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3822B1 -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22B1
KR101673822B1 KR1020150161927A KR20150161927A KR101673822B1 KR 101673822 B1 KR101673822 B1 KR 101673822B1 KR 1020150161927 A KR1020150161927 A KR 1020150161927A KR 20150161927 A KR20150161927 A KR 20150161927A KR 101673822 B1 KR101673822 B1 KR 101673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battery
voltage
ldc
f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태
김유석
이호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822B1/ko
Priority to US15/180,522 priority patent/US20170136913A1/en
Priority to CN201610515806.3A priority patent/CN10670714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4Preventing excessive dischar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G01R31/3624
    • G01R31/36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LDC(Low DC/DC Converter)의 출력전압의 가변에 따른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확인하여,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검출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에 있어서, 제1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 제1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용 릴레이; 제2 배터리의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LDC(Low DC/DC Converter); 및 제1 배터리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의 출력전압을 맞추고, LDC를 상시 동작모드로 설정한 후 릴레이를 오프시키며, LDC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면서 제1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없으면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있으면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RELAY WELDING IN GREEN CAR}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 차량에서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친환경 차량은 고전압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차량으로서, HEV(Hybrid Electric Vehicle), EV(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친환경 차량은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배터리와, 내부 전기장치(전장부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때, 보조 배터리 및 전기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는 상위 제어기의 제어하에 보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고전압 배터리의 고전압을 보조 배터리의 충전용 전압으로 낮추어(down converting) 보조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러한 보조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은 물론 각종 램프, 시스템, ECU(Electronic Control Units) 등과 같은 전기장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차량의 보조 배터리는 완전 방전이 되어도 다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납산 축전지(lead-acid storage battery)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납산 축전지는 무겁고 충전밀도가 낮으며, 특히 납산은 환경오염 물질이기 때문에 최근 친환경 차량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lithium ion battery)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리튬이온 배터리는 과방전이 되면 재충전이 불가한 치명적인 약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는 과방전 방지용 릴레이를 구비하여 리튬이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는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최근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릴레이가 과도전류 또는 과전류에 의해 융착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요구된다.
종래의 기술로서, 차량의 메인 배터리와 메인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메인 릴레이 및 메인 배터리와 연결된 제1 커패시터로 형성된 메인 배터리 시스템과, 상기 메인 배터리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급속충전 릴레이 및 제2 커패시터가 구비된 급속충전 시스템, 및 프리차징 시 상기 메인 배터리 시스템과 급속충전 시스템의 변화를 검출하여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는 고전압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메인 릴레이의 융착을 검출하기 위한 기술로서,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용 릴레이의 융착을 검출하는데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064623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DC(Low DC/DC Converter)의 출력전압의 가변에 따른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확인하여,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검출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에 있어서, 제1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 제1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용 릴레이; 제2 배터리의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LDC(Low DC/DC Converter); 및 제1 배터리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의 출력전압을 맞추고, LDC를 상시 동작모드로 설정한 후 릴레이를 오프시키며, LDC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면서 제1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없으면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있으면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기는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판단한 후, 재차 제1 배터리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160)의 출력전압을 맞추고, 릴레이를 온 시킨 후 LDC의 상시 동작모드를 해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또한, 제어기는 릴레이를 오프 시키기 위한 제1 스위치와 릴레이를 온 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 배터리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제어기는 제1 배터리의 전압변화와 전류변화를 모두 고려하여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기는 차량의 속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1 배터리의 전압이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릴레이의 융착 검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배터리는 12V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현되고, 릴레이는 펄스(Pulse)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래칭 타입(Latching Type)의 릴레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전압센서와 전류센서와 제1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용 릴레이와 LDC(Low DC/DC Converter)를 구비한 친환경 차량에서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에 있어서, 제1 배터리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의 출력전압을 맞추는 단계; LDC를 상시 동작모드로 설정한 후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단계; LDC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면서 제1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없으면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있으면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LDC(Low DC/DC Converter)의 출력전압의 가변에 따른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확인하여,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이 주행중에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12V 리튬이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는, 제1 배터리(100), 전압센서(110), 릴레이(120), 전류센서(130), 접합기(Juction Box, J/B)(140), 전장부하(150), LDC(Low DC/DC Converter)(160),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PRA)(170), 제2 배터리(180), 사용자 스위치(190), 및 제어기(2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제1 배터리(100)는 일례로 12V 리튬이온 배터리(저전압 보조 배터리)로서, 차량의 엔진 시동에 필요한 전원과 전장부하(150)에서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전압센서(110)는 제1 배터리(100)의 전압을 감지한다.
