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1091B1 -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091B1
KR101601091B1 KR1020130161449A KR20130161449A KR101601091B1 KR 101601091 B1 KR101601091 B1 KR 101601091B1 KR 1020130161449 A KR1020130161449 A KR 1020130161449A KR 20130161449 A KR20130161449 A KR 20130161449A KR 101601091 B1 KR101601091 B1 KR 10160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engine
supplied
ignition
fu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277A (ko
Inventor
한동희
최관희
임현준
주남로
김윤주
박기원
이주원
박종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091B1/ko
Priority to DE102014110372.6A priority patent/DE102014110372B8/de
Priority to US14/339,208 priority patent/US9903317B2/en
Priority to CN201410398788.6A priority patent/CN104728019B/zh
Priority to JP2014177393A priority patent/JP6467170B2/ja
Publication of KR2015007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0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02EG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upercharged engines
    • F02M26/04EG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upercharged engines with a single turbochar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47/00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anti-knock agent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s of engines
    • F02B47/04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anti-knock agent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s of engines the substances being other than water or steam only
    • F02B47/08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anti-knock agent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s of engines the substances being other than water or steam only the substances including exhaust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3/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ercha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02D35/027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using knoc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7Controlling intake air for control of turbo-charged or 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7Limping Home, i.e. taking specific engine control measures at abnormal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Supercharger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는,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배기 가스에 의해 작동하는 터빈과 회전축으로 연결된 컴프레서가 외부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엔진의 연소실로 과급하는 터보차저;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서 조기 점화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서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요구 토크량과 상기 연소실의 점화 시기 및 공연비로부터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조기 점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기 점화가 발생했을 때, 연소실로 공급되는 다량의 연료량에 따른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엔진의 토크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ontrol Apparatus of Engine having Turbocharg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축비 터보 엔진에서 쉽게 발생하는 조기 점화 현상이 발생할 때, 운전자가 조기 점화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한 다음 유입된 공기와 연료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엔진에서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한다.
엔진의 구동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연소를 위해 외부의 공기를 충분히 공급하여야만 원하는 출력과 연소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엔진의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소용 공기를 과급시켜 주는 장치로서 터보차저 (turbocharger)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보차저는 엔진의 배기 계통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흡기를 가압함으로써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기의 충진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디젤 엔진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솔린 엔진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에는 압축 행정의 말기에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기 전에 연소실의 과열로 인해 혼합 가스가 자연 발화되는 현상인 조기 점화 현상이 발생한다. 조기 점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고 노킹(knocking) 현상이 발생하여 엔진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조기 점화 현상은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성능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에서 조기 점화가 발생할 때, 신속하게 조기 점화 현상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기 점화 현상을 억제할 때, 엔진의 토크 변동을 최소화하여 운전자가 조기 점화 현상을 인지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는,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배기 가스에 의해 작동하는 터빈과 회전축으로 연결된 컴프레서가 외부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엔진의 연소실로 과급하는 터보차저;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서 조기 점화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서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요구 토크량과 상기 연소실의 점화 시기 및 공연비로부터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조기 점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조기 점화가 억제되면, 공연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조기 점화가 억제되지 않으면, 림프 