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4769B1 -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769B1
KR101664769B1 KR1020160041165A KR20160041165A KR101664769B1 KR 101664769 B1 KR101664769 B1 KR 101664769B1 KR 1020160041165 A KR1020160041165 A KR 1020160041165A KR 20160041165 A KR20160041165 A KR 20160041165A KR 101664769 B1 KR101664769 B1 KR 101664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dimethicone
oil
crosspolymer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성
송영숙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41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7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왁스 겔을 포함하는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은 분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주름 부위에서 빛의 난반사를 일으키고 피부의 주름 부위를 효과적으로 메워 일시적으로 주름을 은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체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도포 시 사용감이 우수하고 백탁 현상이 없으며 피부와의 밀착력이 장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ncealing wrinkles}
본 발명은 오일 왁스 겔을 포함하는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품은 주름을 발생시키는 인자에 작용하여 근본적으로 주름을 없애는 기능성 화장품과 분체를 이용하여 주름 부위를 메우고 주름 부위에서 빛을 난반사 하여 일시적으로 주름 은폐효과를 갖는 화장품으로 나눌 수 있다.
주름 부위에서 난반사를 일으켜 일시적으로 주름을 가리는 화장품의 경우 과량의 분체가 첨가되어 무겁고 뻣뻣한 사용감을 가지게 되고 피부에 도포 시 백탁 현상을 유발하므로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분체가 가지고 있는 흡습, 흡유 성질 때문에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피부와 밀착력이 떨어져 피부 위에서 뭉치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빛의 난반사 원리는 다음과 같다. 빛이 어떤 물질에 조사되었을 때, 일부는 빛은 표면에서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되게 되는데 이때 물질의 굴절률에 따라 빛은 특정 각도로 굴절되어 투과되게 된다. 아주 작은 입자의 결합으로 되어있는 물질에 빛이 조사되었을 경우 표면에 위치한 입자에서 빛의 일부는 반사되고 나머지는 특정 각도로 굴절되어 투과되게 된다. 투과된 빛은 내부의 두 번째 입자의 표면에서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데, 물질의 굴절률과 내부 입자 구조에 따라 두 번째 입자 표면에서 반사된 빛은 첫 번째 입자에서 반사된 빛과 다른 각도로 반사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내부에 위치한 입자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되면서 반사된 빛들이 각각의 다른 각도로 반사되어 최종적으로 빛을 난반사하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69775(2015.11.11) 한국 등록특허공보 특1991-0003076(1991.05.18)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주름 부위에서 빛의 난반사를 일으켜 주름을 은폐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제1 실리콘 오일로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내지 80 중량부; 및 제1왁스로서 세레신 왁스 3.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오일 왁스 겔을 포함하고, 경도는 100 내지 4000 dyn/cm2 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빛의 난반사는 빛들이 각각의 다른 각도로 반사되어 시각적 은폐 효과를 보일 수 있는 빛의 반사 형태이며, 빛의 정반사는 평행하게 진행하던 빛이 반사 후에도 평행하게 진행하여 시각적 은폐 효과에 반하는 빛의 반사 형태이다. 일시적 주름 은폐 효과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빛의 난반사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조성 및 3차원적 구조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기존 일시적 주름 은폐 효과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분체를 사용하여 이러한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분체의 사용은 피부 도포 시 사용감이 떨어지고 백탁 현상이 발생하며 장시간 사용시 피부와의 밀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오일 왁스 겔은 유동성 오일과 결정성 고상 오일로 구성된 유성 고형(oily solid)을 의미한다(I. Takeo, N. Koichi, and S. Masashi, Colloids and Surfaces A, 194, 233, 2001). 보다 구체적으로, 오일 왁스 겔은 미세한 왁스 결정이 결합되어 형성한 3차원의 구조 내에 오일이 둘러싸여 형성한 겔이다. 이러한 오일 왁스 겔은 오일의 종류 및 왁스가 형성하는 3차원 구조의 형태에 따라 경도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빛의 반사 형태와 같은 광학적 특성도 달라질 수 있다. 왁스가 형성하는 3차원적 구조는 오일과 왁스의 배합비 및/또는 왁스의 종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분체를 함유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빛의 난반사를 유도할 수 있는 오일 왁스 겔을 형성하여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오일로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내지 80 중량부 및 왁스로서 세레신 왁스 3.0 내지 20 중량부를 배합하여 오일 왁스 겔을 형성할 경우 오일 왁스 겔 내의 왁스 입자가 빛의 난반사를 효과적으로 일으켜 주름 부위에 도포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주름을 은폐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경도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름으로 인한 피부의 요철을 메워 주름 은폐 효과를 달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이다. 