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1386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386B1
KR101661386B1 KR1020137031776A KR20137031776A KR101661386B1 KR 101661386 B1 KR101661386 B1 KR 101661386B1 KR 1020137031776 A KR1020137031776 A KR 1020137031776A KR 20137031776 A KR20137031776 A KR 20137031776A KR 101661386 B1 KR101661386 B1 KR 10166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sheet
absorbent article
sheet
width direction
layer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367A (ko
Inventor
준 구도
유지 다카하시
마리 야스이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7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3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0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the permeability gradient be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 이면 시트(20) 및 흡수체(30)를 가지며, 표면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에는, 액투과성의 상층 시트(70)가 접합되어 있다. 상층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W)에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상층 시트의 폭방향에서의 양단부에는, 표면 시트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은 비접합 영역(S1)이 설치되어 있다. 비접합 영역의 주위에는, 적어도 표면 시트 및 흡수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배설구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유지성을 높일 수 있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대에 있어서, 표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세컨드 시트를 갖는 생리대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세컨드 시트는, 구멍이 있는 부직포 또는 메쉬형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표면 시트를 통과한 체액을 조속히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4880호 공보(제4페이지, 도 2 등)
그러나, 출원인은, 전술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발견했다.
생리대에 있어서 흡수되는 경혈은, 땀 등의 체액과 비교하여 점성이 높다. 이러한 비교적 점성이 높은 체액은, 섬유 등이 밀집한 밀도가 높은 부분보다, 섬유의 간극 등의 공극 부분에 유지되기 쉽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세컨드 시트는, 표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세컨드 시트의 공극 부분이 감소한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 체액의 양이 줄어서, 한번에 다량의 체액이 배출되면 체액이 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점성이 높은 경혈 등의 체액의 유지성을 높여,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표면 시트(10)),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이면 시트(20))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흡수체(30))를 갖는 흡수성 물품(흡수성 물품(1))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에는, 액투과성의 상층 시트(상층 시트(70))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상층 시트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폭방향(W))에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길이 방향(L))을 따라서 배치되고, 또한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설구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중앙 영역(A3))을 갖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상층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상층 압착부(상층 압착부(71))가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흡수체 압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체 압착부는, 상기 상층 시트보다 폭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길이 방향 압착부(길이 방향 압착부(81))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A-A 단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B-B 단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예컨대, 생리대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밤용의 생리대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쪽이 길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한쌍의 윙부 사이의 영역은,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배설구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며, 그 영역보다 전측이 전측 영역이 되고, 그 영역보다 후측이 후측 영역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밤용의 생리대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낮용의 생리대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낮용의 생리대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대와 비교하여, 후측 영역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다. 예컨대, 낮용의 생리대의 후측 영역의 길이는, 전측 영역과 대략 동일한 길이가 된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 시트(10)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흡수체(30)를 갖는다.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체(30)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 및 폭방향(W)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표면 시트(10)의 피부 접촉면측에는, 액투과성의 상층 시트가 접합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은, 도 1에 나타내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에 직교하는 폭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30)의 외측에 설치되는 윙부(43, 44)를 구비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폭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30)의 외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시트(41, 42)를 구비한다.
표면 시트(10)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액투과성의 시트이다. 표면 시트(10)는, 적어도 흡수체(30)의 표면을 덮는다. 표면 시트(10)는, 부직포, 직포,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 메쉬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형의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표면 시트(1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착용시에 위화감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20)는, 불투액성이자 투습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한 것을 연신 처리한 미다공성 시트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펄프를 포함한다. 흡수체(30)는,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 가능한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레이드법에 의해서 적층하여 형성되어도 좋고,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레이드법에 의해서 시트형으로 성형한 에어레이드 시트이어도 좋고, 티슈(예컨대, 단위 중량 15 g/m2) 상에 고흡수 폴리머를 혼입한 분쇄 펄프를 배치하고, 티슈로 싸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30)는, 면형 펄프나 합성 펄프 등을 평량 100∼300 g/m2 정도로 적층한 펄프(8)를 보호지(도시하지 않음)로 싸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30)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코어부(31)(예컨대, 도 3 참조)의 두께는, 폭방향에서의 양 측부의 두께보다 두껍다. 또한, 흡수체(30)는, 전면이 거의 균일한 두께이어도 좋고, 비균일한 두께이어도 좋다. 보호지는, 펄프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예컨대 크레이프지나 티슈페이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며, 이면 시트(20)보다 대략 한단계 정도 작다. 흡수체(30)의 폭방향(W)의 길이는, 성인 여성의 고간격(股間隔)에 대응하고 있으며, 대략 50∼80 mm이다. 흡수체(30)는, 핫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이면 시트(20)에 접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0)는, 핫멜트 접착제(60)에 의해서 접착되어 있다(도 3 참조).
