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9022B1 -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22B1
KR101839022B1 KR1020170061364A KR20170061364A KR101839022B1 KR 101839022 B1 KR101839022 B1 KR 101839022B1 KR 1020170061364 A KR1020170061364 A KR 1020170061364A KR 20170061364 A KR20170061364 A KR 20170061364A KR 101839022 B1 KR101839022 B1 KR 10183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hamber
inorganic
low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뉴앤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뉴앤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뉴앤뉴
Priority to KR1020170061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기실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저융점실(low melting yarn) 및 고강도유기실(high strength organic yarn)을 순차적으로 커버링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실-상기 저융점실-상기 고강도유기실로 이루어진 복합사를 편직하여 장갑 형상의 장갑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갑본체의 표면에 수지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본체의 상기 저융점실이 용융되어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상기 무기실과 상기 고강도유기실을 결합시켜 일체형 복합사 형태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무기실과 고강도유기실 사이에 존재하는 저융점실이 무기실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무기실과 고강도유기실을 결합시켜 견고하게 결합된 복합사를 통해 제조되며, 이를 통해 여러 번 세탁하여도 복합사가 돌출되지 않아 피부 자극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무기실 및 고강도유기실에 의해 외부의 절단 작업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어 위험한 작업현장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Description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The safety gloves for washable durabilit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실과 고강도유기실 사이에 존재하는 저융점실이 무기실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무기실과 고강도유기실을 결합시켜 견고하게 결합된 복합사를 통해 제조되며, 이를 통해 여러 번 세탁하여도 복합사가 돌출되지 않아 피부 자극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 공정이 포함되는 산업현장에서는, 절단으로부터 일하는 작업자의 신체 보호를 위한 내절단성 안전 장갑 또는 보호 의복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내절단성 안전 장갑은 절단 방지력이 요구되는 환경을 가진 작업현장에서 물리적인 마찰, 기계 오작동, 날카로운 물체 등과 같은 여러가지 유해 요인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착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내절단성 안전 장갑은 현재 유럽이나 미국 등 많은 나라에서 엄격한 규격 조건, 예컨데 유럽 안전규격 EN-388 등과 같은 규격 조건을 통해 품질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시장에서 요구되는 장갑의 절단 강도(blade cut resistance) 규격은 성능 레벨(level) 5 정도이다.
따라서 이러한 레벨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종래의 내절단성 안전 장갑의 개발은 고강도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섬유 또는 아라미드(P-aramid) 섬유와 같은 유기계 슈퍼섬유가 개발되고 있으며, 칼날과 같은 날카로운 물체에 절단 저항성을 갖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내절단성 안전 장갑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고강도 폴리에틸렌사 또한 유기계 섬유이기 때문에 절단 강도와 같은 물리적 성질을 저항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계 섬유를 이용하여 높은 성능의 내절단성 안전 장갑을 만들게 되면 장갑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장갑이라는 특징 때문에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면 이를 이용한 작업자의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내절단성 강화를 위해 무기계 섬유인 유리섬유 또는 금속섬유를 이용하여 유무기 복합사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얇으면서도 절단 내구성이 우수한 장갑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대표적으로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06337호 유리사의 가공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절단방지용 장갑'과 같이 유리사를 심사로 하고, 커버링사로 나일론사를 유리사의 둘레에 더블 커버링한 후, 그 둘레에 다시 고밀도 폴리에틸렌사로 커버링하여 1합의 복합원사를 얻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유리사에 나일론사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사를 단순히 커버링하고, 이후의 별다른 공정을 거치지 않는 상태로 복합원사를 제조하게 된다. 특히 유리사와 같은 무기계 섬유는 절단강도와 같은 물리적 강도는 우수하지만 유기섬유에 비해 유연성이 없어 마찰이나 구부러지는 동작에 의하여 부러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탁과 같은 마찰이 많은 동작을 하게 되면 단순히 커버링으로 결합된 복합사에서 나일론사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사로부터 유리사가 분리되어 탈리하게 되고, 이는 장갑의 내절단성 저하 및 착용감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무기계 섬유에 수지를 코팅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해결이 되지만, 수지를 코팅할 경우 원사 가격이 상승하고 코팅 두께가 두꺼워져 원단의 태가 좋지 못하고 착용감이 저하된다. 그러나 이 방법도 마찬가지로 무기계 섬유가 직접적으로 탈리되지는 않아도 세탁이나 비비는 동작에 의하여 코팅된 무기계 섬유가 외부로 돌출되어 여전히 피부 자극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무기계 섬유가 함유된 장갑의 경우 세탁이 불가하고 사용 가능 기간이 짧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세탁 후에도 절단 방지 성능의 저하가 없고 피부 자극이 없는 내절단성 소재 및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06337호
