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4922B1 -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922B1
KR101654922B1 KR1020160003091A KR20160003091A KR101654922B1 KR 101654922 B1 KR101654922 B1 KR 101654922B1 KR 1020160003091 A KR1020160003091 A KR 1020160003091A KR 20160003091 A KR20160003091 A KR 20160003091A KR 101654922 B1 KR101654922 B1 KR 101654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door
fixing bracket
sliding
ope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조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스
Priority to KR102016000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9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two or more independent parts movable each in its own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2015/105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with slanted or curved track sections or 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Synchronisation of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 본체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구 본체의 전면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 고정브래킷이 마련되며, 일단은 상기 가구 본체의 일면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되는 방향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 고정브래킷과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가 경유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도록 다단의 아이들롤러로 이루어진 도어 정속유지유닛; 상기 와이어의 중간 또는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된 위치에서 폐쇄되는 위치로 당겨주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도어 복귀부재; 및 상기 가구 본체의 중간부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일시 정지시켜주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반자동으로 닫을 수 있게 되고, 가구 본체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꺼내고자 할 때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건의 수납 또는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도록 힘을 가함에 따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장롱 등과 같은 가구류의 도어는 장롱 내부에 설치된 경첩에 도어를 조립하고, 이 도어를 전방으로 열고 닫는 여닫이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여닫이 방식의 도어는 전방으로 개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전방의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결국 실내의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여닫이 방식의 도어의 경우, 하중에 취약한 경첩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조립되는 관계로 중량이 많이 나가는 금속제 도어를 적용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가구에 다양한 종류의 도어를 적용하는데 한계를 갖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갖고 있는 단점을 개선하여 도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고 닫는 슬라이딩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는 한쪽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개폐하는 방식으로서, 도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롤러 어셈블리를 설치하고, 장롱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하부 롤러 어셈블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설치하여, 도어를 한쪽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열고 닫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을 안내하는 롤러 어셈블리에는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 도어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는 수단, 내측 도어와 외측 도어 간의 교차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 도어의 이탈을 막아주는 수단 등이 마련되어, 사용자는 도어의 개폐와 관련한 조작의 편의성이나 취급의 간편함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를 채택하고 있는 가구에는 도어 닫힘 시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스톱퍼 수단을 구비하여, 도어의 닫힘 작동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가 상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는 가구 본체(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도어(210)가 개폐 가능하도록 가구 본체(200)의 상면과 저면에 가이드레일(110)이 장착되고, 개폐하고자 하는 슬라이딩 도어(210)의 상측에 상면 가이드레일(11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에는 양측이 각각 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곡선구간과 중앙 부분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직선구간이 일체로 이루어진 레일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에는 슬라이딩 도어(210)의 상부 연결프레임(120)에 수직 이송롤러(122)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를 이동시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210)가 개폐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는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는 미닫이식 도어를 개폐하도록 가구의 상면과 밑면에 장착되는 레일프레임, 도어의 상측과 연결되며 상면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상부 연결프레임, 밑면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도어를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전후이송수단, 도어의 하측과 전후이송수단을 연결하는 하부 장착프레임을 포함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전후이송수단은 밑면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안내홈에 삽입되는 수평이송 롤러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감싸지게 삽입되고 그 가이드레일 상에서 선접촉에 의한 이송 롤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송되며, 상부에는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 이송롤러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는 이송 본체를 포함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주행로 가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주행로 가변장치는 가구의 수납공간을 가리기 위해 도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함에 있어서, 상기 가구의 상부면에 폭 방향으로 위치하게 설치되고 직선구간의 양단에 주행로를 변경하기 위한 곡선구간을 갖춘 단일의 레일,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한 쌍의 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탱되도록 각 도어의 상단에 상호 대칭으로 결합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지탱된 각 도어가 닫힘 위치에 도달될 때 슬라이더에 구비된 선행롤러를 레일의 궤도로부터 이탈시켜 인위적인 동작에 의해 정지 위치로 진입되게 레일에 교차로 설치 된 캐리어를 갖춘 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0469호(2012년 8월 31일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1166호(2006년 3월 6일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는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킴에 따라 자유로이 개폐시킬 수 있으나,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일시적으로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상기 가구 본체로부터 다수의 내용물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된 록킹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를 일시적으로 개방된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밀어줌에 따라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는,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 본체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구 본체의 전면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 고정브래킷이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가구 본체의 일면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되는 방향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 고정브래킷과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가 경유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도록 다단의 아이들롤러로 이루어진 도어 정속유지유닛; 상기 와이어의 중간 또는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된 위치에서 폐쇄되는 위치로 당겨주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도어 복귀부재; 및 상기 가구 본체의 중간부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일시 정지시켜주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 상기 롤러 고정브래킷의 대응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 고정브래킷과 부착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작동봉; 상기 가구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측에 상기 