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6303B1 -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303B1
KR101686303B1 KR1020140174472A KR20140174472A KR101686303B1 KR 101686303 B1 KR101686303 B1 KR 101686303B1 KR 1020140174472 A KR1020140174472 A KR 1020140174472A KR 20140174472 A KR20140174472 A KR 20140174472A KR 101686303 B1 KR101686303 B1 KR 101686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ousing
unit
hol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576A (ko
Inventor
임준혁
이종진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303B1/ko
Priority to US14/597,931 priority patent/US9888531B2/en
Priority to CN201510028977.9A priority patent/CN105864844B/zh
Priority to EP15169726.5A priority patent/EP3030048B1/en
Publication of KR2016006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부;상기 하우징 내의 배기 모터를 포함하는 배기 유닛; 상기 배기 유닛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부; 상기 배기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상기 배기 모터로 가이드 하는 냉각 덕트부; 상기 배기 덕트부와 상기 냉각 덕트부가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덕트부; 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OVER THE RANGE AND METHOD OF USE THEREOF}
본 발명은 상측 덕트부 구조를 개선하여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와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드 겸용 전자렌지(Over The Range)는 배기 기능을 갖춘 전자렌지를 지칭하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가스렌지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통상적인 후드 겸용 전자렌지는 조리부와 덕트부로 대별될 수 있고, 상기 조리부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용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또는 액체(이하, 음식물)를 가열한다. 상기 덕트부는 상기 조리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후드 겸용 전자렌지 하측에 배치된 가스렌지 또는 기타 외부 공기를 흡입해서 실외로 배출한다.
이러한 종래의 후드 겸용 전자렌지는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538169호(발명의 명칭: 벽걸이형 전자렌지) 등에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렌지에 구비된 구동부들에 의한 발열을 냉각하기 위해, 종래에는 외기를 대부분의 구동부가 배치되는 전장실(22)을 통해 상기 덕트부의 배기 유닛(50)을 거쳐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후드 겸용 전자렌지는 이미 구동부를 냉각한 공기가 상기 배기 유닛(50)을 냉각시키기 때문에, 상기 배기 유닛(50)의 배기 모터(53)의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배기 유닛(50)의 배기 모터(53)를 냉각시키기 위해, 양 측의 임팰러(51, 52)의 구조는 각각 모터 냉각부(51b, 52b)와 배기부(51a, 52a)로서 복잡한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또한, 대류를 위한 별도의 대류 모터(64)를 요하게 되어, 전체적인 부피의 증가 및 제조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요컨대, 종래의 후드 겸용 전자렌지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 증가 및 배기 능력 저하가 야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 덕트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습도센서를 독립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구동되는 조리실 내부의 컨디션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구현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부;상기 하우징 내의 배기 모터를 포함하는 배기 유닛; 상기 배기 유닛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부; 상기 배기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상기 배기 모터로 가이드 하는 냉각 덕트부; 상기 배기 덕트부와 상기 냉각 덕트부가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덕트부; 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전방에 외기가 유입되는 냉각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임팰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조리부와 덕트부를 구획하는 구획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 상에 배치되되 상기 배기 유닛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측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과 상측 덕트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냉각홀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기 모터에 유동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배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전방으로 유도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1 유입홀과, 제2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임팰러는 상기 제1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임팰러와, 상기 제2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임팰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입홀 및 제2 유입홀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냉매 덕트부에서 배기 모터로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상측 덕트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과 상기 상측 덕트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홀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기 모터에 유입시키는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후면과 구획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배기 모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홀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배기 유닛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기 유닛의 배기 모터 후측에 배치된 하우징의 외기홀과, 상기 배기 유닛으로 유동되는 배기를 배출하기 위한 상측 덕트부와 상기 하우징의 구획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냉매 덕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하여 상기 배기 유닛의 배기 모터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사용방법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측 덕트부와 조리부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 덕트부와, 배기 모터의 후측에 외기홀을 포함하여 상기 배기 모터의 냉각을 도모하여 우수한 배기 능력을 구현할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상측 하우징을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
도 2는 도 1의 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 모터 냉각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상측 하우징을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절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 모터 냉각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크게 하우징(100), 조리부(200), 덕트부(300) 및 배기 유닛(3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크게 미도시된 상면 하우징 및 측면 하우징과, 도시된 배면 하우징(110) 및 하측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하우징(100)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각각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하우징(100) 내부에서 조리부(200)와 덕트부(300)를 상, 하로 구획할 수 있는 구획 하우징(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획 하우징(130)은 상기 하우징(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볼트 체결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전방에 외기가 유입되는 냉각홀(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홀(140)은 후술할 냉매 덕트부(300)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후술할 덕트부(300)의 외벽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후술할 배기 