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2932B1 -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932B1
KR101632932B1 KR1020150086895A KR20150086895A KR101632932B1 KR 101632932 B1 KR101632932 B1 KR 101632932B1 KR 1020150086895 A KR1020150086895 A KR 1020150086895A KR 20150086895 A KR20150086895 A KR 20150086895A KR 101632932 B1 KR101632932 B1 KR 10163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tag
electronic device
smart terminal
dual interface
mem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정밀
Priority to KR102015008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932B1/ko
Priority to PCT/KR2016/005664 priority patent/WO201619071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9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04B5/005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스마트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기기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는 것에 관련되고, 또한 본 발명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전자기기가 검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sing Dual interface NFC tag}
본 발명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스마트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기기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는 것에 관련되고, 또한 본 발명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전자기기가 검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이란, 무선 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기술이다. NFC는 통신 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블루투스 등과 같은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은 기기간 페어링(pairing)이 필수적이었지만 NFC는 페어링이 수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기존의 NFC 모듈과 NFC 태그 사이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의 NFC 방식은 NFC 모듈(10) 및 NFC 태그(20) 사이에서의 통신이다. NFC 모듈(10)은 액티브 단말로서 NFC 태그(20)에 포함된 메모리(EEPROM)에 대한 기록(Writing) 및 판독(Reading)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10)은 NFC Reader/Writer로도 지칭될 수 있다. NFC 태그(20)는 패시브 단말로서 NFC 모듈(10)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21) 및 메모리(EEPROM)을 포함한다. NFC 태그(20)는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가 없으며, NFC 모듈(10)이 접근하는 경우 NFC 모듈(10)이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파워-온 된 NFC 태그(20)에 대하여 NFC 모듈(10)은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할 수 있다. 한편, NFC 통신의 다른 방식으로, 2 개의 NFC 모듈(10) 사이에서 P2P 또는 태그 에뮬레이션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존의 NFC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NFC 방식은 RF에 의해서만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별도의 유선 라인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NFC 태그(20)는 프린터나 가전 기기와 같은 메인 전자 장치에는 설치되지 않았다. 즉, 개별적인 MCU를 갖는 메인 전자 장치는 RF 통신 외의 유선 방식으로 NFC 태그(20)와 통신할 수 없으므로 메모리에 대한 유선 제어가 불가능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유선 통신 방식인 I2C(Inter-Integrated Circuit, I-square-C) 통신이 가능한 NFC 방식이 소개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NNVM NFC, dual interface NFC, NFC TAG with serial interfac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도 1b는 최근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방식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NFC 모듈(10)이 접근하면 NFC 모듈(10)이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으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30)는 전원을 공급받고, 무선 안테나(31)를 통해 NFC 모듈(10)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30)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점은 기존의 NFC 방식과 동일하다. 이에 추가적으로 듀얼 인터페이스 NFC 방식에 따른 NFC 태그(30)은 메인 MCU(40)과 유선 통신(32)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선 통신은 시리얼 통신이나 I2C 통신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NFC 태그(30) 및 메인 MCU(40) 사이의 직접 유선 통신(32)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방식은 더 높은 활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메인 MCU(40)는 가전 제품이나 산업용 기기 등의 장치에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이러한 장치는 직접적으로 NFC 태그(30)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최근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듀얼 인터페이스 NFC 방식은 메모리(EEPROM)을 매체로 하는 NFC 모듈(10) 및 메인 MCU(40) 사이의 '메모리 공유'라 할 수 있으며 엄밀하게는 '통신'과는 상이한 개념이다. 메모리의 공유이기 때문에, NFC 모듈(10)이 태깅을 했는지, 데이터를 기록했는지, 데이터를 판독했는지, 어떤 데이터이며 어떤 메모리에 기록되었는지에 대해서 메인 MCU(40)는 알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5-005014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전자기기가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상기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write)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을 상기 전자기기가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제 1 포트의 신호의 토글-업(toggle-up)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기록을 상기 전자기기가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제 2 포트의 신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toggle-down) 및 토글-업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기록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 방법은 상기 제 1 포트의 신호의 토글-업이 검출되었으나,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포트의 신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 및 토글-업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기기의 기록 오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에는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 및 서비스별 데이터 영역이 할당되고, 각각의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은 유효성 판단 필드, 에러 체크 필드 및 시퀀스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요청하는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에 시퀀스 값을 업카운트하여 기록하고, 상기 요청하는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업카운트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요청하는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유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는 것을 통해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값으로 기록하고 있는 요청된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실행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없음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의 시퀀스 값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한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의 시퀀스 값 및 상기 판독한 데이터 영역의 시퀀스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발생으로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무의미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발생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는 POS (Point Of Sale)이고, 상기 서비스는 상기 POS 세팅, 스마트 쿠폰 사용 및 스마트 페어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은 상기 제 2 포트의 풀-업(pull-up) 저항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상기 제 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트는 EH_FD (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트는 RF_WIP (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자기기기에 저장되어 정자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상기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 및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 유선 수신을 위한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가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상기 전자기기가 대기하는 단계;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 시에 상기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가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되는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에는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 및 서비스별 데이터 영역이 할당되고, 각각의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은 유효성 판단 필드, 에러 체크 필드 및 시퀀스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는: 요청하는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에 시퀀스 값을 업카운트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요청하는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업카운트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하는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팔드에서 