코어부(31)는, 적어도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설치된다.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이란,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중심이다. 예컨대, 윙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윙부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배설구 접촉 영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된다. 또, 윙부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체의 폭방향의 길이 치수가 가장 짧은 위치가, 배설구 접촉 영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된다. 배설구 접촉 영역은, 착용자의 고간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포함되고 있고,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한다.
사이드 시트(41, 42)는, 표면 시트(10)의 양측에 배치된다. 사이드 시트(41, 42)는, 표면 시트(10)와 동일한 재료에서 선택할 수 있다. 단, 사이드 시트(41, 42)를 타고 넘어 흡수성 물품(1) 외측으로 경혈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41, 42)는, 흡수체(30)의 측가장자리의 일부 및 윙부(43, 44)를 덮는다.
흡수성 물품(1)에서는, 표면 시트(10), 사이드 시트(41, 42) 및 이면 시트(20)의 둘레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흡수체(30)가 내측에 밀봉된다.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의 접합 방법으로는, 히트엠보스 가공, 초음파, 또는 핫멜트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면 시트(20)에 있어서, 속옷과 접촉하는 표면에는, 복수의 영역에 있어서 점착재(50)가 도포되어 있다(도 2 참조). 점착재(50)는, 흡수체의 이면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점착재(50)는, 윙부(43) 및 윙부(44)에 있어서, 속옷과 접촉하는 표면에도 설치되어 있다. 사용전의 상태에서는, 점착재(50)는 박리 시트(90)에 접해 있다. 박리 시트(90)는, 사용전에 점착재(50)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 착용자에 의해서 박리 시트(90)가 박리된다.
또한, 박리 시트(90)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에 의해서 사용전에 점착재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점착재와 포장 시트가 접하는 경우에는, 포장 시트의 표면에는, 점착재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점착재를 박리 가능하게 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시트(70)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액투과성의 시트이다. 상층 시트(70)는, 부직포, 직포,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 메쉬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형의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층 시트(70)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접음선을 기점으로 하여 접혀 있고,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층 시트(70)를 접어서 적층함으로써, 상층 시트(70)의 큰 부피를 유지하고, 상층 시트(70) 내의 공극을 확보할 수 있다. 접힌 상층 시트의 층간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상층 시트(70)의 층간의 핫멜트 접착제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가 소수성인 경우에는, 배설구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상층 시트에 의해서 유지했을 때에, 소수성의 접착 영역을 피하여(접착 영역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체액을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층 시트(70)는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지만, 공극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예컨대 비교적 부피가 큰 시트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반드시 적층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층 시트(70)는, 단위 중량 20 g/m2의 에어스루 부직포이며, 코어가 2.2 dtex의 PET, 시스가 PE인 코어-시스 구조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다. 이 부직포에 대하여 부피 회복 처리(온도 90도에서 10분간 방치)를 하여, 밀도가 0.025 g/cm3가 되도록 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층 시트에 부피 회복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층 시트의 공극을 늘려, 체액의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에어스루 부직포는, 비교적 공극이 많은 부직포이며, 체액의 유지성을 비교적 높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 시트(10)는, 단위 중량 25 g/m2의 에어스루 부직포이며, 코어가 2.2 dtex의 PET, 시스가 PE인 코어-시스 구조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면 시트는, 부피 회복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밀도는 0.055 g/cm3이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10)의 섬유 밀도를 상층 시트의 섬유 밀도보다 높게 구성함으로써, 밀도 구배에 의해서 상층 시트(70)로부터 표면 시트(10)로 체액을 원활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또, 부피 회복 처리에 의해서 상층 시트의 밀도가 저하되는 것에 의해, 표면 시트와의 밀도차를 설정하여, 밀도 구배에 의해 상층 시트로부터 표면 시트로 체액을 원활하게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밀도가 낮은 상층 시트에 의해서 유지한 체액을, 밀도가 높은 표면 시트로 이행시킬 수 있다.