본 발명에서는 오일 왁스 겔의 경도가 100 내지 4000 dyn/cm2 일 때 피부에 대한 도포감이 우수하여 주름 부위를 효과적으로 메울 수 있고 주름 은폐 효과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분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주름 부위에서 빛의 난반사를 일으키고 피부의 주름 부위를 효과적으로 메워 일시적으로 주름을 은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체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도포 시 사용감이 우수하고 백탁 현상이 없으며 피부와의 밀착력이 장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실리콘 오일로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내지 80 중량부 및 제1 왁스로서 세레신 왁스 3.0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고 경도는 100 내지 4000 dyn/cm2 인 오일 왁스 겔을 포함하는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은 실리콘 오일의 일종으로 IUPAC명은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 pentasiloxane)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세레신 왁스(ceresin wax)"는 지랍을 정제하여 얻은 흰색 또는 노란색을 띠는 왁스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클로펜타실록산과 세레신 왁스를 20 내지 80 중량부 : 3.0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빛의 난반사를 유발하는 오일 왁스 겔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함량비를 벗어나면 빛의 난반사가 감소하여 주름 은폐 효과가 미비하거나 피부 도포에 적합한 경도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세레신 왁스 3.0 내지 20 중량부에 대하여 사이클로 펜타실록산의 함량은 20 내지 80 중량부, 구체적으로 35 내지 5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40 내지 55 중량부, 더더욱 구체적으로 45 내지 50.5 중량부일 수 있다. 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일 왁스 겔이 완전히 무너져 주름 은폐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제형 안정성이 매우 감소한다. 또한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도가 너무 높아 피부에 도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내지 80 중량부에 대하여 세레신 왁스의 함량은 3.0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 5 내지 18.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7.5 내지 15 중량부, 더더욱 구체적으로 7.5 내지 12.5 중량부일 수 있다. 3.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오일 왁스 겔이 완전히 무너져 주름 은폐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제형 안정성이 매우 감소한다. 또한,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도가 너무 높아 피부에 도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경도 범위는 주름 은폐 효과 발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름 은폐 효과와 도포성을 고려한 적절한 경도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100 내지 4000 dyn/cm2,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500 dyn/cm2,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2000 dyn/cm2,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1200 dyn/cm2,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 dyn/cm2 일 수 있다. 상기 경도를 벗어날 경우, 구체적으로 경도가 4000 dyn/cm2 를 초과할 경우 무겁고 뻣뻣해져 피부에 바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도가 100 dyn/cm2 미만일 경우 성상 분리 및 사용감 저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 왁스 겔은 제1 실리콘 오일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외의 제2 실리콘 오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리콘 오일은 오일 왁스 겔의 빛의 난반사 정도(이에 따른 주름 은폐 효과 포함) 및/또는 경도를 조절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외의 실리콘 오일은 전체 오일 왁스 겔의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이클로펜테실록산 및 세레신 왁스에 의한 주름 은폐 효과가 저해되고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 왁스 겔은 제1 왁스인 세레신 왁스 이외의 제2 왁스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2 왁스는 오일 왁스 겔의 빛의 난반사 정도(이에 따른 주름 은폐 효과 포함) 및/또는 경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레신 왁스 이외의 제2 왁스는 전체 오일 왁스 겔의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이클로펜테실록산 및 세레신 왁스에 의한 주름 은폐 효과가 저해되고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제2 왁스는 파라핀 왁스, 바셀린 왁스, 석유 왁스, 오조케라이트(ozokerite), 몬탄 왁스 및 미세결정형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네랄 왁스; 밀랍, 라놀린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물성 왁스; 칸델릴라, 오리큐리 (ouricurry), 카르나우바 왁스, 저팬 왁스, 코코아 버터, 코르크 섬유 및 사탕수수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성 왁스; 25℃에서 고형인 수소화 오일; 지방에스테르 및 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왁스 및 피셔-트롭시(Fischer-Tropsch) 합성으로 얻은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왁스; 및 실리콘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 왁스 겔은 에몰리언트 (emolient)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는 오일 왁스 겔의 사용감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는 전체 오일 왁스 겔의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몰리언트는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스터오일 및 하이드로카본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로는 C8-12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C12-18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라우릭트리글리세라이드, C10-40이소알킬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및 C10-18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스터오일로는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에틸헥사노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오일로는 유동파라핀(리퀴드 파라핀, 미네랄오일), 파라핀,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스쿠알라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 왁스 겔은 실리콘 엘라스터머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터머는 오일 왁스 겔의 사용감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터머는 전체 오일 왁스 겔의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터머는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코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및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고형, O/W 에멀젼, W/O 에멀젼, W/O/W 에멀젼, O/W/O 에멀젼 또는 수분산액으로 제형화된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O/W 에멀젼을 형성하는 