작동봉이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면으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안내면; 상기 작동봉이 걸리도록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에 상기 작동봉이 하강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에 록킹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안내면; 상기 회전레버에 탄성이 가해지도록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회전레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회전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봉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봉; 상기 작동봉이 적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에 의하면, 가구 본체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꺼내고자 할 때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건의 수납 또는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툭 쳐주면 도어 복귀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도어 정속유지유닛에 의해 과도하게 빠르지 않게 정속으로 폐쇄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항상 안정감있는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가 상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잠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 예시의 잠금수단이 적용된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도 5 예시의 슬라이딩 도어 반자동 개폐장치의 동작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는,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 본체(20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110), 상기 가구 본체(200)의 전면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210),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22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 고정브래킷(210)이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210)의 반자동 개폐장치로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160),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의 이동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는 도어 정속유지유닛(130),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를 개방된 위치에서 폐쇄되는 위치로 당겨주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도어 복귀부재(161),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의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를 일시 정지시켜주는 잠금수단(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는 슬라이딩 도어(210)를 열린 상태에서 일시 정지시키고, 폐쇄되는 방향으로 약간의 압력을 가해주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210)가 제1 슬라이딩 도어(211)와 제2 슬라이딩 도어(212)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하였으며, 슬라이딩 도어(201)가 하나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슬라이딩 도어(210)가 2개로 이루어진 경우, 2개의 슬라이딩 도어(210)는 각각 수동으로 개방되며, 2개의 슬라이딩 도어(210) 중 어느 하나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210)를 닫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어줌에 따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다.
가구 본체(200)에는 전면에 슬라이딩 도어(210)가 설치되는데, 슬라이딩 도어(210)는 가구 본체(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 도어(211)와 가구 본체(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 도어(212)로 이루어진다.
제1 슬라이딩 도어(211)와 제2 슬라이딩 도어(212)에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롤러(221)를 갖는 롤러 고정브래킷(220)이 구비되는데, 롤러 고정브래킷(220)은 제1 고정브래킷(223) 및 제2 고정브래킷(2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구 본체(200)의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의 개방시에는 탄성력을 내재한 상태가 되었다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해주도록 와이어(160)와 도어 복귀부재(161)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와이어(160)의 일단은 가구 본체(200)의 일면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의 개방되는 방향측에 고정되고, 와이어(160)의 타단은 상기 롤러 고정브래킷(220) 중 제1 고정브래킷(223)에 고정되며, 와이어(160)의 중간 또는 와이어(160)의 일단부에 연이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도어 복귀부재(161)가 구비된다.
또한, 도어 정속유닛(130)은 상기 와이어(160)의 중간부가 경유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의 이동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도록 다단의 아이들롤러(13)로 이루어진다.
잠금수단(20)은 상기 가구 본체(200)의 중간부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와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의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를 일시 정지시켜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210)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 상기 제1 고정브래킷(223)과 상기 제2 고정브래킷(224)의 대응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각 고정브래킷(223)(224)과 부착되는 영구자석(29)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는, 제1 슬라이딩 도어(211) 또는 제2 슬라이딩 도어(212)를 수동으로 개방하면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의 각 고정브래킷(223)(224)에 구비된 롤러(221)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여 부드러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완전 개방해주는 지점에서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의 제1 고정브래킷(222)이 영구자석(29)과 부착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의 제1 고정브래킷(223)에 연결된 와이어(160)는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의 개방에 따라 당겨지게 되고, 와이어(160)와 연이어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으로 된 도어 복귀부재(161)는 와이어(160)가 당겨짐에 따라 탄성력을 내재한 상태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개방한 상태에서 일시 정지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가구 본체(200)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물품을 꺼내기 용이해지게 된다.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시킬 때에는 사용자는 개방되어 있던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약간의 압력으로 툭 쳐주면 영구자석(29)과 부착되어 있던 제1 고정브래킷(223)이 영구자석(29)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홀딩하고 있던 힘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때부터는 도어 복귀부재(161)의 탄성력에 의해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가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의 이동속도가 너무 빠르면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가 폐쇄되는 시점에서 큰 충격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160)의 중간부가 다단의 아이들롤러(13)로 이루어진 도어 정속유닛(130)을 경유토록 한 것이며,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의 이동시 와이어(160)의 중간부가 다단의 아이들롤러(13)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그 당겨지는 힘이 다단의 아이들롤러(13)에 흡수되어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는 과도하지 않은 속도로 자동 감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의 폐쇄 동작이 무리없이 저속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가 폐쇄되는 지점에서는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의 제2 고정브래킷(224)이 영구자석(29)과 부착되어 사용자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구 본체(200)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꺼내고자 할 때 슬라이딩 도어(211 또는 212)를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슬라이딩 도어(211 또는 212)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건의 수납 또는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211 또는 212)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툭 쳐주면 도어 복귀부재(16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211 또는 212)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211 또는 212)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도어 정속유지유닛(130)에 의해 과도하게 빠르지 않게 정속으로 폐쇄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항상 안정감있는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211 또는 212)를 개방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정지시켜주는 잠금수단(2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잠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예시의 잠금수단이 적용된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 예시의 슬라이딩 도어 반자동 개폐장치의 동작도이다.
