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5695B1 - 안정화 원소를 함유하고 저 함량 니켈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 Google Patents

안정화 원소를 함유하고 저 함량 니켈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695B1
KR101535695B1 KR1020107015647A KR20107015647A KR101535695B1 KR 101535695 B1 KR101535695 B1 KR 101535695B1 KR 1020107015647 A KR1020107015647 A KR 1020107015647A KR 20107015647 A KR20107015647 A KR 20107015647A KR 101535695 B1 KR101535695 B1 KR 10153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stenitic stainless
stainless steel
maximum
present
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726A (ko
Inventor
제임스 엠. 라코위스키
데이비드 에스. 베르그스트롬
찰스 피. 스틴너
존 제이. 던
존 에프. 그루브
Original Assignee
에이티아이 프로퍼티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아이 프로퍼티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티아이 프로퍼티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6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Catalyst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비교적 낮은 니켈 및 몰리브덴 수준을 포함하며, 더 높은 니켈 및 몰리브덴 수준을 포함하는 특정 합금에 상응하는 내부식성, 상승된 온도 변형에 대한 저항성, 및 성형성 물성을 나타내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조성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구체 예는, 중량% 단위로, 최대 0.20 C, 2.0-9.0 Mn, 최대 2.0 Si, 16.0-23.0 Cr, 1.0-7.0 Ni, 최대 3.0 Mo, 최대 3.0 Cu, 0.05-0.35 N, 최대 4.0 W, (7.5(%C)) ≤ (Nb + Ti + V +Ta + Zr) ≤ 1.5, 최대 0.01 B, 최대 1.0 Co,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강의 구체 예는 0.5 ≤ (Mo + W/2) ≤ 5.0 및/또는 1.0 ≤ (Ni + Co) ≤ 8.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화 원소를 함유하고 저 함량 니켈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AUSTENITIC STAINLESS STEEL LOW IN NICKEL CONTAINING STABILIZING ELEMENT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동시 계속중인 미국 가특허 출원 61/015,264 (2007.12.20. 출원)에 대하여 35 U.S.C. § 119(e)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발명의 배경
기술 분야
본 명세서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는 낮은 니켈 및 몰리브덴 수준을 포함하며, 개선된 고온 특성 및 더 높은 니켈 함량의 합금과 비교하여 적어도 상응하는 내부식성 및 성형성 물성을 갖는 비용-효과적인 안정화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배경에 대한 설명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광범위한 산업 응용분야에서 유용하도록 하는 고도로 바람직한 물성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이러한 강(steel)은 철이라는 기초 조성을 가지며, 이러한 기초 조성은 실온에서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유지하면서 내부식성을 증강시키는 크롬 및 몰리브덴과 같은 페라이트-촉진 원소(ferrite-promoting element)의 첨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니켈, 망간, 및 질소와 같은 오스테나이트-촉진 및 안정화 원소의 첨가에 의해 균형이 맞추어진다. 오스테나이트 구조는 강(steel)에 고도로 바람직한 기계적 물성, 특히 인성(toughness), 연성(ductility), 및 성형성을 제공한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한 구체적인 예는 AISI 타입 316 스테인리스 강(UNS S31600)인데, 이것은 16-18% 크롬, 10-14% 니켈, 및 2-3% 몰리브덴-함유 합금이다. 이러한 합금 내 합금 성분의 범위는 안정한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특정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해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니켈, 망간, 구리, 및 질소 함량은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 구조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그렇지만, 니켈 및 몰리브덴의 증가하는 가격으로 인하여 S31600를 대체하며 여전히 높은 내부식성 및 우수한 성형성을 나타내는 비용-효과적인 대체물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 다른 합금 대체물은 그레이드 216(Grade 216, UNS S21600)인데, 이것은 미국 특허 3,171,738에 개시되어 있다. S21600은 17.5-22% 크롬, 5-7% 니켈, 7.5-9% 망간, 및 2-3% 몰리브덴을 포함한다. 비록 S21600이 S31600에 대하여 낮은 니켈 함량 및 높은 망간 함량을 갖는 변형물임에도, S21600의 강도 및 내부식성 물성은 S31600의 것보다 훨씬 더 우수하다. 그렇지만, 듀플렉스 합금(duplex alloy)과 함께, S21600의 성형성은 S31600의 성형성만큼 우수하지 않다. 또한, S21600이 S31600이 함유하는 것과 동일한 양의 몰리브덴을 함유하기 때문에, 몰리브덴에 대한 비용 절감이 없다.