상기한 목적은, 무기실과 고강도유기실 사이에 존재하는 저융점실이 무기실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무기실과 고강도유기실을 결합시켜 견고하게 결합된 복합사를 통해 제조되며, 이를 통해 여러 번 세탁하여도 복합사가 돌출되지 않아 피부 자극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무기실 및 고강도유기실에 의해 외부의 절단 작업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어 위험한 작업현장에 사용하기 적합한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무기실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저융점실(low melting yarn) 및 고강도유기실(high strength organic yarn)을 순차적으로 커버링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실-상기 저융점실-상기 고강도유기실로 이루어진 복합사를 장갑 형상의 편직을 통해 장갑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갑본체의 표면에 수지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장갑본체를 열처리하여 상기 저융점실을 용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본체의 상기 저융점실이 용융되어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상기 무기실과 상기 고강도유기실을 결합시켜 일체형 복합사 형태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커버링하는 단계는, 상기 무기실을 일자로 배치하고,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상기 저융점실을 연사(twisting)하여 상기 무기실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저융점실을 꼬아 상기 무기실의 전면을 둘러싸고, 노출된 상기 저융점실의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저융점실의 연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고강도유기실을 꼬아 상기 저융점실의 전면을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융점실은 80 내지 100℃에서 용융되는 저융점나일론실 또는 저융점PET실이며, 상기 고강도유기실은 초고분자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또는 아라미드(Para-aramid)실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융점실을 용융하는 단계는, 100 내지 140℃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또한, 무기실과,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커버링된 저융점실(low melting yarn)과, 상기 저융점실의 표면에 상기 저융점실과 반대 방향으로 커버링된 고강도유기실(high strength organic yarn)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융점실이 용융되어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상기 무기실과 상기 고강도유기실을 결합시킨 복합사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사를 편직을 통하여 장갑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무기실과 고강도유기실 사이에 존재하는 저융점실이 무기실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무기실과 고강도유기실을 결합시켜 견고하게 결합된 복합사를 통해 제조되며, 이를 통해 여러 번 세탁하여도 복합사가 돌출되지 않아 피부 자극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무기실 및 고강도유기실에 의해 외부의 절단 작업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어 위험한 작업현장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사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사 및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사의 사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한 장갑의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한 장갑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장갑은, 무기실(11)과, 무기실(11)의 표면에 커버링된 저융점실(low melting yarn, 13)과, 저융점실(13)의 표면에 저융점실(13)과 반대 방향으로 커버링된 고강도유기실(high strength organic yarn, 15)로 이루어지며, 저융점실(13)이 용융되어 무기실(11)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무기실(11)과 고강도유기실(15)을 결합시킨 복합사(10)를 포함하며, 이 복합사(10)를 편직하여 장갑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장갑 제조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무기실(11)을 준비한다(S1).
복합사(10)를 통해 제조되는 장갑의 세탁 내구성과 내절단성이 우수하도록 강도가 높은 무기실(11)을 준비한다. 무기실(inorganic yarn, 11)은 복합사(10)의 심사로 사용되는 실(yarn)에 해당하며, 이러한 무기실(11)은 유리실(glass yarn), 금속실(metal yarn), 현무암실(basalt yarn)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실(11)의 굵기는 각각 유리실의 경우에는 50 내지 200D, 금속실의 경우에는 35 내지 60㎛, 현무암실의 경우에는 50 내지 200D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실(11)의 표면에 저융점실(13) 및 고강도유기실(15)을 순차적으로 커버링한다(S2).
저융점실(low melting yarn, 13)을 무기실(11)의 표면에 커버링(covering)한 후, 피복된 저융점실(13)의 표면에 고강도유기실(high strength organic yarn, 15)을 연사하여 무기실(11)-저융점실(13)-고강도유기실(15)이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순차적으로 커버링되도록 한다. 커버링되는 저융점실(13) 및 고강도유기실(15)은 무기실(11)을 일자로 배치하고, 그 표면에 저융점실(13)을 연사(twisting)하여 무기실(11)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저융점실(13)을 꼬아 무기실(11)의 전면을 둘러싼다. 그 다음 노출된 저융점실(13) 표면에 고강도유기실(15)를 커버링하는데, 이때 저융점실(13)의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저융점실(13)의 연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고강도유기실(15)을 꼬아 저융점실(13)의 전면을 둘러싼다.