유상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90 중량%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상은 본 발명의 오일 왁스 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으로의 제형화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유상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그 종류와 함량에 따라 유화입자의 크기, 유화의 안정성 및 사용감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합성 계면활성제 또는 천연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세테아레스-20, 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85,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피이지피피지코폴리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기적으로 개질된 유기폴리실록산으로 디메티콘 코폴리올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폴리실록산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사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사슬, 이러한 사슬의 혼합물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두로부터 유래된 부분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사슬을 포함하도록 개질된 폴리다이메틸 실록산; 또는 C2-C30 펜던트 측쇄를 포함하는 알킬-개질 디메티콘 코폴리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과 기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펜던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혼합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혼합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유기베타인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카르복실레이트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4차 암모늄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펜던트 C2-C30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부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들의 추가의 변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밖에,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은 라우릴 디메티콘 코폴리올, 라우릴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디메티콘 코폴리올 아세테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아디페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아민, 디메티콘 코폴리올 베헤네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부틸에테르, 디메티콘 코폴리올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라우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메틸 에테르, 디메티콘 코폴리올 포스페이트 또는 디메티콘 코폴리올 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팔미테이트,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칼륨 라우릴 술페이트, POE-라우릴 술페이트의 트리에탄올아민염, 소듐 POE-라우릴 술페이트, 소듐 라우로일사르코신, 소듐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 소듐 N-코코일-N-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로일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POE-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POE-스테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디-2-에틸헥실 술포숙시네이트, 소듐 모노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 소듐 라우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술포숙시네이트, 소듐 선형 도데실젠술포네이트, 소듐 선형 도데실젠술포네이트, 모노소듐 N-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 N-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모노소듐 N-미리스토일-L-글루타메이트, 경화된 코코넛유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 에테르 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 에테르 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술폰산염, 2차 알코올 술페이트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롤아미드 술페이트 에스테르염, 소듐 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도숙시네이트, N-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 디-트리에탄올아민염 또는 소듐 카세이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테트라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또는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쪽성 계면 활성제는 소듐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 디소듐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 히드록시드-1-카르복시에틸옥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알킬 베타인, 아미드 베타인 또는 술포베타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은폐용 화장품에서, W/O 에멀젼을 형성하는 수상은 화장료의 청량감 및 수분감 개선을 위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9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상은 피부 보습이나 영양, 사용감, 저온안정성 또는 효능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용성 원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 폴리올, 고분자(Polymer) 화합물, 우레아, 보습제 또는 카보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은 보습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메칠프로판디올, 솔비톨,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폴리부틸렌글라이콜-10,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4, 폴리글리세린-6, 폴리글리세린-10, 폴리글리세린-20, 폴리글리세린-40, 소르베스-5, 소르베스-6, 소르베스-20, 소르베스-30, 소르베스-40, 이노시톨, 말티톨, 말토스, 만난, 만니톨, 만노스, 락티톨, 락토스,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G-글루코사이드, 디치아옥탄디올, 프룩토오스, 글루카민, 메칠글루카민, 글루코스, 1,2,6-헥산치올, 메칠글루세스-10, 메칠글루세스-20, 오조니즈드글리세린, 피탄트리올, 치오글리세린, 트레이톨, 트리메칠올프로판 또는 자일리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향료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전체 