유효성 값을 유효값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태깅하는데 있어서, 상기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는 것을 통해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값으로 기록하고 있는 요청된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한 요청된 서비스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실행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없음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태깅하는데 있어서, 상기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는 것을 통해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값으로 기록하고 있는 요청된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의 시퀀스 값을 판독하고,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판독하고 만약 판독한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값 및 상기 판독한 데이터 영역의 시퀀스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발생으로 기록하고, 만약 판독한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가 무의미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발생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 기록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을 상기 전자기기가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제 1 신호의 토글-업(toggle-up)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피드백 데이터 기록을 상기 전자기기가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toggle-down) 및 토글-업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피드백 데이터 기록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피드백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가 대기하는 단계는: 대기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종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피드백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에러발생인 경우, 에러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없음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피드백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에러없음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이 정상적으로 판독하였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는 POS이고, 상기 서비스는 스마트 쿠폰 발행, 전자 영수증 발행, POS 프린터의 에러 코드 발행 및 POS 프린터의 메인터넌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은 상기 제 2 포트의 풀-업(pull-up) 저항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상기 제 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트는 EH_FD (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트는 RF_WIP (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자기기에 저장되어 전자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르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통해 스마트 단말 및 전자기기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전자기기는 인터럽트를 통해 스마트 단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인터럽트를 통해 스마트 단말이 태깅하였는지, 태깅이 해제되었는지, 스마트 단말의 유효한 기록이 발생하였는지, 무효한 동작이 발생하였는지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되며, 전자기기는 인터럽트를 통해 스마트 단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인터럽트를 통해 스마트 단말이 태깅하였는지, 태깅이 해제되었는지, 스마트 단말의 유효한 기록이 발생하였는지, 무효한 동작이 발생하였는지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전자기기는 그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스마트 단말은 그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고, 또한 전자기기는 스마트 단말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판독하였는지 또는 판독에 오류가 발행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a는 기존의 NFC 모듈과 NFC 태그 사이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최근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방식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통해 스마트 단말 및 전자기기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 해제를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기록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유선으로 통신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POS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비록 특정 실시 예로 설명하더라도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통해 스마트 단말 및 전자기기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100),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 및 전자기기(300)를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10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스마트 단말(1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도 지칭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0)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선 시작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연산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에 국한되어 스마트 단말(100)을 제한해서는 아니된다. 스마트 단말(10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해 액티브 장치인 NFC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스마트 단말(10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안테나(210)를 통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는 스마트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기기(300)와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은 시리얼 통신, USB 통신, I2C 통신, SPI 통신 등을 포함한다.
듀얼 일터페이스 NFC 태그(200)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210),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220)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0)을 포함한다.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210)는 공기 중의 무선 주파수에 따른 신호를 마치 도선이 연결된 것과 같이하여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안테나(210)는 무선 근거리(예컨대, 10 cm) 통신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210)는 루프 안테나로 구성되고, 루프 안테나는 PCB, FPCB, 일반 도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220)는 일반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NVM)로서 예를 들어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다. EEPROM으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220)는 전기적 신호를 가해줌으로써 내부 데이터가 지워지게 되어 데이터 삭제를 위한 전용 이레이저는 필요하지 않으며 하나의 라이터(writer)를 이용해 기록 및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EEPROM은 약 100만번 정도의 반복 기록 횟수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기록(write)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제 2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는 예를 들어 EH_FD (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는 예를 들어 RF_WIP (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0)은 전자기기(300)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위한 포트들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2C 유선 통신의 경우, SCL (serial clock) 포트 및/ SDA (serial data) 포트를 통한 유선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300)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메모리(220)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의 동작 특성은 다음과 같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는 동작 전원을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0)은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스마트 단말(100)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게 일정 범위 이내에 근접하게 되면 그 발생된 전자기장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동작 전원으로 동작하게 된다. 제 1 포트는 전술한 스마트 단말(100)의 전자기장의 유무를 검출하는 포트로서, 전자기장의 존재가 확인되면 신호 파형이 토글-업된다. 한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는 전자기기(300)와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유선 라인을 통해 전자기기(300)로부터 동작 전원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의 동작 특성은 다음과 같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가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동작 전원을 입력 받고 있는 동안에 스마트 단말(100)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메모리(220)에 대한 기록(Wrting)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토글-업되어 있던 신호 파형은 토글-다운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신호 파형은 다시 토글-업된다. 제 2 포트는 토글-업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되었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스마트 단말(100)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메모리에 대한 기록을 수행하였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0)은 전자기기(300)와의 유선 통신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230)은 유선 라인으로 전자기기(300)의 제어 유닛(MCU, 310)과 연결된다.
