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377B1 -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5377B1 KR101655377B1 KR1020140174374A KR20140174374A KR101655377B1 KR 101655377 B1 KR101655377 B1 KR 101655377B1 KR 1020140174374 A KR1020140174374 A KR 1020140174374A KR 20140174374 A KR20140174374 A KR 20140174374A KR 101655377 B1 KR101655377 B1 KR 101655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voltage
- battery
- battery module
- measu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02 gaso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95 fue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배터리 버스바와 고장 진단 장치 간의 연결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0: 배터리 팩
11, 12, 13: 배터리 모듈
20: 차량 전자 장치
30: 배터리 제어장치
31, 32: MCU
33: BCU
200: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201: 제1 배터리 모듈
202: 제2 배터리 모듈
203: 버스바
210: 배터리 제어 장치
211: 측정부
212: 진단부
213: 저장부
220: 고장 진단 장치
221: 측정부
222: 제어부
223: 저장부
Claims (19)
-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 중 2개의 배터리 모듈 사이를 직렬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중 대응하는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과 상기 대응하는 버스바의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 사이에 걸린 전압을 버스바 전압으로 측정하고, 상기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의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버스바 전압 및 상기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셀의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바의 고장을 진단하는 진단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 및 상기 버스바의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에 각각 연결된 필터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필터 회로를 통해 상기 버스바의 양단 간에 걸린 전압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버스바 전압을 측정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된 버스바 전압 및 상기 측정된 전류로부터 버스바 저항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버스바 저항이 기설정된 저항 범위에 포함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바의 고장을 진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충방전 상태인 경우, 상기 측정된 버스바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버스바를 고장으로 진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계기판에 버스바 경고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버스바의 고장 진단 결과를 상기 버스바 경고등을 통해 표시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 중 2개의 배터리 모듈 사이를 직렬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중 대응하는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과 상기 대응하는 버스바의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 사이에 걸린 버스바의 제1 전압을 미리 설정된 초기 시점에 측정하고, 상기 버스바의 제2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버스바의 제1 전압과 상기 주기적으로 측정된 버스바의 제2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버스바의 고장을 진단하는 진단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 및 상기 버스바의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에 각각 연결된 필터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필터 회로를 통해 상기 버스바의 양단 간에 걸린 전압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버스바 전압을 측정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버스바의 제1 전압을 미리 설정된 초기 시점에 측정하고, 상기 버스바의 제2 전압을 차량의 시동 시점, 상기 대응하는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충전 시점 및 방전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마다 측정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충방전 상태인 경우, 상기 버스바의 제1 전압과 상기 버스바의 제2 전압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버스바를 고장으로 진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차량의 계기판에 버스바 경고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버스바의 고장 진단 결과를 상기 버스바 경고등을 통해 표시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 중 2개의 배터리 모듈 사이를 직렬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중 대응하는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과 상기 대응하는 버스바의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 사이에 걸린 버스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의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버스바 전압 및 상기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셀의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바의 고장을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 및 상기 버스바의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에 각각 연결된 필터 회로를 통해 상기 버스바의 양단 간에 걸린 전압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바의 양단 간에 걸린 전압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전압으로부터 버스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고장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버스바 전압 및 상기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버스바 저항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버스바 저항이 기설정된 저항 범위에 포함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바의 고장을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방법. -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 중 2개의 배터리 모듈 사이를 직렬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중 대응하는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상위 단과 상기 대응하는 버스바의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최하위 단 사이에 걸린 버스바의 제1 전압을 미리 설정된 초기 시점에 측정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의 제2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바의 제1 전압과 상기 주기적으로 측정된 버스바의 제2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버스바의 고장을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방법. - 삭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제2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는