상층 시트(70)는, 표면 시트(10)의 피부 접촉면측에 접합되어 있고,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상층 시트(70)의 길이 방향(L)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고, 상층 시트(70)의 폭방향(W)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의 길이보다 짧고, 흡수체(30)의 폭방향(W)의 길이보다 짧다.
상층 시트(70)는, 표면 시트(10)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 접착 영역(A1)과, 표면 시트(10)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있지 않은 비접착 영역(A2)을 구비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로서, 접착 영역(A1)과 비접착 영역(A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접착 영역(A1)은 사선을 부여한 영역이다. 접착 영역(A1)은, 상층 시트(70)의 폭방향(W)의 중앙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서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상층 시트(70)는,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설구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을 갖고 있다. 배설구 접촉 영역은,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영역이다. 중앙 영역(A3)은,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이면 되며, 중앙 영역(A3)의 중심이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이어도 좋고, 중앙 영역(A3)의 중심과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이 어긋나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제1 길이 방향 압착부(81A)와 제1 폭방향 압착부(82A)의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이 중앙 영역(A3)이 된다.
접착 영역(A1)을 폭방향을 따라서 2열로 설치함으로써, 상층 시트의 폭방향 양단부와, 2열의 접착 영역(A1) 사이에 비접착 영역(A2)을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영역(A1)은, 시트끼리 접착되어 있어, 시트 내의 공극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접착 영역(A1)은, 비접착 영역(A2)에 비해서 체액의 유지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비접착 영역을 배치함으로써,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에서의 체액의 유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접착제가 소수성인 경우에는, 접착 영역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접착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배설구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상층 시트에 의해서 인입한 후, 소수성의 접착 영역을 피하여(접착 영역에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체액을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 영역을 2열로 설치하여 접착 영역 사이에 비접착 영역을 설치하고 있지만, 접착 영역을 1열로 설치해도 좋고, 접착 영역을 3열 이상으로 설치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에는, 적어도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80)는,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압착부(81)와,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폭방향 압착부(82)와, 간헐적으로 복수 형성된 점형 압착부(83)를 갖는다.
길이 방향 압착부(81)는, 상층 시트(70)보다 폭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층 시트(7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 압착부(81)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압축되어 있다. 길이 방향 압착부(81)는, 길이 방향(L)을 따라서 2열로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길이 방향 압착부(81A)와, 제1 길이 방향 압착부(81A)보다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2 길이 방향 압착부(81B)를 갖는다.
길이 방향 압착부(81)는, 상층 시트(7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 압착부(81)는, 흡수체(30)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어, 체액 등을 인입하기 쉽다. 따라서, 상층 시트(70)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유지한 체액을 상층 시트(70)의 근방에서 인입할 수 있어, 상층 시트에 의해서 유지한 체액을 신속히 흡수할 수 있다. 또, 길이 방향 압착부(81)보다 폭방향 외측으로의 체액의 확산을 억제하여, 옆으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폭방향 압착부(82)는, 폭방향(W)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상층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에 형성된 폭방향 압착부(82)는, 상층 시트(70),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압축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층 시트(7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 폭방향 압착부(82)는,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압축되어 형성되어 있다. 폭방향 압착부(82)는, 폭방향(W)을 따라서 2열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폭방향 압착부(82A)와, 제1 폭방향 압착부보다 길이 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2 폭방향 압착부(82B)를 갖는다.