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은,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 조기 점화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연소실로 농축된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 및 요구 토크량, 점화 시기, 공연비로부터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과급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기 점화가 억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조기 점화가 억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연비를 일정 값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기 점화가 억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림프 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조기 점화가 발생했을 때, 연소실로 공급되는 다량의 연료량에 따른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엔진의 토크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조기 점화를 억제하는 과정에서 엔진 토크 변화가 최소화되어, 운전자가 조기 점화 현상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는,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0)과, 상기 엔진(10)의 연소실(12)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터보차저(20), 상기 연소실(12)의 조기 점화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30), 및 상기 연소실(12)에서 발생하는 조기 점화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터보차저(20)는 상기 엔진(10)의 연소실(12)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작동하는 터빈과 회전축으로 연결된 컴프레서가 외부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엔진(10)의 연소실(12)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엔진(10)의 연소실(12)에는 조기 점화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30)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 센서(30)는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4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감지 센서(30)를 통해 상기 엔진(10)의 연소실(12)에서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요구 토크량과 상기 연소실(12)의 점화 시기 및 공연비로부터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과급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소실(12)에서 조기 점화가 발생하면, 상기 엔진(10)의 연소실(12)로 공급되는 연료를 농축(enrichment)하여 공급한다. 즉, 상기 연소실(12)로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연료를 공급하면, 상기 연소실(12)의 온도가 낮아져 조기 점화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소실(12)로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연료가 공급되면 엔진의 토크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엔진 토크가 급격하게 상승하면, 운전자가 연소실(12)에서 조기 점화 현상이 발생한 것을 인지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운전자가 차량의 성능에 대해 불만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과급 압력은 요구 토크와, 점화 시기, 그리고 공연비로 구성되는 함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과급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엔진의 토크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가 엔진의 토크 변화가 최소화되도록 과급 압력을 조절하면, 운전자는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공연비(람다)는 공기와 연료의 중량비(공기 중량/연료 중량)를 말한다. 공연비의 값이 커진다는 것은 공기의 중량비가 커진다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희박한 혼합 가스를 의미한다. 반대로 공연비의 값이 작아진다는 것은 공기의 중량 비율이 적어진다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농후한 혼합 가스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보차저가 구비된 엔진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0)의 연소실(12)에 구비된 감지 센서(30)로부터 조기 점화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0).
만약, 엔진(10)의 연소실(12)에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상기 연소실(12)로 농축된 연료를 공급한다(S20). 즉, 상기 연소실(12)로 순간적으로 농축된 연료를 공급하면 상기 연소실(12)의 온도가 낮아져 조기 점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요구 토크량과, 점화 시기, 공연비로부터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공기의 과급 압력을 조절한다(S30). 이때,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엔진 토크의 변화를 최소화한다.
즉, 조기 점화로 인해 엔진의 토크가 급격하게 증가하면, 운전자가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조기 점화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공기의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엔진의 토크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 센서(30)의 감지 신호로부터 조기 점화가 억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이때, 조기 점화가 억제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감지 센서(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연소실(12)에서 발생한 조기 점화가 억제되었으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정상상태로 감소시킨다(S50). 즉, 엔진이 정상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상태로 엔진을 제어한다.
그러나 연소실(12)로 공급되는 연료의 농축량과 과급 압력을 조절했음에도 불구하고, 조기 점화가 억제되지 않으면, 엔진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엔진을 림프 홈(limp home) 모드로 전환시켜 운전한다(S60). 이와 같이, 엔진을 림프 홈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엔진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림프 홈 모드는 엔진(10)이 부품의 고장으로 인해 갑자기 멈추어 운전자의 안전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드이다. 림프 홈 모드시에는 상기 제어부(40)는 차량의 속도를 일정 속도 이하로 제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0)의 연소실(12)에서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도 3 (d) 라인 참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연소실(12)로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실(12)의 온도를 낮추도록 한다(도 3 (a) 라인 참조).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많은 양의 연료에 의해 토크의 변화가 심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공기의 과급 압력을 제어한다(도 3 (b) 라인 참조).
