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0374B1 -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374B1
KR101570374B1 KR1020150085875A KR20150085875A KR101570374B1 KR 101570374 B1 KR101570374 B1 KR 101570374B1 KR 1020150085875 A KR1020150085875 A KR 1020150085875A KR 20150085875 A KR20150085875 A KR 20150085875A KR 101570374 B1 KR101570374 B1 KR 10157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ayment information
memory unit
smart terminal
access addr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정밀
Priority to KR102015008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374B1/ko
Priority to PCT/KR2016/006482 priority patent/WO2016204571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acilitating integration of the record carrier with a hand-held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f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기록된 액세스 주소 번지를 확인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의 데이터 영역에 결제 정보를 기록하면 전자 기기가 데이터 영역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결제 정보를 읽어오게 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와 전자 기기 간에 결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는,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1 포트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 및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결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 포트를 포함하는 포트부;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할 액세스 주소 번지와 기록 카운트 횟수가 기록된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과,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 되고 토글-다운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고, 상기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 영역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읽어와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결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Dual interface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n information of payment using a dual interface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와 전자 기기가 메모리를 통해 결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은 무선 태그(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기술이다.
NFC는 통신 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RFID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리더기가 필요하지 않고,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 등과 같은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은 기기간 페어링(pairing)이 필수적이었지만 NFC는 페어링이 수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NFC 기술은 최근에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스마트폰과 결합되어, 모바일 결제라는 모멘텀을 일으키게 되었고, 이동통신 사업자들에게는 비용 창출 마켓을 제공하고, 이용자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와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NFC 모듈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종래 결제 시스템은 스마트폰(10), 결제 단말기(20), NFC 모듈(21), 결제서버(30), 카드사 서버(40)를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10)을 상품을 구매한 가맹점의 결제 단말기(가맹점POS)(20)에 설치된 NFC 모듈(21)에 근접시키면, 스마트폰(10)에서 비접촉식 P2P 방식으로 결제 정보를 NFC 모듈(21)을 통해 결제 단말기(20)에 전송한다.
결제 단말기(2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NFC 모듈(21)을 통해 전송받은 결제 정보에 근거해 결제 서버(30)에 거래 연동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거래 인증 및 결제를 요청한다.
이에, 결제 서버(30)는 카드사 서버(40)에 신용 승인을 요청하여 신용 승인 결과를 수신해 결제를 대행하고, 결제 거래 정보를 가맹점에 있는 결제 단말기(20)에 전송하므로써 거래를 종료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는 종래 결제 시스템의 경우, 스마트폰(10)을 통한 결제 뿐만 아니라 태그(Tag)가 내장된 카드로도 결제가 가능하지만, 여러 타입(Type)의 카드 및 통신 방식을 수용해야 하므로, NFC 모듈(21)이 각각의 프로토콜을 모두 포함하게 됨에 따라 시스템 구성이 커지고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NFC 모듈(21)에서 송신기의 제조사별 특성 차이로 일부 호환성의 문제가 있게 되고, 패시브(Passive) 방식 태그 카드로 결제 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액티브(Active) 방식 NFC 모듈(20)로 결제 시에는 통신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1027호(공개일 : 2003년12월01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단말기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구비된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을 통해 결제 정보를 공유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확인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 결제 정보를 기록하면 전자 기기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결제 정보를 읽어가 결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와 전자 기기 간에 결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는, 스마트 단말기와 전자기기 사이에 결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RF(Radio Frequency)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인식하기 위한 제1 포트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 및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결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 포트를 포함하는 포트부;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와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가 기록된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Access Address Flag) 영역과,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Toggle-up) 되고 토글-다운(Toggle down)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고, 상기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 영역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읽어와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결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포트는 EH_FD(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트는 RF_WIP(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 상기 결제 정보가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일시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제2 메모리부와, 상기 결제 정보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3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상기 데이터 영역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상기 결제 정보가 기록된 것을 인식하면, 상기 제1 메모리부의 데이터 영역에 대한 기록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제2 메모리부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전원의 오프(Off) 또는 드롭(Drop, PWR_FAIL)을 인식하면, 상기 제2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상기 제3 메모리부 또는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기록(Write)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전원의 오프(Off) 이후 다시 전원이 온(On) 된 경우에, 상기 제3 메모리부나 상기 제1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상기 제2 메모리부로 읽어와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데이터 영역의 기록 횟수가 지정된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변경하고, 상기 제2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초기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액세스 주소 번지를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변경하거나,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영역의 주소 번지를 액세스 주소 번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시 상기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 되고,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서 