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6951B1 - 스쿼팅 운동용 보드 - Google Patents

스쿼팅 운동용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951B1
KR101556951B1 KR1020150030405A KR20150030405A KR101556951B1 KR 101556951 B1 KR101556951 B1 KR 101556951B1 KR 1020150030405 A KR1020150030405 A KR 1020150030405A KR 20150030405 A KR20150030405 A KR 20150030405A KR 101556951 B1 KR101556951 B1 KR 101556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base plate
exercise
foo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한
배창환
이중호
정강훈
정기용
최용규
남찬우
서형석
성연범
Original Assignee
박영한
배창환
이중호
정강훈
정기용
최용규
남찬우
서형석
성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한, 배창환, 이중호, 정강훈, 정기용, 최용규, 남찬우, 서형석, 성연범 filed Critical 박영한
Priority to KR102015003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95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손상 및 질환에 따른 대퇴사두근 강화운동을 위해 고안된 것이며 운동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스쿼팅 운동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지면에 놓이는 베이스판;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일측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타단이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되는 발받침판; 상기 베이스판과 발받침판이 이루는 사잇각이 여러 단계로 조정될 수 있게끔 상기 발받침판을 지지하는 발받침판 지지수단;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발받침판의 상면에 올라선 사용자가 발받침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받침판 상면에 마련되는 미끄럼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쿼팅 운동용 보드{Squatting exercise board}
본 발명은 스쿼팅 운동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포츠 손상 및 질환에 따른 대퇴사두근 강화운동을 위해 고안된 것이며 운동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스쿼팅 운동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
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가지 운동방법이 고안 및 활용되고 있다. 그중 맨손으로 할 수 있는 간단한 운동 중 스쿼트라는 것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스쿼트는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기본적인 하체 운동이며 대퇴사두근, 대둔근, 슬굴곡근을 강화하는 운동이다. 스쿼트의 운동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바벨이나 덤벨을 병행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스쿼트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재활 치료의 일환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29425호는 몸이 불편한 이들을 위한 재활치료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스쿼트 운동은 통상 여러 세트로 시행되며, 그에 따른 소요 시간도 적지 않다. 바쁜 일상에서 적지 않은 시간을 할애하여 본 운동을 제대로 수행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시간적 절약을 위해 짧은 시간에 운동을 마칠 수 있도록 운동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일반적인 스쿼트는 발목의 각도가 항상 일정하므로 부하가 가해지는 근육 부위도 항상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운동 부위가 신체의 근육 일부분에 편중되는 현상이 있다. 결국 신체의 폭넓은 부위에 자극을 주기 위한 스쿼트 운동 보조기구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29425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쿼트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스쿼팅 운동용 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쿼트 운동의 강도를 다양한 단계로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재활중인 운동선수에게 유익한 스쿼팅 운동용 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지면에 놓이는 베이스판;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일측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타단이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되는 발받침판; 상기 베이스판과 발받침판이 이루는 사잇각이 여러 단계로 조정될 수 있게끔 상기 발받침판을 지지하는 발받침판 지지수단;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발받침판의 상면에 올라선 사용자가 발받침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받침판 상면에 마련되는 미끄럼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팅 운동용 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받침판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끼움홈; 일단은 상기 발받침판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끼움홈 중 어느 한 곳에 끼워지게 되는 버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는 끈부재를 끼워 걸 수 있도록 고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에는 탄성 끈부재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은 상기 발받침대 상면에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고무 또는 실리콘 등 연질 소재로 된 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받침판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끼움홈; 일단은 상기 발받침판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끼움홈 중 어느 한 곳에 끼워지게 되는 버팀대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홈은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고정되는 막대 형태의 거치대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버팀대에는 측방향으로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는 봉형상의 걸림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발받침대 위에 올라선 상태에서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되, 발받침대와 베이스판이 이루는 각도를 점진적으로 증진시키면서 스쿼팅을 함으로써 스쿼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구성의 하지단련기구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스쿼트를 시행할 수 있으며, 신체의 넓은 부위에 자극을 주어 스쿼트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판에 연결된 탄성 끈부재를 벽이나 창문 등에 걸어놓고 스쿼트를 함으로써 그 운동 강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는 스쿼팅 운동용 보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쿼팅 운동용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쿼팅 운동용 보드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쿼팅 운동용 보드의 펼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쿼팅 운동용 보드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쿼팅 운동용 보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쿼팅 운동용 보드의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쿼팅 운동용 보드는 스쿼트 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안출된 것이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그 이외의 운동에도 활용될 수 있다.
