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0209B1 - 턴 시그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턴 시그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209B1
KR101620209B1 KR1020140143036A KR20140143036A KR101620209B1 KR 101620209 B1 KR101620209 B1 KR 101620209B1 KR 1020140143036 A KR1020140143036 A KR 1020140143036A KR 20140143036 A KR20140143036 A KR 20140143036A KR 101620209 B1 KR101620209 B1 KR 10162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 signal
turn
contact
mode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603A (ko
Inventor
김성은
송봉기
이석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209B1/ko
Priority to US14/670,387 priority patent/US9598006B2/en
Publication of KR2016004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2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60Q1/4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턴 시그널 제어 장치는 차선 변경모드 또는 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모드를 포함하는 턴 시그널 스위치;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 턴 시그널 스위치가 조작된 조작모드에 따라 턴 시그널 램프를 점소등 제어하되, 조향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되돌려진 조향각이 기설정된 각도에 이르는 경우 또는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이면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턴 시그널 제어 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turn signal}
본 발명은 전자식으로 턴 시그널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턴 시그널 스위치 장치는 자동차의 운전석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티어링 칼럼에 장착된 하우징에 조작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형성시킨 것이다. 이 조작 레버를 중립 위치로부터 좌회전 지시 위치 또는 우회전 지시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좌회전 또는 우회전 지시 램프를 점멸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작 레버의 회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는 캠면이 형성되고, 조작 레버의 회동에 수반하여 구동되는 구동체가 캠면 상을 슬라이딩한다. 또, 조작 레버는 좌회전 지시 위치 또는 우회전 지시 위치에 있어서 래치되는데, 핸들을 지시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좌회전 지시 위치 또는 우회전 지시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시는 캔슬 기구가 턴 시그널 스위치 장치에 형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턴 시그널 자동 캔슬 기구로 캔슬 캠을 이용하여 기구적으로 턴 시그널의 캔슬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캔슬 기구는 스티어링 휠의 각도가 일정하게 세팅되어 즉, 세팅된 스티어링 휠의 조향 각도로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킨 후 다시 스티어링 휠을 푸는 시점에서 턴 시그널 스위치를 자동으로 복귀시키게 되므로 만약, 운전자가 세팅된 스티어링 휠의 각도 이하로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게 되면 턴 시그널 스위치가 자동으로 복귀되지 못해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복귀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구적인 캔슬 매커니즘에서는 캔슬 캠을 필수적으로 적용해야하고 칼럼 샤프트의 외경 크기에 따라 캔슬 캠 어셈블리의 크기도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2-0014305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향각 센서의 각도정보와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을 이용하여 전자식으로 턴 시그널을 자동으로 캔슬할 수 있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턴 시그널 제어 장치는 차선 변경모드 또는 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모드를 포함하는 턴 시그널 스위치;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가 조작된 조작모드에 따라 턴 시그널 램프를 점소등 제어하되, 상기 조향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되돌려진 조향각이 기설정된 각도에 이르는 경우 또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이면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가 복수의 접점을 통과할 경우 발생하는 접점신호에 따라 조작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점신호의 초기 에지의 방향 및 상기 접점신호의 에지 수에 따라 차선 변경모드 또는 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조작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드가 차선변경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 경과 시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드가 턴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진로 변경 방향을 판단하는 제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 수행 이후, 상기 제어부는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스티어링이 조작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수행결과, 스티어링이 역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조향각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수행결과, 스티어링이 역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시간동안 조향각 센서의 센싱값 변화량이 제1 기준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센싱값 변화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수행 후, 상기 제어부는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제3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제3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4 시간 동안의 차속변화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차속변화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이면 비상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속이 주행도로의 기설정된 제한속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차속이 상기 제한속도 이하이면 비상등을 점등시키며, 상기 주행도로의 제한속도는 내비게이션 정보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턴 시그널 제어 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기구식 캔슬 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칼럼 샤프트의 외경 크기에 따라 취소 캠 어셈블리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패키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차속 및 내비게이션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급격한 속도 감소 또는 고속도로 상에서의 저속 운행 시 자동으로 양측 턴 시그널 램프를 점등함으로써 비상상황 시 운전자의 조작없이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 시그널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 