다음으로, 릴레이(120)는 제1 배터리(100)로부터의 전원을 전장부하(150)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제1 배터리(100)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전장부하(150)에 흐르는 암전류로부터 제1 배터리(100)를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릴레이(120)는 펄스(Pulse)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래칭 타입(Latching Type)의 릴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류센서(130)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요소로서, 릴레이(120)와 접합기(14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배터리(100)의 전류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접합기(140)는 제1 배터리(100)의 전원을 각 전장부하(150)로 분기시키기 위한 선로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LDC(160)는 제1 배터리(180)의 고전압을 저전압(일례로, 14.3V ~ 13.5V)으로 변환하여 제1 배터리(100)를 충전하거나 각 전장부하(150)에서 요구하는 정격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LDC(160)는 제어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70)는 주 전원접점인 두 개의 릴레이와, 두 개의 릴레이 중 하나의 릴레이를 우회하는 회로상에 설치되는 프리차지 릴레이(Precharge Relay) 및 프리차지 저항(Precharge Resistance)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2 배터리(180)의 (+)단과 DC 링크 (+)단 사이의 회로상에 제1 릴레이(즉, (+) 릴레이)가 위치하고, 제2 배터리(180)의 (-)단과 DC 링크 (-)단 사이의 회로상에 제2 릴레이(즉, (-) 릴레이)가 위치하여, 제1 릴레이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회로상에 프리차지 릴레이 및 프리차지 저항이 구비된다.
이러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70)에 구비된 2개의 릴레이는 배터리제어시스템 또는 모터 제어기(Motor Controller Unit, MCU)에서 출력되는 릴레이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제2 배터리(180)는 고전압 배터리로서, 차량 가속 시 모터 어시스트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감속 또는 엔진 여유 출력 발생 시 모터 회생에 의해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스위치(190)는 수동형(Passive) 스위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릴레이(120)를 온 시킨다. 즉, 장기주차중 제1 배터리(100)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기(200)가 릴레이(120)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사용자 스위치를 온 시키면 릴레이(120)가 온 되어 제1 배터리(100)로부터의 전원이 전장부하(150)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제어기(200)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기(200)는 차량의 속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1 배터리(100)의 전압이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릴레이(120)의 융착 여부에 대한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제어기(200)는 릴레이(120)의 융착 검출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제1 배터리(100)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160)의 출력전압을 맞춘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100)의 전압이 12.5V이면 LDC(160)의 출력전압을 12.5V로 설정한다. 이는 릴레이(120)의 오프시 발생할 수 있는 융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차량의 속도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등을 포함한다.
이후, 제어기(200)는 LDC(160)를 상시 동작모드로 설정한 후 제1 스위치(201)를 이용하여 릴레이(120)를 오프시킨다. 이는 릴레이(120)가 오프 되어 제1 배터리(100)로부터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차량 내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전원은 LDC(160)로부터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시 동작모드는 특정 조건에 따라 LDC(160)의 동작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후, 제어기(200)는 LDC(160)의 출력전압을 임계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절하면서 제1 배터리(100)의 전압변화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릴레이(120)에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라면 릴레이(120)는 오프된 상태이므로 제1 배터리(100)와 LDC(160)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어 있어 LDC(160)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더라도 제1 배터리(100)의 전압변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릴레이(120)에 융착이 발생한 상태라면 제1 스위치(201)를 오프시켜도 릴레이(120)는 온 상태를 유지하므로 LDC(160)의 출력전압에 따라 제1 배터리(100)의 전압도 변화가 발생할 것이다.
결국, 제어기(200)는 상술한 원리를 이용하여 제1 배터리(100)의 전압에 변화가 없으면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배터리(100)의 전압에 변화가 있으면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제어기(200)는 재차 제1 배터리(100)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160)의 출력전압을 맞춘 후, 제2 스위치(202)를 이용하여 릴레이(120)를 온 시켜 제1 배터리(100)의 전원이 각 전장부하(15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후, 제어기(200)는 LDC(160)의 상시 동작모드를 해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릴레이(120)의 융착 검출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릴레이(120)의 융착 검출 모드로 진입하며, 특히, 차량 내 각종 전장부하뿐만 아니라 각종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120)를 차단하기에 앞서, LDC(160)를 상시 동작모드로 설정하여 제1 배터리(100)로부터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LDC(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릴레이(120)의 융착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릴레이(120)의 온/오프 동작시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융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LDC(160)의 출력전압을 제1 배터리(100)의 전압과 일치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며, 릴레이(120)의 융착 검출 과정이 완료되면 LDC(160)에 설정된 상시 동작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한편, 도 1에서 '250' 및 '260'은 A/S 정비시 또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시동 시도시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을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외부 전원의 인가로 인해 릴레이(120)의 융착이 발생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전압센서(110)와 전류센서(130)와 제1 배터리(100)의 과방전 방지용 릴레이(120)와 LDC(Low DC/DC Converter)(160)를 구비한 친환경 차량에서의 릴레이 융착 검출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제어기(200)는 제1 배터리(100)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160)의 출력전압을 맞춘다(201).