베이스판(10)이 지면에 놓인다. 베이스판(10)은 판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미끄럼을 방지하고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베이스판(10)의 저면에는 쿠션 소재의 다리(11)가 부착될 수 있다.
발받침판(20)이 베이스판(10)의 상면에 연결된다. 발받침판(20)은 그의 일단이 베이스판(10)의 상면 일측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타단이 베이스판(10)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게끔 연결된다. 발받침판(20)과 베이스판(10)의 힌지 연결수단으로는 제1경첩(15)이 예시된다.
발받침판(20)은 발을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발받침판(20)을 딛고 올라설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따라서 발받침판(20)은 일반 성인의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도로 제공되어야 한다. 발받침판(20)은 사용자가 두 발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딛을 수 있는 정도의 폭(W2, 도 3 참조)을 가진다. 경우에 따라 한 발 전용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보다 폭이 작아도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스쿼팅 운동용 보드는 한 발용 또는 양 발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발받침판(20)의 상면(20a)에는 미끄럼 방지수단이 마련된다. 미끄럼 방지수단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발받침판의 상면(20a)에 올라선 사용자가 발받침대(2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발받침판 상면(20a) 자체에 요철을 부여함으로써 마찰력을 높이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도시된 것처럼 미끄럼방지패드(21)를 부착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드(21)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 연질소재가 예시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드(21)는 도시된 것처럼 발바닥의 외형과 같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미끄럼방지패드(21)는 발바닥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게끔 입체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발받침판 지지수단은 베이스판(10)과 발받침판(20)이 이루는 사잇각이 여러 단계로 조정될 수 있게끔 발받침판(20)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베이스판(10)과 발받침판(20)의 각도(A, 도 2 참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받침판 지지수단은, 베이스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판(10) 상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끼움홈(13)과, 일단은 발받침판(2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끼움홈(13) 중 어느 한 곳에 끼워지게 되는 버팀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홈(13)은 베이스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판(10) 상면에 고정되는 막대 형태의 거치대(12)를 통해 만들어진다. 끼움홈(13)은 반구형태이며 거치대(12)의 상면에 랙기어와 유사한 형태로 마련된다. 끼움홈(13)은 베이스판(10)의 좌우 양측에 평행하게 마련된다(도 3 참조). 각 끼움홈(13)의 개수가 각도 조정이 가능한 단계와 같게 될 것임이 분명하다.
버팀대(30)는 힌지 연결수단에 의해 발받침판(20)에 힌지 연결되는 버팀판과, 버팀판의 양측 모서리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봉형상의 걸림구(31)를 포함한다. 봉형상의 걸림구(31) 끝에는 그보다 큰 면적의 손잡이(3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손잡이(32)는 버팀대(30)가 끼움홈(13)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버팀대(30)의 힌지 연결수단은 도시된 것처럼 제2경첩(25)일 수 있다. 그러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힌지 연결방법(예를 들어, 도 6 참조)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판(10)의 폭(W1)은 발받침판(20) 및 버팀대(30)의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거치대(12) 간의 폭은 버팀대(30)의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발받침판(20) 및 버팀대(30)를 완전히 펼쳤을 경우, 이들은 베이스판(10)에 완전히 접힐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스쿼팅 운동용 보드의 휴대와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판(10)의 전방에는 끈부재(40)를 끼워 걸 수 있도록 고리(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고리(14)에는 탄성 끈부재(40)가 연결된다. 베이스판(10)의 전면은 경사면(10a)으로 되어 있으며, 손잡이 형태의 고리(40)는 이 경사면(10a)에 고정된다. 고리(40)는 경사면(10a)에 부착되기 때문에 소정 각도로 상방향을 향하고 있게 된다. 즉 고리(40)는 사용자가 베이스판(10)을 딛고 서 있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손으로 잡기 편리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고리(40)를 손으로 잡고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발받침판(20)은 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받침판(20)의 전방부위(20b)가 발을 향하여, 즉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을 수 있다. 발받침판(20)이 경사진 경우 발가락이 이 전방부위(20b)에 지지됨으로써 발이 좀 더 편안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샌들과 같은 신발 형태로 된 발고정수단이 발받침판의 상면(20a)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받침판(20)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발받침판(20)이 2개의 단위 발받침판(20',20")으로 구성되고, 이들 단위 발받침판(20',20")은 서로 벌어지거나 움츠러들 수 있게끔 구성될 수 있다. 단위 발받침판(20',20")에는 2개 이상의 슬라이드봉(50)이 평행하게 끼워지고 단위 발받침판(20',20")은 이 슬라이드봉(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살표(K)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에는 발받침판(20)만 도시되었지만, 베이스판(10) 및 버팀대(30)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좌우로 벌려질 수 있게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또는 운동 목적에 따라 발받침판(20)의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쿼팅 운동용 보드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의하면, 사용자는 끈부재(40)의 일단을 방문고리 또는 창문틀 등의 고정체에 고정시키고 끈부재(40)의 타단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스쿼트를 시행하고 있다. 끈부재(40)는 그의 설치 높이에 따라 스쿼트의 강도를 낮추게 도울 수 있다. 이때 팔의 위치는 팔꿈치를 몸에 붙이고 주관절은 직각을 유지하도록 한다. 스쿼트를 시행함에 있어서, 발받침판(20)의 각도(A, 도 2 참조)는 낮은 각도에서 시작하여 점차 높은 각도로 증가시킨다.
도 6에 의하면, 사용자는 끈부재(40)의 일단을 베이스판(10)의 고리에 고정시키고 끈부재(40)의 타단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스쿼트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스쿼트의 운동 강도를 더욱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판 12 : 거치대
13 : 끼움홈 14 : 고리
20 : 발받침판 21 : 미끄럼방지패드
30 : 버팀대 31 : 걸림구
32 : 손잡이 40 : 끈부재
50 : 슬라이드봉