시그널 스위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모드 및 조작모드에 따른 접점신호를 도시한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 시그널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턴 시그널 제어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 시그널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 시그널 스위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모드 및 조작모드에 따른 접점신호를 도시한 표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턴 시그널 제어 장치(100)는 차선 변경모드 또는 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모드를 포함하는 턴 시그널 스위치(110);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120);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조작된 조작모드에 따라 턴 시그널 램프(150)를 점소등 제어하되, 상기 조향각 센서(120)로부터 검출된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되돌려진 조향각이 기설정된 각도에 이르는 경우 또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조작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이면 상기 턴 시그널 램프(150)를 소등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조작모드 중 차선 변경모드는 턴 시그널 스위치(11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조작 방향으로 제1 각도 조작하면 설정된다. 또한,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조작모드 중 턴 모드는 턴 시그널 스위치(11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조작 방향으로 제2 각도 조작하면 설정된다. 이때, 턴 모드일 때의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제2 각도는 차선 변경모드일 때의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제1 각도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복수의 접점(115)을 통과할 경우 발생하는 접점신호에 따라 조작모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점신호의 초기 에지의 방향 및 상기 접점신호의 에지 수에 따라 차선 변경모드 또는 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조작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복수의 접점(115)들은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일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접점들(115)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하는 경우 접점신호를 입력받고,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접점(115)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접점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여기서, 접점신호가 입력되지 않다가 입력되면 상승 에지가 발생하고, 접점신호가 입력되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하강 에지가 발생한다. 복수의 접점들(115) 중 가운데 접점으로부터는 접점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도 3과 같이,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중립모드에 있다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 방향 차선변경 모드로 조작된 경우라면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하나의 접점 상에만 위치했다가 복귀하기 때문에 1개 또는 2개의 접점신호 에지가 발생한다. 반면,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중립모드에 있다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 방향 턴 모드로 조작된 경우라면 복수의 접점을 지나간 후 복귀하기 때문에 3개 이상의 접점신호 에지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중립모드에 있다가 조작된 경우 접점신호의 에지 수에 따라 차선 변경모드 또는 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조작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차선 변경모드로 조작된 상태이다가 해당 진로변경방향으로 턴 모드로 조작된 경우라면 기존에 1개의 상승 에지 접점신호가 발생하다가 추가적으로 2개 또는 5개의 접점신호 에지가 발생한다. 반면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차선 변경모드로 조작된 상태이다가 중립모드로 복귀하는 경우라면 기존에 1개의 상승 에지 접점신호가 발생하다가 추가적으로 1개의 하강 에지 접점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턴 모드로 조작된 상태이다가 중립모드로 복귀하는 경우라면 기존에 3개의 에지 접점신호가 발생하다가 추가적으로 3개의 접점신호 에지가 발생한다. 이때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접점신호의 초기 에지는 하강 에지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접점신호 초기 에지가 하강 에지일 때에도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접점신호의 에지 수에 따라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조작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조작모드가 차선 변경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제1 시간 경과 시 턴 시그널 램프(150)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차선 변경모드로 조작되면 일정시간 동안만 턴 시그널 램프(150)를 점등시켰다가 소등시키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바디 컨트롤 모듈(160)을 이용하여 턴 시그널 램프(150)의 점소등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조작모드가 턴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진로 변경 방향을 판단하는 제1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단계 수행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스티어링이 조작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턴 시그널 스위치(110)가 어느 복수의 접점들(115)을 지나는지 판단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진로 변경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수행결과, 스티어링이 역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조향각 센서(120)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150)를 소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진로 변경 방향이 왼쪽일 경우 우측방향으로의 스티어링 조작을 판단하고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조향되는지 센싱값을 조향각 센서(120)로부터 입력받는다. 만약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이면 차량의 회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턴 시그널 램프(150)를 소등시킨다. 반면,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하이면 차량의 회전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턴 시그널 램프(150)를 소등시키지 않는다. 제어부(140)는 진로 변경 방향이 오른쪽일 경우 좌측방향으로의 스티어링 조작각도를 판단함으로써 전자식 턴 시그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 수행결과, 스티어링이 역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시간동안 조향각 센서(120)의 센싱값 변화량이 제1 기준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스티어링의 조향각 변화가 일정시간안에 급하게 일어나는 경우에 턴 시그널 램프(150)를 소등시킨다.
