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2182B1 -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182B1
KR101682182B1 KR1020160110139A KR20160110139A KR101682182B1 KR 101682182 B1 KR101682182 B1 KR 101682182B1 KR 1020160110139 A KR1020160110139 A KR 1020160110139A KR 20160110139 A KR20160110139 A KR 20160110139A KR 101682182 B1 KR101682182 B1 KR 101682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t
yarn
soluble polymer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세명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세명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11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182B1/ko
Priority to CN201710727228.4A priority patent/CN107788597A/zh
Priority to EP17187987.7A priority patent/EP3290554B1/en
Priority to US15/688,563 priority patent/US10709183B2/en
Priority to JP2017164735A priority patent/JP638307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D03D15/06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8Scaffolding threads, i.e. threads removed after wea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 D06M11/05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with water, e.g. steam; with heavy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70Remov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용도 안전장갑은 절취부가 일반 작업 수행 시에는 쉽게 절단되지 않아 작업자가 안전장갑을 착용한 채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 용이성이 우수하고 그와 동시에 위험 발생 시에는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어 절단 용이성 및 안전성을 갖추어 작업 능률을 유지하면서도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한정된 종류의 원사가 아니라 다양한 원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다용도로 이용될 수 있고, 제조 공법상 한계가 없어 기름이 많이 발생하는 작업 현장, 내열성 분야, 내절단성 분야 등에서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러 산업분야에서 산업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시 불량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 생산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ULTIPURPOSE SAFETY GLOVES}
본 발명은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용도 안전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취부가 일반 작업 수행 시에는 쉽게 절단되지 않아 작업자가 안전장갑을 착용한 채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 용이성이 우수하고 그와 동시에 위험 발생 시에는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어 절단 용이성 및 안전성을 갖추어 작업 능률을 유지하면서도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용도 안전장갑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정된 종류의 원사가 아니라 다양한 원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다용도로 이용될 수 있고, 제조 공법상 한계가 없어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제조 공정 시 불량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 생산성이 우수한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용도 안전장갑에 관한 것이다.
작업용 안전장갑은 크게 용접장갑, 내열장갑, 내절단장갑, 내화학장갑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내열장갑은 고온의 열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는 장갑이고, 내절단장갑은 작업장에서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장갑이며, 내화학장갑이란 화학물질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장갑이다. 이러한 종래의 작업용 장갑은 가공물을 강한 압력으로 압착하는 프레스 장치나 회전 운동하여 가공물을 가공하는 장치 등과 같이 손가락이 말려들어갈 우려가 있는 기계장치를 다룰 때는 착용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는 상기한 기계장치를 다룰 때 사용자의 부주의 혹은 기계장치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작업자의 손이 기계장치에 말려들어갈 우려가 있는데, 이때 수부에 작업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라면 작업용 장갑의 손가락부만이 살짝 말려들어가더라도 작업용 장갑으로 인해 수부를 기계장치에서 빼낼 수 없어 수부 전체가 말려들어가거나 심하게는 팔까지도 말려들어가게 됨으로써 더욱 큰 안전사고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한 이유에도 불구하고 장갑 착용을 금지시킨 결과, 작업 능률 및 쾌적성이 저하되며 장시간 작업 시 유해물질로 인한 직업병이 발생하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작업자는 작업용 장갑을 그대로 수부에 착용한 상태로 작업에 임하고 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한 기계장치를 다룰 때 작업용 장갑을 수부에 착용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업용 장갑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이와 관련, 한국등록특허 10-0811863은 장갑의 각 손가락부 일정부분에 얇게 편직되어 쉽게 절취될 수 있는 절취부 형성하여 손가락부가 기계장치에 말려 들어가는 순간 절취됨으로써 기계장치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말려 들거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부를 구비한 작업용 장갑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취부를 구비한 장갑은 1) 절취부만을 얇게 편직하여 위험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작업 수행 시에도 절취부가 쉽게 절단되어 작업 용이성이 떨어지고 2) 위험한 순간 절취부가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는 절단 용이성과 작업 용이성을 동시에 만족하기 어려우며 3) 종래와 같이 절취부를 편직하는 경우에는 공정 시에 이미 절취부가 절단되어 불량품 발생률이 현저히 높아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4) 제조 공법상의 한계로 적용 분야가 협소하며 5) 사용할 수 있는 원사가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절취부가 일반 작업 수행 시에는 쉽게 절단되지 않아 작업자가 안전장갑을 착용한 채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 용이성이 우수하고 그와 동시에 위험 발생 시에는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어 절단 용이성 및 안전성을 갖추고 있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용도 안전장갑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한정된 종류의 원사가 아니라 다양한 원사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어 다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제조 공법상 한계가 없어 기름이 많이 발생하는 작업 현장 뿐만 아니라 내열성 분야, 내절단성 분야 등에서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 시 불량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 생산성이 우수한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용도 안전장갑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부, 손가락부 및 몸체부와 손가락부를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 제조 시에 (1) 물에 용해되지 않는 제 1원사와 수용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원사를 합사하여 직조하는 단계 및 (2) 합사한 수용해성 폴리머를 물로 처리하여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를 