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7289B1 -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289B1
KR101087289B1 KR1020110026185A KR20110026185A KR101087289B1 KR 101087289 B1 KR101087289 B1 KR 101087289B1 KR 1020110026185 A KR1020110026185 A KR 1020110026185A KR 20110026185 A KR20110026185 A KR 20110026185A KR 101087289 B1 KR101087289 B1 KR 10108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sliding
guide
to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순기
Original Assignee
(주)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씨아이 filed Critical (주)지씨아이
Priority to KR102011002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289B1/ko
Priority to PCT/KR2012/001765 priority patent/WO2012128494A1/ko
Priority to JP2012064589A priority patent/JP2012202206A/ja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06B3/4672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with the sliding wing flush closing or moving a considerable distance towards the opening when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05D2015/1039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the wing sliding transversely on the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2015/105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with slanted or curved track sections or 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8Tract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05Combinations of elements forming a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3Multiple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홈이 가구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되어 가구의 도어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슬라이딩 개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용이함은 물론, 수납공간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미닫이식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가구의 상면 및 저면에 장착되는 레일프레임과; 도어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면의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부 연결프레임과; 저면의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를 전방으로 이격시키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도어의 하측과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저면의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안내홈에 장착되어 수평이동롤러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구와; 상기 가이드구의 둘레를 감싸며 가이드구 상에서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되, 이동구의 상부에는 레일홈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이동롤러를 포함하는 이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홈이 가구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되어 가구의 도어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슬라이딩 개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용이함은 물론, 수납공간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이나 책장 또는 수납장 및 욕실장 등과 같은 가구의 전면에는 수납된 물품들이 노출됨으로 인한 미관상의 저하와 물품 등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납공간 전체를 가릴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구에 설치되는 도어는 개폐되는 방식에 따라 통상적으로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여닫이식은 도어의 일단이 회전 자유롭게 힌지(hinge) 결합되거나 경첩 등이 장착되어, 힌지나 경첩 고정된 부분을 기점으로 가구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도어가 도어의 폭 만큼 일정한 회전반경으로 열리고 닫히는 방식을 말한다.
그에 따라 여닫이식의 경우에는 도어의 폭 만큼 열리고 닫힐 수 있는 일정한 회전반경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미닫이식의 경우는 가구의 수납공간 전면에 레일이 형성된 프레임이 구비되고, 각 도어가 프레임의 레일 상에 장착되어 도어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미닫이식 도어는 도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레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레일의 개수만큼 프레임이 점유하고 있는 폭이 증가되어 가구의 수납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48166에서는 수납본체(100), 도어(200), C자형 채널(300) 및 슬라이더장치(400)로 구성되어 도어의 개방 시에는 도어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슬라이딩되고, 폐쇄 시에는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욕실 수납장을 제공한 바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욕실 수납장의 슬라이더장치(400)는 C자형 채널(300)의 내부를 좌, 우로 이송하는 좌우 이송용롤러(410)와, 좌우 이송용롤러(410)를 탑재하는 슬라이딩 축(420)과, 슬라이딩 축에 결합되어 몸체를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는 가이더(430)와, 가이더(4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수직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용 롤러(4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슬라이더 장치는 수납본체의 저면에 장착됨에 따라 프레임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수납공간이 넓어지는 이점은 있으나, 슬라이딩 축과, 이를 따라 이송되는 가이더 사이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크게 발생된다. 또한 가이더와 슬라이딩 축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어 도어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가이더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축과의 결합력이 떨어져 슬라이딩시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도어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가 전방으로 이격된 후 슬라이딩 개방되어 도어의 간편한 개폐가 이루어지되, 도어의 슬라이딩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부재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구와 이동구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마찰저항을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가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미닫이식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가구의 상면 및 저면에 장착되는 레일프레임과;