액세스 주소 번지를 읽어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함에 따라 상기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 영역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읽어와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는 서로 결합하되, 상기 제2 포트의 인에이블(Enable) 및 디스에이블(Disable)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상기 제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의 결합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toggle-up)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해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데이터 기록(write)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무효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은,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인식하기 위한 제1 포트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 및 전자기기와 결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 포트를 포함하는 포트부와;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와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가 기록된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Access Address Flag) 영역과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을 구비하는 제1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전자기기 사이에 결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근접하여 태깅(Tagging)하는 단계; (b) 상기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Toggle-up) 되고 토글-다운(Toggle down) 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토글-업 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하는 단계; (c) 상기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상기 데이터 영역에 대한 상기 결제 정보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데이터 영역의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읽어와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결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읽어오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c) 단계의 상기 제2 포트는 서로 결합하되, 상기 제2 포트의 인에이블(Enable) 및 디스에이블(Disable)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상기 제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의 결합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toggle-up)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해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데이터 기록(write)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 되는 경우, 무효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상기 결제 정보가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2 메모리부에 일시적으로 기록하거나, 상기 결제 정보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제3 메모리부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상기 데이터 영역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상기 결제 정보가 기록된 것을 인식하면, 상기 제1 메모리부의 데이터 영역에 대한 기록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일시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기록 횟수가 지정된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변경하고, 상기 제2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초기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액세스 주소 번지를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변경하거나,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영역의 주소 번지를 액세스 주소 번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전원의 오프(OFF) 또는 드롭(Drop, PWR_FAIL)을 인식하면, 상기 제2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상기 제3 메모리부 또는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기록(Write)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근접으로 다시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제3 메모리부나 상기 제1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상기 제2 메모리부로 읽어와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단말기와 전자기기 간에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을 참조하여 메모리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결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인터럽트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및 메모리의 데이터 기록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는 인터럽트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가 태깅하였는지, 태깅이 해제되었는지, 스마트 단말기의 유효한 기록이 발생하였는지, 무효한 동작이 발생하였는지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메모리와 제어 유닛(MCU)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NFC 모듈이 필요없게 됨에 따라 시스템 구성이 커지고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가 패시브(Passive) 방식으로 동작하게 됨으로써, 기존 NFC 모듈에서 송신기의 제조사별 특성 차이로 인한 일부 호환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액티브(Active) 방식 NFC 모듈을 대체하게 됨에 따라 통신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NFC 모듈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메모리부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200)는, 안테나부(210)와 제1 메모리부(220), 포트부(230) 및 메인 컨트롤 유닛(MCU:Main Control Unit)(240)을 포함한다.
안테나부(210)는 스마트 단말기와 RF(Radio Frequency)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비접촉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RF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210)는 공기 중의 무선 주파수에 따른 신호를 마치 도선이 연결된 것과 같이하여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안테나(210)는 무선 근거리(예컨대, 10 cm)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안테나(210)는 루프 안테나로 구성되고, 루프 안테나는 PCB, FPCB, 일반 도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기는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도 지칭될 수 있다. 스마트 단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선 시작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연산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에 국한되어 스마트 단말기를 제한해서는 아니된다. 스마트 단말기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해 액티브 장치인 NFC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스마트 단말기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안테나(210)를 통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제1 메모리부(222)는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와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가 기록된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Access Address Flag) 영역(222)과, 결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224)을 포함한다. 이에, 제1 메모리부(222)는 집적회로(IC) 상에 구현할 수 있으므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라 칭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을 위해 데이터 영역(224)을 갖는 제1 메모리부(220)는 일반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NVM)로서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다. EEPROM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 메모리부(220)는 전기적 신호를 가해줌으로써 내부 데이터가 지워지게 되어 데이터 삭제를 위한 전용 이레이저(Eraser)는 필요하지 않으며 하나의 라이터(writer)를 이용해 기록 및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EEPROM은 약 100만번 정도의 반복 기록 횟수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록 횟수의 제한이 있어서 해당 주소 번지의 저장 영역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 또 다른 저장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지 않은 다른 액세스 주소 번지를 할당하여 저장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다.