전자기기(300)는 예를 들어, 냉장고, 밥솥, 청소기, 에어컨 등의 가전기기, POS 시스템 내의 호스트 컴퓨터, POS 시스템 내의 POS 프린터, 컴퓨터, 사무용 프린터, 웨어러블 기기, 디지털 도어락 등일 수 있다. 전자기기는 제어 유닛(310)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3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와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메모리(220)에 대해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기록 및 판독을 수행할 수 있고, 전자기기(300)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메모리(220)에 대해 유선 통신을 통해 기록 및 판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를 스마트 단말(100) 및 전자기기(300)가 서로 공유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300)의 예로서 POS 시스템을 가정하면, 고객은 페이퍼 영수증 대신 전자 영수증을 발급받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POS 시스템은 전자 영수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유선 통신을 통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메모리(220)에 기록할 수 있고, 기록 이후에, 스마트 단말(100)은 메모리(220)에 저장된 전자 영수증 데이터를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판독함으로써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고객에게 스마트 쿠폰을 발급하기 위한 용도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는, POS 프린터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예컨대, 용지 걸림, 용지 부족, 커버 열림 등), POS 시스템은 에러에 대한 데이터를 유선 라인을 통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메모리(220)에 기록할 수 있고, POS 시스템의 운영자(예컨대, 상점의 주인)는 자신의 스마트 단말(100)을 태그함으로써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이른바 스마트 A/S 기능도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POS 시스템의 운영자(예컨대, 상점의 주인)는 POS 프린터의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100)을 이용해 메모리(220)에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설정 데이터를 POS 시스템이 유선 통신으로 판독하여 POS 시스템에 적용시킬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 단말(100) 및 전자기기(300)는 전통적인 통신 방식이 아닌 메모리 공유 방식으로 서로 소통하는 것이므로, 전자기기(300)는 스마트 단말(100)이 태깅하였는지, 태깅이 해제되었는지, 스마트 단말(100)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이 있었는지 등에 대해서 인식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자기기(300)가 스마트 단말(100)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300)의 제어 유닛(310)에 대해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스마트 단말(100)의 동작 여부 및 동작의 종류를 전자기기(300)가 인식할 수 있다. 인터럽트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의 결합을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포트는 대표적으로 EH_FD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대표적으로 RF_WIP 포트일 수 있다.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방식은, 제 2 포트의 풀-업(pull-up) 저항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제 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 7a 및 도 7b을 먼저 참조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제 1 포트는 EH_FD 포트이고 제 2 포트는 RF_WIP 포트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로 스마트 단말이 태깅되는 경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IC는 스마트 단말에서 생성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전원이 생성된다. 그 생성된 전원은 도 7a 및 도 7b에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IC의 EH_FD로 출력이 된다. EH_FD의 출력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의 VCC 포트로 입력하여 동작 전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이 태깅되어 있다는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도 활용될 수 있다.
RF_WIP 신호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로 태깅 상태에서 데이터 기록이 발생되는 경우에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어 기록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이러한 RF_WIP 포트는 기본적으로 오픈-드레인 (Open-drain) 포트이다. 오픈-드레인 포트는 그 특성상 포트 외부에 풀업(pull-up) 저항이 없으면 출력을 발생할 수 없다. 여기서 RF_WIP는 스마트 단말의 태깅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기록 동작이 발생되므로 EH_FD가 로우인 상태에서는 결코 발생될 수 없는 신호이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에서 RF_WIP의 풀업 저항의 인에이블이 EH_FD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EH_FD 포트 및 RF_WIP 포트를 결합하였다. 즉, 도 7a 및 도 7b에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의 RF_WIP 출력과 GEN INT 단의 출력 신호는 EH_FD 및 RF_WIP의 결합인 EH_FD + RF_WIP 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GEN INT의 출력단의 저항(R11)은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저항인 동시에 RF_WIP의 풀업 저항이 되는 것이다. GEN INT에서 EH_FH가 로우이면 출력단 트랜지서터(Q2)는 도통이 되어 EH_FD + RF_WIP 노드는 GND와 연결되기 때문에 R11은 풀업 저항으로서 동작하지 않는다. EH_FD가 하이이면 출력단 트랜지스터(Q2)는 도통이 되지 않아 R11은 풀업 저항으로서의 동작이 가능하며, EH_FD + RF-WIP은 하이 상태가 되어 스마트 단말이 태깅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로부터 데이터 기록이 발생하면, EH_FD + RF_WIP 신호는 일정 시간 동안 로우로 토글-다운되었다가 다시 하이로 토글-업되므로, 기록 동작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300)의 제어 유닛(310)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신호가 결합된 결합 신호가 이용된다. 제 1 포트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EH_FD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RF_WIP 포트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 유닛(3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으로 인식한다.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입한 이유는,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시에 신호 파형이 스테이블하게 토글-업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쵸핑(chopping)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비접촉 RF 방식을 이용하는 태깅이기 때문에, 이러한 쵸핑이 발생할 여지가 더욱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한 태깅만을 검출하기 위해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입하였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500 ms 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 해제를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300)의 제어 유닛(310)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이용된다. 제 1 포트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EH_FD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RF_WIP 포트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제어 유닛(3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 해제로 인식한다.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입한 이유는,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으로 인해 신호 파형이 토글-업된 이후에,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토글-다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 단말(100)의 일시적인 접촉 거리 증가로 인해 제 1 포트의 신호가 토글-다운될 수도 있고, 스마트 단말(100)이 메모리(220)에 대한 기록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토글-다운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한 태깅 해제만을 검출하기 위해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입하였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100 ms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기록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300)의 제어 유닛(310)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이용된다. 제 1 포트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EH_FD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를 들면 RF_WIP 포트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기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제어 유닛(31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200)의 메모리(220)에 대한 스마트 단말(100)의 기록 동작을 인식한다.
소정의 시간 기간은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100)의 메모리(220)에 대한 기록 시에 발생하게 되는 토글-다운 유지에 상응할 수 있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스마트 단말(100)의 기록 동작 인식을 위한 소정의 시간 기간은 7ms를 초과하고 10ms 미만인 시간 기간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제어 유닛(310)은 무효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단말(100)이 일시적으로 멀어지거나 다른 잡음에 의해 토글-다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기간이 임계 시간 이내라면 제어 유닛(310)은 이러한 현상을 유의미한 동작으로 인식하지 않고 무효 동작으로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무효 동작 인식을 위한 임계 시간은 7 ms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유선으로 통신하는 전자기기(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기기(300)는 유선 신호 수신기(350), 인터럽트 생성기(360) 및 동작 인식부(3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선 신호 수신기(350), 인터럽트 생성기(360) 및 동작 인식부(370)은 통합하여 이전의 실시예에서의 제어 유닛(MCU, 310)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기기(300)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스마트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 전자기기(300)와의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한다.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포트는 EH_FD(Energy Harverst Field Detection)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RF_WIP (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일 수 있다.