일부 또는 전부 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 및 손가락부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A)와 상기 제1 원사의 평균 섬도(B)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30≤A/B≤70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는 폴리 비닐 알코올(PVA), 수용성 아크릴(Acryl) 폴리머, 폴리 에틸렌 이민(PEI),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중의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는 물에 대한 녹는점이 40 ~ 100 ℃이며, 상기 (2) 단계의 물 처리는 물 온도 40 ~ 10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원사는 나일론, 스판덱스, 폴리 아미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PE), 폴리 올레핀계 섬유 또는 폴리 에스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원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의 합사는 제1원사와 수용해성 폴리머를 1 : 2 ~ 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와 동시 또는 나중에, (3) 상기 절취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코팅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부, 손가락부 및 몸체부와 손가락부를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절취될 수 있는 절취부를 포함하며, KS K 0520의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 시 상기 절취부의 인장강도가 20 ~ 40 N 인 다용도 안전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취부는 수용해성 폴리머가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 및 손가락부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A)와 상기 제1 원사의 평균 섬도(B)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30≤A/B≤70
본 발명의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용도 안전장갑은 절취부가 일반 작업 수행 시에는 쉽게 절단되지 않아 작업자가 안전장갑을 착용한 채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 용이성이 우수하고 그와 동시에 위험 발생 시에는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어 절단 용이성 및 안전성을 갖추어 작업 능률을 유지하면서도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한정된 종류의 원사가 아니라 다양한 원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다용도로 이용될 수 있고, 제조 공법상 한계가 없어 기름이 많이 발생하는 작업 현장, 내열성 분야, 내절단성 분야 등에서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러 산업분야에서 산업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시 불량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 생산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일부가 분리된 다용도 안전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취부를 구비한 장갑은 절취부만을 얇게 편직하여 위험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작업 수행 시에도 절취부가 쉽게 절단되어 작업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작업 용이성과 위험한 순간 절취부가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는 절단 용이성을 동시에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절취부를 편직하는 경우에는 공정 시에 이미 절취부가 절단되어 불량품 발생률이 현저히 높아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 제조 공법상의 한계로 적용 분야가 협소하다는 문제점 및 사용할 수 있는 원사가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몸체부, 손가락부 및 몸체부와 손가락부를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 제조 시에 (1) 물에 용해되지 않는 제 1원사와 수용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원사를 합사하여 직조하는 단계 및 (2) 합사한 수용해성 폴리머를 물로 처리하여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를 일부 또는 전부 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장갑을 착용한 채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위험 발생시에는 절취부가 절단될 수 있어 손가락 등 신체부위 절단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취부의 제조 시에 제 1원사 뿐만 아니라 상기 (2) 단계를 통해 전부 또는 일부 용출되는 수용해성 폴리머도 함께 제 2원사를 합사하기 때문에 보다 굵은 섬유로 절취부를 직조할 수 있어 얇은 섬유만으로 절취부를 제조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계 걸림, 기계 빠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량품의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용출 단계로 인하여 보다 다양한 원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로 안전장갑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용이하게 낮출 수 있으며, 용출 단계를 수행함으로 인해 제조 공법상 한계를 극복하여 기름이 많이 발생하는 작업 현장 뿐만 아니라 내열성 분야, 내절단성 분야 등에서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원사를 다양한 종류의 편직기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작업용 장갑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다양한 게이지(G)의 편직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들 게이지( 7 ~ 10G ), 하이 게이지( 12 ~ 18G )의 편직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원사를 다양한 종류의 편직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의 안전장갑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작업 분야에서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용도 안전장갑(100)은 몸체부(1), 상기 몸체부(1)와 연통되는 손가락부(3) 및 상기 몸체부(1)과 손가락부(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2)를 포함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일부의 손가락부(3)가 절취부(2)의 절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1)로부터 분리된 다용도 안전장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용도 안전장갑(100)은 몸체부(1)와 손가락부(3)를 연결하는 절취부(2)의 절단에 의해서 손가락부(3)가 몸체부(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먼저, 몸체부(1)를 설명한다.
몸체부(1)는 손등, 손바닥 및 손목의 일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장갑의 부분을 의미한다. 몸체부(1) 직조 시에는 통상적으로 안전장갑, 작업용 장갑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 면 또는 폴리사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것으로 복합섬유에 포함될 수 있는 섬유형성성분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스판덱스, 폴리 아미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PE), 폴리 올레핀계 섬유 또는 폴리 에스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원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능성이 추가된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목적하는 물성을 가지는 섬유를 구현하기 위해 변경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몸체부(1)와 연통되는 손가락부(3)를 설명한다.
손가락부(3)는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손가락을 감싸는 장갑의 부분을 의미하며, 손가락부(3) 직조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에 사용할 수 있는 섬유형성성분과 동일한 섬유형성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부(1)와 손가락부(3)를 연결하는 절취부(2)를 설명한다.