포트부(230)는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인식하기 위한 제1 포트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 및 전자기기와 결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 포트를 포함한다. 즉,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는 예를 들어 EH_FD (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는 예를 들어 RF_WIP (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부(230)는 전술한 포트들 외에 다른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위한 포트들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2C 유선 통신의 경우, SCL(serial clock) 포트 및/또는 SDA (serial data) 포트를 통한 유선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는 제1 메모리부(220)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냉장고, 밥솥, 청소기, 에어컨 등의 가전기기, POS 시스템 내의 호스트 컴퓨터, POS 시스템 내의 POS 프린터, 컴퓨터, 사무용 프린터, 웨어러블 기기, 디지털 도어락 등일 수 있다.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Toggle-up) 되고 토글-다운(Toggle down) 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고,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데이터 영역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여, 데이터 영역의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결제 정보를 읽어와 제3 포트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송하며, 결제 정보가 데이터 영역에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게 된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데이터 영역에 결제 정보가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일시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제2 메모리부(242)와, 결제 정보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3 메모리부(244)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메모리부(242)는 예를 들어, SRAM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제3 메모리부(244)는 예를 들면, Flash 메모리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데이터 영역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결제 정보가 기록된 것을 인식하면, 제1 메모리부(220)의 데이터 영역(224)에 대한 기록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2 메모리부(242)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전원의 오프(Off) 또는 드롭(Drop, PWR_FAIL)을 인식하면, 제2 메모리부(242)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제3 메모리부(244) 또는 제1 메모리부(220)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 기록(Write)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스마트 단말기의 근접으로 다시 동작하게 되면, 제3 메모리부(244)나 제1 메모리부(220)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제2 메모리부(242)로 읽어와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데이터 영역의 기록 횟수가 지정된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 이상이 되면, 제1 메모리부(220)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변경하고, 제2 메모리부(242)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초기화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제1 메모리부(220)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 액세스 주소 번지를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변경하거나, 제1 메모리부(220)의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영역(224)의 주소 번지를 액세스 주소 번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시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 되고, 안테나부(21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여, 스마트 단말기가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서 액세스 주소 번지를 읽어와 데이터 영역(224)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함에 따라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데이터 영역(224)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결제 정보를 읽어와 제3 포트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는 서로 결합하되, 제2 포트의 인에이블(Enable) 및 디스에이블(Disable)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제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트 및 제2 포트의 결합 신호는 메인 컨트롤 유닛(240)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toggle-up)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해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제1 메모리(220)에 대한 스마트 단말기의 데이터 기록(write)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무효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200)는, 제1 포트와 제2 포트는 서로 결합하되, 제2 포트의 인에이블(Enable) 및 디스에이블(Disable)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제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포트 및 제2 포트의 결합 신호는 메인 컨트롤 유닛(240)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200)는 메인 컨트롤 유닛(240)에 대해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의 동작 여부 및 동작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인터럽트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제1 메모리부(220)의 데이터 영역(224)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의 결합을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포트는 대표적으로 EH_FD 포트일 수 있고, 제 2 포트는 대표적으로 RF_WIP 포트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200)는, 스마트 단말기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근접하여 태깅(Tagging)을 수행한다(S310).
이때,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200)에 스마트 단말기가 태깅되는 경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220)는 스마트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전원이 생성된다. 이 생성된 전원은 도 4 및 도 5에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의 EH_FD로 출력이 된다. EH_FD의 출력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의 VCC 포트로 입력하여 동작 전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가 태깅되어 있다는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Toggle-up) 되고 토글-다운(Toggle down) 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토글-업 되면,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한다(S320).
이때,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200)는 전자기기와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유선 라인을 통해 전자기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한편,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제1 포트와 제2 포트의 결합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인터럽트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제1 메모리부(220)에 대한 데이터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의 결합을 이용한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toggle-up)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해제로 인식할 수 있다.
이어, 스마트 단말기가 제1 메모리부(220)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서 액세스 주소 번지를 읽어와, 데이터 영역(224)의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한다(S330).