도어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면의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부 연결프레임과;
저면의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를 전방으로 이격시키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도어의 하측과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저면의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안내홈에 장착되어 수평이동롤러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구와;
상기 가이드구의 둘레를 감싸며 가이드구 상에서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되, 이동구의 상부에는 레일홈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이동롤러를 포함하는 이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구와 가이드구가 접하는 제1접촉부에는 내측면이 요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구와 가이드구가 접하는 제2접촉부는 이동구가 가이드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이동구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고, 이동구의 재질은 아세탈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와 이동구 사이에는 도어가 전방으로 이격되었다가 복귀될 때 이동구가 탄력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부재 또는 레일프레임에 장착되는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에는 도어가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레벨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벨러는 도어와 상부 연결프레임 또는 하부 연결프레임과 볼트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블록과;
내부에 상기 체결블록이 안치되어 상하조정볼트의 회전에 의해 체결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블록과;
내부에 상기 상하이동블록이 안치되어 좌우조정볼트에 의해 상하이동블록을 좌, 우로 이동시키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는 도어가 슬라이딩에 의해 전방으로 이격되어 개방되도록 하되, 가이드구를 감싸며 장착된 이동구를 통해 도어의 슬라이딩시 슬라이딩 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도어의 슬라이딩을 위한 레일홈이 가구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되어 레일로 인하여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레일이 가구의 수납공간을 점유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절개홈 및 지지돌기의 형성으로 이동구와 가이드구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에 따라 가이드구 상에서 이동구의 슬라이딩시 마찰저항이 더욱 감소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구와 이동구가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이루어지고, 마찰계수가 작음에 따라 슬라이딩시 마찰저항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더욱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동구와 가이드구 사이에 탄성부재가 장착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시에는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도어의 폐쇄시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보다 탄력적으로 신속하게 복귀되어 도어가 닫혀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완충수단이 구비로 도어의 급격한 닫힘시 완충작용을 함에 따라 도어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이 더욱 최소화되어 개폐에 따른 도어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 소음 또한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어에 레벨러가 포함됨에 따라 상부 연결프레임 또는 하부 연결프레임과 도어가 볼트체결될 때 도어가 정위치에 올 수 있도록 체결공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폐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폐장치의 슬라이딩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슬라이딩 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서 슬라이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서 슬라이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서 레벨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레벨러의 단면도.
도 11은 종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폐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폐장치의 슬라이딩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미닫이식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200)가 전방으로 이격되면서 슬라이딩에 의해 도어의 간편한 개폐가 이루어지되, 도어(200)의 슬라이딩시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레일프레임(10)과, 상부 연결프레임(20), 슬라이딩부재(30) 및 하부 연결프레임(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대하여 각 구성별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레일프레임(10)은 가구(1)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레일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일홈(11)은 도어(200)의 개폐시 슬라이딩 경로를 안내하는 것으로, 양측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중앙측이 양측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200)가 상부 연결프레임(20) 및 하부 연결프레임(40)을 통해 레일홈(11)에 장착되어 레일홈(11)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프레임(20)은 도어(200)의 상측과 연결되되, 상면의 레일프레임(10)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1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연결프레임(20)은 가구의 상면에 결합되는 수평판(21)과 이 수평판(2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판(2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연결프레임(20)의 저면,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판(21)의 저면에는 레일홈(1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직이동롤러(23)가 구비되어 도어(200)의 개폐시 수직이동롤러(23)가 레일홈(11)을 따라 좌, 우로 슬라이딩 되어 상부 연결프레임(20)에 연결된 도어(200)를 개폐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일홈(11)은 양측보다 중앙측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200)가 슬라이딩 되면서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이동롤러(23)는 롤러면이 레일프레임(10)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부 연결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홈(11)을 따라 회전된다.
