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8733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33B1
KR101588733B1 KR1020090066231A KR20090066231A KR101588733B1 KR 101588733 B1 KR101588733 B1 KR 101588733B1 KR 1020090066231 A KR1020090066231 A KR 1020090066231A KR 20090066231 A KR20090066231 A KR 20090066231A KR 101588733 B1 KR101588733 B1 KR 10158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
widget
user interface
mobile terminal
specif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738A (ko
Inventor
강래훈
김영준
한재석
이춘재
이민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33B1/ko
Priority to US12/840,403 priority patent/US8775954B2/en
Priority to CN201010277999.6A priority patent/CN101963886B/zh
Priority to EP10007587.8A priority patent/EP2280342A3/en
Publication of KR2011000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변경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기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에서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제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젯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의 대기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고, 그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데이터 범위도 일정관리, SMS(Short Message Service) 송수신 내역 등의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는 개인 정보,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를 이용해서 생성할 수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등과 같은 자가 생성 데이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은 전자책, 그림친구, 벨소리 및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등의 콘텐츠 등으로 다양하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wireless termina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원하는 기능이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키 입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단말기 조작에 미숙한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정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전용키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도 있으나,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는 전용키를 전부 이동 단말기에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게다가, 현재 이동 단말기에 마련된 전용키는 디지털 방송 수신, 카메라, MP3 등과 같은 특정 기능의 수행에 한정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가 단말기에 구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화면부가 점차 넓어지고 고해상도로 발전하는 추세이고, 디스플레이부가 동시에 사용자 입력부가 되면서 디스플레이부를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전용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위젯과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운영프로그램/운영체계 등과의 상호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지원해 주는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포털 서비스나 컨텐츠 제공 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단말 내 대기 화면 상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모바일 위젯 제공 서비스는 특성 또는 서비스가 표현해야 할 내용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위젯 그래픽 도구의 크기와 모양이 매우 다양하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기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수행하므로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수와 동일한 그래픽 도구가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에 배치하게 된다.
이 경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그래픽 도구를 모두 배치해야하는 바, 화면공간상의 제한이 있어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대기화면상에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배치시키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을 이동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독립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호 작용을 통해 연동되도록 구현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 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호작용에 의하여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나타내려는 정보를 시 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대기화면상에서 복수 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래픽 도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각 그래픽 도구간의 결합과 분리제어를 통해 재배치가 용이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변경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기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위젯 또는 가젯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변경될 때,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대기 화면의 형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이 수행되거나 또는 변경될 때, 상기 나머지 부분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나머지 부분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각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서, 상기 각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상의 변경 정도가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멀티미디어 재생 관련 그래픽 도구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관련 그래픽 도구에 따라 소정 멀티미디어가 재생되고 있을 때, 상기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시각적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관련 그래픽 도구에 따라 소정 멀티미디어가 재생되고 있을 때, 상기 멀티미디어의 음악 템포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의 변경 속도가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변경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 대기 화면상에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영역에 팝업(pop-up)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팝업 창에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정보가 디폴트(default)로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그래픽 도구들 중에서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제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간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결합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합된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속 터치하는 멀티 터치 방식으로 드래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드래그할 때 상기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분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호 작용을 통해 연동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 수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호작용에 의하여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나타내려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해당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지 않고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대기화면상에서 복수 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래픽 도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그래픽 도구간의 결합과 분리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기화면상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대기화면의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 모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 수신 여부, 배터리 용량 등과 같은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또는 특정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원하는 기능이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여러 번의 키 입력을 하지 않고도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알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대기화면상에서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특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하면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컨텐츠가 바로 실행되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는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각각의 설정 및 수신 상태 등 고정된 정보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해당 기능이 동작중임을 나타낸다. 인디케이터는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고정 영역에 표시되고,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설정된 동작 상태를 변경하려면 별도의 메뉴 검색 및 설정 기능을 이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구분된다.
사용자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과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프로그램을 간단한 그림 등으로 나타내는 '아이콘(Icon)' 또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독립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별도의 창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위젯 (widget)’을 포함한다.
'아이콘'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쉽게 실행하기 위하여 임의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시되도록 설정하여야 하고, 표시되는 위치도 임의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아이콘에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려면 디스플레이부상에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변동하여야 한다.