즉, 스마트 단말기가 제1 메모리부(220)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서 결제 정보를 기록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읽어오고, 데이터 영역(224)의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하는 경우에,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스마트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에 대한 결제 정보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한다(S340).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제1 메모리부(220)의 데이터 영역(224)에 대한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포트의 동작 특성은 다음과 같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200)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입력받고 있는 동안에 스마트 단말기가 제1 메모리부(220)에 대한 데이터 기록(Writing)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토글-업 되어 있던 신호 파형은 토글-다운 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신호 파형은 다시 토글-업 된다. 제 2 포트는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 되고 다시 토글-업 되었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가 제1 메모리부(220)에 대한 데이터 기록을 수행하였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을 위한 포트부(230)는 전자기기와의 유선 통신을 지원한다.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Toggle-up) 되고 토글-다운(Toggle down)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고,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데이터 영역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결제 정보를 읽어와 제3 포트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스마트 단말기(110)의 태깅 시,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 되고, 안테나부(21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여,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서 액세스 주소 번지를 읽어와, 데이터 영역(224)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함에 따라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데이터 영역(224)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고, 데이터 영역(224)의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결제 정보를 읽어와 제3 포트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제1 포트와 제2 포트의 결합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제1 메모리부(220)에 대한 데이터 기록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인터럽트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제1 메모리부(220)에 대한 데이터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의 결합을 이용한다.
여기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제 1 포트는 EH_FD 포트이고 제 2 포트는 RF_WIP 포트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200)에 스마트 단말기가 태깅되는 경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IC(220)는 스마트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전원이 생성된다. 이 생성된 전원은 도 4 및 도 5에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의 EH_FD로 출력이 된다. EH_FD의 출력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의 VCC 포트로 입력하여 동작 전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가 태깅되어 있다는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도 활용될 수 있다.
RF_WIP 신호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로의 태깅 상태에서 데이터 기록이 발생되는 경우에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어 기록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이러한 RF_WIP 포트는 기본적으로 오픈-드레인 (Open-drain) 포트이다. 오픈-드레인 포트는 그 특성상 포트 외부에 풀업(pull-up) 저항이 없으면 출력을 발생할 수 없다. 여기서 RF_WIP는 스마트 단말기가 태깅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기록 동작이 발생되므로 EH_FD가 로우인 상태에서는 결코 발생될 수 없는 신호이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서 RF_WIP의 풀업 저항의 인에이블이 EH_FD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EH_FD 포트 및 RF_WIP 포트를 결합하였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IC의 RF_WIP 출력과 GEN INT 단의 출력 신호는 EH_FD 및 RF_WIP의 결합인 EH_FD + RF_WIP 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GEN INT의 출력단의 저항(R11)은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저항인 동시에 RF_WIP의 풀업 저항이 되는 것이다. GEN INT에서 EH_FH가 로우이면 출력단 트랜지스터(Q2)는 도통이 되어 EH_FD + RF_WIP 노드는 GND와 연결되기 때문에 R11은 풀업 저항으로서 동작하지 않는다. EH_FD가 하이(High)이면 출력단 트랜지스터(Q2)는 도통이 되지 않아 R11은 풀업 저항으로서의 동작이 가능하며, EH_FD + RF-WIP은 하이(High) 상태가 되어 스마트 단말기가 태깅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기록이 발생하면, EH_FD + RF_WIP 신호는 일정 시간 동안 로우로 토글-다운되었다가 다시 하이로 토글-업되므로, 기록 동작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toggle-up)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해제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제1 메모리부(220)에 대한 스마트 단말기의 데이터 기록(write)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 되는 경우, 무효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데이터 영역의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결제 정보를 읽어와 제3 포트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송한다(S350).
이어,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결제 정보가 데이터 영역에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기록한다(S360).