절취부(2)는 통상적으로 몸체부(1)와 손가락부(3)가 연결되는 부분에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제한은 없고 손가락의 일정 부위이면 어디든지 존재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손가락과 손바닥이 닿는 첫번째 손가락 마디와 두번째 손가락 마디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절취부(2)를 구비한 작업용 장갑은 작업자의 수부를 보호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장갑의 착용이 제한되는 기계장치를 다루는 작업에도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없어 착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의 절취부(2)는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손가락의 일정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절취부(2)가 상기 장갑의 몸체부(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으므로, 손가락부(3)가 회전기계장치 등에 말려들어가면서 수부 전체가 장갑에 의해 기계장치에 딸려 들어가 압착되거나 절단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기계장치에 손가락부(3)가 말려들어가면서 작업자가 수부를 재빨리 기계장치에서 빼내려고 해도 장갑과 함께 수부 전체가 기계장치에 말려들어가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안전성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취부(2) 제조와 관련 (1) 물에 용해되지 않는 제 1원사와 수용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원사를 합사하여 직조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절취부(2) 제조 시에 사용되는 제 2원사에 포함되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제 1원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1원사는 통상적으로 안전장갑, 작업용 장갑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 면 또는 폴리사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것으로 복합섬유에 포함될 수 있는 섬유형성성분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스판덱스, 폴리 아미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PE), 폴리 올레핀계 섬유 또는 폴리 에스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원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능성이 추가된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목적하는 물성을 가지는 섬유를 구현하기 위해 변경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제 1원사는 물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절취부(2)의 수용해성 폴리머를 용출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에도 용출되지 않고 직조된 상태 그대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나일론, 스판덱스, 폴리 올레핀계 섬유 혹은 폴리 에스터와 같은 탄성 섬유사는 신도가 높고 탄성회복률이 우수하여, 이러한 섬유로 장갑을 직조하는 경우 장갑의 외부로는 내절단성이 강화되며, 내부로는 내절단성과 탄력성을 동시에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PE) 및 폴리 아미드계 섬유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안전성을 겸비한 작업용 장갑의 제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에 따른 작업 용이성, 절단 용이성, 불량률 등의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하기 표 1,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원사로 나일론, 스판덱스, 폴리 아미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PE), 폴리 올레핀계 섬유 또는 폴리 에스터를 사용하여 수용해성 폴리머와 함께 제 2원사를 합사하여 본 발명의 장갑의 절취부(2)를 직조하는 경우, 작업 용이성 및 절단 용이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우수한 장갑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 및 손가락부(3)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A)와 상기 제1 원사의 평균 섬도(B)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30≤A/B≤70
상기의 A/B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30 ~ 70의 범위일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65의 범위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6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1) 및 손가락부(3)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A)와 상기 제 1원사의 평균 섬도(B)가 상기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하여 장갑을 직조하는 경우, 몸체부(1) 및 손가락부(3)는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장갑을 착용하고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용이성을 갖출 수 있으면서도 유해물질이나 기계, 장치 등으로부터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 시의 작업 현장에서 회전 기계 등에 장갑의 끼임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손가락의 일정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절취부(2)가 상기 장갑의 몸체부(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즉, 절단 용이성이 우수한 장갑을 얻을 수 있는데 작업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절취부(2)가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으면서도, 장갑 제조 공정 시에는 수용해성 폴리머와 함께 합사되어 절취부(2)를 탄탄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절취부(2)가 생산과정에서 이미 끊어지는 불량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만일, 상기 관계식 1에서 A/B가 30 미만인 경우, A와 B의 섬도가 모두 높은 경우 절취부(2)의 절단 용이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작업 현장에서 장갑의 끼임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절취부(2)가 절단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합사가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A와 B의 섬도가 모두 낮은 경우 직조과정 중 원사이입장치에서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어 불량률이 높아지게 되고, 장갑이 전체적으로 튼튼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전성과 작업 용이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관계식 1에서 A/B가 7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섬유의 섬도 차이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고 몸체부(1)와 손가락부(3)를 형성하는 섬유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므로 장갑을 착용한 채로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워져 작업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취부(2) 제조 시에 사용되는 제 2원사에 포함되는 수용해성 폴리머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수용해성 폴리머는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복합섬유에 포함되는 섬유형성성분으로 쉽게 용출될 수 있는 폴리머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르면 폴리 비닐 알코올(PVA), 수용성 아크릴(Acryl) 폴리머, 폴리 에틸렌 이민(PEI),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중의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 비닐 알코올(PVA)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헥실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1,2-비스(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네페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데칸-디카르복실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성분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일 수 있으며, 아크릴니트릴 단량체 이외에 비제한적인 예시로 메타크릴산 플루오로 알킬 또는 아크릴산 플로우로알킬,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단량체가 더 포함된 개질된 아크릴 성분일 수 있다.