한편, '위젯'은 사용자와 응용프로그램/운영체계 등과의 상호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지원해 주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하나로, 사용자가 포털 서비스나 컨텐츠 제공 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단말 내 대기 화면상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공간, 배터리 잔존량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상태부터 날씨정보, 교통정보, MSN 메신저, 증권, 키워드 검색창 등과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서비스하는데 이용된다.
위젯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젯을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단말에 최초 설치한 이후, 해당 웹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도 상기 위젯을 통해 단말의 대기화면 상에서 용이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위젯은 가젯(gadget)이라고도 명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와는 구분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 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서술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각자 개성을 중요시하여 동일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단말기의 외형이나 디스플레이부를 활기찬 모드, 우울한 모드, 차분한 모드 등 다양하게 설정하여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차별화하고자 한다. 즉,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도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특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 변동에 따라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이 변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의 용이성 및 즐거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 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 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대기화면 상에 나타나는 그래픽 도구 또는 대기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그래픽 효과를 제어하는 그래픽 모듈(182)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간에 상호작용에 따라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연동되거나 상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모듈(181), 그래픽 모듈(182)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의 대기화면상에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때, 특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 변경에 따라 나머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대기화면이 상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 '위젯'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상에 하나 이상의 위젯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임의의 위젯의 기능 수행 또는 기능 변화에 따라 다른 위젯도 그 기능이 변화되거나 상태가 변화되도록 구현할 때 상기 임의의 위젯을 이하 '특정 위젯'이라 칭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대기화면상에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날씨 위젯(201), 날짜 정보를 나타내는 달력 위젯(202), 음악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설정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진 위젯(204), 시간 정보를 알려주는 시계 위젯(205)이 OSD(On Screen Display)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날씨 위젯(201)은 맑은 날씨, 비오는 날, 흐린 날, 눈 오는 날 등과 같이 날씨 상태에 따라 대기화면상에서 표현되는 그래픽 도구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날씨 정보는 실시간적으로 변화하나, 일정 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날씨 상태를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맑은 날씨와 관련된 카테고리, 비오는 날씨와 관련된 카테고리, 흐린 날씨와 관련된 카테고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설정하고 카테고리에 따라 파일 등을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날씨 위젯(201)을 '특정 위젯'으로 하는 경우, 맑은 날씨를 나타내는 태양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때 제어부(180)의 그래픽 모듈(182)은 날씨 위젯(201)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서 날씨 위젯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화면의 명암조정 및 다른 위젯의 모양이나 색상 등이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날씨 위젯(201)이 대기 화면의 왼쪽 상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대기화면상에 햇볕이 왼쪽 상단부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이미지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달력 위젯(202),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 사진 위젯(204), 시계 위젯(205)의 그래픽 도구에서 각각 왼쪽 상단부에서 빛을 받는 것처럼 밝게 표현되고 오른쪽 하단부로 갈수록 어두워지도록 구현함으로써, 각 위젯그래픽의 명암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대기화면의 바탕화면도 명암처리되고 각각의 위젯에 상기 날씨 위젯(201)과 반대 방향으로 그림자 그래픽이 부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위젯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대기화면의 상태도 변화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의 그래픽 모듈(182)은 날씨 위젯(201)의 위 치가 오른쪽 상단부로 이동되면 명함처리 방향을 변경하도록 한다. 