즉,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데이터 영역에 결제 정보가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2 메모리부(242)에 일시적으로 기록하거나, 결제 정보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제3 메모리부(244)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데이터 영역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결제 정보가 기록된 것을 인식하면, 제1 메모리부(220)의 데이터 영역(224)에 대한 기록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2 메모리부(242)에 일시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데이터 영역의 기록 횟수가 지정된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 이상이 되면, 제1 메모리부(220)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변경하고, 제2 메모리부(242)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초기화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제1 메모리부(220)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 액세스 주소 번지를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변경하거나, 제1 메모리부(220)의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영역(224)의 주소 번지를 액세스 주소 번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전원의 오프(OFF) 또는 드롭(Drop, PWR_FAIL)을 인식하면, 제2 메모리부(242)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제3 메모리부(244) 또는 제1 메모리부(220)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222)에 기록(Write) 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 유닛(240)은, 스마트 단말기의 근접으로 다시 동작하게 되면, 제3 메모리부(244)나 제1 메모리부(220)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제2 메모리부(242)로 읽어와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를 다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래시(Flash) 메모리 등으로 구현되는 제3 메모리부(244)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메모리부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메모리부(244)는 메인 컨트롤 유닛(240)에 내장되거나 외장되는 Flash Memory로서 Write life cycle(Endurance 100,000회)이 제한되어 있다. 시스템 전원(Power)이 오프(OFF)되는 시점에 플래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기록(Write)해야 하므로 파워 오프(Power Off) 시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제3 메모리부(244)의 사용 기간을 늘리기 위해 플래시 메모리의 한 영역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영역을 분산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Write)하기 위해서는 그 영역이 블랭크(Blank) 상태로 지워져(Erase) 있어야 한다. 플래시 메모리에서 Erase는 페이지(Page) 단위로 이루어진다. 파워 오프(Power Off) 시 Erase 동작과 Write 동작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파워 오프 시 데이터 기록을 위한 시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에서 한 개 이상의 기록 카운트(WR_count)용으로 할당하고, 저장되는 데이터는 WR_count 데이터와 CRC로 구성한다. 이때, CRC가 아닌 다른 데이터 유효성 판단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페이지가 100 바이트(byte)이고 저장 데이터가 10 바이트(byte)이면 한 페이지 내에서 10 개의 데이터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시스템이 부팅되면 WR_count용으로 할당한 Page 영역의 스타트 번지부터 순서대로 10 byte씩 데이터의 유무 및 유효성을 체크한다. 데이터의 유효성 체크는 WR_counter데이터와 CRC를 처리하여 유효함을 확인하는 것이다.
도 6에서, 영역1의 데이터 체크 시 유효한 데이터가 있으면 영역2의 데이터를 체크한다. 영역2에 데이터가 없으면 영역1의 유효한 데이터를 SRAM으로 로드하여 WR 카운트를 진행하고 영역2의 시작 어드레스를 다른 메모리에 저장하여 기억하고 있다가 시스템 전원이 오프(OFF) 시 SRAM의 WR_count 데이터를 CRC와 함께 영역2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체크 시 영역의 데이터가 CRC 에러일 경우 이전 영역의 데이터를 SRAM으로 로드하고 다음 영역의 어드레스 시작 번지에 전원 OFF 시 데이터를 저장한다.
위 방식으로 영역10까지 데이터가 기록(WR) 된 경우 시스템 부팅 시 영역10의 데이터를 SRAM으로 로드 후 Page erase를 진행한다. 만약 할당 페이지가 한 페이지이면 영역1의 시작 번지가 다음 기록(WR) 번지가 되고, 여러 페이지가 할당되어 있다면 영역11의 시작 번지가 다음 기록(WR) 번지가 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플래시 영역을 옮겨 다니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미리 Power On 시 Erase를 진행함으로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단말기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모리에 구비된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을 통해 결제 정보를 공유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확인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 결제 정보를 기록하면 전자 기기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결제 정보를 읽어가 결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와 전자 기기 간에 결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이나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초고주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초고주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이 프로그램 코드나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될 때,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문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argument),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콘텐츠를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인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 발송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추가로, 어떤 측면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나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에서, 여기서 설명한 기술들은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 함수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모리 유닛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처리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포함한다"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범위에 대해, 이러한 용어는 "구성되는"이라는 용어가 청구범위에서 과도적인 단어로 사용될 때 해석되는 것과 같이 "구성되는"과 비슷한 식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추론하다" 또는 "추론"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벤트 및/또는 데이터에 의해 포착되는 한 세트의 관측으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관해 판단하거나 추론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추론은 특정 상황이나 동작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확률적일 수 있는데,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찰에 기초한 해당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의 계산일 수 있다. 추론은 또한 한 세트의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상위 레벨 이벤트들을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기술들을 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론은 한 세트의 관측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로부터의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동작들, 이벤트들이 시간상 밀접하게 상관되는지 여부, 그리고 이벤트들과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나오는지를 추정하게 한다.
