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8745B1 -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745B1
KR101558745B1 KR1020140025757A KR20140025757A KR101558745B1 KR 101558745 B1 KR101558745 B1 KR 101558745B1 KR 1020140025757 A KR1020140025757 A KR 1020140025757A KR 20140025757 A KR20140025757 A KR 20140025757A KR 101558745 B1 KR101558745 B1 KR 10155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branched
center
carbon fiber
center tun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991A (ko
Inventor
최치훈
최영호
김기환
조정민
한센 헤르만
버호벤 롤프
카와스니아크 파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745B1/ko
Priority to JP2014172761A priority patent/JP6457763B2/ja
Priority to US14/520,124 priority patent/US9446793B2/en
Priority to CN201410647434.0A priority patent/CN104890732B/zh
Priority to DE102014223286.4A priority patent/DE102014223286B4/de
Publication of KR2015010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7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X-shaped or fork-shaped construction, i.e. having members which form an X or fork as the frame is seen in plan vi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1Under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사각의 테두리 형상으로써 닫힌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메인프레임; 차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메인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의 중반부를 연결하는 센터크로스멤버; 차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메인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의 프런트부를 연결하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및 사이드멤버의 리어부를 연결하는 리어크로스멤버; 및 센터크로스멤버의 상방 공간을 지나가도록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프런트크로스멤버와 리어크로스멤버를 연결하는 센터터널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UNDER-FLOOR FRAM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하여 강성을 높이고 중량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Steel BIW 언더플로어 프레임은 별도 제작된 플로어 사이드/크로스 멤버, 센터/리어 플로어 및 사이드실/사이드멤버를 별도 용접하여 제작하고 연결 크로스 멤버가 개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센터/리어플로어 연결부가 단절되어 연결구조의 구성을 위한 멤버수가 증가하고, 개구부 멤버가 부분적으로 개단면(폐단면 단절)으로 구성되어 플로어 멤버의 연결성 부족으로 인해 강성의 불연속이 발생하며 다발적인 내구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사이드실/사이드멤버/크로스 멤버의 연결을 위한 부재수가 과다하고 측면충돌시 크로스 멤버의 개단면 구조로 인한 과다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1998-507983 A
본 발명은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하여 강성을 높이고 중량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은,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사각의 테두리 형상으로써 닫힌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전방부가 프런트범퍼멤버이고, 양 측방부가 프런트부터 리어까지 아우르는 사이드멤버이며, 후방부가 리어범퍼멤버를 이루는 메인프레임;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차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메인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의 중반부를 연결하는 센터크로스멤버;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차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메인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의 프런트부를 연결하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및 사이드멤버의 리어부를 연결하는 리어크로스멤버; 및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센터크로스멤버의 상방 공간을 지나가도록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프런트크로스멤버와 리어크로스멤버를 연결하는 센터터널멤버;를 포함한다.
센터크로스멤버는 전방센터크로스멤버와 후방센터크로스멤버의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호 일정거리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센터터널멤버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 측에서 단부가 두 가닥으로 분기되며, 각각의 분기된 단부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에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센터터널멤버의 분기된 단부는 메인프레임의 사이드멤버에 연결되고, 사이드멤버, 센터터널멤버의 분기된 단부, 대응되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는 삼각형의 사이공간을 두고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센터터널멤버의 분기되는 지점은 대응되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와 함께 삼각형의 사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메인프레임의 사이드멤버에 결합된 추가 사이드멤버; 및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추가 사이드멤버의 외측단에 결합된 도어실멤버;를 더 포함하고, 센터터널멤버 전단부의 분기된 단부는 프런트크로스멤버, 사이드멤버, 추가 사이드멤버, 도어실멤버와 연결될 수 있다.
센터터널멤버 후단부의 분기된 단부는 리어크로스멤버, 추가 사이드멤버와 연결될 수 있다.