즉, 나머지 위젯의 그래픽은 도 2a에서 구현되는 것과 반대로, 오른쪽 상단부는 밝게 표현되고 왼쪽 하단부는 어둡게 표현되며 명암처리를 구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각각의 위젯의 그림자가 왼쪽을 향해 구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특정 위젯의 위치 변화 뿐 아니라 상태 변화에 대해서도 디스플레이부(151)의 대기화면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날씨 위젯(201)에서 비가 내리는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그래픽 모듈(182)은 대기화면상에 빗물을 나타내는 그래픽이 정적 또는 동적으로 표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달력 위젯(202)이나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을 포함하는 다른 위젯의 소정 영역에 빗물 그래픽을 표현하거나 대기화면의 하단부에 물이 흐르거나 고여있는 그래픽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위젯 그래픽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폰트를 흐릿하게 구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의 대기화면 상에도 비가 내리는 이미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도 3b에서와 같이 날씨 위젯(201)이 눈이 내리는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그래픽 모듈(182)은 대기화면상에 눈이 내리는 그래픽을 동적 또는 정적 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른 위젯의 소정 영역에 눈이 쌓인 그래픽을 부가함으로써, 대기화면 전체가 눈이 내리는 날씨의 영향을 받는 것과 같은 이미지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예는, 본래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간에 있어서,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수행에 따라 제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본래 자신의 기능 수행 외 상태변경이나 기능 추가 등으로 제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정보를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특정 위젯으로부터 다른 위젯이 연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특정 위젯을 날씨 위젯으로 설정하는 경우 햇살이 비치는 모드, 빗물이 내리는 모드, 눈이 내리는 모드, 번개가 치는 모드 등 다양한 날씨형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60)에는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날씨와 관련된 그래픽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의 그래픽 모듈(182)은 상기 도 3a 또는 3b에 도시된 것처럼 날씨 정보에 따라 빗방울, 눈과 같은 임의의 그래픽을 메모리(160)로부터 도출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대기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부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빗방울이나 눈과 같은 그래픽은 정적이미지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동적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특정 위젯을 날씨 위젯으로 설정하는 경우 날씨 위젯에서 나타내는 날씨 정보에 따라 다른 위젯 그래픽이 나타내는 그래픽 또는 정보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날씨 위젯과 사진 위젯을 설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상에 날씨 위젯(201) 및 사진 위젯(204)의 그래픽 도구가 디스플레이된다. 일반적으로 사진 위젯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 업로드한 사진 또는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한 사진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대기화면의 소정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가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이때, 하나의 사진을 기본설정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사진을 플래쉬나 슬라이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날씨 위젯(201)에서 나타내는 날씨 정보에 따라 사진 위젯(204)이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 사진 변경제어가 가능토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상술한 것처럼 다양한 날씨 정보에 따라 연동되도록 구분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날 씨 위젯(201)이 나타내는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리(160)에 저장된 다수개의 사진 카테고리 중 해당 카테고리로부터 임의의 사진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 위젯(204)에서 도출된 사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사진에서 도출된 사진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날씨 위젯(201)이 비가 내리는 날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사진 위젯(204)은 비가 내리는 날씨에 연동되도록 설정된 카테고리에서 비가 내리는 사진과 같은 임의의 사진을 도출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날씨 위젯 및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을 설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대기화면상에 날씨 위젯 및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의 그래픽 도구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날씨 위젯(201)에서 나타내느 날씨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의 기능 또는 상태가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 위젯(201)의 날씨 정보가 맑은 날씨를 나타내는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은 해당 날씨 정보에 연동되는 카테고리로부터 신나는 음악과 같은 임의의 음악 파일을 도출하여 추천하는 창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음악/동영상 파일을 상술한 것처럼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할 것을 전제한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씨 위젯(201)이 비가 내리는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 에서 상기 날씨 정보에 연동하도록 설정한 재즈 음악들로 선곡된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한 카테고리 내에서 임의의 음악파일을 도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의 그래픽이 상기 도출한 음악파일을 추천하는 창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위젯을 날씨 위젯으로 가정하여 설명한 바, 사용자가 설정하는 카테고리는 날씨 정보에 따라 구분될 필요는 없고 임의적으로 분류하여 특정 위젯의 상태 변화에 맞춰 연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기능 중 하나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사진 뷰 기능도 상술한 것처럼 날씨 위젯에서 나타나는 날씨 정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특정 위젯의 상태 변화에 따라 다른 위젯이 연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위젯의 상태도 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도구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특정 위젯으로 사진 컨택 위젯(photo contact widget)을 설정함에 따른 다른 위젯의 상태변화를 나타낸다.