상기의 수용해성 폴리머는 장갑의 절취부(2)의 제조 공정 단계에서는 제 1원사와 함께 합사되어 보다 두꺼운 복합 섬유를 구성하므로, 얇은 실로만 절취부(2)를 제조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계 걸림, 기계 빠짐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절취부(2)가 포함된 본 발명의 다용도 안전장갑 제조 시에, 불량품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어 생산성이 극히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는 일정 온도 범위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물에 용이하게 용출되므로, 작업 현장에서 회전 기계 등에 장갑의 끼임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손가락의 일정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절취부(2)가 상기 장갑의 몸체부(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를 이용해 본 발명의 안전장갑을 제조하는 경우 절단 용이성이 우수한 장갑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손가락부(3)가 회전기계장치 등에 말려들어가면서 수부 전체가 장갑에 의해 기계장치에 딸려 들어가 압착되거나 절단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에 따른 작업 용이성, 절단 용이성, 불량률 등의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하기 표 1,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해성 폴리머로 폴리 비닐 알코올(PVA), 수용성 아크릴(Acryl) 폴리머, 폴리 에틸렌 이민(PEI),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중의 어느 1종을 사용하여 제 1원사와 함께 제 2원사를 합사하여 절취부(2)를 직조하는 경우 작업 용이성 및 절단 용이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우수한 장갑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의 물에 대한 녹는점이 40 ~ 100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60 ℃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수용해성 폴리머가 용이하게 물에 용출될 수 있으므로 지나치게 높은 온도에서 물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만일 40 ℃ 미만에서 수용해성 폴리머가 용해된다면 상온의 물에도 용해될 수 있어 공정 수행 조건이 보다 제한적일 수 있고, 100 ℃ 초과 범위에서 용해된다면 보다 고온의 물로 물 처리 단계를 수행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원사와 수용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2원사의 합사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1) 단계의 합사는 통상적인 안전장갑의 직조에 사용될 수 있는 합사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이상의 원사를 커버링하여 합사하는 커버링사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원사를 주원사로 하고, 수용해성 폴리머를 커버사로 커버링하여 합사하여 커버링 복합사인 제 2원사를 합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합사를 이용하여 다용도 안전장갑을 직조하는 경우 내절단성과 탄력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장갑을 얻을 수 있다.
만일 상기의 합사를 이용하지 않고 복합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장갑을 직조하거나 2이상의 원사를 이용해 분리 직조하는 경우에는, 용출 단계에서 수용해성 폴리머가 물에 용출되고 나면 남아있는 섬유형성성분이 지나치게 적어 지나치게 인장강도가 낮은 절취부(2)가 얻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장갑 제조 공정 수행 시 절취부(2)가 절단되어 불량품 발생률이 높아져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며, 일반적인 작업 수행 시에도 장갑이 쉽게 절단되어 작업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합사인 제 2원사는 바람직하게는 주원사인 제 1원사 1가닥 당 수용해성 폴리머의 커버사를 2 ~ 5가닥으로 하여 합사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원사 1가닥 당 수용해성 폴리머의 커버사를 3 ~ 4 가닥으로 합사할 수 있다. 만일 상기의 가닥수보다 적은 수의 수용해성 폴리머 가닥을 이용해 제 1원사와 합사하는 경우, 위험 발생 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작업 수행 시에도 절취부가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작업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의 가닥수보다 많은 수의 수용해성 폴리머 가닥을 이용하여 합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장에서 위험 발생시 절취부가 절단되지 않아 작업자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합사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 1원사와 수용해성 폴리머를 1 : 2 ~ 4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5 ~ 3.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중량비로 합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안전장갑의 절취부(2)를 제조하는 단계에 사용하는 제 2원사에 제 1원사보다 수용해성 폴리머가 더 많이 포함되므로, 섬도가 낮은 단일원사만을 사용하여 절취부(2)를 제조하는 공정 단계에 비해서 섬도가 큰 섬유로 절취부(2)의 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조 공정 수행 시 원사 끊어짐의 현상이 줄어들게 되며, 손 형태의 몰드에 장갑을 끼우는 과정에서 손가락부(3)의 절단이 일어나 불량품이 발생하는 현상도 줄어들게 된다. 결국 상기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합사한 제 2원사를 이용해 절취부(2)를 직조하는 경우 불량품의 발생률이 낮아지게 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중량비로 합사를 진행하더라도 추후 상기 (2) 단계에서 물 처리를 통해 수용성 폴리머가 일부 또는 전부 용출되므로 최종적으로 절취부(2)에는 본래의 제 2원사에 비해서 적은 양의 섬유형성성분만이 남게 되므로, 작업 현장에서 회전 기계 등에 장갑의 끼임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손가락의 일정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절취부(2)가 상기 장갑의 몸체부(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상기의 중량비로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수행 시 불량률을 급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되는 장갑이 절단 용이성을 갖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만일 상기의 범위보다 수용해성 폴리머를 더 적게 혼합하는 경우에는 장갑 제조 공정 수행 시에 절취부(2)가 쉽게 끊어져 불량률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생산속도가 느려져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의 범위보다 수용해성 폴리머를 더 많이 혼합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2) 합사한 수용해성 폴리머를 물로 처리하여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를 일부 또는 전부 용출시키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를 일부 또는 전부 용출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2) 단계의 물 처리는 물 온도 40 ~ 10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40 ~ 8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의 물에 대한 녹는점이 40 ~ 100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80 ℃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상기의 온도 범위에서 물 처리를 수행하면 보다 용이하게 수용해성 폴리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용출시킬 수 있다.