추가 사이드멤버의 전단부는 연장되어 사이드멤버를 매개로 프런트크로스멤버와 연결될 수 있다.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센터터널멤버에서 상방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며 단부가 카울크로스멤버와 연결된 지지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터널멤버는 리어크로스멤버 측에서 단부가 두 가닥으로 분기되며, 각각의 분기된 단부는 리어크로스멤버에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프레임의 사이드멤버에 연결되고, 사이드멤버, 센터터널멤버의 분기된 단부, 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는 삼각형의 사이공간을 두고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센터터널멤버는 나란히 밀착되어 연장된 두 가닥으로 구성되고,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 측에서 각각의 가닥이 분기되어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에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에 따르면,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하여 강성을 높이고 중량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연결부에서 강성의 불연속을 방지할 수 있고, 일체 성형으로 연속적인 강성과 제조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자유로운 연결성을 통해 충돌시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을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의 멤버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을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에서 스프링시트를 기준으로 한 하중 전달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을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의 멤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은,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된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으로서, 사각의 테두리 형상으로써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성형되어 닫힌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전방부가 프런트범퍼멤버(120)이고, 양 측방부가 프런트부터 리어까지 아우르는 사이드멤버(140)이며, 후방부가 리어범퍼멤버(160)를 이루는 메인프레임(100); 및 메인프레임(100)과 일체로 성형되며, 차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양측 사이드멤버(140)의 중반부를 연결하는 센터크로스멤버(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일체형의 메인프레임(100) 및 센터크로스멤버(200)를 구성함으로써 연속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은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된 일체의 멤버를 주요부로 한다.
메인프레임(100)은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으로서, 사각의 테두리 형상으로써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성형되어 닫힌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탄소섬유복합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형상의 자유도가 높고, 따라서 플로어를 이루는 차체 프레임의 테두리를 사각의 형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차체구조에 비해 강성이 월등히 높아진다.
사각형의 메인프레임(100)은 전방부가 프런트범퍼멤버(120)이고, 양 측방부가 프런트부터 리어까지 아우르는 사이드멤버(140)이며, 후방부가 리어범퍼멤버(160)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센터크로스멤버(200)는 메인프레임(100)과 일체로 성형되며, 차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양측 사이드멤버(140)의 중반부를 연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을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센터크로스멤버(200)는 전방센터크로스멤버(220)와 후방센터크로스멤버(240)의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호 일정거리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크로스멤버(400)와 리어크로스멤버(500)가 추가된다. 이들 역시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며, 차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각각 메인프레임(100)의 양측 프런트사이드멤버부(142)를 연결하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 리어사이드멤버부(146)를 연결하도록 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프런트크로스멤버(400)와 리어크로스멤버(500)를 연결하는 센터터널멤버(300)를 더 추가한다.
종합적으로 보면, 센터터널멤버(300)는 프런트크로스멤버(400) 또는 리어크로스멤버(500) 측에서 단부가 두 가닥으로 분기되며, 각각의 분기된 단부(320,340)는 프런트크로스멤버(400) 또는 리어크로스멤버(500)에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터널멤버(300)의 분기된 단부는 메인프레임(100)의 사이드멤버(140)에 연결되고, 사이드멤버(140), 센터터널멤버(300)의 분기된 단부(320,340), 대응되는 프런트크로스멤버(400) 또는 리어크로스멤버(500)의 단부는 삼각형의 사이공간(A)을 두고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삼각형의 공간을 두고 각각의 멤버가 삼각형의 변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접합부에서의 강성이 높게 증대된다.
또한, 센터터널멤버(300)의 분기되는 지점은 대응되는 프런트크로스멤버(400) 또는 리어크로스멤버(500)와 함께 삼각형의 사이공간(B)을 형성될 수 있다. 이 역시 강성 증대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센터터널멤버(300)는 리어크로스멤버(500) 측에서 단부가 두 가닥으로 분기되며, 각각의 분기된 단부(320,340)는 리어크로스멤버(500)에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프레임(100)의 사이드멤버(140)에 연결되고, 사이드멤버(140), 센터터널멤버(300)의 분기된 단부, 리어크로스멤버(500)의 단부는 삼각형의 사이공간(A)을 두고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터널멤버(300)는 나란히 밀착되어 연장된 두 가닥으로 구성되고, 프런트크로스멤버(400) 또는 리어크로스멤버(500) 측에서 각각의 가닥이 분기되어 프런트크로스멤버(400) 또는 리어크로스멤버(500)에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터크로스멤버(200)가 분기되는 구조가 아닌 연속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센터터널멤버(300)는 센터크로스멤버(200)의 상방 공간을 지나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멤버들은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도 3과 같이 사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피층(10), 외피층(10)으로 규정된 내부공간을 격자형으로 나누는 내부격벽(30), 구획된 내부공간마다 채워지는 탄소섬유복합재인 충진재(5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C부분에 대한 강성 평가 결과로서, 종래의 스틸재 프레임의 경우보다 본 발명의 경우 멤버간의 연결부위에서 연속적인 폐단면구조를 실현할 수 있어 강성의 변화가 연속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차량 외측으로는 추가 사이드멤버(600)와 도어실멤버(700)가 마련된다. 