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7934B1 -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34B1
KR101577934B1 KR1020150129833A KR20150129833A KR101577934B1 KR 101577934 B1 KR101577934 B1 KR 101577934B1 KR 1020150129833 A KR1020150129833 A KR 1020150129833A KR 20150129833 A KR20150129833 A KR 20150129833A KR 101577934 B1 KR101577934 B1 KR 101577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rush body
shape
bristles
barr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진 filed Critical 최영진
Priority to KR102015012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13Brushes for cleaning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ub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손잡이봉(120)이 결합되지 않아 브러쉬몸체(210)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브러쉬몸체(210)가 납작한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금형을 통한 브러쉬몸체(210)의 성형제조가 용이하고, 이렇게 납작한 형태를 하더라도 브러쉬몸체(210)에 손잡이봉(120)을 결합시킬 때에는 손잡이봉(120)의 샤프트부(122) 두께 및 형태에 맞게 브러쉬몸체(210)가 둥그스름하게 형태 변환되기 때문에 브러쉬몸체(210)에 있는 브러쉬모들이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을 취하게 되어 세척브러쉬 본연의 임무 수행에 아무런 지장이 없게 된다.

Description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Vessel cleaning brush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봉이 결합되지 않아 브러쉬몸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브러쉬몸체가 납작한 형태를 하고 있다가 상기 손잡이봉이 상기 브러쉬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브러쉬몸체의 납작한 형태가 둥그스름하게 형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용기나 주방용기로서 물병, 보온병, 물컵, 젖병 등과 같이 내부가 깊고 입구가 좁은 경우에 그 내부 세척을 위해서 세척브러쉬가 사용되어야 할 때가 많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79506호(2014.04.01.공고)에 개시된 '병 세척용구'가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브러쉬몸체가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한 호 형태를 함으로써 브러쉬모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금형을 이용하는 성형방식으로 브러쉬몸체를 제조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도 1 및 도 4는 종래의 세척브러쉬(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세척브러쉬(100)는 브러쉬몸체(110)와 손잡이봉(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손잡이봉(120)은 파지부(121)와 샤프트부(122)로 구분된다. 브러쉬몸체(110)는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한 호 형태를 하여 볼륨을 가지며, 일측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끼움홀(112)이 형성된다. 끼움홀(112)의 형태는 샤프트부(122)의 형태에 맞게 둥그스름한 관 형상을 한다. 손잡이봉(120)은 샤프트부(122)가 끼움홀(112)에 삽입되어 들어감으로써 브러쉬몸체(110)에 결합된다.
브러쉬몸체(110)의 외면에는 브러쉬모가 방사상으로 사방을 향하여 뻗어나가도록 브러쉬부(130)가 형성된다. 브러쉬부(130)는 제1브러쉬부(131), 제2브러쉬부(132), 및 제3브러쉬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브러쉬부(131)는 복수개의 제1브러쉬모(131a, 131b)가 두 줄로 서서 브러쉬몸체(110)의 측면 양쪽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제2브러쉬부(132)는 제1브러쉬부(131)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러쉬몸체(110)의 측면에서 복수개의 제2브러쉬모(132a)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제3브러쉬부(133)는 브러쉬몸체(110)의 선단에서 복수개의 제3브러쉬모(133a)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브러쉬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브러쉬부(131) 각각은 브러쉬몸체(110)의 종 방향으로 두 줄로 형성되는데, 이 때 어느 한 줄의 제1브러쉬모(131a)와 다른 한 줄의 제1브러쉬모(131b)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렇게 엇갈리게 배치하는 이유는 예컨대 어느 한 줄의 제1브러쉬모(131a) 사이의 틈(131c)이 다른 한 줄의 제1브러쉬모(131b)에 의해 차단되어 빈틈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호보완적으로 빈틈을 가리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브러쉬몸체(110)는 브러쉬모가 브러쉬몸체(110)에서 방사상으로 사방을 향하여 뻗어나가기 때문에 금형을 통한 성형제작에 어려움이 많다.