사진 컨택 위젯은 특정 인물의 사진을 이동단말기에 업로드하거나 사진 촬영하여 연락 정보 등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151)부의 대기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 도록 설정한 위젯이다. 사진 위젯과의 차이점은 사진 컨택 위젯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되는 인물 사진에 기 설정된 연락처로 통화 연결이 되거나 문자 메세지를 보낼 수 있도록 대기화면이 메세지 입력창으로 변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진 위젯 및 사진 컨택 위젯을 설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상에 사진 위젯과 사진 컨택 위젯의 그래픽 도구가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8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사진 컨택 위젯(206)에서 특정 인물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실행될 때, 사진 위젯(204)에서도 상기 특정 인물의 사진/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본래 사진 위젯(204)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사진/동영상을 상기 사진 컨택 위젯(206)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특정 인물과 관련된 사진/동영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달력 위젯 및 사진 컨택 위젯을 설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상에 달력 위젯 및 사진 컨택 위젯의 그래픽 도구가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8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사진 컨택 위젯(206)에서 특정 인물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실행되 때 달력 위젯(202)에서 상기 특정 인물과 관련된 스케쥴 일정이 별도의 창(207)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달력 위젯(202) 대신 메모 기능을 갖는 위젯을 사용하여 특정 인물과 관련된 메모사항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다양한 사항에 대해서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의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다이어리 기능을 갖는 위젯을 실행시키지 않고도 달력 위젯의 연동으로 상기 특정 인물과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실질적인 스케쥴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래 특정 인물과의 통화연결 또는 메세지 전송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사진 컨택 위젯의 기능 수행에 따라 별도의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위젯들도 기능 수행을 변경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위젯을 각각 실행하기 위해 조정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즐거움 또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위젯을 실행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진 컨택 위젯이 아닌 사진 위젯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사진 위젯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인물과 관련하여 달력 위젯이나 메모장 위젯이 연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진 위젯이나 사진 컨택 위젯에서 특정 인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멀디미디어 재생 위젯에서 상기 특정 인물과 관련하여 설정된 음악/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특정 위젯의 상태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른 위젯의 상태가 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 픽 도구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특정 위젯을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으로 설정함에 따른 다른 위젯의 상태변화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날씨 위젯, 달력 위젯,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 사진 위젯, 사진 컨택 위젯을 설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상에 사용자가 설정한 위젯의 그래픽 도구가 디스플레이된다.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에서 음악 파일을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8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대기화면상에 배치된 다른 다른 위젯들이 시각적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위젯의 시각적 진동은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 파일의 템포(tempo)에 따라 진동속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을 기준으로 다른 위젯까지 떨어진 거리에 따라 진동속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대기화면상에서 하나 이상의 위젯들의 배치 간격을 디스플레이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을 기준으로 할때,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으로부터 사진 컨택 위젯(206)까지의 거리가 d1으로 대기화면상에 배치된 다른 위젯들 중에서 최단거리를 유지한다. 반면, 사진 위젯(204)은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과 최장거리(d3)를 유지하며 배치되어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에서 음악 파일이 재생될 때 다른 위젯의 진동 속도가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사진 컨택 위젯(206)의 진동속도는 최대가 하고, 사진 위젯(204)의 진동속도는 최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과 동일한 간격(d2)을 유지하는 날씨 위젯(201)과 달력 위젯(202)은 진동속도가 동일하게 된다.
음악템포에 따라 진동하는 속도는 위젯 간 거리에 비례 또는 반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위젯 간 거리에 따라 상하진동 또는 좌우진동과 같이 진동형태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거리에 따라 동일한 형태로 진동하더라도 진동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이 실행되는 동안 그래픽 모듈(182)은 다른 위젯 그래픽 도구에 헤드폰과 같은 음악 재생과 관련된 그래픽을 추가하도록 제어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에서 음악 파일이 재생되고 있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헤드폰과 같은 보조 그래픽은 이동 단말기 내 기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다양한 그래픽을 메모리(160)에 업 로드하여 그래픽 모듈(182)에서 임의의 그래픽을 도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 및 사진 위젯을 설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상에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 및 사진 위젯의 그래픽 도구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진 위젯은 상술한 것처럼 하나 이상의 사진들이 플래쉬나 슬라이드 쇼(slide show)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슬라이드 쇼가 진행되는 속도를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의 영향을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에서 재생되는 음악파일의 템포에 맞추어 사진 위젯(204)상에서 하나 이상의 사진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유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쇼가 진행되는 속도는 음악 파일의 재생과 무관하게 기본 속도로 유지되도록 설정하거나 재생되는 음악 파일의 템포에 따라 변경되도록 설정하는 등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도구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특정 위젯을 시계 위젯으로 설정함에 따른 다른 위젯의 기능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날씨 위젯 및 시계 위젯을 설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대기화면상에 날씨 위젯 및 시계 위젯 그래픽 도구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날씨위젯(201)과 시계 위젯(205)을 통해 표시되는 날씨 정보 및 시간 정보는 현재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기준으로 조정된 정보이다.