슬라이딩 도어(21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작동봉(14)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작동봉(14)은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에 경사지게 고정된 고정봉(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봉(15)의 일단은 제1 슬라이딩 도어(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봉(15)의 타단에는 작동봉(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에는 고정봉(15)이 적정 위치에서 하강되지 않도록 스토퍼(17)가 고정된다. 즉, 스토퍼(17)는 작동봉(14)이 적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작동봉(14)은 잠금수단(20)의 제1 안내면(22)을 따라 상승되어 제2 안내면(25)을 따라 하강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구 본체(200)의 상면에는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20)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수단(20)는 고정브래킷(21), 상기 고정브래킷(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래킷(21)은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고정브래킷(21)의 일측에는 작동봉(14)이 상승되도록 제1 안내면(22)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 안내면(22)의 끝단에는 상부면(23)이 연장 형성되며, 상부면(23)의 끝단에는 작동봉(14)이 하강되도록 제2 안내면(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안내면(22)과 제2 안내면(24)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안내면(24)의 끝단에는 수직으로 걸림면(2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21)에는 회전레버(2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레버(26)는 작동봉(14)이 걸리도록 대략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브래킷(21)의 일측에는 회전레버(26)를 지지하는 스토퍼(27)가 설치된다.
또한 잠금수단(20)에는 회전레버(26)에 탄력을 가할 수 있는 스프링(28)이 설치된다. 스프링(28)은 회전레버(26)가 원위치로 복귀 시 탄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데, 스프링(28)은 회전레버(26)가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레버(26)의 회전된 높이보다 낮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는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는 제1 슬라이딩 도어(211) 및 제2 슬라이딩 도어(212)를 수동으로 개방하게 되고,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는 도어 복귀부재(161)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211)(212)는 각 고정브래킷(223)(224)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221)가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며, 작동봉(14)은 각 슬라이딩 도어(211)(212)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작동봉(14)은 잠금수단(20)의 위치로 이동하다가 잠금수단(20)과 접촉하게 되는데, 먼저 작동봉(14)은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안내면(22)과 접촉하여 이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제1 안내면(22)과 연이어 형성된 상부면(23)을 따라 회전레버(26)에 접촉하게 된다.
작동봉(14)이 회전레버(26)에 걸리게 되면 회전레버(26)는 작동봉(14)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며, 이와 함께 작동봉(14)의 자중과 중력에 의해 작동봉(14)은 제2 안내면(24)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작동봉(14)은 제2 안내면(24)을 따라 계속 이동하다가 제2 안내면(24)에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면(25)에 걸리게 되고, 작동봉(14)이 걸림면(25)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이동시키는 힘을 해제하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211)(212)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도어 복귀부재(161)에 의해 탄성을 받게 되므로 작동봉(14)이 걸림면(25)에 걸린 상태로 밀착되어 슬라이딩 도어(211)(212)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211)(212)는 잠금수단(2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물품을 가구 본체(200) 내부에 수납하거나, 수납되어 있던 물품을 꺼낼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열린 상태의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는데, 사용자는 열려있는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닫기 위하여 슬라이딩 도어(211)(212)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약간의 힘으로 툭쳐주게 되면 이러한 미세한 힘에 의해 회전레버(26)가 개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봉(14)의 걸림면 걸림위치가 해제되면서 작동봉(14)은 걸림면(25)으로부터 제2 안내면(24)을 따라 상승되어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잡고 있던 힘이 완전 해제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211)(212)에는 도어 복귀부재(161)에 의한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슬라이딩 도어(211)(212)를 잡고 있던 힘이 완전 해제되면 슬라이딩 도어(211)(212)는 탄성력에 의해 폐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열려있던 슬라이딩 도어(211)(212)는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가벼운 사용자의 터치에 자동으로 닫히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3: 아이들 롤러 14: 작동봉
15: 고정봉 17: 스토퍼
20: 잠금수단 21: 고정브래킷
22: 제1 안내면 23: 상부면
24: 제2 안내면 25: 걸림면
26: 회전레버 27: 스토퍼
28: 스프링 29 : 영구자석
130 : 도어 정속유지유닛 160 : 와이어
161 : 도어 복귀부재 200 : 가구 본체
210 : 슬라이딩 도어 211 : 제1 슬라이딩 도어
212 : 제2 슬라이딩 도어 220 : 롤러 고정브래킷
221 : 가이드롤러 223 : 제1 고정브래킷
224 : 제2 고정브래킷

Claims (5)

  1.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 본체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구 본체의 전면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 고정브래킷이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가구 본체의 일면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되는 방향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 고정브래킷과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가 경유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도록 다단의 아이들롤러로 이루어진 도어 정속유지유닛;