S31600의 변형물은 또한 주로 고온에서의 사용이 의도되는 물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합금은 타입 316Ti(UNS S31635)로서 설계된다. S31600와 S31635의 중요한 차이점은 강(steel)에 존재하는 탄소 및 질소 함량에 대한 잔량으로 소량의 티타늄의 첨가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결과물로서 산출되는 강인 S31635는 고온에서 그리고 용접 동안 크롬 카바이드의 유해한 형성에 대한 경향성이 적은데, 이는 예민화(sensitization)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첨가는 또한 일차 및 이차 카바이드 형성의 수행을 강화함에 의해 고온 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S31635 내 티타늄의 특정 범위는 다음 수식에 의해 제공된다:
[5 x (% C + % N)] ≤ Ti ≤ 0.70%
그렇지만, S31635는 고가의 원료를 사용한다.
합금의 또 다른 예는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니켈이 망간에 의해 대체되는 다양한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타입 201 강(Type 201 steel, UNS S20100) 및 유사한 등급으로 실시된다. 그렇지만, 저 함량의 니켈 및 몰리브덴을 함유하여 비용-효과적이면서, S31635와 유사한 개선된 고온 특성 및 S31600과 유사한 내부식성 및 성형성의 조합을 갖는 합금을 제조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듀플렉스 합금과는 달리, 이러한 합금이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온도 적용 범위와 상응하는 온도 적용 범위, 예를 들면 극저온(cryogenic temperatures) 내지 1300℉의 온도 적용 범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는 시중에서 입수할 수 없는 해결책을 제공하는데, 이는 S31600 및 S31635에 대하여 상응하는 내부식성 물성 및 개선된 고온 특성을 가지면서 원료물질의 비용 절감을 제공하는, 성형가능한 안정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합금 조성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온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어된 수준의 카바이드-형성 원소를 사용하는 안정한 오스테나이트계 합금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합금은 또한 상당히 낮은 원료 물질 비용으로, 높은 니켈 및 몰리브덴 함량 합금의 물성과 유사한 물성을 갖는 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방식으로, Ni 및 Mo를 대체하기 위하여 원소 Mn, Cu, 및 N의 조합을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각각 원소 Mo 및 Ni를 대체하기 위하여 원소 W 및 Co가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카바이드-형성 원소 및, 더욱 고가의 원소인 니켈 및 몰리브덴에 대한 치환체로서 망간, 구리, 및 질소와 같은 덜 비싼 원소를 사용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다. 결과는 S31600 및 S31635와 같은 고 비용의 합금에 비하여 적어도 이에 상응하는 내부식성 및 성형성 물성을 가지면서 개선된 고온 특성을 갖는 저 비용의 합금이다. 상기 합금은 경량 형강(light gauge)이며 성형성을 위하여 비교적 미세한 입자(fine grain)를 갖는 순결한 마이크로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 예는 중량% 단위로, 최대 0.20 C, 2.0-9.0 Mn, 최대 2.0 Si, 16.0-23.0 Cr, 1.0-7.0 Ni, 최대 3.0 Mo, 최대 3.0 Cu, 0.05-0.35 N, (7.5(%C)) ≤ (Nb + Ti + V +Ta + Zr) ≤ 1.5, 최대 4.0 W, 최대 0.01 B, 최대 1.0 Co,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비-제한적 구체 예는 텅스텐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0.5 ≤ (Mo + W/2) ≤ 5.0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코발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1.0 ≤ (Ni + Co) ≤ 8.0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최소 0.1% 니오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최소 (7.5(%C)) 농도로 니오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는 중량% 단위로, 최대 0.10 C, 2.0-8.0 Mn, 최대 1.00 Si, 16.0-22.0 Cr, 1.0-7.0 Ni, 0.40-2.0 Mo, 최대 1.00 Cu, 0.08-0.30 N, (7.5(%C)) ≤ (Nb + Ti + V +Ta + Zr) ≤ 1.5, 0.05-0.60 W, 최대 1.0 Co, 최대 0.040 P, 최대 0.030 S, 및 최대 0.008 B,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텅스텐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0.5 ≤ (Mo + W/2) ≤ 2.3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코발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1.0 ≤ (Ni + Co) ≤ 8.0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최소 0.1% 니오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최소 (7.5(%C)) 농도로 니오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에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중량% 단위로, 최대 0.08 C, 3.5-6.5 Mn, 최대 1.00 Si, 17.0-21.0 Cr, 0.5-2.0 Mo, 4.0-6.5 Ni, 0.08-0.30 N, (7.5(%C)) ≤ (Nb + Ti + V +Ta + Zr) ≤ 1.0, 최대 1.0 Cu, 최대 0.050 P, 최대 0.030 S,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텅스텐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0.5 ≤ (Mo + W/2) ≤ 4.0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코발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4.0 ≤ (Ni + Co) ≤ 7.5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최소 0.1% 니오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최소 (7.5(%C)) 농도로 니오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약 22 초과의 PREw 값, 약 10 미만의 페라이트 수, 및 약 20℃ 미만의 MD30 값을 갖는다.
스테인리스 강을 제조하는 한 방법은 전기 아크 로(electric arc furnace) 내에서의 용융 단계, AOD 내에서의 정련(refining) 단계, 잉곳(ingot) 또는 연속 주조 슬라브 내로의 주조 단계, 상기 잉곳 또는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및 이들을 고온 롤링하여 플레이트 또는 코일을 제조하는 단계, 특정 두께로 코일을 저온 롤링하는 단계, 및 재료를 어닐링 및 산처리(pickling)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재료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진공 또는 특정 대기압(special atmosphere) 하에서의 용융 및/또는 재-용융 단계, 성형품으로의 주조 단계, 또는 슬라브 또는 성형품으로 뭉쳐지는 분말 제조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는 합금은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의 합금은 저온 또는 극저온(cryogenic)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제조 물품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금으로부터 제조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합금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의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는 자동차 또는 그 밖의 다른 응용분야용의 가요성 컨넥터(flexible connector), 벨로우(bellow), 가요성 파이프(flexible pipe), 및 굴뚝 라이너(chimney liner), 및 송관 라이너(flue liner)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작업 실시예 또는 다르게 나타내는 것 이외에는, 구성성분 및 생성물의 양 또는 특성, 공정 조건,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용어 "약"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반대로 나타내지 않는 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모든 숫자 파라미터는 대략적인데 이는 본 명세서에 따르는 생성물 및 방법에서 얻기 위해 추구하는 바람직한 특성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최소한 그리고 청구범위에 대한 균등 범위에 명세서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닌 한, 각각의 숫자 파라미터는 최소한 보고된 유효숫자에 수에 관하여 해석되고 통상적인 근사치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 지금부터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다른 제시가 없는 한 "%"는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S31635 및 이와 유사한 것의 물성과 비교하여 적어도 이에 상응하는 내부식성 및 성형성 물성 그리고 개선된 고온 특성을 갖는 안정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조성물은 중량% 단위로, 최대 0.20 C, 2.0-9.0 Mn, 최대 2.0 Si, 16.0-23.0 Cr, 1.0-7.0 Ni, 최대 3.0 Mo, 최대 3.0 Cu, 0.05-0.35 N, (7.5( %C)) ≤ (Nb + Ti + V +Ta + Zr) ≤ 1.5, 최대 4.0 W, 최대 0.01 B, 최대 1.0 Co,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최소 0.1% 니오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최소 (7.5(%C)) 농도로 니오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구체 예에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조성물은, 중량% 단위로, 최대 0.20 C, 2.0-9.0 Mn, 최대 2.0 Si, 16.0-23.0 Cr, 1.0-7.0 Ni, 최대 3.0 Mo, 최대 3.0 Cu, 0.05-0.35 N, (7.5( %C)) ≤ (Nb + Ti + V +Ta + Zr) ≤ 1.5, 최대 0.01 B, 텅스텐,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0.5 ≤ (Mo + W/2) ≤ 5.0 및 