유선 신호 수신기(350)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로부터 유선 신호들을 수신하며, 이를 위해 유선 신호 수신기(350)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유선 라인으로 연결된다. 유선 신호 수신기(350)가 수신하는 유선 신호들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의 신호 및 스마트 단말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의 신호를 포함한다.
인터럽트 생성기(360)는 유선 신호 수신기(350)가 수신하는 신호들에 기초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인터럽트 생성기(360)는 제 1 포트 신호 및 제 2 포트 신호를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포트 신호 및 제 2 포트 신호를 결합하는 방식은, 제 2 포트의 풀-업 저항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제 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 7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동작 인식부(370)는 인터럽트 생성기(360)에서 생성되는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단말의 동작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동작 인식부(370)가 인식하는 스마트 단말의 동작은 스마트 단말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 스마트 단말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로부터의 태깅 해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기록 및 무효 동작을 포함한다.
동작 인식부(370)는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으로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500 ms 일 수 있다.
동작 인식부(370)는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 해제로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100 ms일 수 있다.
동작 인식부(370)는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기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기록 동작을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스마트 단말(100)의 기록 동작 인식을 위한 소정의 시간 기간은 7ms를 초과하고 10ms 미만인 시간 기간일 수 있다.
동작 인식부(370)는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무효 동작으로 인식한다. 시스템 설정이나 본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무효 동작 인식을 위한 임계 시간은 7 ms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POS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S 시스템(1000)은 프린터(1010) 및 프린터(1010)을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1030)을 포함한다. 프린터(1010)는 슬립(S) 양면 인쇄, 슬립(S)의 스캐닝, 슬립(S)로부터 마그네틱 잉크 문자의 판독 및 롤지(P)에 영수증의 인쇄가 가능한 복합 장치이다.
프린터(1010)는 메인 유닛(1011)의 정면 상단부를 커버하기 위해 메인 유닛(1011)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정면 커버(1013) 및 정면 커버의 후방 상단부를 커버하기 위해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배면 커버(1012)에 의해 구성된다.
롤지 수납공간은 프린터(1010)의 메인 유닛(1011)과 배면 커버(1012) 사이에 형성된다. 롤지(P)는 이 롤지 수납공간에 장전된다. 롤지(P)는 메인 유닛(1011) 내에 설치된 롤지 배출로를 통해 배출되면서 프린터 헤드(미도시)에 의해 인쇄된다. 인쇄된 롤지(P)는 배면 커버(1012)의 상면에 형성된 롤지 배출구(1012a)로부터 배출된다. 도 8에서 롤지 배출구(1012a)로부터 배출되는 롤지의 선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 롤지(P)는 인쇄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절단되어 한장의 영수증으로 발행된다.
슬립(S)를 삽입하는 삽입 슬롯(1015)은 프린터(1010)의 정면 커버(1013)의 아래쪽에 형성된다. 삽입 슬롯(1015)으로부터 삽입된 슬립(S)은 메인 유닛(11) 내에 형성된 배출로(1016)를 통해 배출되고, 정면 커버(1013)와 배면 커버(1012)의 사이에 형성된 배출구(1017)로부터 배출된다. 슬립(S)는 인쇄되고 스캐닝될 수 있고, 슬립(S)이 반송로(1016)를 통해 반송되는 동안 슬립(S)에 인쇄된 마그네틱 잉크 문자가 판독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010)는 CPU 및 내부 메모리를 포함한다. CPU는 플래시 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펌웨어를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프린터 작동 제어가 실행되어 인쇄가 실행된다.
호스트 컴퓨터(1030)는 직렬 케이블, USB 케이블 또는 다른 통신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다. 호스트 컴퓨터(1030)는 터치 패널(1031)과 카드 리더(1032)와 같은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터치 패널(1031)과 카드 리더(1032)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 케이블을 통해 플니터(1010)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프린터(1010)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롤지(P) 또는 슬립(S)를 인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POS 시스템(1000)일 수 있다. 전자기기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유선 신호 수신기, 인터럽트 생성기및 동작 인식부를 통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전자기기인 POS 시스템(1000)과 유선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POS 프린터(10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POS 프린터(10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호스트 컴퓨터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호스트 컴퓨터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는 POS 시스템(1000)의 운영자(예컨대, 상점의 주인)의 단말일 수 있고, 상점의 고객의 단말일 수도 있다. 고객은 페이퍼 영수증 대신 전자 영수증을 발급받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POS 시스템은 전자 영수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유선 통신을 통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고, 기록 이후에, 스마트 단말은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 영수증 데이터를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판독함으로써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고객에게 스마트 쿠폰을 발급하기 위한 용도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는, POS 프린터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예컨대, 용지 걸림, 용지 부족, 커버 열림 등), POS 시스템(1000)은 에러에 대한 데이터를 유선 라인을 통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고, POS 시스템(1000)의 운영자(예컨대, 상점의 주인)는 자신의 스마트 단말을 태그함으로써 에러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이른바 스마트 A/S 기능도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POS 시스템(1000)의 운영자(예컨대, 상점의 주인)는 POS 프린터의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을 이용해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설정 데이터를 POS 시스템이 유선 통신으로 판독하여 POS 시스템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태깅하는 단계와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는 스마트 단말에 의해 수행되고, 나머지 단계는 전자기기에 의해 수행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 주체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한다.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스마트 단말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 및 전자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태깅하는 단계(S901)로 시작한다.