만일 40 ℃미만의 온도로 물 처리를 수행하면 수용해성 폴리머가 물에 전혀 용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100℃를 초과하여 물 처리단계를 수행하면 공정이 보다 복잡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 단계와 동시 또는 나중에, (3) 상기 절취부(2)의 일부 또는 전부에 코팅을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3) 단계는 상기 (2) 단계와 동시 또는 나중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수용해성 폴리머가 상기 절취부(2)로부터 일부 또는 전부 용출됨과 동시 또는 나중에 다용도 안전장갑이 작업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3)단계의 코팅을 수행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장갑을 작업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코팅하는 방법이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습식 공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습식공법에 의한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40 ~ 120 ℃에서 수행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2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코팅 단계에 사용되는 코팅 용액의 용매는 통상적으로 코팅성분이 용해될 수 있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양성자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DMF, MM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폴리우레탄, 라텍스, 및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코팅 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다용도 안전장갑의 사용분야의 제한성을 탈피하여 다양한 특성을 갖는 작업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반이나 밀링과 같이 기름을 다량으로 접촉하게 되는 작업은 코팅성분으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를 사용하고, 목공소와 같은 거친 작업을 수행할 경우 코팅성분으로 라텍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정밀한 작업을 요할 경우에는 폴리우레탄(PU)을 코팅성분으로 사용하고, 내열성을 필요로 하는 작업의 경우 코팅성분으로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용액은 상기 코팅 성분을 4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잔량은 상기 용매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코팅 성분이 40 중량% 미만이거나, 40 중량%를 초과하여 코팅 용액에 포함된다면, 목적하는 코팅 성분의 농도 및 코팅 용액의 점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코팅의 정도가 미미하거나 과도해져 장갑을 착용한 채 작업하는 것이 불편해 질 수 있고, 각 작업 현장의 특성에 부합하는 기능을 갖지 못해 작업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용도 안전장갑은 몸체부(1), 손가락부(3) 및 몸체부(1)와 손가락부(3)를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절취될 수 있는 절취부(2)를 포함하며, KS K 0520의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 시 상기 절취부(2)의 인장강도가 20 ~ 40 N 이다. 상기의 인장강도는 바람직하게는 20 ~ 35 N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35 N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인장강도는, 파지거리가 30 ~ 70 mm, 인장속도가 10 ~ 100 mm/min일 때의 인장강도일 수 있다.
상기의 인장강도 범위에 의해,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이 20N 이상인 경우 손가락부(3)가 몸체부(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이 40N 이상인 경우 손가락부(3)가 몸체부(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서 회전 기계 등에 장갑의 끼임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손가락의 일정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절취부(2)가 상기 장갑의 몸체부(1)로부터 분리되어, 작업자의 손가락부(3)가 회전기계장치 등에 말려들어가면서 수부 전체가 장갑에 의해 기계장치에 딸려 들어가 압착되거나 절단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절취부(2)의 인장강도가 20N 미만인 경우, 위험 발생 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작업 과정에서도 장갑의 절취부(2)가 절단될 수 있어 작업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절취부(2)의 인장강도가 40N을 초과하는 경우, 손가락부(3)를 당기는 외부의 힘이 보다 커야 하므로 작업 현장에서 회전 기계 등에 장갑 끼임 등의 위험 발생시 절취부(2)가 절단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절단 용이성 및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출 단계 또는 코팅 단계가 수행된 후 안전장갑의 절취부(2)는 바람직하게는 수용해성 폴리머가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용해성 폴리머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수용해성 폴리머가 10 중량% 초과하여 존재하게 되면 작업장에서 물 처리를 수행하거나, 물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장갑에 존재하는 수용해성 폴리머가 용출될 수 있어 작업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용도 안전장갑이 상술한 바와 같이, 위험 시의 절단 용이성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작업 용이성을 함께 가질 수 있음과 생산 과정에서 불량률이 현저히 낮아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생산성이 높다는 것을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13
하기 표 1의 섬유 종류, 섬도를 만족하는 원사를 이용해 몸체부 및 손가락부를 제조하며, 하기 표 1의 제 1원사와 수용해성 폴리머의 섬유 종류, 섬도 및 중량비를 만족하도록 제 2원사를 합사하여 절취부를 제조하였다.
몸체부에 포함되는 나일론 원사를 원사이입장치에 삽입한 다음, 편직기를 통해 상기의 원사로 장갑의 몸체부를 편직하였으며, 연속하여 제 1원사로 나일론 원사를 사용하고 제 1원사인 나일론 원사를 주원사로 하여 수용해성 폴리머인 폴리 비닐 알코올로 커버링하여 커버링사인 제 2원사를 합사한다. 이 때, 주원사인 나일론 원사 1가닥 당 수용해성 폴리머인 폴리 비닐 알코올을 3가닥으로 하여 커버링사를 합사한다. 상기 합사한 제 2원사로 절취부를 편직한 후, 연속된 편직을 통해 몸체부와 같은 나일론 원사로 장갑의 손가락부를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100℃의 온도에서, (용매) 57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43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코팅용액에 편직된 장갑을 수 초간 침지하여 코팅하였다.