길이 방향 압착부(81)는, 길이 방향(L)을 따른 직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길이 방향(L)을 따른 직선과, 길이 방향 압착부(81)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예각측)가 45도 이하인 것으로 한다. 한편, 폭방향 압착부(82)는, 폭방향(W)을 따른 직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폭방향(W)을 따른 직선과, 폭방향 압착부(82)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예각측)가 45도 미만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길이 방향 압착부(81) 및 폭방향 압착부(8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되어 주회(周回)형의 압착부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길이 방향 압착부(81A)와 제1 폭방향 압착부(82A)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2 길이 방향 압착부(81B)와 제2 폭방향 압착부(82B)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길이 방향 압착부 및 폭방향 압착부는, 접속되어 대략 U자형의 압착부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5에 있어서, 길이 방향 압착부와 폭방향 압착부의 경계(X)를 도시한다.
점형 압착부(83)는, 원형상이며, 간헐적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점형 압착부(83)는, 제1 길이 방향 압착부(81A) 및 제1 폭방향 압착부(82A)에 의해서 형성된 주회형의 압착부의 외주이며, 흡수체(30)의 전측 단부와 흡수체(30)의 후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점형 압착부는, 간헐적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으면 되며, 그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별모양, 하드형, 마름모꼴 등이어도 좋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흡수체(30)의 전측 단부와 흡수체(30)의 후측 단부에 있어서, 점형 압착부에 의해서 상층 시트, 표면 시트 및 흡수체가 일체화하여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으로부터 흡수층의 거리가 짧아진다. 착용자로부터 배출되어 후방으로 흐른 체액은, 상층 시트의 공극에서 유지되어, 점형 압착부(83)에 있어서 인입할 수 있다. 점형 압착부(83)는, 점재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 흐르는 체액에 대하여 접촉하기 쉬워, 체액을 인입하기 쉽다.
점형 압착부는,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압착부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압착부보다 딱딱해지기 어렵다. 그러나, 점형 압착부는, 일부의 영역의 강성이 치우쳐서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컨대, 압착부가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하면, 압착부에 의해서 유지되는 체액이 전후방향이나 폭방향으로 확산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점형 압착부(83)는, 흡수체(30)의 전측 단부와 흡수체(30)의 후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어, 체액이 지나치게 확산되면 앞으로 새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점형 압착부는 원형이므로, 유지한 체액의 확산을 억제하여,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압착부(80)는, 상층 시트(70)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는, 상층 시트(70),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층 시트(7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층 시트(70)의 압착부(80)가 형성된 부분은, 압착 가공에 의해서 표면 시트(10)와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층 시트(70)와 표면 시트(10)가 접합되지 않은 비접합 영역(S1)은, 접착제에 의해서 표면 시트(10)와 상층 시트(70)가 접합되지 않은 비접착 영역(A2)이고, 또한, 압착부(8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다. 비접합 영역(S1)은, 도 5에서 도트를 부여한 영역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압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란, 길이 방향에서의 상층 시트에 형성된 압착부 사이의 영역이다. 비접합 영역(S1)은, 접착제에 의해서 표면 시트와 상층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고, 또한 압착부(8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며, 상층 압착부(71)에 의해서 상층 시트와 표면 시트가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층 압착부(71)에 의해서 접합된 부분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압착부(80)는, 적어도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형성되어 있어, 비교적 밀도가 높은 부분이 된다. 상층 시트(70)의 비접합 영역(S1)의 주위에 압착부(80)를 형성함으로써, 상층 시트(70)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유지한 체액을, 비교적 밀도가 높은 압착부에 의해서 인입할 수 있다. 예컨대, 비접합 영역(S1)의 폭방향 외측에 길이 방향 압착부(8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옆으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비접합 영역(S1)의 길이 방향 외측에 폭방향 압착부(8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새는 것 및 둔부에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압착부(80)는, 적어도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형성되어 있어, 비교적 딱딱한 부분이 된다. 상층 시트(70)의 폭방향 외측에 길이 방향 압착부(8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압박되었을 때에 길이 방향 압착부(81)를 기점으로 내측을 향해서 변형되어,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방향 외측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을 장착한 착용자가 양 다리를 모은 상태 등,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 양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힘이 가해진 경우에, 흡수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층 시트(70)에는, 표면 시트(10) 및 상층 시트(7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상층 압착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상층 압착부(71)는,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층 압착부(71)가 형성된 부분은, 표면 시트(10)와 상층 시트(70)가 압축되어 밀착해 있다. 따라서, 상층 압착부(71)를 형성함으로써, 상층 시트(70)로부터 표면 시트(10)로의 체액의 이행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층 시트(70) 중 상층 압착부(71) 이외의 부분에서는 공극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체액의 일시적인 유지를 유지할 수 있다.