전자기기는, 제 1 포트의 신호의 토글 업을 검출하는 것을 통해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태깅하였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S902).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포트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해 스마트 단말이 태깅하는 경우에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신호이고 예컨대, EH_FD 포트일 수 있다. 즉, 액티브 단말인 스마트 단말이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에 의해 제 1 포트의 신호 파형은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된다. 만약, 전자기기가 제 1 포트의 신호의 토글-업을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에러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S903). 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스마트 단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S904). 이러한 스마트 단말의 기록을 인식하는 단계가 전자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905). 전자기기는 제 2 포트의 신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 및 토글-업을 검출하는 것을 통해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였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포트는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토글-다운되고 일정 시간 이후 다시 토글-업되는 연속적인 신호이다. 예컨대, 제 2 포트는 RF_WIP 포트일 수 있다. 만약, 전자기기가 제 2 포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 및 토글-업을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는 스마트 기기의 기록 오류로 결정하고 에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903).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여,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예시적인 메모리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자기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및 반대로 전자기기로부터 스마트 단말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가 있다. 전자기기의 예시로서, POS 시스템을 예로 들면, 스마트 단말로부터 POS 시스템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비스는 POS 프린터 세팅, 스마트 쿠폰 사용 및 스마트 페어링이 있다. 반대로 POS 시스템으로부터 스마트 단말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비스는 스마트 쿠폰 발행, 전자 영수증 발행, POS 프린터의 에러 코드 발행 및 POS 프린터의 메인터넌스 리포트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는 서비스 별로 저장 영역을 달리하고, 각각의 서비스 영역에는 플래그 영역(1010) 및 데이터 영역(미도시)이 할당되고, 플래그 영역(1010)은 다시 유효성 판단 필드(1011), 에러 체크 필드(1012) 및 시퀀스 필드(1013)로 구분된다.
예컨대, 디바이스 세팅을 예로 들면, 플래그 영역(1010)은 요청된 서비스인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유효성 판단 필드(1011), 에러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에러 체크 필드(1012) 및 시퀀스를 표시하기 위한 시퀀스 필드(1013)를 포함한다.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는 유효값(예컨대, Y) 또는 무효값(예컨대, N)이 기록될 수 있는데, 유효값을 포함하는 서비스가 전자기기 또는 스마트 단말에 의해 필요한 서비스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 중에서 디바이스 세팅의 유효성 판단 필드만 Y이고 나머지 서비스의 유효성 판단 필드가 N인 경우에 현재 요청되는 서비스는 디바이스 세팅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에러 체크 필드(1012)는 판독 주체인 전자기기가 판독의 성공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필드로서, 에러 체크 필드(1012)에는 대기상태(H), 데이터 처리 정상 완료(S), 데이터 처리 에러 발생(E)이 기록될 수 있으며, 기록되어 있는 값에 따라 판독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식별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 세팅의 플래그 영역(1010)에서 에러 체크 필드(1012)에 기록된 값이 S이면 데이터 영역(미도시)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한 실제 데이터(디바이스 세팅값)을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판독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에러 체크 필드(1012)에 기록된 값이 E이면 데이터 영역(미도시)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한 실제 데이터(디바이스 세팅값)를 전자기기가 판독에 실패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시퀀스 필드(1013)에는 서비스 수행 횟수마다 1씩 업카운트되는 시퀀스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시퀀스 값은 데이터 영역(미도시)에도 동일한 값이 기록되며 판독 주체는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의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미도시)의 시퀀스 값을 서로 비교하여 정상적인 기록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세팅의 경우, 스마트 단말은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서 값을 1만큼 업카운트하고(예컨대, 00에서 01로 업카운트) 동일한 시퀀스 값 및 실제 처리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에 기록한다. 이후, 판독 주체인 전자기기는 시퀀스 필드(1013)에 기록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의 시퀀스 값을 모두 판독 및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 데이터 영역의 실제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임을 결정할 수 있지만, 만약 시퀀스 값이 서로 상이하다면,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님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기기가 POS 시스템이고, 디바이스 세팅 정보가 스마트 단말로부터 POS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본다. 스마트 단말은 디바이스 세팅의 플래그 영역(1010)을 참조하여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서 값을 유효값(Y)로 기록하고,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서 시퀀스 값을 1로 업카운트(예컨대 00에서 01로 업카운트)할 것이며, 디바이스 세팅의 데이터 영역에는 업카운트된 시퀀스값(01) 및 실제 디바이스 세팅 데이터를 기록할 것이다. 이후 전자기기는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여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서 유효값(Y)를 표시하고 있는 디바이스 세팅이 스마트 단말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 임을 인식할 수 있고,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 기록된 업카운트된 스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시퀀스 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 정상적인 스마트 단말의 기록임을 인식할 수 있고,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실제 처리 데이터(디바이스 세팅값)을 판독하여 이를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9로 돌아오면, 전자기기는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1010)을 판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906). 이러한 서비스 별 플래그 영역(1010)의 판독을 통해 전자기기는 어떤 서비스가 요청되고 있는 서비스 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S907). 구체적으로, 전자기기는 플래그 영역(1010)에서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서 유효값으로 표시하고 있는 서비스가 요청된 서비스 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는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 기록된 시퀀스 값도 판독한다.