이후, LDC(160)를 상시 동작모드로 설정한 후 릴레이(120)를 오프시킨다(202).
이후, LDC(160)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면서 제1 배터리(100)의 전압변화를 모니터링한다(203).
이후,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한다(204).
상기 확인결과(204),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없으면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205).
상기 확인결과(204),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있으면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206).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제1 배터리
110 : 전압센서
120 : 릴레이
130 : 전류센서
140 : 접합기
150 : 전장부하
160 : LDC
170 : PRA
180 : 제2 배터리
190 : 사용자 스위치
200 : 제어기

Claims (16)

  1. 친환경 차량의 전장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
    제1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용 릴레이;
    제2 배터리의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LDC(Low DC/DC Converter); 및
    제1 배터리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의 출력전압을 맞추고, LDC를 상시 동작모드로 설정한 후 릴레이를 오프시키며, LDC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면서 제1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없으면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있으면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판단한 후, 재차 제1 배터리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의 출력전압을 맞추고, 릴레이를 온 시킨 후 LDC의 상시 동작모드를 해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릴레이를 오프 시키기 위한 제1 스위치와 릴레이를 온 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배터리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
    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1 배터리의 전압변화와 전류변화를 모두 고려하여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속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1 배터리의 전압이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릴레이의 융착 검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는,
    12V 리튬이온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펄스(Pulse)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래칭 타입(Latching Type)의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9. 전압센서와 전류센서와 제1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용 릴레이와 LDC(Low DC/DC Converter)를 구비한 친환경 차량에서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에 있어서,
    친환경 차량의 전장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의 출력전압을 맞추는 단계;
    LDC를 상시 동작모드로 설정한 후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단계;
    LDC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면서 제1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없으면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배터리의 전압에 변화가 있으면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친환경 차량에서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판단한 후, 제1 배터리의 전압과 동일하게 LDC의 출력전압을 맞추는 단계; 및
    릴레이를 온 시킨 후 LDC의 상시 동작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제1 스위치에 의해 오프 되고, 제2 스위치에 의해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전류센서가 제1 배터리의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제1 배터리의 전류변화를 더 고려하여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융착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은,
    차량의 속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1 배터리의 전압이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는,
    12V 리튬이온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펄스(Pulse)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래칭 타입(Latching Type)의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KR1020150161927A 2015-11-18 2015-11-18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Active KR101673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27A KR101673822B1 (ko) 2015-11-18 2015-11-18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US15/180,522 US20170136913A1 (en) 2015-11-18 2016-06-13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relay fusion of eco-friendly vehicle
CN201610515806.3A CN106707146A (zh) 2015-11-18 2016-07-01 用于检测生态友好车辆的继电器熔敷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27A KR101673822B1 (ko) 2015-11-18 2015-11-18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822B1 true KR101673822B1 (ko) 2016-11-07

Family

ID=5752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927A Active KR101673822B1 (ko) 2015-11-18 2015-11-18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136913A1 (ko)
KR (1) KR101673822B1 (ko)
CN (1) CN1067071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86A (ko) 2017-02-28 201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그리드용 전기자동차의 양방향 충방전 방법 및 장치
CN113363113A (zh) * 2020-03-04 2021-09-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功率继电器组件及其控制方法以及包括该组件的车辆
KR20220080573A (ko) 2020-12-07 202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095A (ko) * 2015-11-03 2017-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KR101759142B1 (ko) * 2016-02-22 2017-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22280B1 (ko) * 2016-05-04 2018-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전압 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센싱 오차 보정 방법
KR101816448B1 (ko) * 2016-10-18 201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강제 방전 방법
CN110337379B (zh) * 2017-03-03 2023-04-04 Abb电动交通有限公司 充电系统
