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925B1 -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0925B1 KR101610925B1 KR1020140179231A KR20140179231A KR101610925B1 KR 101610925 B1 KR101610925 B1 KR 101610925B1 KR 1020140179231 A KR1020140179231 A KR 1020140179231A KR 20140179231 A KR20140179231 A KR 20140179231A KR 101610925 B1 KR101610925 B1 KR 1016109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nth
- battery
- discharge
-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2—Balancing the charge of battery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방전 장치를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방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11, 12 : 배터리 모듈 VC1,VC2,VC3 : 배터리 셀
20 : 차량 전자 장치 30 : 제어부
31, 32 : MCU 33 : BCU
50 : 감지부 C : 커패시터
R : 보호저항 r1,r2,r3,r4 : 방전저항
SW1, SW2, SW3 : 스위치
Claims (10)
- N번째 배터리 셀과 N+1번째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서로 직렬로 연결된 N번째 스위치 및 N+1번째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상기 N번째 배터리 셀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상기 N번째 배터리 셀의 타단과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는 일단이 구비되고, 상기 N번째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상기 N번째 스위치의 타단과 상기 N+1번째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는 타단이 구비되는 복수의 방전저항;
차량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들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밸런싱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차량 이상 상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상기 복수의 방전저항으로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전 저항은 N번째 방전 저항과 N+1번째 방전 저항 및 N+2번째 방전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N번째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N번째 방전 저항과 상기 N+1번째 방전 저항은 상기 N번째 스위치를 통해 서로 직렬 연결되어 상기 N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방전하고,
상기 N+1번째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N+1번째 방전 저항과 상기 N+2번째 방전 저항은 상기 N+1번째 스위치를 통해 서로 직렬 연결되어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번째 스위치 및 상기 N+1번째 스위치를 번갈아가며 온 및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셀 센싱, 셀 진단, 상기 N번째 스위치와 상기 N+1번째 스위치의 온(on) 및 오프(off)를 포함하는 셀 밸런싱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N번째 스위치와 상기 N+1 번째 스위치의 온 및 오프 제어는 상기 기 설정된 시구간 마다 번갈아가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번째 스위치와 상기 N+1번째 스위치를 소정의 듀티비(Duty Ratio)로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방전 장치의 배터리 방전 방법에 있어서,
센서에서 차량 충돌 또는 손상을 감지하여 차량 이상 상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차량 이상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상기 복수의 방전저항으로 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전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전 저항은 N번째 방전 저항, N+1번째 방전 저항 및 N+2번째 방전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방전하는 단계에서 상기 N번째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N번째 방전 저항과 상기 N+1번째 방전 저항은 상기 N번째 스위치를 통해 서로 직렬 연결되어 상기 N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방전하고,
상기 N+1번째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N+1번째 방전 저항과 상기 N+2번째 방전 저항은 상기 N+1번째 스위치를 통해 서로 직렬 연결되어 상기 N+1번째 배터리 셀의 전압을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하는 단계는,
상기 N번째 스위치와 상기 N+1 번째 스위치를 번갈아가며 온 및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셀 센싱, 셀 진단, 상기 N번째 스위치와 상기 N+1 번째 스위치의 온(on) 및 오프(off)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번째 스위치와 상기 N+1 번째 스위치의 온 및 오프 제어는 상기 시구간 마다 번갈아가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부를 소정의 듀티비(Duty Ratio)로 온 및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9231A KR101610925B1 (ko) | 2014-12-12 | 2014-12-12 |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9231A KR101610925B1 (ko) | 2014-12-12 | 2014-12-12 |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0925B1 true KR101610925B1 (ko) | 2016-04-08 |
Family
ID=5590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9231A Active KR101610925B1 (ko) | 2014-12-12 | 2014-12-12 |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092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4418A (ko) * | 2019-05-22 | 2020-12-02 | 권오정 | Ess의 화재 예방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너지소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WO2024071662A1 (ko) * | 2022-09-27 | 2024-04-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39943A2 (en) * | 2012-03-22 | 2013-09-26 | Jaguar Land Rover Limited | Battery safety system |
JP2013214453A (ja) * | 2012-04-03 | 2013-10-17 | Toshiba Corp | 組電池モジュール |
JP2014230473A (ja) * | 2013-05-27 | 2014-12-08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源制御装置 |
-
2014
- 2014-12-12 KR KR1020140179231A patent/KR10161092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39943A2 (en) * | 2012-03-22 | 2013-09-26 | Jaguar Land Rover Limited | Battery safety system |
JP2013214453A (ja) * | 2012-04-03 | 2013-10-17 | Toshiba Corp | 組電池モジュール |
JP2014230473A (ja) * | 2013-05-27 | 2014-12-08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源制御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4418A (ko) * | 2019-05-22 | 2020-12-02 | 권오정 | Ess의 화재 예방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너지소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KR102218874B1 (ko) | 2019-05-22 | 2021-02-22 | 권오정 | Ess의 화재 예방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너지소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WO2024071662A1 (ko) * | 2022-09-27 | 2024-04-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1721B1 (ko) |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 |
KR102056876B1 (ko) |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
JP5789846B2 (ja) | 車両用の電源装置と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 |
CN102377215B (zh) | 用于推进蓄电池的组合加热及预充电功能和硬件 | |
KR101610921B1 (ko) | 선택적 스위칭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 |
EP2830189B1 (en) | Balance correction device and power storage system | |
KR101628942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55377B1 (ko) |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CN105270295A (zh) | 用于机动车辆的车载电气系统 | |
CN107078531A (zh) | 电池装置 | |
KR101601714B1 (ko) |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 |
WO2015199178A1 (ja) | バランス補正制御装置、バランス補正システム及び蓄電システム | |
KR101665003B1 (ko) |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 |
KR101610925B1 (ko) |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 |
KR20160071207A (ko) | 배터리 셀의 과충전 보호 장치 및 방법 | |
KR101673249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10908B1 (ko) | 배터리 전압 측정회로의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948102B1 (ko) | 배터리 역전압 보호 장치 | |
KR101628847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856067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센싱 정밀도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575271B1 (ko) | 논리 연산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70065322A (ko) | 배터리 밸런싱 장치 및 방법 | |
KR101916789B1 (ko) | 온도 기반의 밸런싱 전류 제어 장치 | |
KR20160071929A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 | |
KR101735734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