전자기기는 이후 요청된 것으로 결정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을 판독한다(S908)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는 스마트 단말에 의해, 시퀀스 값 및 실제 처리 대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만약, 플래그 영역(1010)에서의 시퀀스 필드(1013)에서의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에서의 시퀀스 값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전자기기는 에러 처리를 수행한다(S909). 그 이유는 동시에 기록되어 동일해야만 하는 시퀀스가 상이하므로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는 현재의 단계에서 기록된 것이라는 것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전자기기는 해당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는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서 무효값(N)로 기록한다(S910). 또한, 전자기기는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에러 체크 필드(1012)에서 에러 발생으로(E)로 기록한다(S910)
민약, 플래그 영역(1010)에서의 시퀀스 필드(1013)에서의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에서의 시퀀스 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전자기기는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한다(S911). 이는 시퀀스가 동일하므로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는 현재 단계에서 기록된 데이터라는 것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전자기기는 해당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는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서 무효값(N)로 기록한다(S912). 또한, 전자기기는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에러 체크 필드(1012)에서 에러없음으로(S)로 기록한다(S912)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태깅하는 단계와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는 스마트 단말에 의해 수행되고, 나머지 단계는 전자기기에 의해 수행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 주체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한다.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스마트 단말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 및 전자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로부터 스마트 단말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비스는 예를 들어 전자기기를 POS 시스템인 경우, 스마트 쿠폰 발행, 전자 영수증 발행, POS 프린터의 에러 코드 발행 및 POS 프린터의 메인터넌스 리포트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기기가 유선 통신을 통한 포트들을 통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S1101)로 시작한다.
전자기기가 유선 통신을 통해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마트 단말이 무선 통신으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와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는 서비스 별로 저장 영역을 달리하고, 각각의 서비스 영역에는 플래그 영역(1010) 및 데이터 영역(미도시)이 할당되고, 플래그 영역은 다시 유효성 판단 필드(1011), 에러 체크 필드(1012) 및 시퀀스 필드(1013)로 구분된다. 예컨대, 전자 영수증 발행을 예로 들면, 플래그 영역(1010)은 요청된 서비스인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유효성 판단 필드(1011), 에러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에러 체크 필드(1012) 및 시퀀스를 표시하기 위한 시퀀스 필드(1013)를 포함한다.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는 유효값(예컨대, Y) 또는 무효값(예컨대, N)이 기록될 수 있는데, 유효값을 포함하는 서비스가 전자기기 또는 스마트 단말에 의해 필요한 서비스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 중에서 전자 영수증 발행의 유효성 판단 필드만 Y이고 나머지 서비스의 유효성 판단 필드가 N인 경우에 현재 요청되는 서비스는 전자 영수증 발행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에러 체크 필드(1012)는 판독 주체인 스마트 단말이 판독의 성공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필드로서, 에러 체크 필드(1012)에는 대기상태(H), 데이터 처리 정상 완료(S), 데이터 처리 에러 발생(E)이 기록될 수 있으며, 기록되어 있는 값에 따라 판독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식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영수증 발행의 플래그 영역(1010)에서 에러 체크 필드(1012)에 기록된 값이 S이면 데이터 영역(미도시)에 전자기기가 기록한 실제 데이터(전자 영수증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정상적으로 판독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에러 체크 필드(1012)에 기록된 값이 E이면 데이터 영역(미도시)에 전자기기가 기록한 실제 데이터(전자 영수증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에 실패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는 곧,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드백 데이터로 이용되게 된다.
시퀀스 필드(1013)에는 서비스 수행 횟수마다 1씩 업카운트되는 시퀀스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시퀀스 값은 데이터 영역(미도시)에도 동일한 값이 기록되며 판독 주체는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의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미도시)의 시퀀스 값을 서로 비교하여 정상적인 기록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영수증 발행의 경우, 전자기기는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서 값을 1만큼 업카운트하고(예컨대, 00에서 01로 업카운트) 동일한 시퀀스 값 및 실제 처리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에 기록한다. 이후, 스마트 단말은 시퀀스 필드(1013)에 기록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의 시퀀스 값을 모두 판독 및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데이터 영역의 실제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임을 결정할 수 있지만, 만약 시퀀스 값이 상이하다면,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님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기기가 POS 시스템이고, 전자영수증이 전자기기로부터 스마트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본다. 전자기기는 전자 영수증 발행의 플래그 영역(1010)을 참조하여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서 값을 유효값(Y)으로 기록하고,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서 시퀀스 값을 1로 업카운트(예컨대 00에서 01로 업카운트)할 것이며, 전자 영수증 발행의 데이터 영역에는 업카운트된 시퀀스값(01) 및 실제 전자 영수증 데이터를 기록할 것이다. 이후 스마트 단말은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여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서 유효값(Y)를 표시하고 있는 전자 영수증 발행이 전자기기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임을 인식할 수 있고,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 기록된 업카운트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시퀀스 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 정상적인 전자기기의 기록임을 인식할 수 있고,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실제 처리 데이터(전자 영수증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를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기기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대기한다(S1102). 대기 이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의 명령으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고 종료가 될 수 도 있다.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태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103). 스마트 단말은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1010)의 판독을 통해 어떤 서비스가 요청되고 있는 서비스 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단말은 플래그 영역(1010)에서 유효성 판단 필드(1011)에서 유효값으로 표시하고 있는 서비스가 요청된 서비스 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은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 기록된 시퀀스 값도 판독한다. 또한, 스마트 단말은 요청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미도시)을 판독하여 시퀀스 값 및 실제 처리 대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만약,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서의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에서의 시퀀스 값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은 해당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에러 체크 필드(1012)에서 에러 발생(E)으로 기록한다(S1105). 그 이유는 동시에 기록되어 동일해야만 하는 시퀀스가 상이하므로 현재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실제 처리 데이터는 유효한 데이터라는 것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서의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에서의 시퀀스 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한다. 예컨대, 전자 영수증 발행의 경우에 스마트 단말은 해당 전자 영수증을 스마트 단말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스마트 단말은 해당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에러 체크 필드(1012)에서 에러 없음(S)으로 기록한다(S1105). 한편, 시퀀스 값이 서로 동일하더라도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무의미한 널(null) 데이터인 경우에도 스마트 단말은 에러 체크 필드(1012)에서 에러 발생(E)으로 기록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 단말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에 대응하여 전자기기는 이를 인식한다(S1104). 구체적으로, 전자기기는 제 1 포트의 신호의 토글 업을 검출하는 것을 통해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태깅하였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S1104).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포트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해 스마트 단말이 태깅하는 경우에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신호이고 예컨대, EH_FD 포트일 수 있다. 