모터(38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홀(1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기홀(15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홀(140) 및/또는 외기홀(150)에 의해 배기 모터(381)의 효율적인 냉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조리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며, 조리실(210)과 전장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210)은 전방에 도어(2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11)는 상기 하우징(100)에 일측으로 개폐될 수 있게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어(211)를 쉽게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21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11)는 내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강화 유리와 같은 투명창(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장실(220)은 일측에 컨트롤패널(22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패널(221)은 상기 조리부(200)를 조작할 수 있게 버튼, 터치패널 또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각종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221)은 후술할 덕트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버튼, 터치패널 또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습도센서(450)에 의해 감지된 조리실(210) 내부 상태로써 상기 조리실(210)의 조리 환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덕트부(300)는 상기 하우징(100)과 조리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유로를 형성하며, 크게 상측 덕트부(310)와 측면 덕트부 및/또는 냉각 덕트부(330)로 대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300)는 크게 배기 덕트부와 냉각 덕트부가 상하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 덕트부는 후술할 배기 유닛(38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냉각 덕트부는 배기 모터(381)를 냉각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상기 배기 모터(381)로 가이드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덕트부는 상기 조리부(200)와 미도시된 측면 하우징 사이 또는 상기 컨트롤패널(221)과 미도시된 측면 하우징(100) 사이에 형성되며, 이 경우 하우징(100)이 덕트부(300)의 외측벽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덕트부(310)는 제1 플레이트(311), 제2 플레이트(312) 및 제3 플레이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측 덕트부(310)로 인해, 실시예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배기 유동 경로를 효율적으로 형성하여, 더 큰 구동력을 이용하여도 난류 발생이 적으며, 전력 소모가 적고, 소음이 적은 후드 및 후드 겸용 전자렌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311)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획 하우징(130)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조리부(20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플레이트(311)는 상기 구획 하우징(13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거나, 상기 구획 하우징(130)의 일부가 하측으로 요입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311)와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311)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312)는 상기 제1 플레이트(311)와 하우징(100) 사이에 두 개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측 덕트부(31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으며, 후술할 배기 유닛(38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전방으로 유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대칭적이면서도 전방으로 점점 좁아지는 유동 경로는 종래에 비해 배기 유로의 유동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3 플레이트(313)는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의 후측에 배치되어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313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배기 유동 경로는 하측 또는 측면에 형성된 제1 유입구,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제2 유입구를 지나, 후술할 임팰러(382a, 382b)를 지나 상기 유입홀(313a)에 유입되어 제1 플레이트(311), 제2 플레이트(312) 및 상측 하우징(100)이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313)는 후술할 제1 임팰러(382a)에 대응되는 제1 유입홀(313a)과, 후술할 제2 임팰러(382b)에 대응되는 제2 유입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공기 유동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313)는 상기 제1 유입홀(313a) 및 제2 유입홀(미도시)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313b)를 더 포함하여, 공기 유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절곡부(313b)는 난류 방지라는 기능적 특성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절곡부(313b)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313b)는 후술할 냉매 덕트부(300)에서 배기 모터(381)로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상측 덕트부(310)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기홀(313b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기홀(313ba)에 의해 원활하게 후술할 배기 모터(381)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는 냉매 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덕트부(330)는 상기 구획 하우징(130)과 상측 덕트부(310)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냉각홀(140)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기 모터(381)에 유동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 덕트부(330)는 상기 구획 하우징(130)과 상측 덕트부(310),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 하우징(130)과 제1 플레이트(31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홀(140)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기 모터(381)에 유입시키는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덕트부(330)에 의해 외기는 하우징(100) 전방의 냉각홀(140), 냉매 덕트부(300), 배기 모터(381), 절곡부(313b)의 통기홀(313ba)을 지나 상측 덕트부(310)로 유동되어 최종적으로 배기되며, 이러한 유동 구조는 직접적으로 상기 배기 모터(381)를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기 유닛(380)은 상기 제3 플레이트(313)와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면인 배면 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배면 하우징(110)과 구획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상기 유입홀(313a)로 배기를 유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 유닛(380)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배기 모터(3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 모터(381)로써 구동되어 상기 유입홀(313a)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한 쌍의 임팰러(382a, 38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팰러(382a, 382b)는 상기 배기 모터(38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임팰러(382a)와, 상기 배기 모터(381)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임팰러(38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임팰러(382a)와 제2 임팰러(382b)의 양단은 전술한 제2 유입구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 제1 플레이트(311) 및 제2 플레이트(312)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측 덕트부(31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덕트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덕트 모듈(400)로써 집약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덕트 모듈(400)은 전원부(410), 러닝 캐패시터(420, running capacitor), 노이즈 필터(430, noise filter), 퓨즈(440, fus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습도센서(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4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조리부(200) 또는 덕트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분배한다. 