1.0 ≤ (Ni + Co) ≤ 8.0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최소 0.1% 니오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최소 (7.5(%C)) 농도로 니오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는 , 중량% 단위로, 최대 0.10 C, 2.0-8.0 Mn, 최대 1.00 Si, 16.0-22.0 Cr, 1.0-7.0 Ni, 0.40-2.0 Mo, 최대 1.00 Cu, 0.08-0.30 N, (7.5( %C)) ≤ (Nb + Ti + V +Ta + Zr) ≤ 1.5, 0.05-0.60 W, 최대 1.0 Co, 최대 0.040 P, 최대 0.030 S, 및 최대 0.008 B,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텅스텐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0.5 ≤ (Mo + W/2) ≤ 2.3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코발트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그에 따라 1.0 ≤ (Ni + Co) ≤ 8.0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최소 0.1% 니오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최소 (7.5(%C)) 농도로 니오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구체 예에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중량% 단위로, 최대 0.08 C, 3.5-6.5 Mn, 최대 1.00 Si, 17.0-21.0 Cr, 0.5-2.0 Mo, 4.0-6.5 Ni, 0.08-0.30 N, (7.5 (%C)) ≤ (Nb + Ti + V +Ta + Zr) ≤ 1.0, 최대 1.0 Cu, 최대 0.050 P, 최대 0.030 S,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텅스텐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그에 따라 0.5 ≤ (Mo + W/2) ≤ 4.0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코발트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그에 따라 4.0 ≤ (Ni + Co) ≤ 7.5이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일부 구체 예는 최소 0.1% 니오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최소 (7.5(%C)) 농도로 니오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C: 최대 0.20%
C는 오스테나이트 상(phase)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작용하며 변형에 의해 유도된(deformation-induced) 마르텐사이트 변태(martensitic transformation)를 억제한다. 그렇지만, 또한 C는 특히 용접 동안 크롬 카바이드를 형성할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이는 내부식성 및 인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최대 0.20% C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구체 예에서, C의 함량은 0.10%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C의 함량은 0.08% 또는 그 미만일 수 있거나, 또는 0.03%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다.
Si : 최대 2.0%
2% 초과의 Si를 가지면 시그마와 같은 엠브리틀링 상(embrittling phase)의 형성이 촉진되고, 합금 내에서 질소의 용해도가 감소한다. 또한 Si는 페라이트 상(ferritic phase)을 안정시키며, 2% 초과의 Si는 오스테나이트 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제의 첨가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최대 2.0% Si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한 구체 예에서, Si 함량은 1.0%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다. Si는 니오브에 대한 특정 합금 원소의 반응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도우며 합금 내 상 균형(phase balance)을 돕는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 예에서, Si 첨가 효과는 Si 함량을 0.5-1.0%로 조절함으로써 균형 맞춰질 수 있다.
Mn : 2.0-9.0%
Mn은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며 유익한 합금 원소인 질소의 용해도를 일반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2.0% 이상의 Mn 함량이 요구된다. 망간 및 질소 둘 모두는 더욱 고가의 원소인 니켈에 대한 효과적인 치환체이다. 그렇지만, 9.0% 초과의 Mn을 가지면 특정 환경에서의 재료의 작업성 및 내부식성이 감퇴한다. 또한, 예를 들면 9.0% 초과의 높은 수준의 Mn을 갖는 스테인리스 강을 탈탄(decarburizing)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높은 Mn 수준은 재료를 가공하는 공정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내부식성, 상 균형(phase balance), 연성(ductility) 및 또 다른 기계적 물성을 적절하게 균형 맞추기 위하여, Mn 수준은 2.0-9.0%로 조절된다. 한 구체 예에서, Mn 함량은 2.0-8.0%일 수 있으며, 또는 그 대신에 3.5-6.5%일 수 있다.