즉, 액티브 단말인 스마트 단말이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에 의해 제 1 포트의 신호 파형은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된다. 만약, 전자기기가 제 1 포트의 신호의 토글-업을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에러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S1106). 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스마트 단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S1105). 구체적으로, 스마트 단말은 플래그 영역(1010)의 시퀀스 필드(1013)에서의 시퀀스 값 및 데이터 영역에서의 시퀀스 값이 서로 상이한 경우 스마트 단말의 해당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에러 체크 필드(1012)에서 에러 발생(E)으로 기록한다. 또는, 시퀀스 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 에러 체크 필드(1012)에서 에러 없음(S)으로 기록한다. 이러한 에러 에크 필드(1012)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스마트 단말이 판독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전자기기가 검출할 수 있게 하는 피드백 데이터로 활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과 전자기기간의 데이터 전송은 통신이 아니라 메모리의 공유이므로, 스마트 단말의 판독 여부에 대해서 전자기기는 검출할 수 없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단말의 판독 여부를 전자기기가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의 기록을 인식하는 단계가 전자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1107). 전자기기는 제 2 포트의 신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 및 토글-업을 검출하는 것을 통해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였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포트는 스마트 단말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토글-다운되고 일정 시간 이후 다시 토글-업되는 연속적인 신호이다. 예컨대, 제 2 포트는 RF_WIP 포트일 수 있다. 만약, 전자기기가 제 2 포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 및 토글-업을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는 스마트 기기의 기록 오류로 결정하고 에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106).
이후, 전자기기는 해당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1010)의 에러 체크 필드(1012)를 판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8). 그 결과 에러 체크 필드(1012)의 내용이 에러 발생인 경우에는 전자기기는 에러 처리를 실행하고(S1109) 플래그 영역(1010)의 에러 체크 필드(1012)에서 에러 없음으로 기록한다(S1110). 만약, 에러 체크 필드(1012)의 내용이 에러 없음인 경우에는 전자기기기는 정상 판독으로 검출하고(S1111) 플래그 영역(1010)의 에러 체크 필드(1012)에서 에러 없음으로 기록한다(S1110).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 경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자기기 또는 스마트 단말에 저장되어 전술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이나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초고주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초고주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이 프로그램 코드나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될 때,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문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argument),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콘텐츠를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인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 발송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추가로, 어떤 측면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나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에서, 여기서 설명한 기술들은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 함수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모리 유닛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처리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포함한다"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범위에 대해, 이러한 용어는 "구성되는"이라는 용어가 청구범위에서 과도적인 단어로 사용될 때 해석되는 것과 같이 "구성되는"과 비슷한 식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추론하다" 또는 "추론"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벤트 및/또는 데이터에 의해 포착되는 한 세트의 관측으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관해 판단하거나 추론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추론은 특정 상황이나 동작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확률적일 수 있는데,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찰에 기초한 해당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의 계산일 수 있다. 추론은 또한 한 세트의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상위 레벨 이벤트들을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기술들을 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론은 한 세트의 관측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로부터의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동작들, 이벤트들이 시간상 밀접하게 상관되는지 여부, 그리고 이벤트들과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나오는지를 추정하게 한다.
더욱이,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의 용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은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세서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한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다. 예시로, 연산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산 디바이스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가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컴포넌트는 각종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 각종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와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거쳐 상호 작용하는 어떤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르는 등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100: 스마트 단말 200: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300: 전자기기 210: RF 인터페이스 안테나
220: 메모리 230: 유선 통신 포트들
310: MCU

Claims (25)

  1.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상기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write)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 및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 유선 수신을 위한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을 상기 전자기기가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제 1 포트의 신호의 토글-업(toggle-up)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기록을 상기 전자기기가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제 2 포트의 신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toggle-down) 및 토글-업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기록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의 신호의 토글-업이 검출되었으나,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포트의 신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 및 토글-업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기록 오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 및 서비스별 데이터 영역이 할당되고, 각각의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은 유효성 판단 필드, 에러 체크 필드 및 시퀀스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요청하는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에 시퀀스 값을 업카운트하여 기록하고, 상기 요청하는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업카운트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요청하는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유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는 것을 통해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값으로 기록하고 있는 요청된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실행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없음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의 시퀀스 값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한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의 시퀀스 값 및 상기 판독한 데이터 영역의 시퀀스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발생으로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무의미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발생으로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POS (Point Of Sale)이고,
    상기 서비스는 상기 POS 프린터 세팅, 스마트 쿠폰 사용 및 스마트 페어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기 제 2 포트의 풀-업(pull-up) 저항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상기 제 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는 EH_FD (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트는 RF_WIP (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를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가 판독하기 위한 방법.