또한, 상기 레일홈(11)은 하나의 도어에 연결되는 추후 설명하는 슬라이딩 부재(30)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도어(200)를 원활하게 전방으로 이격시키면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저면의 레일프레임(10)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11)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200)를 전방으로 이격시키면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여기서 저면의 레일프레임(10)에 형성된 레일홈(11)은 상면의 레일프레임(10)에 형성된 레일홈(11)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크게 가이드구(31)와 이동구(3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구(31)는 저면의 레일프레임(10)에 형성된 안내홈(12)에 장착되어 수평이동롤러(3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홈(12)은 수평방향으로만 이동되는 가이드구(31)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12)은 저면의 레일프레임(10)에 C자형 채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안내홈(12)에는 가이드구(31)의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수평이동롤러(32)가 회전자유롭게 장착되어 가이드구(31)가 안내홈(12)을 따라 이탈없이 좌, 우로 즉,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수평이동롤러(32)는 표면에 걸림홈(32a)이 형성되어 안내홈(12)에 형성될 돌출턱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구(31)의 이탈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롤러(32)의 롤러면은 전술한 수직이동롤러(34)의 롤러면과 수직을 이룬다.
상기 이동구(33)는 상기 가이드구(31)의 둘레를 감싸며 가이드구(31) 상에서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되, 이동구(33)의 상부에는 레일홈(11)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이동롤러(34)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구(33)는 상기 가이드구(31)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구(31)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가이드구(31)와 이동구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이동구(33)의 슬라이딩에 의한 도어의 전방 이격시 흔들림 없이 더욱 안정적인 도어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구(33)에 형성되는 수직이동롤러(34)는 수평이동롤러(32)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 연결프레임(40)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홈(11)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구(33)의 수직이동롤러(34)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레일홈(11)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200)를 전방으로 이격시키는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슬라이딩 부재의 단면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33)와 가이드구(31)가 접하는 제1접촉부(35)에는 내측면이 요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접촉부(35)는 이동구(33)와 가이드구(31)의 양단측에서 접하는 부분으로, 제1접촉부(35)부분의 이동구(33) 내측면이 요철로 형성됨에 따라 이동구(33)와 가이드구(31)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구와 가이드구의 접촉면적이 감소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이동구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동구(33)와 가이드구(31)가 접하는 제2접촉부(37)는 이동구(33)가 가이드구(3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이동구(33)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38)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접촉부(37)는 이동구(33)와 가이드구(31)가 서로 접하게 되는 상면과, 하면 부분으로, 상기 지지돌기(38)가 형성됨에 따라 지지돌기(38) 부분 외에는 서로 접촉되는 부분이 없어 이동구(33)와 가이드구(31) 사이의 접촉면적을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면적의 최소화는 가이드구(31) 상에서 이동구(33)의 슬라이딩시 마찰저항을 더욱 최소시킬 수 있어 이동구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시 도어가 보다 원활하게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프레임(40)은 도어(200)의 하측과 슬라이딩 부재를 연결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연결프레임(40)은 가구의 저면에 결합되는 수평판(41)과, 상기 수평판(4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판(42)으로 이루어져 하부 연결프레임(40)의 수평판(41)의 상면과 슬라이딩 부재(30)의 이동구(33)가 볼트 체결되고, 상기 수직판(42)과 도어(200)의 하측이 볼트체결을 통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하부 연결프레임(40)이 도어와 슬라이딩부재를 연결시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가 슬라이딩부재에 의한 이격에 따라 도어가 전방으로 이격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저면도이다. 이를 참고로 하여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도어(20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도어의 전면이 동일면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30)의 이동구(33)는 가이드구(31)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각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도어(200)에 압력을 가해 일측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가이드구(31)가 안내홈(1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정하게 슬라이딩되되, 이동구(33)의 수직이동롤러(34)가 레일홈(1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이동구(33)가 가이드구(3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도어(200) 역시 전방으로 이격되면서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격된 도어는 도어를 열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리면서 다른 도어의 전방으로 겹쳐지도록 개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닫이식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가 슬라이딩에 의해 전방으로 이격되어 개방되도록 하되, 가이드구를 감싸며 장착된 이동구를 통해 도어의 슬라이딩시 슬라이딩 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도어의 슬라이딩을 위한 레일홈이 가구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되어 레일로 인하여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일이 가구의 수납공간을 점유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31)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고, 이동구(33)의 재질은 