상층 압착부(71)는, 길이 방향(L)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이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박되었을 때에, 경사진 상층 압착부(71)를 따라서 접히기 쉬워져, 흡수성 물품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층 압착부의 격자형상은, 폭방향보다 길이 방향이 긴 마름모꼴이므로, 체액이 폭방향으로 확산되기 어려워진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A-A 단면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착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S)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윙부(43, 44)는, 속옷의 이면측으로 되접혀 있다. 도 6b는, 흡수성 물품(1)이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압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이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압박되면, 제1 길이 방향 압착부(81A) 및 제2 길이 방향 압착부(81B)를 기점으로 내측을 향해서 변형된다.
상층 시트(70)는, 흡수체(30)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있어서만 표면 시트(10)에 접합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비접착 영역(A2)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 영역(A1)의 상층 시트(70)는, 표면 시트(10)와 함께 밀어 올려지고, 비접착 영역(A2)의 상층 시트(70)는, 표면 시트(10)와 분리되어, 수평인 상태로 밀어 올려진다. 이와 같이 변형됨으로써, 상층 시트(70)는, 배설구 등 착용자의 신체에 대향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 상층 시트(70)는, 착용자측(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배설구에 상층 시트(70)를 근접하게 할 수 있어, 배설구로부터 배설된 체액을 신속히 상층 시트에 인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흡수성 물품(1)은, 상층 시트(70)보다 폭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층 시트(70)에 인접한 제1 길이 방향 압착부(81A)를 기점으로 하여 폭방향 내측으로 변형되어, 흡수체(30)가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의 외력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을 장착한 착용자가 양 다리를 모은 상태 등,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 양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층 시트(7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길이 방향 압착부(81)는, 적어도 배설구 접촉 영역을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상층 시트를 배치할 수 있다.
상층 시트의 비접합 영역(S1)은, 표면 시트(10)에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박되었을 때에, 표면 시트 등의 변형에 기초하는 상층 시트의 변형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층 시트를 배설구 등 착용자의 신체에 대향한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상층 시트(70)의 길이 방향 압착부측의 단부와, 길이 방향 압착부의 폭방향 외측의 단부의 길이(L1)는, 비접합 영역의 폭방향 길이(L2)보다 길다. 길이(L1)가 길이(L2)보다 긴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이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박되어, 길이 방향 외측 압착부가 폭방향에서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층 시트(70)보다 폭방향 외측에 길이 방향 압착부(81)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층 시트(70)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유지한 체액을 길이 방향 압착부(81)에서 인입하여, 옆으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 압착부(81)의 폭방향 외측의 단부는, 2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이다.
한편, 흡수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점형 압착부(83)가 형성되어 있고, 흡수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폭방향을 따라서 접히기 쉬워지거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히기 쉬워지거나 하지 않는다. 따라서, 흡수체(30)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의 외형을 따라서 굴곡되기 쉬워져, 흡수성 물품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착부는, 적어도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가 두께 방향(T)으로 압착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여러가지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스 가공이나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은, 격자망이나 허니컴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 등의 경도는, 예컨대, JIS-1096에 규정되어 있는 걸리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 흡수체의 단위 중량 및 밀도는, 예컨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포장체에 의해서 포장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포장체를 개봉하고, 접혀 있는 흡수성 물품을 펼쳐서, 단위 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의 두께 및 면적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단위 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을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절취하여, 절취한 부분의 중량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절취한 부분으로부터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 등, 흡수체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고, 흡수체의 중량을 측정한다. 흡수체의 중량과, 단위 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의 면적에 기초하여 단위 중량을 산출한다. 단위 중량 및 두께에 기초하여 밀도를 산출한다.