도 5는 종래의 브러쉬몸체(11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몸체(110)는 금형(200)에 실리콘과 같은 탄력성 재질을 주입한 후 금형(200)을 분리하여 얻어진다. 도면에서는 재질을 주입하는 주입부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 때 제2브러쉬부(132)를 이루는 제2브러쉬모(132a)들이 방사상으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금형이 제2브러쉬모(132a)에 걸려 상부금형(200a)과 하부금형(200b)을 제대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이를 강제적으로 분리하다보면 제2브러쉬모(132a)가 부러지거나 손상되기 쉽다. 도면상에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제3브러쉬부(133)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금형(200)을 조각내어 분리할 수밖에 없어 기본적으로 성형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금형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1브러쉬부(131)의 경우 제1브러쉬모(131a, 131b)들이 두 줄로 상호보완적으로 배치되어 빈틈이 가려지기는 하지만, 제1브러쉬모(131a, 131b)들이 바닥부터 가닥형상을 하기 때문에 너무 쉽게 휘어져, 긁어내는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용기에 단단하게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모자람이 많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79506호(2014.04.01.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잡이봉이 결합되지 않아 브러쉬몸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브러쉬몸체가 납작한 형태를 하고 있다가 상기 손잡이봉이 상기 브러쉬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브러쉬몸체의 납작한 형태가 둥그스름하게 형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세척브러쉬는,
슬릿형태의 끼움홀이 일측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납작한 형태를 하며,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브러쉬몸체;
상기 브러쉬몸체의 측면에 복수개의 제1브러쉬모가 옆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브러쉬부; 및
상기 브러쉬몸체의 앞면과 뒷면에 복수개의 제2브러쉬모가 앞뒤 방향으로 각각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브러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러쉬부는 상기 브러쉬몸체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브러쉬몸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브러쉬모는 상기 장벽부의 끝단에 상기 장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몸체는 선단이 막힌 골무형상을 하고 상기 장벽부는 상기 브러쉬몸체의 선단을 경유하면서 상기 브러쉬몸체의 양측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브러쉬모는 상기 장벽부의 끝단에 톱니형태 또는 물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벽부는 상기 브러쉬몸체 쪽이 더 두껍고 돌출되는 바깥쪽이 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브러쉬모는 복수개의 열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세척브러쉬는 손잡이봉이 상기 끼움홀을 강제적으로 벌리면서 삽입되어 들어가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몸체가 상기 손잡이봉의 두께 및 형태 때문에 납작한 형태에서 둥그스름하게 형태 변환되어 상기 제2브러쉬모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세척브러쉬 제조방법은,
금형에 탄력성 재질을 주입한 후 굳힌 다음에 상기 금형을 분리하여 상기 브러쉬몸체를 얻되, 상기 브러쉬몸체는 상기 제1브러쉬부 및 제2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의 분리가 상기 제1브러쉬부를 경계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브러쉬몸체가 납작한 형태를 하기 때문에 상기 금형을 통한 성형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렇게 납작한 형태를 하더라도 상기 브러쉬몸체에 상기 손잡이봉을 결합시킬 때에는 상기 손잡이봉의 샤프트부 두께 및 형태에 맞게 상기 브러쉬몸체가 둥그스름하게 형태 변환되기 때문에 상기 브러쉬몸체에 있는 브러쉬모들이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을 취하게 되어 세척브러쉬 본연의 임무 수행에 아무런 지장이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용기 세척 시 주로 긁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브러쉬부에 상기 장벽부를 둠으로써 종래와 같이 상호보완적인 두 줄이 아닌 한 줄로만 상기 제1브러쉬부를 형성시켜도 빈틈이 없어 족하고, 이렇게 한 줄로만 형성시키더라도 뒤로 젖혀지는데 더 큰 버팀성을 가지기 때문에 용기 내벽에 단단하게 붙어 있는 이물질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는 종래의 세척브러쉬(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종래의 브러쉬몸체(11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몸체(2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배면도;
도 9 및 도 10은 제1브러쉬부(23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1은 제2브러쉬부(23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브러쉬(2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몸체(2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몸체(2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브러쉬몸체(210)는 납작한 슬릿형태의 끼움홀(212)이 일측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전체적인 외형도 납작한 형태를 한다.
브러쉬몸체(21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제1브러쉬모(231a)가 옆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브러쉬부(231)가 마련된다. 브러쉬몸체(210)의 앞면과 뒷면에는 복수개의 제2브러쉬모(232a)가 앞뒤 방향으로 각각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브러쉬부(232)가 마련된다.