Ni : 1.0-7.0%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형성과 관련하여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최소 1% Ni가 요구된다. Ni는 또한 인성 및 성형성을 증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렇지만, 니켈의 비교적 비싼 가격 때문에, 니켈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Mn 및 N이 Ni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치환체일 수 있으나, 높은 수준의 Mn 및 N은 수용불가능한 가공 경화(work hardening)를 초래할 것이며, 성형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합금은 수용가능한 성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최소 농도의 Ni를 포함하여야만 한다. 발명자들은, 더 높은 니켈 함량 합금의 물성만큼 우수하거나 또는 더욱 우수한 내부식성 및 성형성을 갖는 합금을 달성하기 위하여 1.0-7.0% 범위의 Ni가 정해진 범위의 그 밖의 다른 원소에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1.0-7.0 % Ni을 갖는다. 한 구체 예에서, Ni 함량은 4.0-6.5%일 수 있다.
Cr : 16.0-23.0%
합금 표면상에 부동태 필름(passive film)을 형성함으로써 스테인리스 강에 내부식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Cr이 첨가된다. 또한 Cr은 마르텐사이트 변태와 관련하여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적절한 내부식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최소한 16% Cr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Cr이 강력한 페라이트 안정화제이기 때문에, 23%를 초과하는 Cr 함량은 페라이트 함량을 수용가능한 정도로 낮게 유지시키기 위해 니켈 또는 코발트와 같은 더욱 고가의 합금 원소의 첨가를 필요로 한다. 또한 23% 초과의 Cr을 가지면 시그마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상을 더욱 용이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16.0-23.0% Cr을 갖는다. 한 구체 예에서, Cr 함량은 16.0-22.0%일 수 있거나, 또는 그 대신에 17.0-21.0%일 수 있다.
N: 0.05-0.35%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 Ni 및 내부식성 증강 원소 Mo에 대한 부분적인 대체물로서 N이 합금 내에 포함된다. N은 또한 합금의 강도를 개선한다. 강도 및 내부식성을 위하여 그리고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최소 0.05% N이 요구된다. 0.35% 초과 N의 첨가는 용융 및 용접 동안 N의 용해도를 초과할 것이며, 이는 질소 기체 포말로 인한 공극(porosity)을 산출시킬 것이다. 용해도 한도를 초과하지 않더라고, 0.35% 초과의 N 함량은 내부식성 및 인성을 감퇴시키는 질화물(nitride) 입자의 침전 경향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문제될만한 수준의 니오브 탄소질화물 침전물의 형성 없이, 최대 0.35%의 N 함량이 합금 내에서 Nb 수준과 조화될 수 있음을 결정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0.05-0.35% N을 갖는다. 한 구체 예에서, N 함량은 0.08-0.30%일 수 있다.
Mo : 최대 3.0%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용가능한 물성을 유지하는 동안 합금의 Mo 함량을 제한하는 것을 추구하였다. Mo는, 스테인리스 강의 표면 상부에 형성되며 염화물의 작용에 의한 공식(pitting corrosion)을 방어하는 부동태 산화물 필름(passive oxide film)을 안정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Mo는 최대 3.0% 수준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 비용으로 인하여, Mo 함량은 0.5-2.0%일 수 있으며, 이는 적절한 양의 크롬 및 질소와 함께 요구되는 내부식성을 제공하기에 적절하다. 3.0%를 초과하는 Mo 함량은 응고 페라이트의 분율을 잠재적으로 불리한 수준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고온 작업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고 Mo 함량은 또한 시그마 상(sigma phase)과 같은 유해한 금속간 상(intermetallic phases)이 형성되는 경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조성물은 최대 3.0% Mo를 갖는다. 한 구체 예에서, Mo 함량은 0.40-2.0%일 수 있거나, 또는 0.50-2.0%일 수 있다.