아세탈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클리어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가이드구(31)의 표면에 투명한 액상의 코팅을 발라 건조시킴으로써 가이드구(31)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동구(33)의 슬라이딩시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클리어 코팅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구(31)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표면에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아노다이징(anodizing)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아세탈 수지는 주사슬에 아세탈결합을 가지는 폼알데하이드 또는 트라이옥세인의 중합체로, 전기전열성과 내마모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며, 마찰계수가 작은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구의 재질로 사용되는 경우 이동구와 가이드구 사이의 마찰이 적어 슬라이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가이드구와 이동구는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음에 따라 슬라이딩시 마찰저항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더욱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서 슬라이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31)와 이동구(33) 사이에는 도어(200)가 전방으로 이격되었다가 복귀될 때 이동구(33)가 탄력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5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50)는 통상의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가이드구(31)의 후방측과 이동구(33)의 전방측에는 각각 탄성부재(5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돌기(31a)(33a)가 형성되어 탄성부재(50)의 양단이 가이드구(31) 및 이동구(33)에 형성된 각각의 장착돌기(31a)(33a)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가 장착된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는 도어가 닫힐 때 탄력적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슬라이딩하여 도어를 전방으로 이격시키면 가이드구와 결합된 이동구가 전방으로 이격되고, 이때 가이드구와 이동구를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들 슬라이딩부재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격된 도어가 닫혀질 때에는 이격시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이동구가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더욱 신속하게 복귀되어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와 가이드구의 일측에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즉, 도어의 무게가 무겁거나 도어의 개폐를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서 슬라이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부재(30) 또는 레일프레임(10)에 장착되는 완충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60)은 통상의 댐퍼 등과 같은 완충부재로, 도 2 및 도 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30)를 이루는 가이드구(31)와 이동구(33)의 연결부분이나, 도어가 닫혀지는 부분 또는 슬라이딩부재가 이동되는 경로 상의 레일프레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수단(60)은 통상의 케이스 내부에 댐퍼를 내장하여 슬라이딩 본체의 일단이 접촉됨에 따라 완충력을 갖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수단(60)은 슬라이딩부재(30)에 장착되어 완충작용을 통해 이동구(33)가 급격하게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슬라이딩부재(30)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경우 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급격히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에 따라 도어가 급격하게 닫히는 것이 방지되어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완충수단이 레일프레임에 장착되어 완충작용을 함에 따라 도어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이 더욱 최소화되어 개폐에 따른 도어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 소음 또한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에는 도어(200)가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레벨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벨러(70)는 도어(200)와 상부 연결프레임(20) 또는 하부 연결프레임(40)과 볼트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71a)이 형성된 체결블록(71)과, 내부에 상기 체결블록(71)이 안치되어 상하조정볼트(73)의 회전에 의해 체결블록(7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블록(75)과, 내부에 상기 상하이동블록(75)이 안치되어 좌우조정볼트(77)에 의해 상하이동블록(75)을 좌, 우로 이동시키는 하우징(79)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블록(71)에는 상기 상하조정볼트(73)와 좌우조정볼트(77)가 체결될 수 있는 제1체결홈(72)과 제2체결홈(7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블록(75)에는 제1체결홈(7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조정볼트(73)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체결홈(7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하조정볼트(73)를 제1체결홈(72) 및 상하이동블록(75)의 체결홈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상하조정볼트(73)의 회전방향에 따라 체결블록(71)이 상하조정볼트(73)의 나사산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게 되어 체결공(71a)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블록(75)에는 제2체결홈(74)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체결홈(76)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79)에는 좌우조정볼트(79)가 좌우로 이동되며 체결될 수 있는 가이드홈(7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조정볼트(77)가 상기 제2체결홈(74) 및 제3체결홈(76) 그리고 가이드홈(78)에 삽입되어 하우징(79) 내에서 상하이동블록(75) 및 체결블록(71)이 좌우조정볼트(77)에 의해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이와 같이 체결된 좌우조정볼트(77)의 위치를 가이드홈(78)의 범위 내에서 좌, 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체결블록(71) 및 상하이동블록(75)이 함께 좌, 우로 이동되고, 이를 통해 체결공(71a)의 위치를 좌, 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내부에 상기와 같은 체결블록 및 상하이동블록이 포함된 상기 하우징(79)은 볼트체결 등을 통해 도어에 장착되어 상부 연결프레임(20) 또는 하부 연결프레임(40)과 연결되는 체결공(71a)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도어가 상부 연결프레임 또는 하부 연결프레임에 비틀어짐 없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체결공의 위치조정이 용이하여 시공 작업이 보다 간편화될 수 있다.