몸체부 및 손가락부 절취부에 포함되는 합사 A/B
제 1원사 수용해성 폴리머 제 1원사 : 수용해성 폴리머의 중량비
섬유 종류 섬도 A
(De)
섬유 종류 섬도
B
(De)
섬유 종류 섬도
(De)
실시예 1 나일론 800 나일론 15 폴리 비닐 알코올 100 1 : 3 53.3
실시예 2 스판덱스 630 스판덱스 15 폴리 비닐 알코올 80 1 : 3 42
실시예 3 폴리 아미드 680 폴리 아미드 18 폴리 비닐 알코올 120 1 : 3 37.8
실시예 4 나일론 930 나일론 15 폴리 비닐 알코올 60 1 : 3 62
실시예 5 나일론 660 나일론 20 폴리 비닐 알코올 140 1 : 3 33
실시예 6 스판덱스 1005 스판덱스 15 폴리 비닐 알코올 40 1 : 3 67
실시예 7 폴리 아미드 540 폴리 아미드 20 폴리 비닐 알코올 160 1 : 3 27
실시예 8 나일론 1080 나일론 15 폴리 비닐 알코올 50 1 : 3 72
실시예 9 스판덱스 800 스판덱스 15 폴리 비닐 알코올 150 1 : 4 53.3
실시예 10 나일론 800 나일론 15 폴리 비닐 알코올 60 1 : 2 53.3
실시예 11 스판덱스 800 스판덱스 15 폴리 비닐 알코올 100 1 : 5 53.3
실시예 12 폴리 아미드 800 폴리 아미드 15 폴리 비닐 알코올 50 1 : 1 53.3
실시예 13 폴리 아미드 800 폴리 아미드 15 폴리 에틸렌 이민 60 1 : 3 53.3
실시예 14 나일론 800 나일론 15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30 1 : 3 53.3
비교예 1
수용해성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고 이에 따라 커버링사를 사용하지도 않으며, 동일한 섬도를 가진 나일론 원사로 몸체부, 손가락부 및 절취부를 편직하되, 절취부를 보다 얇게 편직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용도 안전장갑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수용해성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고 이에 따라 커버링사를 사용하지도 않으며, 하기 표 2의 섬도를 가진 나일론 원사로 몸체부, 손가락부 및 절취부를 편직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용도 안전장갑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수용해성 폴리머 대신 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용도 안전장갑을 제조하였다.
몸체부 및 손가락부 절취부에 포함되는 제 2원사 A/B
제 1원사 폴리머 제 1원사 : 수용해성 폴리머의 중량비
섬유 종류 섬도
A
(De)
섬유 종류 섬도
B
(De)
섬유 종류 섬도
(De)
비교예 1 나일론 800 나일론 15 - - -
-
비교예 2 나일론 800 나일론 15 x - - 53.3
비교예 3 나일론 800 나일론 15 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20 1 : 3 53.3
실험예 1. 작업 용이성 및 절단 용이성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장갑을 20세 이상의 작업자 20명에게 착용하게 하여 사용하게 한 후, 작업 용이성, 절단 용이성의 동시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작업이 용이한 정도에 따라서 아주 좋음(5), 좋은(4), 보통(3), 나쁨(2), 매우 나쁨(1)으로 점수를 주도록 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장갑의 작업 용이성의 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30 N의 힘으로 5초동안 장갑의 손가락부를 당기는 경우 장갑의 손가락 마디 부분에 위치하는 절취부(2)가 손가락 둘레를 따라 분리되는 정도에 따라서 완전히 분리됨(5), 75% 분리됨(4), 50% 분리됨(3), 25% 분리됨(2), 전혀 분리되지 않음(0)으로 점수를 주도록 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장갑의 절단 용이성을 측정하였다. 이 경우, 각 실시예 및 비교예 마다 장갑을 10개씩 제조하여 상기의 기준에 따라 점수를 측정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실험예 2. 제조 공정 수행 시 불량품 발생률(불량률)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다용도 안전장갑 1000개를 제조하는 공정을 수행 시 불량품이 어느 정도 발생하는 지를 조사하여 불량품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구분 작업용이성 절단용이성 불량률(%) 구분 작업용이성 절단용이성 불량률(%)
실시예 1 5 5 0.1 비교예 1 1 2.8 91
실시예 2 4.5 4.2 0.5 비교예 2 1.5 3.2 89
실시예 3 4 5 0.3 비교예 3 2.2 1.5 50
실시예 4 4.2 4.3 0.3
실시예 5 4.4 4 0.5
실시예 6 4 3.8 0.6
실시예 7 3.4 3.4 0.2
실시예 8 3 3.5 0.1
실시예 9 4.2 4.2 0.1
실시예 10 4 4.3 0.3
실시예 11 3.8 3.6 0.4
실시예 12 3.5 3.4 3
실시예 13 4.8 4.6 2
실시예 14 4.4 4.6 2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13은 비교예 1 ~ 3보다 작업 용이성 및 절단 용이성이 우수하고, 불량률이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다용도 안전장갑과 본 발명의 절취부를 섬도를 달리한 원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섬도가 동일하되, 단지 절취부만을 몸체부나 손가락부에 비하여 보다 얇게 편직한 비교예 1의 다용도 안전장갑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절단 용이성뿐만 아니라 작업 용이성도 동시에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불량률이 비교예 1의 불량률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나 생산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다용도 안전장갑과 본 발명의 절취부에 포함되는 수용해성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고 직조한 비교예 2의 다용도 안전장갑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은 비교예 2에 비하여 작업 용이성 및 절다 용이성이 모두 우수하며 불량률 역시 현저히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의 다용도 안전장갑과 본 발명의 절취부를 수용해성 폴리머 대신 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와 제 1원사를 합사하여 직조한 비교예 3의 다용도 안전장갑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은 비교예 3에 비하여 절단 용이성뿐만 아니라 작업 용이성도 동시에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불량률이 현저히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인장강도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다용도 안전장갑의 인장강도를 KS K 0520의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장갑의 손가락부의 마디부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며, 파지거리는 50mm, 인장속도는 50mm/min으로 하였다.