저융점실(13)과 고강도유기실(15)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커버링되는데, 이는 같은 방향으로 커버링 될 경우 제조 공정 중 실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한쪽 방향으로 풀려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사를 진행한다. 또한 복합사(10)를 제조할 때 꼬임이 반대방향으로 연사될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 연사될 경우보다 부드러운 복합사(10)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장갑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저융점실(13)과 고강도유기실(15)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융점실(13)은 일반적으로 200 내지 400T/M(Twist per Meter)으로 약연사 또는 중연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난 600T/M-1500의 강연사를 주로 사용한다. 이는 무기실(11)을 감쌈과 동시에 무기실(11)에 코팅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600T/M-1500 범위의 연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연사가 600T/M 미만일 경우에는 완성된 복합사(10)에서 유리섬유의 돌출 현상이 발생되며, 1500T/M를 초과할 경우에는 완성된 복합사(10)가 거칠고 딱딱해져 장갑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융점실(13)과 반대방향으로 연사되는 고강도유기실(15)은 저융점실(13)과는 다르게 200 내지 250T/M으로 약연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연사가 200T/M 미만일 경우에는 제대로 된 연사가 이루어지기 힘들기 때문에 원하는 복합사를 제조할 수 없으며, 250T/M를 초과할 경우에는 원사 직후에는 확인이 어렵지만 이를 원단 또는 장갑으로 만들게 되면 복합사(10)가 거칠고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 중 저융점실(13)은 융점이 낮은 나일론(nylon)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를 의미한다. 나일론은 일반적으로 6,6-나일론의 융점이 260℃, 6-나일론의 융점이 215℃, 6,10-나일론의 융점이 209℃와 같이 융점이 200℃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나일론이 아닌 80 내지 100℃에서 용융되는 저융점나일론실 또는 저융점PET실을 사용한다. 이는 저융점실(13)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일정온도 이상에서 고분자가 분해되며, 코팅 및 접착효과가 발현되기 이전에 열분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융점실(13)을 용융시켜야 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후에 저융점실(13)과 함께 연사되는 고강도유기실(15)이 200℃ 이상의 고온에서 성질이 변할 수 있다는 단점 때문에 80 내지 100℃에서 용융되는 저융점나일론실 또는 저융점PET실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강도유기실(15)은 초고분자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또는 아라미드실(P-aramid yarn)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인 폴리머실이 아닌 초고분자폴리에틸렌 또는 아라미드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사(10)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폴리머실의 경우 유연하고 절단이 가능한 소재인 반면에, 초고분자폴리에틸렌 또는 아라미드실로 이루어지는 고강도유기실(15)은 고분자의 분자량이 매우 커 금속과 같은 성질을 나타내어 매우 튼튼한 소재이다. 이러한 고강도유기실(15)은 매우 높은 충격 저항, 마모 및 마멸에 대한 높은 저항, 매우 낮은 마찰 계수, 자체 윤활 및 비접착 표면, 매우 우수한 화학적 저항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고강도유기실(15)은 절단을 위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적용할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내절단성이 우수한 복합사(10)를 제조할 수 있다.
복합사(10)를 편직하여 장갑 형상의 장갑본체를 형성한다(S3).
무기실(11)-저융점실(13)-고강도유기실(15)로 이루어진 복합사(10)를 편직하며, 이때 장갑 형상으로 편직하여 장갑본체를 형성한다. 편직을 통해 장갑본체를 형성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장갑을 제조하기 위한 기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장갑본체의 표면에 수지를 코팅한다(S4).
복합사(10)를 편직하여 장갑본체를 형성한 후 후가공 공정으로 손바닥의 그립성 부여를 위하여 표면에 수지를 코팅한다. 장갑의 손바닥면에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용매에 녹아있는 수지에 장갑본체의 손바닥면을 담근 후 다시 꺼내는 디핑(dipping) 공정을 통해 수행한다. 수지 및 용매로 이루어진 코팅용액 내에 장갑본체를 담근 후, 이를 빼내어 용매를 증발시켜 코팅용액 내에 존재하는 수지만 장갑본체의 손바닥면에 코팅되도록 한다.
장갑본체를 열처리하여 저융점실(13)을 용융시킨다(S5).