더욱이,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의 용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은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세서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한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다. 예시로, 연산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산 디바이스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가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컴포넌트는 각종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 각종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와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거쳐 상호 작용하는 어떤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르는 등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마트폰 20 : 결제 단말기
21 : NFC 모듈 30 : 결제서버
40 : 카드사 서버 200 :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210 : 안테나부 220 : 제1 메모리부
230 : 포트부 240 : 메인 컨트롤 유닛

Claims (29)

  1. 스마트 단말기와 전자기기 사이에 결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RF(Radio Frequency) 인터페이스를 위한 안테나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인식하기 위한 제1 포트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 및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결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 포트를 포함하는 포트부;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와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가 기록된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Access Address Flag) 영역과,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Toggle-up) 되고 토글-다운(Toggle down)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을 인식하고, 상기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 영역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읽어와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결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
    을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는 EH_FD(Energy Harvest Field Detection)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트는 RF_WIP(Radio Frequency Write In Progress)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 상기 결제 정보가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일시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제2 메모리부와, 상기 결제 정보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3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상기 데이터 영역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상기 결제 정보가 기록된 것을 인식하면, 상기 제1 메모리부의 데이터 영역에 대한 기록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제2 메모리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전원의 오프(Off) 또는 드롭(Drop, PWR_FAIL)을 인식하면, 상기 제2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상기 제3 메모리부 또는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기록(Write)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전원의 오프(Off) 이후 다시 전원이 온(On) 된 경우에, 상기 제3 메모리부나 상기 제1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상기 제2 메모리부로 읽어와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데이터 영역의 기록 횟수가 지정된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변경하고, 상기 제2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초기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액세스 주소 번지를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변경하거나,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영역의 주소 번지를 액세스 주소 번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시 상기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 되고,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서 액세스 주소 번지를 읽어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함에 따라 상기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 영역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여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읽어와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는 서로 결합하되, 상기 제2 포트의 인에이블(Enable) 및 디스에이블(Disable)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상기 제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의 결합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toggle-up)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해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데이터 기록(write)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MCU)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무효 동작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16.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인식하기 위한 제1 포트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기록을 인식하기 위한 제2 포트 및 전자기기와 결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 포트를 포함하는 포트부와;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와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가 기록된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Access Address Flag) 영역과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을 구비하는 제1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전자기기 사이에 결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에 근접하여 태깅(Tagging)하는 단계;
    (b) 상기 제1 포트에서 신호 파형이 토글-업(Toggle-up) 되고 토글-다운(Toggle down) 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토글-업 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하는 단계;