이때, 도 10b에서와 같이 시계 위젯(205)을 두 지역에 관한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듀얼 클럭(dual clock)으로 기능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날씨 위젯(201)도 듀얼 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날씨 위젯(201)이 듀얼 클럭 시계 위젯(205)에서 표시되는 두 지역에 관한 날씨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듀얼 모드로 기능을 변경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가 서울인 경우 서울의 시간정보 및 날씨정보를 나타내는 기본 설정에서 런던의 시간 정보가 듀얼모드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두 지역의 지역 명칭과 시간 정보 뿐만 아니라 날씨 정보도 동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손목시계나 탁상시계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도 듀얼 클럭 설정을 많이 이용하는 바, 듀얼 클럭 모드에 날씨 위젯도 듀얼 모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젯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각각의 위젯의 기능 수행에 검색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모듈을 탑재한 이동 단말기는 현재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상에 맵 위젯(mpa widget)을 설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장소 또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지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맵 위젯(208)을 설정하면 대기화면상에 맵 위젯이 실행되면서 현재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장소는 지도 그래픽 도구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현재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 명칭이 디폴트로 입력된 별도의 검색창(209)이 팝업(pop-up)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강남역 근처인 경우 상기 팝업되는 검색창(209)에는 '강남역'이란 지역 명칭이 디폴트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강남역 맛집' 또는 '강남역 어학원'처럼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상기 검색창에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맵 위젯에 검색 서비스가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하도록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을 설정하며 음악파일 재생이 실행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3)은 음악 아티스트와 같은 재생 음악 파일과 관련된 정보가 디폴트로 입력된 별도의 검색창(209)이 팝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악 파일과 관련된 정보 검색 서비스를 쉽게 이용하도록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203)에 검색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위젯과 검색 서비스의 연동은 상술한 맵 위젯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위젯 뿐만 아니라, 사진 위젯이나 사진 컨택 위젯에도 연동하여 특정 인물과 관련된 검색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팝업되는 검색창은 검색 서비스 또는 검색 위젯의 설정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젯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위젯의 위치 변동시 각 위젯을 결합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젯은 서로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위젯 그래픽 도구를 디스플레이부(151)의 대기화면상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위젯의 위치를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위젯을 터치한 상태에서 목적 위치까지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위젯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위젯을 이동시키려는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위젯을 드래그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바, 불편함이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대기화면상에 복수 개의 위젯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 1 위젯에 대하여 제 2 위젯을 일정 거리 이하로 가까이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위젯 및 제 2 위젯이 서로 끌어당겨 시각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재배치시 함께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대기화면상에 날씨 위젯(201)과 시계 위젯(205)을 나타내는 그래픽 도구가 소정 거리를 유지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시계 위젯(205)을 터치한 상태로 날씨 위젯(201) 가까이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12b에 도시관 것처럼 시계 위젯(205)이 날씨 위젯(201)과 일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면 서로 끌어당겨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합된 두 개의 위젯 그래프 도구는 도 12c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위젯 그래픽 도구의 어떤 영역을 터치하며 드래그하더라도 같이 이동하므로, 두 개 이상의 위젯을 동시에 다른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된 두 위젯은 여전히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젯을 실행하기 위하여 그래픽 도구의 접한 형태와 상관없이 하나의 위젯을 터치하며 실행할 수 있다.