  11. 전자기기에 저장되어 전자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12.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상기 메모리 및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들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 및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 유선 수신을 위한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가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을, 상기 전자기기가 대기하는 단계;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태깅 시에 상기 스마트 단말이 기록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가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되는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 및 서비스별 데이터 영역이 할당되고, 각각의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은 유효성 판단 필드, 에러 체크 필드 및 시퀀스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는:
    요청하는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에 시퀀스 값을 업카운트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요청하는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업카운트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하는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팔드에서 유효성 값을 유효값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태깅하는데 있어서,
    상기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는 것을 통해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값으로 기록하고 있는 요청된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한 요청된 서비스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실행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없음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태깅하는데 있어서,
    상기 서비스별 플래그 영역을 판독하는 것을 통해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값으로 기록하고 있는 요청된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필드의 시퀀스 값을 판독하고,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시퀀스 값 및 데이터를 판독하고,
    만약 판독한 플래그 영역의 시퀀스 값 및 상기 판독한 데이터 영역의 시퀀스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발생으로 기록하고,
    만약 판독한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가 무의미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유효성 판단 필드에서 유효성 값을 무효값으로 기록하고,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발생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결정된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 기록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의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태깅을 상기 전자기기가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제 1 포트의 신호의 토글-업(toggle-up)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피드백 데이터 기록을 상기 전자기기가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제 2 포트의 신호의 연속적인 토글-다운(toggle-down) 및 토글-업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피드백 데이터 기록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피드백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피드백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에러발생인 경우, 에러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플래그 영역의 에러 체크 필드에서 에러없음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기록된 피드백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가 에러없음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이 정상적으로 판독하였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POS이고,
    상기 서비스는 스마트 쿠폰 발행, 전자 영수증 발행, POS 프린터의 에러 코드 발행 및 POS 프린터의 메인터넌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기 제 2 포트의 풀-업(pull-up) 저항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상기 제 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의 결합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2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는 EH_FD (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트는 RF_WIP (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를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전자기기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이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자기기가 검출하기 위한 방법.
  25. 전자기기에 저장되어 전자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제 1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86895A 2015-05-27 2015-06-18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ctive KR10163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895A KR101632932B1 (ko) 2015-06-18 2015-06-18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6/005664 WO2016190717A1 (ko) 2015-05-27 2016-05-27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895A KR101632932B1 (ko) 2015-06-18 2015-06-18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932B1 true KR101632932B1 (ko) 2016-06-24

Family

ID=5634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895A Active KR101632932B1 (ko) 2015-05-27 2015-06-18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144B1 (ko) 2018-01-23 2019-12-18 김경아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8051A1 (en) * 2012-01-03 2014-12-25 Inside Secur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dual interface nfc card inserted into an nfc terminal, and an nfc device
KR20150015246A (ko) * 2013-07-31 2015-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US20150050147A1 (en) 2013-08-15 2015-02-19 Loceheed Martin Corporation Active Bleed For Airfoi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8051A1 (en) * 2012-01-03 2014-12-25 Inside Secur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dual interface nfc card inserted into an nfc terminal, and an nfc device
KR20150015246A (ko) * 2013-07-31 2015-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US20150050147A1 (en) 2013-08-15 2015-02-19 Loceheed Martin Corporation Active Bleed For Airfoi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144B1 (ko) 2018-01-23 2019-12-18 김경아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4022B (zh) 觸控式電子裝置以及降低無線通訊信號干擾觸控感測功能的方法
KR101568137B1 (ko)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장치
US8929812B2 (en) Hybrid RF polling loop for NFC device and retry mechanism
CN101647034A (zh) 用于传达和传送与无接触应用的交易相关的消息的方法、终端、安全模块和相关联的系统
KR101570374B1 (ko)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KR101754231B1 (ko)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양방향 통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053248B2 (en) SRAM handshake
CN107809271B (zh) 近场通信设备
EP2704017A2 (en) Interface arbitration for a wired tag
US90215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n applic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by said device
US20150213281A1 (en) Method of configuring permission for sharing data and touch link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US20130252545A1 (en) Methods and Appliances for Forwarding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Appliances
CN102710816B (zh) 移动终端、存储卡卡座及移动终端中存储卡的写保护方法
KR101593955B1 (ko) 스탬퍼, 그리고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2932B1 (ko)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211812B (zh) 电子装置的操作方法
AU2020202166B2 (en) Multi-use near field communication front end on a point of sale system
JPWO2005027029A1 (ja) 情報記憶装置と情報処理装置
US20150305076A1 (en) Transmitting devices and transmission methods
CN105224217A (zh) 一种数据的传输方法及其终端
CN112771784B (zh) 用于设备共存的系统和方法
WO2016190717A1 (ko)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6462312A (zh) 检测触摸输入的方法、用于感测触摸输入的设备以及用于输入触摸输入的设备
CN106792490B (zh) 一种近场通讯方法和终端
KR101617548B1 (ko) 단말기를 이용하는 전기제품 및 그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1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3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