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003B1 -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5003B1 KR101665003B1 KR1020140173183A KR20140173183A KR101665003B1 KR 101665003 B1 KR101665003 B1 KR 101665003B1 KR 1020140173183 A KR1020140173183 A KR 1020140173183A KR 20140173183 A KR20140173183 A KR 20140173183A KR 101665003 B1 KR101665003 B1 KR 1016650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bus bar
- voltage
- overvoltage
- battery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02 gaso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95 fue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과전압 보호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0: 배터리 팩
11, 12, 13: 배터리 모듈
20: 차량 전자 장치
30: 배터리 제어장치
31, 32: MCU
33: BCU
200: 과전압 보호 장치
201: 제1 배터리 모듈
202: 제2 배터리 모듈
203: 버스바
210: 배터리 제어회로
220: 과전압 보호회로
221: 제1 다이오드
222: 제2 다이오드
Claims (10)
- 제1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 및 제2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을 직렬로 연결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버스바의 양단 전압이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에서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으로의 정방향 과전압이면, 기설정된 제1 임계전압 이하로 클램핑하고, 상기 버스바의 양단 전압이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에서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으로의 역방향 과전압이면 기설정된 제2 임계전압 이하로 차단하는 과전압 보호회로;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들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고, 상기 과전압 보호회로와 함께 상기 버스바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버스바의 양단 전압을 직접 인가받아 상기 버스바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제어회로;
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과전압 보호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는
상기 버스바와 병렬로 연결되고 기설정된 정방향 임계전압보다 낮은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과전압 보호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오드는
상기 버스바와 병렬로 연결되고 기설정된 역방향 임계전압보다 낮은 턴온 전압(Turn on voltage)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과전압 보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제어회로는
모니터링된 버스바의 양단 간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버스바의 이상을 경고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과전압 보호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3183A KR101665003B1 (ko) | 2014-12-04 | 2014-12-04 |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3183A KR101665003B1 (ko) | 2014-12-04 | 2014-12-04 |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7599A KR20160067599A (ko) | 2016-06-14 |
KR101665003B1 true KR101665003B1 (ko) | 2016-10-11 |
Family
ID=5619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3183A Active KR101665003B1 (ko) | 2014-12-04 | 2014-12-04 |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500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7794A (ko) | 2017-09-29 | 2019-04-08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US12181528B2 (en) | 2021-01-21 | 2024-12-31 | Lg Energy Solution, Ltd. | Busbar diagnosis device, battery pack, energy storage system, and busbar diagnosis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8245B1 (ko) * | 2017-02-06 | 2022-05-13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을 사용한 버스바 개방 여부 감지 방법 |
CN109444751B (zh) * | 2018-12-27 | 2024-12-10 | 江苏南自通华智慧能源股份有限公司 | 一种蓄电池单体断裂在线支撑装置及方法 |
CN110311441B (zh) * | 2019-07-11 | 2024-05-03 | 深圳市亿道信息股份有限公司 | 一种适用于计算机设备的双电池电路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7564B1 (ko) * | 2010-08-16 | 2013-01-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JP2013182879A (ja) * | 2012-03-05 | 2013-09-12 | Yazaki Corp | 電子部品の接続構造 |
KR20140055065A (ko) * | 2012-10-30 | 2014-05-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12-04 KR KR1020140173183A patent/KR101665003B1/ko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7794A (ko) | 2017-09-29 | 2019-04-08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US12181528B2 (en) | 2021-01-21 | 2024-12-31 | Lg Energy Solution, Ltd. | Busbar diagnosis device, battery pack, energy storage system, and busbar diagnosis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7599A (ko) | 2016-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37460B (zh) | 电池管理系统及其切换方法 | |
JP5677261B2 (ja) | 蓄電システム | |
CN104512274B (zh) | 电动车辆电力转换系统 | |
KR101655377B1 (ko) |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65003B1 (ko) |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 |
US20140240872A1 (en) | Power-supply unit | |
KR101601721B1 (ko) |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 |
KR101628942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CN209167457U (zh) | 使用电压分布的熔丝诊断装置 | |
KR101610921B1 (ko) | 선택적 스위칭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 |
JP2011004556A (ja) | 車両用電源装置 | |
KR20140143625A (ko) | 접속 실패를 감지할 수 있는 고전압 인터로크 루프 감시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 |
KR20130033196A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관리 방법 | |
CN112782611A (zh) | 具有泄漏电流检测功能的bms半导体装置及检测方法 | |
US20160185340A1 (en) | Operation mode contro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movable body, output control device, charge discharge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KR101856068B1 (ko) | 배터리 팩 전압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 |
KR20160071207A (ko) | 배터리 셀의 과충전 보호 장치 및 방법 | |
KR101948102B1 (ko) | 배터리 역전압 보호 장치 | |
KR101673249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US11702060B2 (en) | Power relay assembly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power relay assembly | |
KR101628858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856067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센싱 정밀도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20160067600A (ko) | 배터리 셀 과충전 보호 장치 및 방법 | |
KR101619477B1 (ko) | 발진기를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 |
KR101887441B1 (ko) | 배터리 셀의 과충전 보호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