또한, 상기 제2 단계 수행 후, 상기 제어부(140)는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조작시간이 제3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조작시간이 제3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150)를 소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이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는 경우 외에도 일정 시간동안 차량의 회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턴 타임이 만료되었다고 판단하여 턴 시그널 램프(150)를 소등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턴 시그널 스위치(110)의 조작에 의해 턴 시그널 램프(150)가 상시 켜져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턴 시그널 램프(150)로 인해 차량이 방전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4 시간 동안의 차속변화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차속변화량에 따라 비상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차속변화량은 기설정된 시간 전의 차속에서 현재의 차속을 뺀 값으로서, 차속변화량이 클수록 차량의 차속이 급하게 줄어듦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140)는 차속변화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급제동이 발생하는 비상상황이라고 판단하여 비상등을 점등시킨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비상상황시에 직접 비상등을 조작할 필요가 없다.
이에 더해, 제어부(140)는 차속이 주행도로의 기설정된 제한속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차속에 따라 비상등을 점등시키며, 상기 주행도로의 제한속도는 내비게이션(130) 정보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내비게이션(130)으로부터 주행하는 도로의 제한속도를 입력받되, 입력되는 제한속도는 실제 주행도로의 제한속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차량의 차속이 주행하는 고속도로상의 위험상황이라 판단되는 기설정된 제한속도보다 작을 경우, 양측 턴 시그널 램프(150) 즉 비상등을 점등함으로써 운전자가 조작하지 않더라도 위험상황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턴 시그널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 시그널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턴 시그널 제어 방법은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400); 및 조향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되돌려진 조향각이 기설정된 각도에 이르는 경우 또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이면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단계(S4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가 복수의 접점을 통과할 경우 발생하는 점점 신호에 따라 조작모드가 차선변경모드인지 또는 턴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410,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드가 차선변경모드인 경우, 제1 시간 경과 시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시키는 단계(S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드가 턴 모드인 경우, 진로변경 방향을 판단하는 제1 단계(S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 수행 이후, 진로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스티어링이 조작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수행결과, 스티어링이 역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상기 조향각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단계(S431,S4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수행결과, 스티어링이 역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제2 시간동안 조향각 센서의 센싱값 변화량이 제1 기준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센싱값 변화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단계(S433,S4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수행 후,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제3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제3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단계(S435,S4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시간 동안의 차속변화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차속변화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이면 비상등을 점등시키는 단계(S440,S46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속이 주행도로의 기설정된 제한속도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차속이 주행도로의 기설정된 제한속도 이하이면 비상등을 점등하는 단계(S450,S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턴 시그널 제어 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기구식 캔슬 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칼럼 샤프트의 외경 크기에 따라 취소 캠 어셈블리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패키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차속 및 내비게이션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급격한 속도 감소 또는 고속도로 상에서의 저속 운행 시 자동으로 양측 턴 시그널 램프를 점등함으로써 비상상황 시 운전자의 조작없이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턴 시그널 제어 장치 110: 턴 시그널 스위치
120: 조향각 센서 130: 내비게이션
140: 제어부 150: 턴 시그널 램프
160: 바디 컨트롤 모듈

Claims (11)