화장품의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1.0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은 분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주름 부위에서 빛의 난반사를 일으키고 피부의 주름 부위를 효과적으로 메워 일시적으로 주름을 은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체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도포 시 사용감이 우수하고 백탁 현상이 없으며 피부와의 밀착력이 장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왁스 겔의 적용에 따른, 주름 깊이의 변화(주름 은폐 효과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왁스 겔의 적용에 따른, 주름 개수의 변화(주름 은폐 효과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왁스 겔의 적용에 따른, 주름 길이의 변화(주름 은폐 효과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왁스 겔의 적용에 따른, 거칠기의 변화(주름 은폐 효과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오일 왁스 겔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비와 같이 혼합한 후, 80℃로 가열 용해 시키고 상온까지 굳혀 오일 왁스 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1.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5 50 40 57.5 30
2.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에스터오일)
10 10 10 10 10
3. 디메치콘,폴리실리콘-11 20 20 20 20 20
4.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터머)
10 10 10 10 10
5. 세레신왁스 5 10 20 2.5 30
상기 3번은 디메치콘(실리콘 오일) 및 폴리실리콘-11(실리콘 엘라스터머)을 82:18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오일 왁스 겔의 경도 측정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오일 왁스 겔에 대하여 경도(hardness)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경도는 Rheotec Co사의 Fudoh Rheometer RT-3005D 모델로 아답타 #3을 사용하여 작동 속도는 2 cm/min으로 시료 2mm 깊이까지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5회 측정 후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경도(dyn/cm2) 410 920 2790 90 4790
그 결과, 비교예 1은 세레신 왁스를 2.5중량부 사용하여 경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2는 세레신 왁스를 과량(30중량부) 사용하여 경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실험예 2: 오일 왁스 겔의 주름 은폐 효과 관찰
20~30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오일 왁스 겔을 3회 이상 사용하게 한 후, 각 조성물의 주름 은폐 효과를 평가하였다. 양호하다고 평가한 사람수/불량하다고 평가한 사람 수의 비율로 다음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 (20/0~16/4)
- △: (15/5~5/15)
- X: (4/16~0/20)
그 결과,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은폐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비로 제조한 오일 왁스 겔은 피부에 도포했을 때 주름으로 인한 피부 요철을 효과적으로 메우면서 주름 은폐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조성비로 제조한 오일 왁스 겔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에서 오일 왁스 겔이 완전히 무너지면서 주름 은폐 효과를 체감할 수 없었다. 비교예 2의 조성비로부터 얻어진 오일 왁스 겔의 경우에는 경도가 너무 높아 피부에 도포할 수 없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은폐 효과 여부 X X
은폐 효과 수준 적합 가장 적합 적합 효과없음 경도 너무 높음
실험예 3: 영상 분석을 통한 주름 은폐 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비로 제조한 오일 왁스 겔을 성인 남, 녀 7명의 눈가에 도포하고 PRIMOS lite(GFM)으로 영상 분석을 통하여 주름 은폐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주름 깊이, 주름 길이, 주름 개수 및 거칠기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시예 2의 오일 왁스 겔이 주름 깊이, 주름 개수, 주름 길이, 거칠기 항목에서 모두 주름 은폐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제1 실리콘 오일로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내지 80 중량부; 및 제1 왁스로서 세레신 왁스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오일 왁스 겔을 포함하고, 분체를 포함하지 않으며, 경도는 100 내지 4000 dyn/cm2 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왁스 겔은 제2 실리콘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리콘 오일은 전체 오일 왁스 겔의 중량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왁스 겔은 제2 왁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왁스는 파라핀 왁스, 바셀린 왁스, 석유 왁스, 오조케라이트(ozokerite), 몬탄 왁스 및 미세결정형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네랄 왁스; 밀랍 및 라놀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물성 왁스; 칸델릴라, 오리큐리 (ouricurry), 카르나우바 왁스, 저팬 왁스, 코코아 버터, 코르크 섬유 및 사탕수수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성 왁스; 25℃에서 고형인 수소화 오일; 지방에스테르 및 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왁스 및 피셔-트롭시(Fischer-Tropsch) 합성으로 얻은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왁스; 및 실리콘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왁스인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왁스는 전체 오일 왁스 겔의 중량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왁스 겔은 에몰리언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몰리언트는 전체 오일 왁스 겔의 중량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몰리언트는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스터오일 및 하이드로카본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왁스 겔은 실리콘 엘라스터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터머는 전체 오일 왁스 겔의 중량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터머는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코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및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고형, O/W 에멀젼, W/O 에멀젼, W/O/W 에멀젼, O/W/O 에멀젼 또는 수분산액으로 제형화된 것인, 주름 은폐용 화장품.