이와 같이, 연소실(12)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의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엔진 토크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도 3 (c) 라인 참조), 운전자는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조기 점화가 억제되었으면, 연소실(12)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서서히 원래의 상태로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연소실(12)로 공급되는 공기의 과급 압력도 서서히 원래 상태로 유지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엔진
12: 연소실
20: 터보차저
30: 감지 센서
40: 제어부

Claims (6)

  1.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배기 가스에 의해 작동하는 터빈과 회전축으로 연결된 컴프레서가 외부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엔진의 연소실로 과급하는 터보차저;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서 조기 점화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서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공연비를 감소시켜 상기 연소실로 농축된 연료를 공급하여 조기 점화를 억제하고, 농축된 연료가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어 발생하는 엔진의 토크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요구 토크량과 상기 연소실의 점화 시기 및 공연비로부터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과급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의 농축량과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조기 점화가 억제되지 않으면, 차량의 속도를 일정 속도 이하로 제한하는 림프 홈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조기 점화가 억제되면, 공연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3. 삭제
  4.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 조기 점화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연소실에 조기 점화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공연비를 감소시켜 상기 연소실로 농축된 연료를 공급하여 조기 점화를 억제하는 단계;
    농축된 연료가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어 발생하는 엔진의 토크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요구 토크량, 점화 시기, 공연비로부터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과급압력을 조절하는 단계;
    조기 점화가 억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조기 점화가 억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속도를 일정 속도 이하로 제한하는 림프 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과급 압력을 조절하여 조기 점화가 억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연비를 일정 값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
  6. 삭제
KR1020130161449A 2013-12-23 2013-12-23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Active KR10160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449A KR101601091B1 (ko) 2013-12-23 2013-12-23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DE102014110372.6A DE102014110372B8 (de) 2013-12-23 2014-07-23 Steuervorricht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mit Turbolader und Verfahren hierfür
US14/339,208 US9903317B2 (en) 2013-12-23 2014-07-23 Control apparatus of engine having turbocharger and method thereof
CN201410398788.6A CN104728019B (zh) 2013-12-23 2014-08-14 具有涡轮增压器的发动机的控制装置及其方法
JP2014177393A JP6467170B2 (ja) 2013-12-23 2014-09-01 ターボチャージャを備えたエンジンの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449A KR101601091B1 (ko) 2013-12-23 2013-12-23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277A KR20150074277A (ko) 2015-07-02
KR101601091B1 true KR101601091B1 (ko) 2016-03-22

Family

ID=5327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449A Active KR101601091B1 (ko) 2013-12-23 2013-12-23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03317B2 (ko)
JP (1) JP6467170B2 (ko)
KR (1) KR101601091B1 (ko)
CN (1) CN104728019B (ko)
DE (1) DE102014110372B8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1844A (zh) * 2016-08-31 2016-11-16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放气阀卡滞故障的检测方法、装置和汽车
CN112761805A (zh) * 2021-01-29 2021-05-07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早燃控制措施实施的控制方法及系统和可读存储介质
CN114810395B (zh) * 2021-06-29 2023-05-2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控制方法、装置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415A (ja) * 2005-01-19 2006-08-03 Osaka Gas Co Ltd 火花点火式エンジン
JP2006258048A (ja) * 2005-03-18 2006-09-2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8435A (en) 1980-03-31 1981-10-29 Nissan Motor Co Ltd Knocking action controller for engine mounted with turbosupercharger
JPH0759932B2 (ja) 1986-10-20 1995-06-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多気筒内燃機関の点火時期及び過給圧制御装置
JPH01100327A (ja) 1987-10-09 1989-04-18 Fuji Heavy Ind Ltd 過給機付圧縮比可変型エンジン
JP2911054B2 (ja) * 1990-11-29 1999-06-2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Ffv用エンジンの過給圧制御方法
JPH0778384B2 (ja) * 1993-02-02 1995-08-23 日本電装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ノック制御装置
JP2910557B2 (ja) 1994-05-09 1999-06-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過給機付き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SE505543C2 (sv) * 1995-12-27 1997-09-15 Mecel Ab Metod för reglering av knackning i en förbränningsmotor
US6655324B2 (en) 2001-11-14 2003-12-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gh compression ratio, hydrogen enhanced gasoline engine system