차량의 시동 시점, 상기 대응하는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충전 시점 및 방전 시점마다 상기 버스바의 제2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고장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바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충방전 상태인 경우, 상기 버스바의 제1 전압과 상기 버스바의 제2 전압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버스바를 고장으로 진단하는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374A KR101655377B1 (ko) | 2014-12-05 | 2014-12-05 |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374A KR101655377B1 (ko) | 2014-12-05 | 2014-12-05 |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8522A KR20160068522A (ko) | 2016-06-15 |
KR101655377B1 true KR101655377B1 (ko) | 2016-09-07 |
Family
ID=5613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4374A Active KR101655377B1 (ko) | 2014-12-05 | 2014-12-05 |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537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5708A (ko) | 2017-12-04 | 2019-06-1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 연결 진단 장치 |
US10978751B2 (en) | 2019-03-13 | 2021-04-13 | Lg Chem, Ltd. | Battery system |
WO2022075636A1 (ko) * | 2020-10-06 | 2022-04-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장치 및 셀 전압 측정 방법 |
KR20220048213A (ko) * | 2020-10-12 | 2022-04-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연결 상태 진단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8105B1 (ko) * | 2018-01-15 | 2022-01-0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버스바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US11703547B2 (en) * | 2018-04-03 | 2023-07-18 |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 Software-configurable batter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
KR102627843B1 (ko) * | 2018-09-10 | 2024-01-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관리 장치 |
KR102718122B1 (ko) | 2019-05-02 | 2024-10-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도체의 불량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배터리 팩 |
KR20220105949A (ko) | 2021-01-21 | 2022-07-2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버스바 진단 장치, 배터리 팩,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버스바 진단 방법 |
KR102303215B1 (ko) * | 2021-07-02 | 2021-09-16 | 엔비에스랩(주) | 배터리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
KR20250074919A (ko) * | 2023-11-21 | 2025-05-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접촉 불량 검출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1322B1 (ko) * | 2010-11-02 | 2017-05-0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배터리의 교환 시기 통보 장치 및 방법 |
KR20140055065A (ko) * | 2012-10-30 | 2014-05-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12-05 KR KR1020140174374A patent/KR101655377B1/ko active Active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5708A (ko) | 2017-12-04 | 2019-06-1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 연결 진단 장치 |
US10978751B2 (en) | 2019-03-13 | 2021-04-13 | Lg Chem, Ltd. | Battery system |
WO2022075636A1 (ko) * | 2020-10-06 | 2022-04-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장치 및 셀 전압 측정 방법 |
US12111365B2 (en) | 2020-10-06 | 2024-10-08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ell voltage |
KR20220048213A (ko) * | 2020-10-12 | 2022-04-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연결 상태 진단 방법 |
WO2022080692A1 (ko) * | 2020-10-12 | 2022-04-2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연결 상태 진단 방법 |
EP4067922A4 (en) * | 2020-10-12 | 2023-06-28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apparatus,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connection status |
KR102807492B1 (ko) | 2020-10-12 | 2025-05-1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연결 상태 진단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8522A (ko) | 2016-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5377B1 (ko) |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JP5301657B2 (ja) | 蓄電装置 | |
CN107923942B (zh) | 用于监测电池组中的多个电池单体的状态的方法 | |
KR101628942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826645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방법 | |
CN104053978B (zh) | 符合标准的集成数据采集设备 | |
KR101887442B1 (ko) | 절연 저항 측정 회로 진단 장치 | |
KR101610921B1 (ko) | 선택적 스위칭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 |
US11175341B2 (en) | Method and arrangment for classifying a voltage fault condition in an electrical storage system | |
KR101735739B1 (ko) | 누설 전류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19483B1 (ko) | 배터리 전압 측정회로의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
WO2015185070A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battery cells | |
US11130406B2 (en) | Integrated standard-compliant data acquisition device | |
KR101610908B1 (ko) | 배터리 전압 측정회로의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665003B1 (ko) |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 |
KR101856068B1 (ko) | 배터리 팩 전압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 |
KR101673249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735734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744713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방법 | |
KR101628858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47693B1 (ko) | 풀다운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856067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센싱 정밀도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887440B1 (ko) | 교류 신호를 이용한 센싱 와이어 오픈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28847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28859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셀 진단 회로 및 진단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