이들 멤버 또한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된다. 구체적으로, 추가 사이드멤버(600)는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메인프레임(100)의 사이드멤버(140)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실멤버(700)는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추가 사이드멤버(600)의 외측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센터터널멤버(300) 전단부의 분기된 단부(301)는 프런트크로스멤버(400), 사이드멤버(600), 추가 사이드멤버(600), 도어실멤버(7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터널멤버(300) 후단부의 분기된 단부는 리어크로스멤버(500), 추가 사이드멤버(6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차량 전체의 비틀림 가성을 높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추가 사이드멤버(600)의 전단부는 연장되어 사이드멤버(140)를 매개로 프런트크로스멤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센터터널멤버(300)에서 상방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며 단부가 카울크로스멤버(CC)와 연결된 지지멤버(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멤버(360)를 통하여 차량 전체의 비틀림 강성이 더욱 상승된다. 즉, 센터터널멤버(300)가 센터크로스멤버(200)의 상방을 지나가도록 구성하는 다소 독특한 형상을 취함으로써 센터터널멤버(300)와 카울크로스멤버(CC)를 지지멤버(360)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이를 통하여 추가적인 강성 증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래의 표는 이러한 센터터널멤버(300)가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강성 대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4021412829-pat00001
상기와 같은 해석 결과를 보면, 센터터널멤버(300)를 본 발명과 같이 분기시키고 다른 멤버들과 구조용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 및 연결함으로써 비틀림 정강성을 3.4%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BIW 중량으로 나눈 비강성이 2.4%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터터널멤버는 탄소섬유복합재로서, 내장재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표면특성이 우수하며 구조 강성이 Steel 소재 대비 동등 이상 수준이다. 또한, 성형성이 뛰어나 Steel BIW에서 적용하기에 어려운 구조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센터터널멤버를 활용하여 내장재로서의 외관 품질을 유지하면서 차체 구조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센터 콘솔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이로 인한 센터터널임과 동시에 센터콘솔이 되는 멤버는 언더플로어에 위치한 타 멤버와 접합하여 비틀림 강성을 증대를 시키고, 기존 센터터널멤버 대비 플로어 상단에 위치하므로 굽힘 모멘트 관성이 증대되어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강성 증대를 위한 스틸 부품 추가 또는 두께 증가를 하지 않고서도 차체 강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차체를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에서 스프링시트를 기준으로 한 하중 전달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추가 사이드멤버(600)의 후단부가 메인프레임(100)의 리어범퍼멤버(146)를 따라 연장되며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된 추가 리어멤버(62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추가 사이드멤버(600)는 각 사이드멤버(140)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마련되는데, 각 추가 사이드멤버(600)의 후단부는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된 추가 리어멤버(620)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추가 리어멤버(620)는 추가 사이드멤버(6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일체로 성형된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추가 사이드멤버(600)는 사이드멤버(140)의 외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추가 리어멤버(620)는 리어범퍼멤버(146)의 하단을 따라 밀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사이드멤버(140)와 리어범퍼멤버(146)는 높이차를 갖도록 절곡되며 연결되고, 그 높이차에 의해 추가 사이드멤버(140)는 사이드멤버(140)의 외측단에 동일한 높이에서 연결되어 측방 충돌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고, 추가 리어멤버(620)는 리어범퍼멤버(146)의 하단에 연결되어 후방 충돌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리고, 추가 리어멤버(620)의 하단에는 후륜 서스펜션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시트(SS)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리어멤버(620)와 리어범퍼멤버(146)가 결합된 지점에서 추가 리어멤버(620)의 하단에는 후륜 서스펜션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시트(SS)가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시트(SS)에 대응되는 리어범퍼멤버(146)의 상단에는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된 C필러멤버(BB) 하단이 연결되고, 동시에 범퍼메인멤버(BU)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후방 충돌 경로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도 8과 같이 최소 5개의 하중 전달 경로가 형성됨에 따라 종래의 차체 구조에서는 볼 수 없었던 하중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그러한 하중은 용접 등을 통해 중간에 절단되는 경로를 갖는 것이 아니라, 면 접착에 의한 전달 경로를 이루게 되어 효과적으로 하중이 각 멤버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로부터 탄소섬유복합재의 자유로운 성형성을 기반으로 후방충돌에 효율적인 플로어 멤버 일체화 연결구조를 이룰 수 있고, 차량의 롤링이 억제되며 범프시 스프링시트로 전달되는 충격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강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후방충돌시 하중을 다중 분산하며, 멤버 폐단면 및 일체화 구조로 인해 강도 향상에 효율적인 구조이다. 또한, 리어측의 멤버를 이중 멤버 접합구조로 성형함으로써 스프링시트부가 보강되고 비틀림 강성 및 플로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이 부분에 적용되는 추가적인 보강재에 의한 부식문제가 해결됨으로써 내구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에 따르면, 탄소섬유복합재를 이용하여 강성을 높이고 중량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연결부에서 강성의 불연속을 방지할 수 있고, 일체 성형으로 연속적인 강성과 제조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자유로운 연결성을 통해 충돌시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메인프레임 200 : 센터크로스멤버