US7725238B2 (en) * 2004-11-19 2010-05-25 Perkins Michael T System and method for smart system control for flowing fluid conditioners
FR2897900B1 (fr) * 2006-02-28 2008-06-06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controle de la phase de combustion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notamment moteur suralimente a injection directe de type essence
JP2010133367A (ja) 2008-12-05 2010-06-17 Denso Corp 筒内噴射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9080521B2 (en) * 2010-03-01 2015-07-14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related system of using crankcase pressure to to detect pre-ignition in spark ignition engine
US8851050B2 (en) * 2010-03-31 2014-10-07 Mazda Motor Corporation Spark-ignition engine control method and system
US20120029789A1 (en) * 2010-04-30 2012-02-02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detecting pre-ignition and preventing it from causing knock in direct injection spark ignition engines
JP5466098B2 (ja) * 2010-06-23 2014-04-09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システム
US8463533B2 (en) * 2010-08-05 2013-06-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e-ignition control
DE102010040271A1 (de) * 2010-09-06 2012-03-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stellung eines Notlaufbetriebes bei einem fehlerbehafteten System zur Erkennung von Vorentflammungen in einem Verbrennungsmotor
US8910615B2 (en) * 2011-02-02 2014-12-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360121B2 (ja) 2011-04-19 2013-12-04 マツダ株式会社 火花点火式エンジンの制御方法および火花点火式エンジン
GB2491626B (en) * 2011-06-09 2016-05-04 Ford Global Tech Llc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ngine oil pressure
US8666637B2 (en) * 2011-08-03 2014-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e-ignition control
JP2013104371A (ja) * 2011-11-15 2013-05-30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9038596B2 (en) 2011-12-02 2015-05-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e-ignition control
DE102012203487B4 (de) * 2012-03-06 2014-07-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von Vorentflammungen in einem Ottomotor
JP5783107B2 (ja) 2012-03-27 2015-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420013B2 (ja) * 2012-04-20 2014-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051887B2 (ja) * 2013-01-24 2016-12-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ノッキング抑制装置及びノッキング抑制方法
US9719436B2 (en) * 2014-11-21 2017-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pre-ignition control in a pre-delivery ph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415A (ja) * 2005-01-19 2006-08-03 Osaka Gas Co Ltd 火花点火式エンジン
JP2006258048A (ja) * 2005-03-18 2006-09-2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6535A1 (en) 2015-06-25
JP6467170B2 (ja) 2019-02-06
DE102014110372B4 (de) 2021-03-25
DE102014110372B8 (de) 2021-08-26
US9903317B2 (en) 2018-02-27
DE102014110372A1 (de) 2015-06-25
CN104728019A (zh) 2015-06-24
CN104728019B (zh) 2018-10-30
JP2015121211A (ja) 2015-07-02
KR20150074277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7842B2 (ja) ガスエンジンのノッキング制御装置
JP5951537B2 (ja) ガスエンジンの燃焼制御装置
WO2012157041A1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9057871A (ja) ガスエンジンの始動制御方法及び装置
US8005606B2 (en) Idle control system of direct-cylinder-fuel-injection spark-ignition engine
CN102628407B (zh) 用于改变燃气-汽油机的运行状态的方法
JP2006090308A (ja) 触媒を有する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KR101575329B1 (ko) 디젤 엔진 차량의 냉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01091B1 (ko) 터보차저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JP4765745B2 (ja) 内燃機関の着火時期制御システム
US10767581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motor vehicle, and a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21067223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KR20160092973A (ko) 오토 엔진의 작동 방법
KR101393567B1 (ko) 차량 엔진의 실화 판정방법과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5881478B2 (ja) エンジン及びその制御方法
JP4738426B2 (ja) ガスエンジン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3973418B2 (ja) 予混合圧縮自着火機関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173497A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6485129B2 (ja) 天然ガスエンジン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9100311A (ja) ガスエンジンシステム
JP2003232256A (ja) ノッキング判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ンジン
KR100764965B1 (ko) 디젤 엔진의 연료분사시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1683235B1 (ko) 차량 엔진의 출력 향상 제어 방법
JP2016166566A (ja) 天然ガスエンジン及びその運転方法
KR20160145391A (ko) 엔진의 점화시기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625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50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8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8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