또한, 두께는, 이하와 같은 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샘플의 흡수성 물품을, 액체 질소에 함침시켜 동결시킨 후, 면도기로 컷트하고, 상온으로 되돌린 후에, 전자 현미경(예컨대, 키엔스사 VE7800)을 이용하여 50배의 배율로 측정한다. 여기서, 샘플의 흡수성 물품을 동결시키는 이유는, 컷트시의 압축에 의해 두께가 변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방법에 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101에 있어서, 상층 제1 생성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층 제1 생성 공정에 있어서, 상층 시트(70)에 부피 회복 처리를 실시한 후, 상층 시트를 3겹으로 접는다. 그리고, 표면 시트(10) 상에 핫멜트 접착제(60)를 통해 상층 시트(70)를 접착한다. 부피 회복 처리는, 예컨대, 상층 시트를 열풍이 공급되고 있는 용기 내를 통과시킴으로써 행한다.
계속해서, 단계 102에 있어서, 상층 제2 생성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시트(10)와 상층 시트(70)를 두께 방향(T)으로 압축 가공하여, 상층 압착부(71)를 형성한다. 이 압축 가공은, 예컨대, 가열 및 가압을 행하는 엠보스롤(상층 시트측이 볼록형 패턴이고, 표면 시트측이 플랫 패턴)을, 상층 시트(70) 및 표면 시트(10)를 통과시킴으로써, 격자형의 요철 가공이 형성된다.
단계 103에 있어서, 상층 제3 생성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시트와 사이드 시트(41, 42)를, 예컨대 열용착에 의해서 접착한다.
계속해서, 단계 104에 있어서, 흡수체 성형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성형 드럼에 의해서 흡수체의 재료가 되는 펄프를 성형하여 흡수체(30)를 성형한다. 또한, 단계 101∼103의 상층 생성 공정과, 단계 104의 흡수체 성형 공정의 순서는, 역순이어도 좋다.
단계 105에 있어서,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103에 있어서 생성한 상층과, 단계 104에 있어서 성형한 흡수체(30)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행한다.
단계 106에 있어서, 압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고, 또한 상층 시트, 표면 시트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압착부(80)를 형성한다. 단계 107에 있어서, 이면 시트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106에 있어서 압착부를 형성한 흡수체 및 표면 시트 등과, 이면 시트를 접합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이면 시트를 접합한 후,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공정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계속해서, 도 8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은, 낮용의 생리대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은, 흡수성 물품의 후측 영역의 길이가 전측 영역과 대략 동일한 길이가 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상층 시트(70)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상층 시트(70)는, 흡수체(30)의 길이 방향의 중앙이자 폭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배설구 접촉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층 시트(70)에는, 표면 시트(10)와 함께 두께 방향으로 압축된 점형의 압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점형의 압착부에 의해서 상층 시트(70)와 표면 시트(10)가 접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기술이 분명해진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길이 방향 압착부는, 제1 길이 방향 압착부 및 제2 길이 방향 압착부의 2개이지만, 1개이어도 좋다. 또, 예컨대,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 개더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와 표면 시트는,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있지만, 흡수체와 표면 시트는, 적어도 비접합 영역의 하방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흡수체와 상층 시트가 비접합 영역의 하방에서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박되었을 때에, 흡수체의 변형에 기초하는 상층 시트의 변형을 적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는, 흡수성 물품이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박되면, 폭방향 길이가 짧아지고 두께가 두꺼워진다. 따라서, 흡수체 상에 배치된 표면 시트와 상층 시트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 때, 표면 시트는, 흡수체와 접합되지 않고 흡수체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의 폭방향의 영향을 받지 않고 두께 방향의 변형만 받아 밀어 올려진다. 따라서, 상층 시트도 밀어 올려져, 상층 시트를 배설구 등 착용자의 신체에 대향한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13832호(2011년 5월 20일 출원)의 전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표면 시트 상에 접합된 상층 시트에 의해서, 배설구로부터 배설된 체액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층 시트는, 표면 시트 등에 의해 끼워져 있지 않기 때문에, 상층 시트 내부의 공극이 확보되기 쉽다. 상층 시트의 공극에 의해서 비교적 점성이 높은 경혈 등의 체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양이 증가한다. 따라서, 한번에 다량의 체액이 배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체액이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층 시트의 폭방향 외측에는, 길이 방향 압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 압착부는, 적어도 표면 시트 및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어, 비교적 밀도가 높은 부분이다. 이 압착부가 상층 시트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층 시트에 의해서 저장된 체액을 비교적 밀도가 높은 길이 방향 압착부에 의해서 인입할 수 있다. 길이 방향 압착부에 의해서 체액을 인입할 수 있기 때문에, 체액이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A1 : 접착 영역, A2 : 비접착 영역, L : 길이 방향, S1 : 비접합 영역, T : 두께 방향, W : 폭방향, X : 경계, 1 : 흡수성 물품, 10 : 표면 시트, 20 : 이면 시트, 30 : 흡수체, 31 : 코어부, 41, 42 : 사이드 시트, 43, 44 : 윙부, 50 : 점착재, 60 : 핫멜트 접착제, 70 : 상층 시트, 71 : 상층 압착부, 80 : 압착부, 81 : 길이 방향 압착부, 81A : 제1 길이 방향 압착부, 81B : 제2 길이 방향 압착부, 82 : 폭방향 압착부, 82A : 제1 폭방향 압착부, 82B : 제2 폭방향 압착부, 83 : 점형 압착부, 90 : 박리 시트