300 : 센터터널멤버 400 : 프런트크로스멤버
500 : 리어크로스멤버

Claims (11)

  1.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사각의 테두리 형상으로써 닫힌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전방부가 프런트범퍼멤버이고, 양 측방부가 프런트부터 리어까지 아우르는 사이드멤버이며, 후방부가 리어범퍼멤버를 이루는 메인프레임;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차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메인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의 중반부를 연결하는 센터크로스멤버;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차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메인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멤버의 프런트부를 연결하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및 사이드멤버의 리어부를 연결하는 리어크로스멤버;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센터크로스멤버의 상방 공간을 지나가도록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프런트크로스멤버와 리어크로스멤버를 연결하는 센터터널멤버; 및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센터터널멤버에서 상방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며 단부가 카울크로스멤버와 연결된 지지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센터크로스멤버는 전방센터크로스멤버와 후방센터크로스멤버의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호 일정거리 평행하게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센터터널멤버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 측에서 단부가 두 가닥으로 분기되며, 각각의 분기된 단부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에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센터터널멤버의 분기된 단부는 메인프레임의 사이드멤버에 연결되고, 사이드멤버, 센터터널멤버의 분기된 단부, 대응되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는 삼각형의 사이공간을 두고 상호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센터터널멤버의 분기되는 지점은 대응되는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와 함께 삼각형의 사이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메인프레임의 사이드멤버에 결합된 추가 사이드멤버; 및
    탄소섬유복합재로 성형되고, 추가 사이드멤버의 외측단에 결합된 도어실멤버;를 더 포함하고,
    센터터널멤버 전단부의 분기된 단부는 프런트크로스멤버, 사이드멤버, 추가 사이드멤버, 도어실멤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센터터널멤버 후단부의 분기된 단부는 리어크로스멤버, 추가 사이드멤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추가 사이드멤버의 전단부는 연장되어 사이드멤버를 매개로 프런트크로스멤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센터터널멤버는 리어크로스멤버 측에서 단부가 두 가닥으로 분기되며, 각각의 분기된 단부는 리어크로스멤버에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프레임의 사이드멤버에 연결되고, 사이드멤버, 센터터널멤버의 분기된 단부, 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는 삼각형의 사이공간을 두고 상호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센터터널멤버는 나란히 밀착되어 연장된 두 가닥으로 구성되고,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 측에서 각각의 가닥이 분기되어 프런트크로스멤버 또는 리어크로스멤버에 밀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KR1020140025757A 2014-03-04 2014-03-04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Active KR10155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757A KR101558745B1 (ko) 2014-03-04 2014-03-04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JP2014172761A JP6457763B2 (ja) 2014-03-04 2014-08-27 車両のアンダーフロアフレームシステム
US14/520,124 US9446793B2 (en) 2014-03-04 2014-10-21 Under-floor frame system for vehicle
CN201410647434.0A CN104890732B (zh) 2014-03-04 2014-11-14 用于车辆的下底板框架系统
DE102014223286.4A DE102014223286B4 (de) 2014-03-04 2014-11-14 Unterbodenrahmensystem für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757A KR101558745B1 (ko) 2014-03-04 2014-03-04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991A KR20150103991A (ko) 2015-09-14
KR101558745B1 true KR101558745B1 (ko) 2015-10-07

Family

ID=5388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757A Active KR101558745B1 (ko) 2014-03-04 2014-03-04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46793B2 (ko)
JP (1) JP6457763B2 (ko)
KR (1) KR101558745B1 (ko)
CN (1) CN104890732B (ko)
DE (1) DE102014223286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805A (ko) * 2019-12-05 2021-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6086B2 (ja) * 2013-11-28 2017-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KR101558745B1 (ko) * 2014-03-04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JP6478031B2 (ja) * 2015-03-12 2019-03-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骨格構造