이러한 전원부(410)는 상기 하나의 제1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러닝 캐패시터(420, running capacitor)는 기동 콘덴서라고도 하며, 상기 배기 모터(381)를 초기 구동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러닝 캐패시터(420)는 상기 하나의 경사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필터(430)는 상기 배기 모터(381) 구동시 발생되는 교류의 노이즈 성분을 감쇠하고, 필요로 하는 신호 성분을 통과 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나의 제2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퓨즈는 조리부(200)에서 과도한 열(예를 들어, 약 90℃ 또는 150℃)이 발생하거나, 상기 배기 모터(381)의 과열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410)에서 분배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배치된다. 이러한 퓨즈는 상기 다른 하나의 제1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450)는 상기 조리부(200)에서 조리되는 음식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습도 또는 온도를 감지하여 조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조리부(200)의 제어부(미도시)에 보내거나, 상기 배기 모터(381)의 온/오프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습도센서(450)는 조리부(20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감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조리부(200) 상측에 배치되어야 하며, 상기 덕트 모듈(400)은 상기 다른 하나의 경사부와 제2 수평부 외측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배치될 수 있다.
요컨대, 실시예는 상기 조리부(200) 상부에 필수적으로 배치되어야 하거나, 덕트부(300) 구동을 위한 구성요소를 상기 제1 플레이트(311)에 집약할 수 있도록 모듈화를 구현하여, 조립 공차 감소, 생산성 증가, 내부 공간 확보 또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이러한 덕트부(300)의 구조적 개선을 꾀함으로써, 습도센서(450)로써 조리부(200)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500)는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3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평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500)는 차콜 필터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를 필터링하며,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단,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배기 유닛(380)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배기 유닛(380)의 배기 모터(381) 후측에 배치된 하우징(100)의 외기홀(150)로부터 유입된 외기와, 상기 배기 유닛(380)으로 유동되는 배기를 배출하기 위한 상측 덕트부(310)와 상기 하우징(100)의 구획 하우징(130) 사이에 형성되는 냉매 덕트부(300)가 상기 하우징(100) 전방에 형성되는 냉각홀(140)로부터 외기를 유입하여 상기 배기 유닛(380)의 배기 모터(381)를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냉각 모터가 불요하며, 조리부(200)의 전장실(220)을 거쳐서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아닌 외기를 직접적으로 배기 모터(381)에 공급함으로써 우수한 냉각 효율을 도모하여 후드 겸용 전자렌지에 구비된 덕트부(300)의 배기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하우징 110: 배면 하우징
120: 하측 하우징 130: 구획 하우징
140: 냉각홀 150: 외기홀
200: 조리부 210: 조리실
211: 도어 212: 손잡이
220: 전장실 221: 컨트롤패널
222: 디스플레이 300: 덕트부
310: 상측 덕트부 311: 제1 플레이트
312: 제2 플레이트 313: 제3 플레이트
313a: 유입홀 313b: 절곡부
313ba: 통기홀 330: 냉각 덕트부

Claims (18)

  1.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에 외기가 유입되는 냉각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부;
    상기 하우징 내의 배기 모터를 포함하는 배기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부와, 상기 배기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상기 배기 모터로 가이드 하는 냉각 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덕트부와 상기 냉각 덕트부가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덕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조리부와 덕트부를 구획하는 구획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 상에 배치되되 상기 배기 유닛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측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과 상측 덕트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냉각홀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기 모터에 유동되게 가이드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닛은 임팰러를 더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배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전방으로 유도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1 유입홀과, 제2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임팰러는 상기 제1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임팰러와, 상기 제2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임팰러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입홀 및 제2 유입홀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냉각 덕트부에서 배기 모터로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상측 덕트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기홀이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과 상기 상측 덕트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홀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기 모터에 유입시키는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과 구획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배기 모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홀이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홀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0. 내부에 조리부와 덕트부를 상, 하로 구획하는 구획 하우징을 포함하며, 전방에 외기가 유입되는 냉각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면과 구획하우징에 고정되며, 배기 모터와 상기 배기 모터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임팰러를 포함하는 배기 유닛; 및
    상기 구획 하우징 상에 배치되되 상기 배기 유닛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측 덕트부; 및
    상기 구획 하우징과 상측 덕트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냉각홀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기 모터에 유동되게 가이드하는 냉각 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배기 모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홀이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홀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배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전방으로 유도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1 유입홀과, 제2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임팰러는 상기 제1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임팰러와, 상기 제2 유입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배기 모터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임팰러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입홀 및 제2 유입홀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냉각 덕트부에서 배기 모터로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상측 덕트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기홀이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덕트부는 상기 구획 하우징과 상기 상측 덕트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홀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기 모터에 유입시키는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렌지.
