 등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8 (C) and 8 (D) show that when the number of holes of the wheel to which the hub cap bolts or the axle shaft fixing bolts are coupled is 6 or 8 at the end of the hub H, four coupling bolts H1 are rotated 30 degrees , 90 degrees, 210 degrees and 270 degrees or through the coupling holes 21 of 0 degrees, 90 degrees, 180 degrees and 270 degrees and fastened to the ends of the hub H, respectively , 8 (e) and 8 (b) show that when the number of holes of the wheel to which the hub cap bolt or the axle shaft fixing bolt is coupled is 10 or 12 at the end of the hub H, O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s 21 of 0 degrees, 30 degrees, 90 degrees, 180 degrees, 210 degrees, 270 degrees, o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s 21 of 90 degrees, 126 degrees, 234 degrees, 270 degrees,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hub H and the coupling plate 2 by fastening them to the end portions of the hub H so that the pulleys 1 for the automotive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imens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A) and the hub (H),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tools or devices according to the dimensions and the shape of the axle (A) and the hub (H)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even if it is highly versatile, and thus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purchase cost and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s well as equivalents thereof.

1:풀러 2:결합판
21:결합공 22:관통공
23:결합돌기 3:본체
30:개구 31:요크
32:스터드볼트 33:스터드고정너트
34:고정홀 4:슬라이드너트
41:키 42:걸림턱
43:스냅링 5:스크루샤프트
51:각형단부 52:볼
6:지지패드 7:결합수단
71:외향결합턱 72:내향결합턱
73:세트스크루 74:수나사부
75:암나사부 8:스터드체결공
81:암나사 A:차축
H:허브 H1:결합볼트
1: Fuller 2: Coupling plate
21: engaging hole 22: through hole
23: engaging projection 3:
30: opening 31: yoke
32: Stud bolt 33: Stud fixing nut
34: Fixing hole 4: Slide nut
41: key 42: latching jaw
43: Snap ring 5: Screw shaft
51: square end 52: ball
6: Supporting pad 7: Coupling means
71: outward coupling jaw 72: inward coupling jaw
73: Set screw 74: Male threads
75: Female thread part 8: Stud fastener
81: Female thread A: Axle
H: Hub H1: Coupling bolt

Claims (4)

허브(H)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개의 결합볼트(H1)가 후방에서 통과되도록 수개의 결합공(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볼트(H1)에 의해서 허브(H)와 결합 구성되며, 가운데에 관통공(22)이 형성된 결합판(2)과,
결합판(2)의 후방에 결합판(2)과 이격되게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된 본체(3)와,
외측 선단으로 걸림턱(42)이 외향 돌출되면서 외측 후단으로 스냅링(42)이 고정 설치되어 본체(3)의 후방 가운데에 전후 소정 간격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슬라이드너트(4)와,
슬라이드너트(4)에 나사 결합되어 자체 회전 시 전진 및 후진되도록 구성된 스크루샤프트(5)와,
스크루샤프트(5)의 선단에 차축(A)의 일단으로 평평하게 지지되도록 결합 구성된 지지패드(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허브용 풀러.
Several coupling holes 21 are formed radially so that several coupling bolts H1 screwed to the ends of the hub H are passed through from behind and are coupled to the hub H by coupling bolts H1, A coupling plate 2 having a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 main body 3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coupling plate 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late 2,
A slide nut (4) fixed to the outer rear end of the stopper (42) by a locking protrusion (4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end and fixed to the rear center of the main body (3)
A screw shaft (5) screwed to the slide nut (4) and adapt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its own rotation,
And a support pad (6) configured to be supported at one end of the axle (A) so as to be supported flat on the tip end of the screw shaft (5).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판(2)의 결합공(21)은 장공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10개가 구비되며,
10개의 결합공(21)은 0도, 30도, 54도, 90도, 126도, 180도, 210도, 234도, 270도, 306도의 각도로 위치되어 다양한 차종에 두루 사용하여 차축(A)과 허브(H)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범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허브용 풀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holes 21 of the coupling plate 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and are radially provided with ten coupling holes 21,
The ten engaging holes 21 are located at angles of 0 degree, 30 degrees, 54 degrees, 90 degrees, 126 degrees, 180 degrees, 210 degrees, 234 degrees, 270 degrees and 306 degrees, And the hub (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판(2)은 관통공(22)의 후방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3)가 구비되며,
본체(3)는 후방 가운데에 슬라이드너트(4)가 결합 구성되면서 전방에 개방되게 개구(30)가 형성된 컵 형태로 이루어지며,
결합판(2)의 결합돌기(23)에 본체(3)의 개구(30)가 결합수단(7)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허브용 풀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plate 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3 formed annularly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22,
The main body 3 has a cup shape in which a slide nut 4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ear side and an opening 30 is formed so as to be opened forward,
Wherein an opening (30) of the main body (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rojection (23) of the coupling plate (2) by a coupling means (7).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판(2)은 관통공(22) 외측의 결합공(21) 사이에 암나사(81)가 내면으로 형성된 수개의 스터드체결공(8)이 구비되며,
본체(3)는 가운데에 슬라이드너트(4)가 결합되면서 수개의 스터드볼트(32)의 후단이 통과되어 후방에서 스터드고정너트(33)로 체결되는 고정홀(34)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요크(31)로 이루어지며,
결합판(2)의 스터드체결공(8)에 본체(3)의 스터드볼트(32) 선단이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허브용 풀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engaging plate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ud fastening holes 8 formed between the engaging holes 21 on the outer side of the through hole 22 and having a female screw 8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he main body 3 has a fixing hole 34 through which a rear end of a number of stud bolts 32 is passed and a stud fixing nut 33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yoke 31 ),
Wherein the stud bolt (32) of the main body (3) is connected to the stud coupling hole (8) of the coupling plate (2) by screw engagement.
KR1020140192470A 2014-12-29 2014-12-29 Automobile hub puller KR1016882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70A KR101688215B1 (en) 2014-12-29 2014-12-29 Automobile hub puller
PCT/KR2015/006887 WO2016108365A1 (en) 2014-12-29 2015-07-03 Puller for vehicle hu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70A KR101688215B1 (en) 2014-12-29 2014-12-29 Automobile hub pu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524A KR20160080524A (en) 2016-07-08
KR101688215B1 true KR101688215B1 (en) 2016-12-20