    (c) 상기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상기 데이터 영역에 대한 상기 결제 정보의 기록 동작으로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데이터 영역의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읽어와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결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기록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읽어오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해당 액세스 주소 번지에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포트에서 토글-업 된 신호 파형이 토글-다운되고 다시 토글-업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c) 단계의 상기 제2 포트는 서로 결합하되, 상기 제2 포트의 인에이블(Enable) 및 디스에이블(Disable)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상기 제1 포트의 출력을 사용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의 결합 신호는 상기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의 메인 컨트롤 유닛(MCU)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토글-업(toggle-up)되고 태깅 유효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이벤트 종료 판단을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태깅 해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에 대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데이터 기록(write)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다운되고 임계 시간 이내에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업 되는 경우, 무효 동작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상기 결제 정보가 기록(Write)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2 메모리부에 일시적으로 기록하거나, 상기 결제 정보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제3 메모리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상기 데이터 영역의 액세스 주소 번지에 상기 결제 정보가 기록된 것을 인식하면, 상기 제1 메모리부의 데이터 영역에 대한 기록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일시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기록 횟수가 지정된 기록 카운트(Write count)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상기 결제 정보를 기록(Write) 할 액세스 주소 번지를 변경하고, 상기 제2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초기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액세스 주소 번지를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변경하거나,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영역의 주소 번지를 액세스 주소 번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전원의 오프(OFF) 또는 드롭(Drop, PWR_FAIL)을 인식하면, 상기 제2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상기 제3 메모리부 또는 상기 제1 메모리부의 액세스 어드레스 플래그 영역에 기록(Write)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근접으로 다시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제3 메모리부나 상기 제1 메모리부의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 값을 상기 제2 메모리부로 읽어와 기록 횟수에 대한 카운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KR1020150085875A 2015-06-17 2015-06-17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Active KR10157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875A KR101570374B1 (ko) 2015-06-17 2015-06-17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PCT/KR2016/006482 WO2016204571A1 (ko) 2015-06-17 2016-06-17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875A KR101570374B1 (ko) 2015-06-17 2015-06-17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374B1 true KR101570374B1 (ko) 2015-11-19

Family

ID=5484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875A Active KR101570374B1 (ko) 2015-06-17 2015-06-17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3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362B1 (ko) * 2021-03-10 2021-10-14 박범진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온습도 제어용 빌딩설비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4202B1 (ko) * 2020-09-22 2021-10-18 유광호 키오스크 쇼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15971B1 (ko) * 2020-10-12 2021-10-21 대한민국 드론 긴급 운용팀 운영지원 사용자 및 재난 정보 전송 표출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31276B1 (ko) * 2020-12-10 2021-12-07 대한민국 드론을 활용한 웹 기반의 재난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N115250211A (zh) * 2022-03-31 2022-10-2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nfc的数据获取方法
KR102806022B1 (ko) * 2023-12-21 2025-05-14 쓰리에이로직스(주)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다중 Reader 및 다중 Tag의 개별 인식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202B1 (ko) * 2020-09-22 2021-10-18 유광호 키오스크 쇼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15971B1 (ko) * 2020-10-12 2021-10-21 대한민국 드론 긴급 운용팀 운영지원 사용자 및 재난 정보 전송 표출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31276B1 (ko) * 2020-12-10 2021-12-07 대한민국 드론을 활용한 웹 기반의 재난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311362B1 (ko) * 2021-03-10 2021-10-14 박범진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온습도 제어용 빌딩설비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5250211A (zh) * 2022-03-31 2022-10-2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nfc的数据获取方法
CN115250211B (zh) * 2022-03-31 2024-04-2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nfc的数据获取方法
KR102806022B1 (ko) * 2023-12-21 2025-05-14 쓰리에이로직스(주)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다중 Reader 및 다중 Tag의 개별 인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374B1 (ko)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및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US119956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US7961101B2 (en) Small RFID card with integrated inductive element
JP3811750B2 (ja) デュアルモードスマートカードおよびその関連方法
US8769160B2 (en) Multi-interface memory card and method of operation
CN107005280A (zh) 针对有电能和无电能应用的自适应线圈nfc天线
EP2704017A2 (en) Interface arbitration for a wired tag
EP2704021B1 (en) SRAM handshake
US8595420B2 (en) Method for dispatching and transmitting data streams between host system and memory storage apparatus having non-volatile memory and smart card chip, memory controller, and memory storage apparatus
US10867231B2 (en) Wireless to magnetic transition smart card
CN101267306A (zh) 执行交叉认证以使用无线设备的方法和装置
CN107657199A (zh) 行动装置、验证装置及其验证方法
KR102314202B1 (ko) 키오스크 쇼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54231B1 (ko)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양방향 통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8977198B2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electronic appliances, and corresponding appliances
KR101632932B1 (ko)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97151B1 (ko) 장례식장 사망자 정보 등록 시스템 및 방법
CN102063629A (zh) Mifare卡、mifare存取装置及存取方法
TWI469552B (zh) 結合近場通訊與智能卡的行動通訊裝置
CN104809487A (zh) 电子器件及对电子器件进行访问的方法
KR20150074820A (ko) 금융 마이크로 sd 카드를 구비한 보안 결제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CN114723443A (zh) 基于支付令牌执行支付的支付终端和支付装置及其操作方法
Shaik et al. DOOR ACCESS SECURITY SYSTEM USING NFC TECHNOLOGY
CN202795423U (zh) 小型记忆卡
KR20150074819A (ko) 금융 마이크로 sd 카드를 구비한 결제 단말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