결합된 위젯의 분리는 도 12d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날씨 위젯(201)은 터치한 상태에서 시계 위젯(205)만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곳으로 드래그하면서 결합된 그래픽 도구를 분리할 수 있다. 또는, 날씨 위젯과 시계 위젯을 각각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다. 또는 결합된 그래픽 도구의 어느 하나의 위젯을 연속 터치하는 멀티 터치 방식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수행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수행에 따라 검색 서비스가 연동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재배치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2)

  1. 화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로 명칭함)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GUI들 중에서 특정 GUI의 기능이 수행되거나 또는 변경될 때, 상기 화면에서 상기 특정 GUI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위젯 및 가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GUI의 상태가 변경될 때, 다른 GUI 또는 대기 화면의 형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GUI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나머지 부분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GUI와 각 다른 GUI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서, 상기 각 다른 GUI의 형상의 변경 정도가 다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GUI는 멀티미디어 재생 관련 GUI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관련 GUI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가 재생되고 있을 때, 상기 다른 GUI가 시각적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GUI는 멀티미디어 재생 관련 GUI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관련 GUI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가 재생되고 있을 때, 상기 멀티미디어의 음악 템포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의 변경 속도가 다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GUI의 상태가 변경될 때 대기 화면상에서 상기 GUI를 제외한 영역에 팝업(pop-up)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팝업 창에는 상기 GUI와 관련된 정보가 디폴트(default)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화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로 명칭함)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GUI들 중에서 제 1 GUI 및 제 2 GUI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제 1 GUI 및 상기 제 2 GUI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이면, 상기 제 1 GUI 및 상기 제 2 GUI가 결합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합된 제 1 GUI 및 상기 제 2 GUI를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GUI를 연속 터치하는 멀티 터치 방식으로 드래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GUI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GUI를 드래그할 때, 상기 제 1 GUI 및 상기 제 2 GUI가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90066231A 2009-07-21 2009-07-21 이동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58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231A KR101588733B1 (ko) 2009-07-21 2009-07-21 이동 단말기
US12/840,403 US8775954B2 (en) 2009-07-21 2010-07-21 Mobile terminal to display a plurality of graphic user interfaces
CN201010277999.6A CN101963886B (zh) 2009-07-21 2010-07-21 移动终端及控制该移动终端的方法
EP10007587.8A EP2280342A3 (en) 2009-07-21 2010-07-2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231A KR101588733B1 (ko) 2009-07-21 2009-07-2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38A KR20110008738A (ko) 2011-01-27
KR101588733B1 true KR101588733B1 (ko) 2016-01-26

Family

ID=4282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2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8733B1 (ko) 2009-07-21 2009-07-2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75954B2 (ko)
EP (1) EP2280342A3 (ko)
KR (1) KR101588733B1 (ko)
CN (1) CN1019638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727A (ko) * 2010-08-06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84408B2 (en) 2011-01-12 2016-07-05 Yahoo! Inc. Image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and text search
US9128960B2 (en) * 2011-01-14 2015-09-08 Apple Inc. Assisted image selection
CN102184096A (zh) * 2011-03-30 201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融合通信的交互方法、装置和终端
US8635519B2 (en) 2011-08-26 2014-01-21 Luminate,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based on positional tagging
CN103019658A (zh) * 2011-09-20 2013-04-03 深圳市比维视创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待机界面生成方法、装置及数字终端
US20130086112A1 (en) 2011-10-03 2013-04-04 James R. Everingham Image browsing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content platform
US8737678B2 (en) 2011-10-05 2014-05-27 Luminate, Inc. Platform for providing interactive applications on a digital content platform
USD736224S1 (en) 2011-10-10 2015-08-11 Yahoo! Inc.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7290S1 (en) 2011-10-10 2015-08-25 Yahoo! Inc.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9542068B2 (en) * 2011-10-27 2017-01-10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constrained manipulations of 3D objects by multitouch inputs
US9405463B2 (en) * 2011-11-25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gesturally changing object attributes
CN103294424A (zh) * 2012-02-23 2013-09-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界面显示方法
US8255495B1 (en) 2012-03-22 2012-08-28 Luminate, Inc. Digital image and content display systems and methods
US8234168B1 (en) 2012-04-19 2012-07-31 Luminate, Inc. Image content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method
US8495489B1 (en) 2012-05-16 2013-07-23 Luminate,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displaying image annotations
US20130318437A1 (en) * 2012-05-22 201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101952702B1 (ko) 2012-06-01 2019-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9430991B2 (en) 2012-10-02 2016-08-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display composition with device sensor/state based graphical effects
CN103793129B (zh) * 2012-11-02 2017-11-1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移动终端桌面启动器及其显示方法