이와 같이 장갑본체를 디핑한 후 코팅용액을 건조하는 공정에서 열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열처리를 하게 되면 수분이 증발되어 장갑의 손바닥면에 수지가 코팅됨과 동시에 장갑본체를 이루는 복합사(10)에 포함된 저융점실(13)이 용융된다. 이와 같이 저융점실(13)이 용융되면 저융점실(13)이 무기실(11)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무기실(11)과 고강도유기실(15)을 결합시켜 일체형 복합사(10) 형태가 얻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과 같이 저융점실(13)을 사용하지 않고 고온에서 용융되는 고융점실을 사용하게 되면, 수분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통해 실이 녹지 않게 되어 별도의 고온에서 열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고온에서 열처리를 하게 되면 고강도유기실(15)이 상해를 받는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때 열처리 공정은 디핑 공정 이후 수지에 함유된 용매를 추출하기 위하여 수조 공정을 거치고 장갑에 묻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저융점실(13)을 용융시키기 위하여 100 내지 140℃의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장갑본체의 디핑 공정 후 열처리를 통한 건조 온도를 각각 달리했을 때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난다.
실험 1 실험 2 실험 3 실험 4
열처리 온도 80℃ 100℃ 120℃ 135℃
용융 정도 ×
코팅 정도 ×
터치감
(○: 좋음, △: 보통, ×: 나쁨)
장갑본체에 코팅되는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NB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라텍스(latex), 실리콘(silicon)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하며,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메틸포름아미드(methylformamide, MMF) 등과 같이 수지를 완전히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코팅 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장갑을 다양한 특성을 갖는 작업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반이나 밀링과 같이 기름을 다량으로 접촉하게 되는 작업은 코팅성분으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를 사용하고, 목공소와 같은 거친 작업을 수행할 경우 코팅성분으로 라텍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정밀한 작업을 요할 경우에는 폴리우레탄(PU)을 코팅성분으로 사용하고, 내열성을 필요로 하는 작업의 경우 코팅성분으로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갑을 형성하기 위해 직조에 사용되는 복합사(10)는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복합사(10)로, 복합사(10)를 아무리 비틀어도 무기실(11)-저융점실(13)-고강도유기실(15)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3b는 종래의 방법인 무기실과 수지실이 혼합된 복합사로, 사람의 힘으로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수지가 열처리 과정 중 검게 타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06337호)의 경우 본 발명과 같이 복합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비틀게 되면 도 3b와 같이 유리사, 나일론사, 고밀도 폴리에틸렌사가 서로 분리되어 장갑을 세탁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복합사(10)를 아무리 비틀어도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장갑은 도 4 및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장갑의 일부로, 장갑을 아무리 비벼도 무기실(11)-저융점실(13)-고강도유기실(15)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복합사(10)가 원단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5는는 종래의 방법인 무기실과 수지실이 혼합된 복합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장갑으로, 장갑을 비비게 되면 복합사가 서로 분리될 뿐만 아니라 원단의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원단은 세탁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06337호)에는 유리사를 사용하여 장갑을 제조할 경우 사용 또는 세탁 중에 유리사의 부서짐이 발생하게 되며, 유리사가 부서지게 되면 장갑의 절단 성능 저하 및 착용감 저하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유리사가 직접적으로 탈리되지는 않아도 세탁이나 비비는 동작에 의하여 유리사가 외부로 돌출되어 여전히 피부 자극을 일으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무기실(11)과 고강도유기실(15) 사이에 존재하는 저융점실(13)이 무기실(11)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무기실(11)과 고강도유기실(15)을 결합시켜 견고하게 결합된 복합사(10)를 통해 제조되며, 이를 통해 여러 번 세탁하여도 복합사(10)가 돌출되지 않아 피부 자극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기실(11) 및 고강도유기실(15)에 의해 외부의 절단 작업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어 위험한 작업현장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10: 복합사
11: 무기실
13: 저융점실
15: 고강도유기실

Claims (5)

  1.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기실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저융점실(low melting yarn) 및 고강도유기실(high strength organic yarn)을 순차적으로 커버링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실-상기 저융점실-상기 고강도유기실로 이루어진 복합사를 장갑 형상의 편직을 통해 장갑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갑본체의 표면에 수지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장갑본체를 열처리하여 상기 저융점실을 용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본체의 상기 저융점실이 용융되어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상기 무기실과 상기 고강도유기실을 결합시켜 일체형 복합사 형태가 얻어지며,
    상기 커버링하는 단계는,
    상기 무기실을 일자로 배치하고,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상기 저융점실을 연사(twisting)하여 상기 무기실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저융점실을 꼬아 상기 무기실의 전면을 둘러싸고, 노출된 상기 저융점실의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저융점실의 연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고강도유기실을 꼬아 상기 저융점실의 전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실은 80 내지 100℃에서 용융되는 저융점나일론실 또는 저융점PET실이며, 상기 고강도유기실은 초고분자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또는 아라미드(Para-aramid)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실을 용융하는 단계는,
    100 내지 140℃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제조방법.