  1. 차선 변경모드 또는 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모드를 포함하는 턴 시그널 스위치;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좌회전 조작 방향으로 제1 각도 및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된 제1 접점 및 제2 접점;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우회전 조작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된 제3 접점 및 제4 접점;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가 조작된 조작모드에 따라 턴 시그널 램프를 점소등 제어하되, 상기 조향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되돌려진 조향각이 기설정된 각도에 이르는 경우 또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이면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내지 제4 접점은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가 그 상부에 배치되는 시점에 생성되는 상승 에지 및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가 그 상부에서 제거되는 시점에 생성되는 하강 에지를 포함하는 접점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접점과 제2 접점에서 출력되는 접점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공통의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제3 접점과 제4 접점에 출력되는 접점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다른 공통의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입력단에 입력되는 접점 신호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의 발생 순서와 개수에 따라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 각도에 따른 조작 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드가 차선변경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 경과 시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드가 턴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진로 변경 방향을 판단하는 제1 단계를 수행하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수행 이후, 상기 제어부는 진로 변경 방향의 역방향으로 스티어링이 조작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를 수행하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수행결과, 스티어링이 역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조향각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센싱값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수행결과, 스티어링이 역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시간동안 조향각 센서의 센싱값 변화량이 제1 기준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센싱값 변화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수행 후, 상기 제어부는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제3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시간이 제3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턴 시그널 램프를 소등하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4 시간 동안의 차속변화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차속변화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이면 비상등을 점등시키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속이 주행도로의 기설정된 제한속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차속이 상기 제한속도 이하이면 비상등을 점등시키며,
    상기 주행도로의 제한속도는 내비게이션 정보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시그널 제어 장치.
KR1020140143036A 2014-10-22 2014-10-22 턴 시그널 제어 장치 Active KR10162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036A KR101620209B1 (ko) 2014-10-22 2014-10-22 턴 시그널 제어 장치
US14/670,387 US9598006B2 (en) 2014-10-22 2015-03-2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n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036A KR101620209B1 (ko) 2014-10-22 2014-10-22 턴 시그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03A KR20160047603A (ko) 2016-05-03
KR101620209B1 true KR101620209B1 (ko) 2016-05-13

Family

ID=5579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036A Active KR101620209B1 (ko) 2014-10-22 2014-10-22 턴 시그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98006B2 (ko)
KR (1) KR101620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7345A (zh) * 2016-08-15 2017-01-04 深圳市索菱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路况的导航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7970B2 (ja) * 2016-12-26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線変更支援装置
KR102262579B1 (ko) * 2017-03-14 2021-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선 변경 장치,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22722B2 (ja) * 2018-06-26 2020-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US10829037B2 (en) 2018-11-09 2020-11-10 William Gibson Turn signal reset device
JP2020111213A (ja) * 2019-01-15 2020-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変更支援装置
CN111976825A (zh) * 2019-05-22 2020-11-24 苏州蓝石新动力有限公司 一种车辆方向回正判断方法及装置
CN112537250B (zh) * 2019-09-20 2023-04-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转向灯控制方法、装置及设备
DE102020208519A1 (de) * 2020-07-07 2022-01-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npassung der Dauer einer Fahrtrichtungsanzeige eines Fahrzeugs
EP4206036A4 (en) * 2020-08-25 2023-10-25 Nissan Motor Co., Ltd.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device
CN114619951A (zh) * 2020-12-14 2022-06-14 宝能汽车集团有限公司 车辆转向灯的控制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车辆
CN113942447A (zh) * 2021-11-26 2022-01-1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转向灯控制方法及装置