Family

ID=5628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470A KR101688215B1 (en) 2014-12-29 2014-12-29 Automobile hub pull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8215B1 (en)
WO (1) WO201610836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0211B (en) * 2018-04-10 2019-02-11 欣富康實業有限公司 Axle puller
CN110936779B (en) * 2019-12-13 2024-06-11 北京北方车辆集团有限公司 Assembling device for torsion bar spring installation
CN111037506A (en) * 2019-12-31 2020-04-21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Drawing tool
CN114932524B (en) * 2022-06-06 2023-10-03 重庆江增船舶重工有限公司 Tool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rotor of mixed-flow turbocharger
US12076827B1 (en) * 2023-06-02 2024-09-03 Pratt & Whitney Canada Corp. Extension removal to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62B1 (en) * 2013-04-09 2014-09-26 안준승 Puller for a ball joi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188Y2 (en) * 1974-07-16 1980-04-15
JPS5845018Y2 (en) * 1975-04-14 1983-10-13 ユウゲンガイシヤ シヨウワコウギヨウシヨ Jikuukeno Torihazushi Souchi
JP2852604B2 (en) * 1994-05-10 1999-02-03 江東産業株式会社 Pulley puller
KR0108744Y1 (en) 1994-11-22 1996-06-17 Jung Byung Won Device of hub separation for tiller
JP3178992B2 (en) * 1995-06-15 2001-06-25 江東産業株式会社 Removal tool for cone washer
KR0116834Y1 (en) 1995-12-21 1998-06-01 김태구 Tool for removing axles of automobiles
KR19980039323U (en) 1996-12-20 1998-09-15 양재신 Front Wheel Hub Remover of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62B1 (en) * 2013-04-09 2014-09-26 안준승 Puller for a ball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524A (en) 2016-07-08
WO2016108365A1 (en)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215B1 (en) Automobile hub puller
US8745832B2 (en) Wheel hub remover and method
US8931156B1 (en) Puller for pulley of supercharger
US6665918B1 (en) Harmonic damper pulley removal tool
JP6219499B2 (en) Locking device
EP2425993A1 (en) Device for clamping wheel rims for vehicles on repair workshop machines, particularly tyre-changing machines or the like
US10675739B2 (en) Multi-function socket
US6505390B2 (en) Method for replacing wheel studs
US6618920B1 (en) Wheel stud installation tool
US20090025514A1 (en) Wheel stud installing and removing system and method
US5067220A (en) Front wheel drive hub puller
US10343262B2 (en) Tool for an impact wrench for securing a vehicle wheel
US20080060765A1 (en) Tire bead rolling tool or tire iron and method of use
US11383364B2 (en) Puller tool and adapter
JP5552554B1 (en) Vehicle lifting device
US7373964B2 (en) Tire mount/dismou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EP2998070A1 (en) Assembly tool for wheel hub
KR100848372B1 (en) Bolt fastener
JP3142005U (en) Tire wheel puller
KR101551379B1 (en) Wheel Nut Modulation Appararus for Car
US9757981B2 (en) Broken axle recovery apparatus
CN204566057U (en) A kind of nut screwing clamping anti-rotation device
KR102191830B1 (en) Wheel nut
RU2412797C1 (en) Installation for dismantling nuts of railway car half-shaft axle boxes (versions)
CN203542454U (en) Maintenance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