  5.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에 있어서,
    무기실과,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커버링된 저융점실(low melting yarn)과, 상기 저융점실의 표면에 상기 저융점실과 반대 방향으로 커버링된 고강도유기실(high strength organic yarn)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융점실이 용융되어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코팅됨과 동시에, 상기 무기실과 상기 고강도유기실을 결합시킨 복합사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사를 편직을 통하여 장갑 형상을 형성하며,
    커버링된 상기 저융점실은, 상기 무기실을 일자로 배치하고, 상기 무기실의 표면에 상기 저융점실을 연사(twisting)하여 상기 무기실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저융점실을 꼬아 상기 무기실의 전면을 둘러싸고, 노출된 상기 저융점실의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저융점실의 연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고강도유기실을 꼬아 상기 저융점실의 전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KR1020170061364A 2017-05-18 2017-05-18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83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64A KR101839022B1 (ko) 2017-05-18 2017-05-18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64A KR101839022B1 (ko) 2017-05-18 2017-05-18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022B1 true KR101839022B1 (ko) 2018-03-15

Family

ID=6165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3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9022B1 (ko) 2017-05-18 2017-05-18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224A (ko) * 2021-08-26 2021-09-28 주식회사 형제인터내셔널 금속복합사를 이용한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15138A (ko) * 2021-07-22 2023-01-31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절단강도, 그립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향상된 코팅장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4411A (ja) 1999-12-03 2001-06-19 Towa Corp:Kk 切創防止手袋
JP2007312670A (ja) 2006-05-25 2007-12-06 Toho Kinzoku Co Ltd 釣り糸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4411A (ja) 1999-12-03 2001-06-19 Towa Corp:Kk 切創防止手袋
JP2007312670A (ja) 2006-05-25 2007-12-06 Toho Kinzoku Co Ltd 釣り糸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38A (ko) * 2021-07-22 2023-01-31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절단강도, 그립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향상된 코팅장갑
KR102651069B1 (ko) * 2021-07-22 2024-03-25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절단강도, 그립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향상된 코팅장갑
KR20210117224A (ko) * 2021-08-26 2021-09-28 주식회사 형제인터내셔널 금속복합사를 이용한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2387838B1 (ko) * 2021-08-26 2022-04-19 주식회사 형제인터내셔널 금속복합사를 이용한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1641B1 (en) Polymer blends of nitrile butadiene rubber and polychloroprene
US20210301428A1 (en) High tenacity fiber and mineral reinforced blended yarns
AU2013280209B2 (en) Abrasion and cut resistant coating and coated glove
EP3267815B1 (en) Supported glove having an abrasion resistant nitrile coating
EP1911866B1 (en) Cut resistant glove
US6021524A (en) Cut resistant polymeric films
EP0568688B1 (en) Stainless steel yarn and protective garments
EP3160278B1 (en) Glove having durable ultra-thin polymeric coating
KR102674039B1 (ko) 보강재 및 충격 피쳐를 가진 글러브
US20160120242A1 (en) Glove having two-dimensional injection molded components
EP3023018A1 (en) Glove
US20120227158A1 (en) Glove having injection molded components
US20130074242A1 (en) Glove having crush-resistant fingertips
KR101839022B1 (ko) 세탁 내구성을 갖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2754474B1 (ko) 의복 재료 제작 방법
JP2004517223A (ja) 増加強度を有する保護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267034C (zh) 具有高机械性能、高化学耐性和辐解耐性的手套及其制备方法
JP2021519874A (ja) 多層化された薄い耐薬品性の成形品および製造方法
ES2949542T3 (es) Hilo anticorte, ropa protectora fabricada con la ayuda de un hilo y procedimientos de fabricación relacionados
KR102725856B1 (ko) 손가락 부위 절단 방지용 장갑
KR102651069B1 (ko) 절단강도, 그립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향상된 코팅장갑
KR102683357B1 (ko) 절단강도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향상된 코팅장갑
JP2003268612A (ja) 手 袋
EP3563704B1 (en) Knitted glo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1123213A1 (en) An ambidextrous flexible coated working glove, a method for producing a such glove and a former for use in thi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