1: 가구 200: 도어
10: 레일프레임 11: 레일홈
12: 안내홈 20: 상부 연결프레임
21, 41: 수평판 22, 42: 수직판
30: 슬라이딩부재 31: 가이드구
31a, 33a: 장착돌기 32: 수평이동롤러
32a 걸림홈 33: 이동구
23, 34: 수직이동롤러 35: 제1접촉부
37: 제2접촉부 38: 지지돌기
40: 하부 연결프레임 50: 탄성부재
60: 완충수단 70: 레벨러
71: 체결블록 71a: 체결공
72: 제1체결홈 73: 상하조정볼트
74: 제2체결홈 75: 상하이동블록
76: 제3체결홈 77: 좌우조정볼트
78: 가이드홈 79: 하우징

Claims (7)

  1. 삭제
  2.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미닫이식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가구의 상면 및 저면에 장착되는 레일프레임(10)과;
    도어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면의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부 연결프레임(20)과;
    저면의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양측이 절곡된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를 전방으로 이격시키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30)와;
    도어의 하측과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프레임(4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저면의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안내홈에 장착되어 수평이동롤러(3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구(31)와;
    상기 가이드구(31)의 둘레를 감싸며 가이드구 상에서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되, 이동구의 상부에는 레일홈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이동롤러(34)를 포함하는 이동구(33)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구(33)와 가이드구(31)가 접하는 제1접촉부(35)에는 내측면이 요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33)와 가이드구(31)가 접하는 제2접촉부(37)는 이동구(33)가 가이드구(3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이동구(33)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3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31)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고, 이동구의 재질은 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31)와 이동구(33) 사이에는 도어가 전방으로 이격되었다가 복귀될 때 이동구가 탄력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5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부재 또는 레일프레임에 장착되는 완충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에는 도어(200)가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레벨러(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벨러(70)는 도어(200)와 상부 연결프레임(20) 또는 하부 연결프레임(40)과 볼트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71a)이 형성된 체결블록(71)과;
    내부에 상기 체결블록(71)이 안치되어 상하조정볼트(73)의 회전에 의해 체결블록(7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블록(75)과;
    내부에 상기 상하이동블록(75)이 안치되어 좌우조정볼트(77)에 의해 상하이동블록(75)을 좌, 우로 이동시키는 하우징(7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KR1020110026185A 2011-03-24 2011-03-24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87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185A KR101087289B1 (ko) 2011-03-24 2011-03-24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PCT/KR2012/001765 WO2012128494A1 (ko) 2011-03-24 2012-03-09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JP2012064589A JP2012202206A (ja) 2011-03-24 2012-03-21 引き戸式扉の開閉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185A KR101087289B1 (ko) 2011-03-24 2011-03-24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289B1 true KR101087289B1 (ko) 2011-11-29

Family

ID=4539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1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7289B1 (ko) 2011-03-24 2011-03-24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202206A (ko)
KR (1) KR101087289B1 (ko)
WO (1) WO201212849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1088A1 (ko) 2012-11-23 2014-05-30 (주)지씨아이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KR101475940B1 (ko) * 2013-10-22 2015-01-05 주식회사 더원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101674346B1 (ko) * 2016-03-31 2016-11-08 정용일 미닫이용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KR101778747B1 (ko) * 2016-03-14 2017-09-14 안중식 욕실 수납장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레일 완충장치
KR20190122931A (ko) * 2018-04-23 2019-10-31 신정철 가구용 플랫 슬라이딩도어 롤러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4339A1 (de) * 2014-10-02 2016-04-07 Hettich-Heinze Gmbh & Co. Kg Führungseinrichtung zur Führung einer Schiebetür und Schrankmöbel
CN105466124B (zh) * 2015-12-29 2018-03-2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门体的引导组件及冰箱
CN105781342B (zh) * 2016-04-08 2017-09-05 伍志勇 一种家具滑动门的滑动开闭结构
IT201600088964A1 (it) * 2016-09-01 2018-03-01 Mypro Res S R L Dispositivo di scorrimento.