Claims (8)

  1.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에는, 액투과성의 상층 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층 시트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또한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설구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상층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상층 압착부가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흡수체 압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체 압착부는, 상기 상층 시트보다 폭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길이 방향 압착부를 갖고,
    상기 흡수체 압착부는,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길이 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간헐적으로 복수 형성된 점형의 점형 압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점형 압착부는, 상기 상층 시트,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압착부는,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길이 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압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폭방향 압착부는, 상기 상층 시트,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폭방향에서의 양단부에는, 상기 표면 시트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은 비접합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 압착부측의 단부와, 상기 길이 방향 압착부의 상기 폭방향 외측의 단부의 길이는, 상기 비접합 영역의 상기 폭방향 길이보다 긴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폭방향에서의 양단부에는, 상기 표면 시트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은 비접합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체와 상기 표면 시트는, 적어도 상기 비접합 영역의 하방에 있어서 접합되지 않은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압착부는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에서의 섬유 밀도는, 상기 상층 시트에서의 섬유 밀도보다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상층 시트는,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폭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둔 복수의 열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8. 삭제
KR1020137031776A 2011-05-20 2012-05-15 흡수성 물품 Expired - Fee Related KR101661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3832 2011-05-20
JP2011113832A JP5684046B2 (ja) 2011-05-20 2011-05-20 吸収性物品
PCT/JP2012/062344 WO2012161023A1 (ja) 2011-05-20 2012-05-15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367A KR20140027367A (ko) 2014-03-06
KR101661386B1 true KR101661386B1 (ko) 2016-09-29

Family

ID=4721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7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1386B1 (ko) 2011-05-20 2012-05-1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22921B2 (ko)
EP (1) EP2710990A1 (ko)
JP (1) JP5684046B2 (ko)
KR (1) KR101661386B1 (ko)
CN (1) CN103561702B (ko)
AR (1) AR086433A1 (ko)
TW (1) TWI523646B (ko)
WO (1) WO2012161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5955A1 (en) * 2012-12-03 2014-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O2015134375A1 (en) *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WO2015134371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WO2015134359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s
JP5699242B1 (ja) * 2014-06-30 2015-04-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60129661A1 (en) * 2014-11-06 2016-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tterned apertured web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5984156B2 (ja) 2014-11-19 2016-09-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US10135662B2 (en) 2014-12-02 2018-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generating preamble sequence in wireless LAN system