    상기 와이어의 중간 또는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된 위치에서 폐쇄되는 위치로 당겨주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도어 복귀부재; 및
    상기 가구 본체의 중간부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일시 정지시켜주는 잠금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작동봉;
    상기 가구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측에 상기 작동봉이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면으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안내면;
    상기 작동봉이 걸리도록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에 상기 작동봉이 하강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에 록킹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안내면;
    상기 회전레버에 탄성이 가해지도록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회전레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 상기 롤러 고정브래킷의 대응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 고정브래킷과 부착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회전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봉;
    상기 작동봉이 적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KR1020160003091A 2016-01-11 2016-01-11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54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91A KR101654922B1 (ko) 2016-01-11 2016-01-11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91A KR101654922B1 (ko) 2016-01-11 2016-01-11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922B1 true KR101654922B1 (ko) 2016-09-07

Family

ID=5694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0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4922B1 (ko) 2016-01-11 2016-01-11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9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6630A (zh) * 2018-07-06 2018-11-06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省力家具回转推拉开闭定位机构
KR20190100821A (ko) * 2018-02-21 2019-08-29 양형수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CN112431503A (zh) * 2020-11-26 2021-03-02 广东图特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联动机构及平趟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40A (ko) * 1998-02-12 1998-04-30 김문식 도어의 자동닫힘 장치
KR200411166Y1 (ko) 2005-12-15 2006-03-10 안중식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주행로 가변장치
KR20100120035A (ko) * 2009-05-04 2010-11-12 김송연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180469B1 (ko) 2011-12-23 2012-09-06 (주)지씨아이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KR20130007247U (ko) * 2012-06-11 2013-12-19 대주기업 주식회사 쇼우 케이스의 슬라이딩 도어
KR20140143531A (ko) * 2013-06-07 2014-12-17 서용석 밀폐형 자동 슬라이딩 도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40A (ko) * 1998-02-12 1998-04-30 김문식 도어의 자동닫힘 장치
KR200411166Y1 (ko) 2005-12-15 2006-03-10 안중식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주행로 가변장치
KR20100120035A (ko) * 2009-05-04 2010-11-12 김송연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180469B1 (ko) 2011-12-23 2012-09-06 (주)지씨아이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KR20130007247U (ko) * 2012-06-11 2013-12-19 대주기업 주식회사 쇼우 케이스의 슬라이딩 도어
KR20140143531A (ko) * 2013-06-07 2014-12-17 서용석 밀폐형 자동 슬라이딩 도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821A (ko) * 2018-02-21 2019-08-29 양형수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102048626B1 (ko) * 2018-02-21 2019-11-25 양형수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CN108756630A (zh) * 2018-07-06 2018-11-06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省力家具回转推拉开闭定位机构
CN112431503A (zh) * 2020-11-26 2021-03-02 广东图特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联动机构及平趟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3233B2 (en) Closing device for drawers
JP4818362B2 (ja) 引戸具
KR101087289B1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KR101030879B1 (ko)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US8733864B2 (en) Two way drawer slide
US5015048A (en) Closing device for drawers
KR20100122459A (ko)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KR10165492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JP6512403B2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US20090230830A1 (en) Drawer Slide Closing Device
CN104541011A (zh) 滑动门设备
KR101623044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KR101180469B1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KR101985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KR101674346B1 (ko) 미닫이용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JP4634335B2 (ja) フラット引戸装置
KR101654917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엔드 완충장치
WO2015103996A1 (zh) 冰箱
KR101654926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회전장치
KR102496008B1 (ko) 미닫이용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KR100942804B1 (ko) 감속용 슬라이드 도어를 갖는 욕실 수납장
KR102634414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JPH0113752Y2 (ko)
JP3010203U (ja) 物置収納庫の扉自動開放装置
KR200455485Y1 (ko) 씽크대용 코너 수납장의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