CN103902039B (zh) * 2012-12-28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109054B1 (ko) * 2013-04-26 202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139377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경정보를 이용한 화면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399688B (zh) 2013-07-26 2017-03-0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动态壁纸和桌面图标的交互方法和装置
CN103500049A (zh) * 2013-09-13 2014-01-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桌面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4571778B (zh) * 2013-10-09 2018-09-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锁屏画面设置方法及装置
CN103647700A (zh) * 2013-12-02 2014-03-19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微信墙的显示方法及系统
CN104301202A (zh) * 2014-02-25 2015-01-21 王石强 一种即时通讯的振动信息表达方法和系统
KR102207208B1 (ko) * 2014-07-31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 및 장치
US10795567B2 (en) * 2014-08-22 2020-10-06 Zoho Corporation Private Limited Multimedia applications and user interfaces
WO2016031062A1 (ja) * 2014-08-29 2016-03-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JP6598441B2 (ja) * 2014-09-09 2019-10-3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10543B1 (ko) * 2014-09-30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281411B (zh) * 2014-10-13 2017-10-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触摸屏解锁方法及系统
IN2015CH01313A (ko) 2015-03-17 2015-04-10 Wipro Ltd
CN105574167B (zh) * 2015-12-17 2020-01-1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照片自动命名处理方法及系统
CN105676312A (zh) * 2016-02-26 2016-06-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气预报的显示方法及系统
CN106201256B (zh) * 2016-06-30 2020-06-09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图片定位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6527923B (zh) 2016-10-19 2020-03-10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图形显示方法及装置
KR102760820B1 (ko) 2017-02-17 2025-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90081561A (ko) * 2017-12-29 2019-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657350A1 (en) * 2018-11-22 2020-05-27 Koninklijke Philips N.V. A data filtering device
CN109885231B (zh) * 2019-02-27 2021-07-02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6332B2 (en) 2003-06-09 2008-04-08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information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mobile devices
US8302020B2 (en) * 2004-06-25 2012-10-30 Apple Inc. Widget authoring and editing environment
US7761800B2 (en) * 2004-06-25 2010-07-20 Apple Inc. Unified interest layer for user interface
KR100766463B1 (ko) * 2004-11-22 2007-10-15 주식회사 에이아이코퍼스 메신저 연동 외국어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683318B1 (ko) * 2005-03-11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효율적 처리 방법
US20060277481A1 (en) * 2005-06-03 2006-12-07 Scott Forstall Presenting clips of content
US9104294B2 (en) * 2005-10-27 2015-08-11 Apple Inc. Linked widgets
US7707514B2 (en) 2005-11-18 2010-04-27 Apple Inc. Management of user interface elements in a display environment
US8869027B2 (en) * 2006-08-04 2014-10-21 Apple Inc. Management and generation of dashboards
KR101326697B1 (ko) * 2006-12-28 201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작세트로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9086785B2 (en) * 2007-06-08 2015-07-21 Apple Inc. Visualization object receptacle
US20090019385A1 (en) * 2007-07-12 2009-01-15 Nvidia Corporation Management of Icons in a Display Interface
US8954871B2 (en) * 2007-07-18 2015-02-10 Apple Inc. User-centric widgets and dashboards
WO2009046333A1 (en) * 2007-10-05 2009-04-09 Autodesk, Inc. User defined scenarios in a three dimensional geo-spatial system
US20090307300A1 (en) * 2008-06-10 2009-12-10 Iskoot Inc.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US8229411B2 (en) * 2008-12-30 2012-07-2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63886B (zh) 2014-12-31
EP2280342A2 (en) 2011-02-02
KR20110008738A (ko) 2011-01-27
EP2280342A3 (en) 2013-10-09
CN101963886A (zh) 2011-02-02
US20110022958A1 (en) 2011-01-27
US8775954B2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733B1 (ko) 이동 단말기
KR1018646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6958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70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182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09162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US931331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tagging different NFC tags
KR101873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928028B2 (en) Mobile terminal with voice recognition mode for multitas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034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01188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6161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378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데이터 추출 방법
KR10165712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6757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0012540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ap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6749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29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U2014287943A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s thereof
KR1016607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314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KR201101070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81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94720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9807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