Co : 최대 1.0%
Co는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니켈 대체물로서 작용한다. 코발트의 첨가는 또한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코발트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 이다.
B: 최대 0.01%
0.0005%만큼의 저 함량 B가 스테인리스 강의 고온 작업성과 표면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그렇지만 0.01% 초과의 첨가는 합금의 내부식성 및 작업성을 감퇴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조성물은 최대 0.01% B를 갖는다. 한 구체 예에서, B 함량은 최대 0.008%일 수 있거나, 또는 최대 0.005%일 수 있다.
Cu : 최대 3.0%
Cu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제이며 본 합금 내 니켈의 일부를 대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Cu는 또한 환원 환경에서 내부식성을 개선하며 적층 결함 에너지(stacking fault energy)를 감소시켜 성형성을 개선한다. 그렇지만, 3% 초과의 Cu 첨가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고온 작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조성물은 최대 3.0% Cu를 갖는다. 한 구체 예에서, Cu 함량은 최대 1.0%일 수 있다.
W: 최대 4.0%
W는 염화물 공식(pitting corrosion) 및 틈새 부식(crevice corrosion)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몰리브덴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W는 또한 몰리브덴을 대체하는 경우 시그마 상 형성의 경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그렇지만, 4% 초과의 첨가는 합금의 고온 작업성을 감소시킬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조성물은 최대 4.0% W를 갖는다. 한 구체 예에서, W 함량은 0.05-0.60%일 수 있다.
0.5 ≤( Mo + W/2) ≤ 5.0
몰리브덴 및 텅스텐 둘 모두는, 스테인리스 강의 표면 상부에 형성되며 염화물의 작용에 의한 공식(pitting corrosion)을 방어하는 부동태 산화물 필름(passive oxide film)을 안정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내부식성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Mo에 비하여 W가 대략 절반의 효과(중량으로)이기 때문에, 필요한 내부식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Mo+W/2) > 0.5%의 조합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너무 많이 Mo을 갖는 것은 금속간 상(intermetallic phases)을 형성하는 경향을 증가시키며 너무 많은 W는 재료의 고온 작업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Mo+W/2)의 조합은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어야 한다. 한 구체 예에서, 몰리브덴 및 텅스텐은 0.5 ≤ (Mo + W/2) ≤ 2.3, 또는 그 대신에 0.5 ≤ (Mo + W/2) ≤ 4.0로 존재할 수 있다.
1.0 ≤ ( Ni + Co ) ≤ 8.0
니켈 및 코발트 둘 모두는 페라이트 형성과 관련하여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적절한 내부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되어야만 하는 Cr 및 Mo와 같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의 존재 하에서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최소 1% (Ni + Co)가 요구된다. 그렇지만, Ni 및 Co 둘 모두는 고가의 원소이므로, (Ni + Co) 함량을 8%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구체 예에서, (Ni + Co) 함량은 4.0% 초과 및 7.5% 미만일 수 있다.