JP6546617B2 (ja) * 2017-05-18 2019-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力分配システム
US10800264B2 (en) * 2017-09-15 2020-10-13 Nio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IL D fail operational power systems in automated vehicle applications
KR102532312B1 (ko) * 2018-03-06 202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7159792B2 (ja) * 2018-10-31 2022-10-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US20210249872A1 (en) * 2020-02-06 2021-08-12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KR20220053762A (ko) * 2020-10-22 2022-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안전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42886A (ko) * 2021-09-23 2023-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750A (ja) * 2000-12-08 2002-06-21 Toyota Motor Corp リレーの溶着検出装置
KR20110062136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진단장치 및 방법
KR101241226B1 (ko) * 2011-10-27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메인 릴레이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KR20140061637A (ko) * 2012-11-14 2014-05-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50064623A (ko) 2013-12-03 2015-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릴레이 융착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0490A (en) * 1985-04-02 1987-07-14 Gould Inc. MOSFET AC switch
EP1256480A4 (en) * 2000-02-18 2011-06-22 Sanyo Electric Co RELAY FUSION DETECTOR FOR ELECTRIC VEHICLES
US7336002B2 (en) * 2003-02-17 2008-02-26 Denso Corporatio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CN100454466C (zh) * 2003-03-31 2009-01-21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检测继电器触点的熔接的方法和装置
WO2010032309A1 (ja) * 2008-09-19 2010-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KR101293362B1 (ko) * 2009-09-15 2013-08-0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이륜차
JP5474463B2 (ja) * 2009-09-16 2014-04-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動車両
JP5234052B2 (ja) * 2010-04-27 2013-07-1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源装置
BR112013011093B1 (pt) * 2010-11-05 2019-12-03 Toyota Motor Co Ltd sistema de fornecimento de energia para veículo e veículo incluindo o mesmo
KR101262973B1 (ko) * 2011-05-24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비상주행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066365A (ja) * 2011-08-29 2013-04-11 Sharp Corp 車両駆動装置、車両充電システム、及び自動車
US20140046520A1 (en) * 2012-08-09 2014-0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ybrid functionality in a vehicle
KR102210282B1 (ko) * 2014-05-30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750A (ja) * 2000-12-08 2002-06-21 Toyota Motor Corp リレーの溶着検出装置
KR20110062136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진단장치 및 방법
KR101241226B1 (ko) * 2011-10-27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메인 릴레이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KR20140061637A (ko) * 2012-11-14 2014-05-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50064623A (ko) 2013-12-03 2015-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릴레이 융착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86A (ko) 2017-02-28 201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그리드용 전기자동차의 양방향 충방전 방법 및 장치
CN113363113A (zh) * 2020-03-04 2021-09-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功率继电器组件及其控制方法以及包括该组件的车辆
KR20220080573A (ko) 2020-12-07 202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US11923575B2 (en) 2020-12-07 2024-03-05 Hyundai Motor Company Fault diagnostic apparatus for a fuel cell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therefor
KR102805485B1 (ko) 2020-12-07 2025-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6913A1 (en) 2017-05-18
CN106707146A (zh)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822B1 (ko)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589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N107662499B (zh) 纯电动汽车整车故障下电控制方法及系统
US9696380B2 (en) Re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761530B2 (en) Redundant low-voltage battery system operation in electric vehicles
EP2774798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3986209B (zh) 一种车用蓄电池充电系统及方法
US9187000B2 (en) Battery pack and electrically driven automobile
JP5731543B2 (ja) バッテリー制御装置及び方法
CN112009303A (zh) 用于电动汽车放电控制的控制系统和方法
EP2509186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853777B (zh) 车辆及车辆的充电控制方法
KR101866063B1 (ko) 보조배터리의 릴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556795B (zh) 用于检测电池继电器熔融的系统和方法
KR101795169B1 (ko) 배터리 점프 시동 방법
JP2007205853A (ja) 電圧検出装置
CN114537223A (zh) 车辆电池切换系统及方法
KR20180057231A (ko) 배터리 고장 방지 장치
KR20230108596A (ko) 전기 차량의 시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680305B1 (ko) 병렬 멀티 팩 시스템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746278A (zh) 电池控制器和电池控制方法
CN113922443A (zh) 电动汽车充电控制电路、方法、装置及设备
CN211000942U (zh)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安全监控的低压电源管理系统
CN108110855A (zh) 一种可兼容的辅源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CN106300470B (zh) 启动电池及启动电池的控制方法及包括该启动电池的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