제1브러쉬부(231)는 브러쉬몸체(210)의 종방향을 따라 브러쉬몸체(210)에서 돌출되는 장벽부(2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브러쉬모(231a)는 장벽부(231b)의 끝단에 장벽부(231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쉬몸체(210)는 선단이 막힌 납작한 골무 형상을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 때 장벽부(231b)는 브러쉬몸체(210)의 선단을 경유하면서 브러쉬몸체(210)의 양측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긁어내는 데 주로 기여하는 제1브러쉬부(231)가 두 줄로 형성되어 상호보완적으로 빈틈을 없앴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장벽부(231b)를 두어 빈틈을 없애면 한 줄이면 충분하다.
제1브러쉬모(231a)가 브러쉬몸체(210)에 닿는 바닥부터 가닥형상으로 뻗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공통적인 장벽부(231b)에 의해서 밑 부분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되면, 제1브러쉬부(231)가 아무래도 바닥부터 가닥형상을 하는 경우에 비하여 뒤로 젖혀지는데 더 큰 버팀성을 가질 것이므로 용기를 닦을 때에 더 강한 힘으로 긁어낼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제1브러쉬부(23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1브러쉬모(231a)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벽부(231b)의 끝단에 톱니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러쉬부(231)는 전체적으로 볼 때 뒤로 젖혀지는데 강한 버팀성을 가지면서도 용기 내벽에 닿는 부위는 유연하게 젖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벽부(231b)는 브러쉬몸체(210) 쪽이 더 두껍고, 돌출되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1 > t2).
도 11은 제2브러쉬부(23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브러쉬모(232a)는 도 11a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기 보다는 도 11b에서와 같이 열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 촘촘히 설치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브러쉬(2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2a는 브러쉬몸체(210)와 손잡이봉(120)이 결합되기 전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b는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a에서와 같이, 손잡이봉(120)이 결합되지 않아 브러쉬몸체(210)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브러쉬몸체(210)가 납작한 형태를 하다가, 도 12b에서와 같이, 손잡이봉(120)의 샤프트부(122)가 둥그런 형태를 하여 브러쉬몸체(210)의 끼움홀(212)을 강제적으로 벌리면서 삽입되어 들어가 결합되면 샤프트부(122)의 두께 때문에 브러쉬몸체(210)가 납작한 형태에서 부풀어지면서 샤프트부(122)의 형태에 맞게 형태 변환되어 제2브러쉬모(232a)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몸체(2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브러쉬몸체(210)는 금형(200)에 실리콘과 같은 탄력성 재질을 주입한 후 굳힌 다음에 금형(200)을 분리하여 얻어진다. 이 때 제2브러쉬부(232)는 제2브러쉬모(232a)가 브러쉬몸체(210)의 앞뒤방향으로 각각 뻗어나가게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제1브러쉬부(231)는 장벽부(231b) 및 제1브러쉬모(231a)가 옆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브러쉬부(231)를 경계로 하여 상부금형(200a)과 하부금형(200b)을 분리하더라도 금형(200)이 제2브러쉬모(232a)에 걸리지 않고 잘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쉬몸체(210)가 납작한 형태를 하기 때문에 금형(200)을 통한 성형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렇게 납작한 형태를 하더라도 브러쉬몸체(210)에 손잡이봉(120)을 결합시킬 때에는 손잡이봉(120)의 샤프트부(122) 두께 및 형태에 맞게 브러쉬몸체(210)가 둥그스름하게 형태 변환되기 때문에 브러쉬몸체(210)에 있는 브러쉬모들이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을 취하게 되어 세척브러쉬 본연의 임무 수행에 아무런 지장이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용기 세척 시 주로 긁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브러쉬부(231)에 장벽부(231b)를 둠으로써 종래와 같이 상호보완적인 두 줄이 아닌 한 줄로만 제1브러쉬부(231)를 형성시켜도 빈틈이 없어 족하고, 이렇게 한 줄로만 형성시키더라도 뒤로 젖혀지는데 더 큰 버팀성을 가지기 때문에 용기 내벽에 단단하게 붙어 있는 이물질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100, 200: 세척브러쉬 110, 210: 브러쉬몸체
112, 212: 끼움홀 120: 손잡이봉
121: 파지부 122: 샤프트부
130: 브러쉬부 131, 231: 제1브러쉬부
131a, 131b, 231a: 제1브러쉬모 132, 232: 제2브러쉬부
132a, 232a: 제2브러쉬모 133: 제3브러쉬부
133a: 제3브러쉬모 200: 금형
200a: 상부금형 200b: 하부금형
231b: 장벽부

Claims (8)

  1. 슬릿형태의 끼움홀이 일측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납작한 형태를 하며,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브러쉬몸체;
    상기 브러쉬몸체의 측면에 복수개의 제1브러쉬모가 옆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브러쉬부; 및