(7.5(%C)) ≤ ( Nb + Ti + V + Ta + Zr ) ≤ 1.5
Nb는 탄소 및 더욱 소량의 질소와 반응하여 작은 입자 형태의 카바이드 및 탄소질화물을 생성한다. 이러한 입자들은 고온 작업 및 용접 동안 유해한 크롬 카바이드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이는 실온에서의 내부식성을 개선한다. 효과적인 열 처리를 사용하여 제조될 때, 이러한 입자들은 또한 상승된 온도에서의 강도 및 내변형성(creep resistance)을 개선할 수 있다. 금속에 용해되어 존재하는 각각의 C 원자 하나에 대하여 Nb 원자의 (7.5 x %C)의 최소 첨가가 제공된다. 높은 수준의 Nb는 유익한 N을 소비할 것이므로, Nb 함량을 1.5% 미만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i, V, Ta, 및 Zr를 포함하는(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안정한 카바이드를 형성하는 그 밖의 다른 원소가 니오브를 대체하여 첨가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치환체는 N에 대하여 Nb보다 더욱 강하게 반응하며 그 결과 개선된 용접성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Nb, Ti, V, Ta, 및 Zr의 중량 백분율의 합이 (7.5(%C)) 내지 최대 1.5%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고 결정했다. 다르게 말하면, (7.5(%C)) ≤ (Nb + Ti + V +Ta + Zr) ≤ 1.5%이다. 일부 구체 예에서, (7.5(%C)) ≤ (Nb + Ti + V +Ta + Zr) ≤ 1.0%이다. 일부 바람직한 구체 예에서, 합금은 최소 0.1% Nb를 포함하며, Nb, Ti, V, Ta, 및 Zr의 중량 백분율의 합은 (7.5(%C)) 내지 최대 1.5% 또는 1.0% 범위이다. 일부 구체 예에서, Ti, V, Ta, 및 Zr는 단지 부수적인 불순물로서 존재하거나 또는 실제로 가능한 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유지된다. 일부 구체 예에서, 합금의 실온 내부식성, 상승된 온도 강도, 내변형성(creep resistance), 및 용접성(weldabilty) 물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합금의 일부 구체 예는 최소 (7.5(%C))의 Nb 함량을 포함하며, Ti, V, Ta, 및 Zr은 단지 부수적인 불순물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용불가능하게 내변형성을 저하시키는 수준의 니오브 탄소질화물 침전물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최대 1.5% Nb 함량이 0.05-0.35%의 합금 내 N 함량과 조화된다고 결정했다.
본 발명의 안정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나머지는 철과 불가피한 불순물, 예를 들면 인 및 황을 포함한다. 상기 불가피한 불순물은 해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현실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합당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유지된다.
매우 안정한 질화물을 형성하는 예를 들면 Al과 같은 원소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안정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또한 예를 들면 내공식지수(pitting resistance equivalence number), 페라이트 수, 및 MD30 온도를 포함하여, 상기 강이 나타내는 물성을 정량화하는 수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내공식지수(pitting resistance equivalence number, PREN)는 염화물-함유 환경에서 공식(pitting corrosion)에 대하여 합금의 예상되는 저항성의 상대적 등급을 제공한다. PREN이 클수록, 합금의 예상되는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PREN 은 다음 수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PREN = %Cr + 3.3(%Mo) + 16(%N)
대신에, 합금 내 텅스텐의 존재를 고려하기 위하여 1.65(%W)라는 인자가 상기 수식에 첨가될 수 있다. 텅스텐은 스테인리스 강의 내공식성(pitting resistance)을 개선하며, 중량으로, 몰리브덴의 효과의 대략 절반의 효과이다. 텅스텐이 계산에 포함되는 경우, PREW로 나타내지는 내공식지수는 다음 수식에 의해 계산된다:
PREw = %Cr + 3.3(%Mo) + 1.65(%W) + 16(%N)
본 발명의 합금에서 텅스텐은 몰리브덴과 유사한 목적으로 작용한다. 이런 식으로, 텅스텐은 증가된 내공식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몰리브덴에 대한 치환체로서 첨가될수 있다. 상기 수식에 따르면, 동일한 내공식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거되는 몰리브덴의 %에 대하여 두 배의 텅스텐 중량%가 첨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합금은 22 초과, 바람직하게는 30만큼 큰 PREW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합금은 또한 그 페라이트 수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양(positive)의 페라이트 수는 일반적으로 페라이트의 존재와 관련 있는데, 페라이트는 합금의 응고 특성(solidification properties)을 개선하고 고온 작업 및 용접 작업 동안의 합금의 고온 균열(hot cracking)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우수한 주조성(castability)을 위하여 그리고 용접 동안의 고온-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기 응고된 마이크로구조 내에 소량의 페라이트가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너무 많은 페라이트는, 사용되는 동안, 마이크로구조의 불안정성, 제한된 연성, 및 악화된 고온 기계적 물성을 포함하는 문제점(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야기할 수 있다. 페라이트 수는 다음 수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N=3.34(Cr+1.5Si+Mo+2Ti+0.5Cb)-2.46(Ni+30N+30C+0.5Mn+0.5Cu)-28.6
본 발명의 합금은 최대 10, 바람직하게는 양의 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의 페라이트 수를 갖는다.