구분 인장강도 (N) 구분 인장강도 (N)
실시예 1 29.9 비교예 1 12.1
실시예 2 30.5 비교예 2 10.5
실시예 3 32 비교예 3 50.3
실시예 4 33.3
실시예 5 31.2
실시예 6 30.5
실시예 7 28.6
실시예 8 29.5
실시예 9 30.3
실시예 10 29.6
실시예 11 25.3
실시예 12 30.2
실시예 13 28.3
실시예 14 28.6
100 : 다용도 안전장갑
1 : 몸체부
2 : 절취부
3 : 손가락부

Claims (10)

  1. 몸체부, 손가락부 및 몸체부와 손가락부를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 제조 시에
    (1) 물에 용해되지 않는 제 1원사와 수용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원사를 합사하여 직조하는 단계; 및
    (2) 합사한 수용해성 폴리머를 물로 처리하여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를 일부 또는 전부 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손가락부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A)와 상기 제1 원사의 평균 섬도(B)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 방법.
    [관계식 1]
    30≤A/B≤7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는 폴리 비닐 알코올(PVA), 수용성 아크릴(Acryl) 폴리머, 폴리 에틸렌 이민(PEI),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중의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해성 폴리머는 물에 대한 녹는점이 40 ~ 100 ℃이며, 상기 (2) 단계의 물 처리는 물 온도 40 ~ 10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원사는 나일론, 스판덱스, 폴리 아미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PE), 폴리 올레핀계 섬유 또는 폴리 에스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합사는 제1원사와 수용해성 폴리머를 1 : 2 ~ 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와 동시 또는 나중에,
    (3) 상기 절취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코팅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10139A 2016-08-29 2016-08-29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KR101682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39A KR101682182B1 (ko) 2016-08-29 2016-08-29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CN201710727228.4A CN107788597A (zh) 2016-08-29 2017-08-23 多用途安全手套及其制造方法
EP17187987.7A EP3290554B1 (en) 2016-08-29 2017-08-25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purpose safety glove and a multipurpose safety glove manufactured thereby
US15/688,563 US10709183B2 (en) 2016-08-29 2017-08-28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purpose safety glove and multipurpose safety glove manufactured thereby
JP2017164735A JP6383071B2 (ja) 2016-08-29 2017-08-29 多用途安全手袋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多用途安全手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39A KR101682182B1 (ko) 2016-08-29 2016-08-29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627A Division KR101903149B1 (ko) 2016-11-25 2016-11-25 다용도 안전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182B1 true KR101682182B1 (ko) 2016-12-02

Family

ID=5757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39A KR101682182B1 (ko) 2016-08-29 2016-08-29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9183B2 (ko)
EP (1) EP3290554B1 (ko)
JP (1) JP6383071B2 (ko)
KR (1) KR101682182B1 (ko)
CN (1) CN1077885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36B1 (ko) 2017-08-28 2018-10-01 주식회사 형제인터내셔널 찢김기능을 갖는 보호용 안전 장갑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0016A1 (en) * 2016-06-29 2018-01-04 Ansell Limited Safety gloves with tear away feature
FR3101013B1 (fr) * 2019-09-24 2022-09-02 Spontex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gant de protection pourvu d’une jonction déchira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520U (ko) * 1997-05-31 1998-12-05 이영모 부분적으로 찢어져서 탈리되는 작업용 안전면장갑
JP2002088542A (ja) * 2000-09-19 2002-03-27 Sumitomo Rubber Ind Ltd 作業用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5093139A1 (ja) * 2004-03-26 2005-10-06 Toray Industries, Inc. 衣料用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99047A (ko) * 2010-08-13 2013-09-05 프로파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보호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929A (en) * 1892-05-17 Levi l
US747730A (en) * 1903-08-10 1903-12-22 Ruedolf Kommer Glove.
US1265124A (en) * 1917-04-21 1918-05-07 Grover Marcus Shumaker Finger-cot.