    상기 브러쉬몸체의 앞면과 뒷면에 복수개의 제2브러쉬모가 앞뒤 방향으로 각각 뻗어나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브러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쉬부는 상기 브러쉬몸체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브러쉬몸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브러쉬모는 상기 장벽부의 끝단에 상기 장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몸체는 선단이 막힌 골무형상을 하고 상기 장벽부는 상기 브러쉬몸체의 선단을 경유하면서 상기 브러쉬몸체의 양측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쉬모가 상기 장벽부의 끝단에 톱니형태 또는 물결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부는 상기 브러쉬몸체 쪽이 더 두껍고 돌출되는 바깥쪽이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러쉬모는 복수개의 열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봉이 상기 끼움홀을 강제적으로 벌리면서 삽입되어 들어가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몸체가 상기 손잡이봉의 두께 및 형태 때문에 납작한 형태에서 둥그스름하게 형태 변환되어 상기 제2브러쉬모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8. 금형에 탄력성 재질을 주입한 후 굳힌 다음에 상기 금형을 분리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해당하는 상기 브러쉬몸체를 얻되, 상기 브러쉬몸체는 상기 제1브러쉬부 및 제2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의 분리가 상기 제1브러쉬부를 경계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브러쉬 제조방법.
KR1020150129833A 2015-09-14 2015-09-14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577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833A KR101577934B1 (ko) 2015-09-14 2015-09-14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833A KR101577934B1 (ko) 2015-09-14 2015-09-14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934B1 true KR101577934B1 (ko) 2015-12-17

Family

ID=5508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833A Active KR101577934B1 (ko) 2015-09-14 2015-09-14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127A (ko) * 2016-07-18 2018-01-26 정헌민 발 세척도구
KR200489458Y1 (ko) * 2018-01-09 2019-06-20 황형철 돌기형 수세미
KR20200092609A (ko) 2019-01-25 2020-08-04 강재희 각도 가변형 손잡이가 구비된 세척브러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7263A (ja) 2007-05-15 2010-08-12 ザ サーヴィスマスター カンパニー 掃除用ブラシ
KR101379506B1 (ko) 2013-07-03 2014-04-01 김동표 병 세척용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7263A (ja) 2007-05-15 2010-08-12 ザ サーヴィスマスター カンパニー 掃除用ブラシ
KR101379506B1 (ko) 2013-07-03 2014-04-01 김동표 병 세척용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127A (ko) * 2016-07-18 2018-01-26 정헌민 발 세척도구
KR200489458Y1 (ko) * 2018-01-09 2019-06-20 황형철 돌기형 수세미
KR20200092609A (ko) 2019-01-25 2020-08-04 강재희 각도 가변형 손잡이가 구비된 세척브러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1438C (en) Interdental cleaner
US20140158152A1 (en) Device for cleaning the mouth or teeth
KR101577934B1 (ko) 용기 세척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JP5485274B2 (ja) 歯ブラシ及び歯ブラシを製造する方法
JP6721342B2 (ja) 歯間ブラシ
JP5998107B2 (ja) 耳かき及び該耳かき等の身体の掃除具を製造するための金型装置及び該掃除具の製造方法
US20210186201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JP6433065B2 (ja) 歯間ブラシ
US1163326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ter-dental cleaning tool
KR101253594B1 (ko) 칫솔대
KR101822826B1 (ko) 병 세척용구
JP3118045U (ja) 嵌め込み型歯間ブラシ
KR200420524Y1 (ko) 치간 칫솔모
JP2017056366A (ja) ボトル用洗浄具
JP3163955U (ja) トイレ用洗浄ブラシ
WO2014087579A1 (ja) 舌清掃器具およびこの舌清掃器具を有する電動口腔衛生装置
CN110353397B (zh) 牙刷
EP3646813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KR20200000820U (ko) 빨대 세척기
JP7517877B2 (ja) 歯間清掃具
CN111386089B (zh) 齿间清扫器具和齿间清扫器具的制造方法
US8732888B2 (en) Brush for cleaning a container
GB2521755A (en) Integral brush with no gaps between cleaning assembly and handl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6976831B2 (ja)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JP7004495B2 (ja) 歯間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