KR1020160041165A 2016-04-04 2016-04-04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166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165A KR101664769B1 (ko) 2016-04-04 2016-04-04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165A KR101664769B1 (ko) 2016-04-04 2016-04-04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412A Division KR101984277B1 (ko) 2016-09-23 2016-09-23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769B1 true KR101664769B1 (ko) 2016-10-13

Family

ID=5717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165A Active KR101664769B1 (ko) 2016-04-04 2016-04-04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7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981A1 (ko) * 2016-04-04 2017-10-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3278B1 (ko) * 2019-03-18 2019-07-24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일시적 피부 주름가림용 실리콘탄성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8246B1 (ko) * 2020-12-30 2021-10-28 한국콜마주식회사 실리콘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0517B1 (ko) * 2020-12-30 2021-11-03 한국콜마주식회사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076A (ko) 1988-07-22 1991-02-26 삐에르 오벨 연소 가스의 가열에 의한 가솔린의 저압 개질 방법 및 장치
US20060159716A1 (en) * 2004-12-17 2006-07-20 Agnes Themens Cosmetic emulsion comprising solid particles, method for preparing cosmetic emulsion, and method of using cosmetic emulsion
KR20140004861A (ko) * 2012-07-03 2014-01-14 한국콜마주식회사 휘발성 오일 및 실리콘 레진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0177A (ko) * 2014-03-24 2015-10-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569775B1 (ko) 2009-10-01 2015-1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중유형 크림 타입의 필러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076A (ko) 1988-07-22 1991-02-26 삐에르 오벨 연소 가스의 가열에 의한 가솔린의 저압 개질 방법 및 장치
US20060159716A1 (en) * 2004-12-17 2006-07-20 Agnes Themens Cosmetic emulsion comprising solid particles, method for preparing cosmetic emulsion, and method of using cosmetic emulsion
KR101569775B1 (ko) 2009-10-01 2015-1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중유형 크림 타입의 필러 화장료 조성물
KR20140004861A (ko) * 2012-07-03 2014-01-14 한국콜마주식회사 휘발성 오일 및 실리콘 레진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0177A (ko) * 2014-03-24 2015-10-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981A1 (ko) * 2016-04-04 2017-10-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US11058614B2 (en) 2016-04-04 2021-07-1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s concealing wrinkles
US11504308B2 (en) 2016-04-04 2022-11-22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s concealing wrinkles
KR102003278B1 (ko) * 2019-03-18 2019-07-24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일시적 피부 주름가림용 실리콘탄성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8246B1 (ko) * 2020-12-30 2021-10-28 한국콜마주식회사 실리콘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0517B1 (ko) * 2020-12-30 2021-11-03 한국콜마주식회사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877B1 (ko)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JP3993505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1664769B1 (ko)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530456A (ja) 安定した高内相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組成物
CN108697625B (zh) 水性化妆品组合物
JP2014037441A (ja) プロピルフェニルシルセスキオキサン樹脂を含む化粧用組成物および化粧品として許容可能な芳香族溶媒
RU2576613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эмульсия типа вода-в-масле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KR101338518B1 (ko)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JP6600455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1984277B1 (ko)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JP6741836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TWI725002B (zh) 水中油型紫外線防禦化妝料
JPH10510288A (ja) スキンケア組成物
KR101719174B1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5137263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6935202B2 (ja) 油中水型日焼け止め料
JP5635223B2 (ja) エステティック施術に好適な皮膚外用剤
KR20250037620A (ko) 오일의 굴절률을 이용한 광택감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WO2024142846A1 (ja) 化粧料組成物
KR20210039821A (ko)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2022134380A (ja) 二相組成物
JP2006188516A (ja) 2相組成物および化粧品におけるその使用
WO2025105449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21155371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1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