Claims (5)

  1. 지면에 놓이는 베이스판(10)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일측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타단이 상기 베이스판으로 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되는 발받침판(20)과, 상기 베이스판과 발받침판이 이루는 사잇각이 여러 단계로 조정될 수 있게끔 상기 발받침판을 지지하는 발받침판 지지수단 및,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발받침판의 상면에 올라선 사용자가 발받침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받침판 상면에 마련되는 미끄럼 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스쿼팅 운동용 보드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판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고정되며 그 상면에 복수개의 끼움홈(13)이 마련된 막대 형태의 거치대(12) 및;
    상기 발받침판(20)의 일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측방향으로 상기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는 봉 형상의 걸림구(31)가 돌출 형성되며 발받침판(20)과 동일한 폭(W2)으로 형성되는 버팀대(3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팅 운동용 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30405A 2015-03-04 2015-03-04 스쿼팅 운동용 보드 Expired - Fee Related KR101556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05A KR101556951B1 (ko) 2015-03-04 2015-03-04 스쿼팅 운동용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05A KR101556951B1 (ko) 2015-03-04 2015-03-04 스쿼팅 운동용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951B1 true KR101556951B1 (ko) 2015-10-05

Family

ID=5434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4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6951B1 (ko) 2015-03-04 2015-03-04 스쿼팅 운동용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9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52A1 (ko) * 2018-10-19 2020-04-23 이정우 신체균형 보조기구
KR20240021032A (ko) * 2022-08-09 2024-02-1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검 환자 자세 보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386B2 (ja) * 1992-09-29 2001-04-25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紡績用回転リング制御装置
KR101260642B1 (ko) * 2013-02-12 2013-05-03 김락준 발목 운동 기구
KR200474237Y1 (ko) * 2013-07-04 2014-09-01 곽동주 발목 교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386B2 (ja) * 1992-09-29 2001-04-25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紡績用回転リング制御装置
KR101260642B1 (ko) * 2013-02-12 2013-05-03 김락준 발목 운동 기구
KR200474237Y1 (ko) * 2013-07-04 2014-09-01 곽동주 발목 교정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52A1 (ko) * 2018-10-19 2020-04-23 이정우 신체균형 보조기구
KR20200044452A (ko) * 2018-10-19 2020-04-29 이정우 신체균형 보조기구
KR102156974B1 (ko) * 2018-10-19 2020-09-16 이정우 신체균형 보조기구
CN112020382A (zh) * 2018-10-19 2020-12-01 李井宇 身体平衡辅助器具
JP2021518802A (ja) * 2018-10-19 2021-08-05 イ ジュン ウ 身体均衡補助器具
JP7089111B2 (ja) 2018-10-19 2022-06-21 イ ジュン ウ 身体均衡補助器具
CN112020382B (zh) * 2018-10-19 2022-08-12 李井宇 身体平衡辅助器具
US11413503B2 (en) 2018-10-19 2022-08-16 Yang Gyu Moon Apparatus aiding body balance
KR20240021032A (ko) * 2022-08-09 2024-02-1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검 환자 자세 보조 장치
KR102667588B1 (ko) * 2022-08-09 2024-05-2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검 환자 자세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3745B2 (en) Portable calisthenics exercise device
US10493322B2 (en) Human hand-crawling apparatus
KR101260642B1 (ko) 발목 운동 기구
CN205460658U (zh) 座椅式深蹲架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KR101946783B1 (ko) 수동식 스트레칭 운동기구
RU1400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ок
KR101556951B1 (ko) 스쿼팅 운동용 보드
TWM429498U (en) Abdomen stretching equipment with retractable and angle adjustable foot stand
CN103111039A (zh) 治疗用的拉伸装置
KR101011469B1 (ko) 하체 및 복근 운동기구 세트
KR200485362Y1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CN104144730A (zh) 全身振动器械的上肢连接件装置
JP6612386B2 (ja) 健康器具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CN202538256U (zh) 脚架伸缩调整角度的拉腹器
KR200449845Y1 (ko) 거꾸리발걸이운동기구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KR200459977Y1 (ko) 손 또는 발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상,하체 운동기구
JP2004181195A (ja) 走歩等室内訓練用運動器具
RU241706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тя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TWM536960U (zh) 深蹲輔助裝置
CN201006242Y (zh) 健身器材
KR200477862Y1 (ko) 조절 가능한 스쿼트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