US9604671B2 (en) * 2015-08-13 2017-03-28 Fca Us Llc Vehicle underbody structure
JP6332250B2 (ja) 2015-12-07 2018-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フロア構造
JP6977307B2 (ja) * 2017-04-28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2019001391A (ja) * 2017-06-19 2019-01-1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KR102552511B1 (ko) * 2019-02-22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방구조
US12319356B2 (en) * 2021-09-30 2025-06-03 Mazda Motor Corporation Electric-vehicle-body structure having a center frame that is higher than a floor panel
US12233946B2 (en) * 2021-09-30 2025-02-25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body structure including a cross member at a rear portion of the floor panel
CN116424090A (zh) * 2023-05-31 2023-07-14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卡车储氢系统结构和底盘布置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9511A (ja) 2008-11-19 2010-07-08 Lanxess Deutschland Gmbh ハイブリッド設計の軽量部材
JP2012171533A (ja) 2011-02-23 2012-09-10 Toray Ind Inc 自動車用パネル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9693A (en) 1984-01-16 1986-07-08 Itt Corporation Probabilistic learning system
JPH0423116Y2 (ko) * 1987-08-11 1992-05-28
JPH0719956Y2 (ja) * 1989-02-20 1995-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DE4423642C1 (de) 1994-07-06 1995-10-12 Daimler Benz Aerospace Ag Tragrahmen,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SE503705C2 (sv) 1994-10-25 1996-08-05 Volvo Ab Lastbärande struktur för användning i en fordonskaross
KR100524638B1 (ko) 1996-09-24 2005-12-21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체프레임구조
JP3357006B2 (ja) * 1999-02-19 2002-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US6296301B1 (en) 1999-12-21 2001-10-0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otor vehicle body structure using a woven fiber
US7125067B2 (en) 2002-04-09 2006-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gnesium door assembly for automobiles
JP4161792B2 (ja) * 2003-05-12 2008-10-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US7503576B1 (en) 2006-08-07 2009-03-17 Answer Products, Inc. Molded assembly to combine a steering tube made of resin blended with carbon fiber composites and a crown made of aluminum for use in a two wheeled vehicle fork assembly
JP2008155700A (ja) * 2006-12-21 2008-07-10 Toyota Motor Corp 車体フロア部構造
US7469957B1 (en) * 2007-12-07 2008-12-30 Honda Motor Co., Ltd. Front floor frame
DE102008020527A1 (de) 2008-04-24 2009-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Rahm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JPWO2012105717A1 (ja) * 2011-02-03 2014-07-03 帝人株式会社 車両骨格部材
EP2671779B1 (en) * 2011-02-03 2018-06-20 Teijin Limited Vehicle skeleton member
KR101575456B1 (ko) * 2014-03-04 201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KR101558745B1 (ko) * 2014-03-04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9511A (ja) 2008-11-19 2010-07-08 Lanxess Deutschland Gmbh ハイブリッド設計の軽量部材
JP2012171533A (ja) 2011-02-23 2012-09-10 Toray Ind Inc 自動車用パネル構造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805A (ko) * 2019-12-05 2021-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체
KR102792224B1 (ko) * 2019-12-05 2025-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51700A1 (en) 2015-09-10
JP6457763B2 (ja) 2019-01-23
DE102014223286B4 (de) 2021-10-28
DE102014223286A1 (de) 2015-09-10
CN104890732B (zh) 2018-10-12
CN104890732A (zh) 2015-09-09
JP2015168420A (ja) 2015-09-28
US9446793B2 (en) 2016-09-20
KR20150103991A (ko) 201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745B1 (ko)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KR101575456B1 (ko)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JP5673018B2 (ja)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KR101724926B1 (ko) 차량용 리어 플로어
US7942473B2 (en) Underframe for motor vehicle
US20140159433A1 (en) Vehicle body lateral structure
JP6477317B2 (ja) サイドシル部の構造
JP6834909B2 (ja) 車体上部構造
JP6035730B2 (ja) 車両のフロアパネル制振構造
KR20140011132A (ko) 리어 패키지 트레이 어셈블리
WO2012095991A1 (ja) 車体下部構造
JP6344118B2 (ja) サスペンションフレーム構造
US9969443B2 (en) Reinforc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JP2019034643A (ja) 車体上部構造
JP6187772B2 (ja) 車体の補強構造
JP6331823B2 (ja) 接合構造
CN104044646A (zh) 车体后部构造
KR101982869B1 (ko) 트레일링암의 마운팅브라켓
JP6508303B1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20147255A (ja) 車両後部構造
JP6237670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KR102274015B1 (ko) 휠 하우스의 보강구조
KR102175954B1 (ko) 차량용 프레임 구조
KR101855754B1 (ko) 차량용 센터필러 조립체
JP2010241261A (ja) 車体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