CN114995430A (zh) * 2022-06-08 2022-09-02 深圳市施罗德工业集团有限公司 返航方法、装置、水面行驶设备和存储介质
US20240131984A1 (en) * 2022-10-20 2024-04-25 Motional Ad Llc Turn signal assignment for complex maneuvers
CN115923649B (zh) * 2023-01-04 2024-10-1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转向灯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562A (ja) 2002-10-23 2004-05-20 Calsonic Kansei Corp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KR100451993B1 (ko) 2001-10-19 2004-10-15 정낙숙 차량안전운행장치
JP2010018185A (ja) 2008-07-11 2010-01-28 Tokai Rika Co Ltd 方向指示器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176A (en) * 1972-05-03 1974-12-31 Nartron Corp Electrical switch assembly
US3809833A (en) * 1972-08-02 1974-05-07 Nartron Corp Directional signal with cam switch actuators
JPS6022525Y2 (ja) * 1978-10-06 1985-07-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自動車用レバ−コンビネ−シヨンスイツチ
DE4428369C2 (de) * 1994-08-11 1996-07-18 Deere & Co Fahrtrichtungsanzeiger
US6333687B1 (en) * 1995-05-04 2001-12-25 Labelle Paul J. Automatic underspeed warning system
KR970069577A (ko) * 1996-04-18 1997-11-07 스즈키 다케토시 전자플래셔장치
KR19980032957U (ko) 1996-12-05 1998-09-05 김영귀 자동차의 사이드 램프 자동 점등.소등 제어장치
US6023221A (en) * 1997-08-25 2000-02-08 Michelotti; Paul E System to activate automobile hazard warning lights
JP2000355246A (ja) * 1999-06-15 2000-12-26 Nippon Yusoki Co Ltd 車両用方向指示器
KR20020014305A (ko) 2000-08-17 2002-02-25 이계안 차량용 턴 시그널 레버의 자동복귀장치와 그 방법
US6876300B2 (en) * 2002-11-25 2005-04-05 Richard L. Ponziani Electronic intelligent turn signal control system
KR20060096248A (ko) 2005-09-23 2006-09-11 조영송 차량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US7397349B2 (en) * 2005-11-29 2008-07-08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ystem for automatic activation and cancellation of hazard lights on a vehicle
JP5109767B2 (ja) 2008-04-01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ーンシグナル制御装置
JP2010018245A (ja) 2008-07-14 2010-01-28 Tokai Rika Co Ltd ターンシグナル制御装置
JP2010143391A (ja) * 2008-12-18 2010-07-01 Tokai Rika Co Ltd 方向指示装置
KR101189388B1 (ko) 2009-11-03 2012-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급제동 경보시스템
JP5399884B2 (ja) 2009-12-22 2014-01-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ーンシグナル点灯制御装置
KR20120010307A (ko) 2010-07-26 2012-02-03 박중혁 방향등과 내비게이션 간의 연동장치
US9457802B2 (en) * 2012-04-06 2016-10-04 Richard Louis Ponziani Turn signal controlled regenerative braking and decelerative loading
US9393901B2 (en) * 2014-07-21 2016-07-19 Kostal Of America Turn signal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993B1 (ko) 2001-10-19 2004-10-15 정낙숙 차량안전운행장치
JP2004142562A (ja) 2002-10-23 2004-05-20 Calsonic Kansei Corp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JP2010018185A (ja) 2008-07-11 2010-01-28 Tokai Rika Co Ltd 方向指示器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7345A (zh) * 2016-08-15 2017-01-04 深圳市索菱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路况的导航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4722A1 (en) 2016-04-28
US9598006B2 (en) 2017-03-21
KR20160047603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209B1 (ko) 턴 시그널 제어 장치
JP5204038B2 (ja) ターンシグナル点灯制御装置
KR101724963B1 (ko) 전자식 다기능 스위치의 턴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481670B2 (ja) 自動運転システム
US201102606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lighting device of a vehicle
JP2010143391A (ja) 方向指示装置
US11661000B2 (en) Lever switch and automatic light control device
JP2017030436A (ja) 方向指示器の点灯制御装置
KR102300103B1 (ko) 스마트 램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002862A (zh) 包括自动变速器和可手动操纵的换挡元件的车辆
JP2005255009A (ja) 車両用照明装置
JP4793312B2 (ja) 旋回方向指示装置
KR102489276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JP2011046239A (ja) ターンシグナル点灯制御装置
JP2011016494A (ja) ターンシグナルランプの制御装置
JP4611960B2 (ja) 点灯制御装置及び点灯制御方法
KR20160111147A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자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109767B2 (ja) ターンシグナル制御装置
JP4278106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1001038A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KR100471210B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 등화장치
JPS59118545A (ja) 自動二輪車用タ−ンシグナル装置
KR101178619B1 (ko) 주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06321347A (ja) 方向指示器の制御装置
KR100569997B1 (ko) 자동차용 방향지시등의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