EP4111025B1 (en) * 2020-02-25 2025-06-04 Samet Kalip Ve Madeni Esya San. Ve Tic. A.S. Device for a sliding do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363A (ja) 2003-07-29 2005-02-24 Panahome Corp 引戸装置
KR200417239Y1 (ko) * 2006-03-13 2006-05-24 동원대학 산학협력단 교차형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유니트
KR100942221B1 (ko) 2009-06-15 2010-02-16 전기순 스텝리스 슬라이딩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194Y1 (ko) * 2002-10-17 2003-01-30 명 규 박 도어 슬라이딩 장치
KR101038142B1 (ko) * 2009-03-17 2011-05-31 이화이앤지앤드환경 주식회사 문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363A (ja) 2003-07-29 2005-02-24 Panahome Corp 引戸装置
KR200417239Y1 (ko) * 2006-03-13 2006-05-24 동원대학 산학협력단 교차형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유니트
KR100942221B1 (ko) 2009-06-15 2010-02-16 전기순 스텝리스 슬라이딩 도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1088A1 (ko) 2012-11-23 2014-05-30 (주)지씨아이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US9739080B2 (en) 2012-11-23 2017-08-22 Gci Global Co., Lt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KR101475940B1 (ko) * 2013-10-22 2015-01-05 주식회사 더원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101778747B1 (ko) * 2016-03-14 2017-09-14 안중식 욕실 수납장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레일 완충장치
KR101674346B1 (ko) * 2016-03-31 2016-11-08 정용일 미닫이용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WO2017171227A1 (ko) * 2016-03-31 2017-10-05 정용일 미닫이용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CN108884697A (zh) * 2016-03-31 2018-11-23 郑用� 推拉门的滑动装置
CN108884697B (zh) * 2016-03-31 2020-06-23 郑用一 推拉门的滑动装置
KR20190122931A (ko) * 2018-04-23 2019-10-31 신정철 가구용 플랫 슬라이딩도어 롤러어셈블리
KR102072147B1 (ko) * 2018-04-23 2020-01-31 신정철 가구용 플랫 슬라이딩도어 롤러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02206A (ja) 2012-10-22
WO2012128494A1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289B1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US9739080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KR20100122459A (ko)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KR101180469B1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KR101490160B1 (ko) 자동 닫힘 도어힌지
KR102592617B1 (ko) 문과 옷장 문을 슬라이딩으로 움직이기 위한 장치
KR20140013192A (ko)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KR101230243B1 (ko)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CN211144129U (zh) 门铰链结构及具有该门铰链结构的食物料理机
KR101623044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EP3438389B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KR10165492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KR101985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KR200467041Y1 (ko) 도어 조립체
KR102137482B1 (ko) 미닫이문 개폐장치
KR101654917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엔드 완충장치
KR100988495B1 (ko)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용 도어
KR102072147B1 (ko) 가구용 플랫 슬라이딩도어 롤러어셈블리
KR101475940B1 (ko)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CN205037670U (zh) 冰箱
KR20150000587A (ko) 상하 접이식 도어 장치
KR102634414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1113135B1 (ko)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KR101752693B1 (ko)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10165491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롤러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5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