US1358824A (en) * 1920-04-01 1920-11-16 Burden Everett Glove
US1620434A (en) * 1924-02-26 1927-03-08 Burden Everett Glove
GB1252680A (ko) * 1969-07-17 1971-11-10
US4045824A (en) * 1976-06-11 1977-09-06 Weppler Millie T Glove for ring display
US4131952A (en) * 1977-09-14 1979-01-02 Brenning Jr Frederick K Safety glove
US4507807A (en) * 1983-04-18 1985-04-02 Karkanen Kip M Work glove finger structure
US4651350A (en) * 1985-09-19 1987-03-24 Zwicker Knitting Mills Work glove
US4781178A (en) * 1987-02-06 1988-11-01 Gordon Kevin M Orthopedic glove
JPH0261915U (ko) * 1988-10-26 1990-05-09
US5228142A (en) * 1990-08-16 1993-07-20 Yoswein Mcgreen Rebecca Overwrap for fingers and hands and method for using it
JP3789489B2 (ja) * 1992-04-04 2006-06-2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耐衝撃性ポリアセタ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KR0185297B1 (ko) 1997-02-20 1999-04-01 김지수 로프견인식 오니제거대차 및 로프견인식 오니제거시스템
JP3050830U (ja) * 1998-01-23 1998-08-07 幸雄 丸山 指先カット可能手袋
US6687911B2 (en) * 1999-12-28 2004-02-10 Martina Fitz Handling aid for a tampon for feminine hygiene
US7908891B2 (en) * 2004-07-16 2011-03-22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Knitted glove
KR200377833Y1 (ko) * 2004-12-07 2005-03-11 이우근 손가락 캡을 가진 방한 장갑
KR100811863B1 (ko) 2006-12-15 2008-03-10 전경수 절취부를 구비한 작업용 장갑
JP3162651U (ja) * 2010-06-30 2010-09-09 一郎 達本 袋編みした袋編み製品
US8458817B1 (en) * 2010-10-22 2013-06-11 Jonathan J. Babb Glove having detachable segments with a ring attachment
EP2572598A1 (en) * 2011-09-21 2013-03-27 Midas Co., Ltd. Work glove with cut-off sections
US10179186B2 (en) * 2012-06-29 2019-01-15 Ansell Limited Wound care articles
US20140237701A1 (en) * 2013-02-25 2014-08-28 Ansell Limited Multi-functional metal fabrication glove
US10231497B2 (en) * 2013-06-10 2019-03-19 Voesh Corporation Skin care mask glove and mask sock
US9554603B2 (en) * 2013-11-15 2017-01-31 5.11, Inc. Glove with removable fingertips
CN105764368A (zh) * 2013-11-29 2016-07-13 林成珪 具有撕裂预定线的功能性运动服
US20150173438A1 (en) * 2013-12-23 2015-06-25 Innovate Squared, LLC Safety glove
US20170258155A1 (en) * 2016-03-08 2017-09-14 David M. Grigg Smartphone glov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520U (ko) * 1997-05-31 1998-12-05 이영모 부분적으로 찢어져서 탈리되는 작업용 안전면장갑
JP2002088542A (ja) * 2000-09-19 2002-03-27 Sumitomo Rubber Ind Ltd 作業用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5093139A1 (ja) * 2004-03-26 2005-10-06 Toray Industries, Inc. 衣料用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99047A (ko) * 2010-08-13 2013-09-05 프로파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보호 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36B1 (ko) 2017-08-28 2018-10-01 주식회사 형제인터내셔널 찢김기능을 갖는 보호용 안전 장갑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35493A (ja) 2018-03-08
CN107788597A (zh) 2018-03-13
US10709183B2 (en) 2020-07-14
JP6383071B2 (ja) 2018-08-29
EP3290554A1 (en) 2018-03-07
US20180055114A1 (en) 2018-03-01
EP3290554B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182B1 (ko) 다용도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KR101890566B1 (ko) 텅스텐사를 이용한 장갑 제조방법 및 장갑
JP5968315B2 (ja) 保護手袋
KR102212326B1 (ko) 절단방지용 장갑 및 제조방법
US20130074242A1 (en) Glove having crush-resistant fingertips
KR101903149B1 (ko) 다용도 안전장갑
KR20210117224A (ko) 금속복합사를 이용한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WO2008102130A1 (en) Composite cut- resistant yarn and garments made from such yarn
KR101206337B1 (ko) 유리사의 가공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절단방지용 장갑
JP3437887B2 (ja) 柔軟で耐切創性に優れた紡績糸、繊維構造物および防護材
KR101433934B1 (ko) 안전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9022B1 (ko)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JP6744687B2 (ja) 交編物及び交編手袋
KR20190119729A (ko) 제전성과 내절단성이 탁월한 복합기능성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JP6465480B2 (ja) 紡績糸、繊維構造物および防護材
KR101790610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장갑
TWI573906B (zh) 伸縮性不織布及其製造方法
KR102725856B1 (ko) 손가락 부위 절단 방지용 장갑
KR102683357B1 (ko) 절단강도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향상된 코팅장갑
JP4256039B2 (ja) 複合糸、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51069B1 (ko) 절단강도, 그립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향상된 코팅장갑
KR102347985B1 (ko) 차량 내장재용 구조체
JP4624612B2 (ja) 柔軟で耐切創性に優れた紡績糸及び防護材料
KR102092501B1 (ko) 방염성이 우수한 이너웨어 제조용 혼합 방적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이너웨어
US2022036974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tective glove provided with a tearable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1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