  18. 삭제
KR1020140174472A 2014-12-05 2014-12-05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686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72A KR101686303B1 (ko) 2014-12-05 2014-12-05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US14/597,931 US9888531B2 (en) 2014-12-05 2015-01-15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1510028977.9A CN105864844B (zh) 2014-12-05 2015-01-20 悬挂式微波炉及其使用方法
EP15169726.5A EP3030048B1 (en) 2014-12-05 2015-05-28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72A KR101686303B1 (ko) 2014-12-05 2014-12-05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576A KR20160068576A (ko) 2016-06-15
KR101686303B1 true KR101686303B1 (ko) 2016-12-13

Family

ID=5327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472A KR101686303B1 (ko) 2014-12-05 2014-12-05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88531B2 (ko)
EP (1) EP3030048B1 (ko)
KR (1) KR101686303B1 (ko)
CN (1) CN1058648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805B (zh) * 2019-08-09 2021-04-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侧吸式吸油烟机
US12177955B2 (en) * 2021-10-11 2024-12-24 Whirlpool Corporation High flow cavity ventilation
WO2024123089A1 (ko) * 2022-12-06 202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004Y1 (ko) * 1999-12-27 2000-07-15 엘지전자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과열장치장치
KR100538169B1 (ko) 2003-01-09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807384B1 (ko) * 2007-01-26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5525A (ja) 1985-01-16 1986-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風循環ヒ−タ付高周波加熱装置
KR200226752Y1 (ko) * 2000-11-01 2001-06-15 엘지전자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배기유로구조
KR100437383B1 (ko) * 2000-12-30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구조
KR20050056724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1304691B1 (ko) 2007-01-02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1890433B1 (ko) 2011-10-04 2018-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004Y1 (ko) * 1999-12-27 2000-07-15 엘지전자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과열장치장치
KR100538169B1 (ko) 2003-01-09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807384B1 (ko) * 2007-01-26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576A (ko) 2016-06-15
CN105864844B (zh) 2018-08-14
CN105864844A (zh) 2016-08-17
US20160165672A1 (en) 2016-06-09
US9888531B2 (en) 2018-02-06
EP3030048A1 (en) 2016-06-08
EP3030048B1 (en)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8169B (zh) 烤箱
KR102656201B1 (ko) 조리기기
US7721728B2 (en) Oven
KR101450879B1 (ko) 밴트그릴
US6864472B2 (en) Exhaust and ventilation system for mountable type microwave oven
US7629561B2 (en) Electric oven with hood having opening/closing device to open and close an exhaust passage
CA2883496A1 (e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fan channel
US7296565B2 (en) Cooling apparatus of cooking appliance
KR101686303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686304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645822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JP5183576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2010277906A (ja) 誘導加熱調理器
RU201013015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RU2007121450A (ru) Печь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внутренних элементов
JP2008002756A (ja) 電子レンジ
KR101646400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645038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CN100541005C (zh) 通风罩型微波炉
KR20050030374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757121B1 (ko)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EP4325124A1 (en) Range hood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same
KR100767847B1 (ko)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JP2013053763A (ja) 加熱調理器
KR20090063421A (ko) 빌트 인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