US10973702B2 (en) 2015-08-26 2021-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 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JP6051285B1 (ja) * 2015-09-30 2016-1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01779B1 (ja) * 2015-12-16 2017-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868964B2 (ja) * 2016-03-17 2021-05-1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6242423B2 (ja) * 2016-03-29 2017-12-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38725B2 (ja) * 2016-06-10 2018-06-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03906B1 (ja) * 2016-06-14 2017-09-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000410A1 (en)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JP6982515B2 (ja) * 2018-02-22 2021-12-17 花王株式会社 液体塗工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952016B2 (ja) * 2018-06-29 2021-10-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18863B2 (ja) * 2018-10-09 2022-0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03028B2 (ja) * 2018-10-30 2022-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1150555B (zh) * 2018-11-08 2023-05-0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WO2020167171A1 (en) * 2019-02-15 2020-08-2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US20220096282A1 (en) * 2019-02-15 2022-03-3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embossed surface layer
JP7034215B2 (ja) * 2020-07-03 2022-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294A (ja) 2004-12-28 2006-07-13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US20060271008A1 (en) 2005-05-27 2006-11-30 Uni-Charm Corporation Sanitary napkin
JP2008132084A (ja) 2006-11-27 2008-06-12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850A (en) * 1994-12-01 1999-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JP3883460B2 (ja) 2002-03-25 2007-02-21 花王株式会社 立体シート
US7067711B2 (en) * 2002-12-05 2006-06-27 Uni-Charm Corporation Elongated absorbent article
JP4558390B2 (ja) 2004-06-30 2010-10-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06001457A1 (ja) * 2004-06-28 2006-01-05 Daio Paper Corporation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JP4974524B2 (ja) * 2005-12-27 2012-07-1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1410080A (zh) 2006-03-31 2009-04-15 大王制纸株式会社 展开型吸收性物品和吸收性物品用背面片的制造方法
EP2179714A4 (en) * 2007-08-24 2012-12-05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JP5383063B2 (ja) * 2008-03-04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58380B2 (ja) * 2008-05-15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55363B2 (ja) * 2008-12-25 2014-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薄型吸収性物品
JP5602382B2 (ja) * 2009-04-10 2014-10-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1113832A (ja) 2009-11-27 2011-06-09 Shimadzu Corp 質量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294A (ja) 2004-12-28 2006-07-13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US20060271008A1 (en) 2005-05-27 2006-11-30 Uni-Charm Corporation Sanitary napkin
JP2008132084A (ja) 2006-11-27 2008-06-12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84046B2 (ja) 2015-03-11
EP2710990A1 (en) 2014-03-26
CN103561702A (zh) 2014-02-05
US9622921B2 (en) 2017-04-18
US20140163507A1 (en) 2014-06-12
WO2012161023A1 (ja) 2012-11-29
JP2012239712A (ja) 2012-12-10
TWI523646B (zh) 2016-03-01
CN103561702B (zh) 2015-06-24
AR086433A1 (es) 2013-12-11
KR20140027367A (ko) 2014-03-06
TW201311221A (zh) 201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386B1 (ko) 흡수성 물품
CN102355878B (zh) 吸收性物品
JP5946679B2 (ja) 吸収性物品
TWI603722B (zh) Absorbent article
KR101968380B1 (ko) 흡수성 물품
WO2003105738A1 (ja) 吸収性物品
JP4771756B2 (ja) 吸収性物品
JP2008237384A (ja) 吸収性物品
CN104220031B (zh) 吸收性物品
WO2015005502A2 (ja) 吸収性物品
TWI528948B (zh) Absorbent items
JP5766253B2 (ja) 吸収性物品
JP6030875B2 (ja) 吸収性物品
WO2017169391A1 (ja) 吸収性物品
JP3776014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35869B2 (ja) 吸収性物品
WO2015072502A1 (ja) 吸収性物品
JP4797076B2 (ja) 吸収性物品
JP5934506B2 (ja) 吸収性物品
JP5993235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