합금의 MD30 온도는 30%의 저온 변형(cold deformation)이 오스테나이트의 50%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는 것을 초래하는 온도로서 정의된다. MD30 온도가 낮을수록,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대한 재료의 저항성이 커진다. 마르텐사이트 형성에 대한 저항성은 낮은 가공 경화 속도를 초래하고, 이는 특히 연신 응용분야(drawing application)에서 우수한 성형성을 초래한다. MD30는 다음 수식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10045592112-pct00001
본 발명의 합금은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만의 MD30 온도를 갖는다.
실시예
표 1은 본 발명의 합금 1-5 및 대조 합금, S31600, S31635, S21600, 및 S20100에 대한 조성 및 계산된 파라미터 값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합금 1-5가 실험실-규모의 진공 로(vacuum furnace)에서 용융되었고 50-lb 잉곳에 부어졌다. 이러한 잉곳은 재가열되었고 고온 롤링(hot rolled)되어 약 0.250" 두께의 물품을 형성하였다. 상기 물품은 어닐링, 블라스팅(blasting), 및 산처리(pickled) 되었다. 상기 물품 중 일부는 0.100"-두께로 저온 롤링되었고, 나머지는 0.050 또는 0.040"-두께로 저온 롤링되었다. 저온 롤링된 물품은 어닐링되었고 산처리 되었다. 대조 합금 S31600, S31635, S21600, 및 S20100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며 이들 합금에 대하여 제시된 데이터는 공개된 문헌으로부터 취득하였거나 상업적 판매용으로 최근 제조된 물품을 테스트하여 측정되었다.
각각의 합금에 대하여 계산된 PREW 값이 표 1에 제시된다. 전술한 수식을 사용하여, 24.0 초과의 PREW 값을 갖는 합금이 염화물 공식(pitting)에 대하여 대조 합금 S31635 재료보다 우수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더 낮은 PREW 값을 갖는 것들은 더욱 쉽게 공식(pit)될 것이다.
표 1에 각각의 합금에 대한 페라이트 수가 또한 계산되었다. 본 발명의 합금 1-5의 페라이트 수는 10 미만의 바람직한 범위이다.
표 1에서 합금에 대한 MD30 값이 또한 계산되었다. 계산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든 합금 1-5, 특히 본 발명의 합금 4 및 5는 마르텐사이트 형성에 대하여 대조 합금 S31600 및 S31635와 유사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45592112-pct00002
표 1은 또한 원료 비용 지수(raw material cost index, RMCI)를 나타내는데, 이는 각 합금에 대한 재료 비용을 대조 합금 S31635의 재료 비용과 비교한다. RMCI는 원료 Fe, Cr, Mn, Ni, Mo, W, 및 Co에 대한 2007년 10월의 평균 단가에 합금에 포함된 각 원소의 백분율을 곱하고, 대조 합금 S31635 내의 원료의 비용으로 나누어서 계산되었다. 계산된 값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금 1-5는 0.65 미만의 RMCI 값을 갖는데, 이는 본 발명의 합금에 포함된 원료의 비용이 대조 합금 S31635 내 원료의 비용의 65% 미만임을 의미한다. 상당히 낮은 원료 비용으로 대조 합금 S31635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물품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것이며 종래 기술로부터 예상되지 않았던 것이다.
본 발명 합금 1-5의 기계적 물성이 측정되었고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대조 합금 S31600, S31635, S21600, 및 S20100의 물성과 비교되었다. 측정된 항복 강도(yield strength),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2-인치 게이지 길이에 걸친 백분위 신장률(percent elongation), 및 올슨 컵 높이(Olsen cup height)가 표 1에 제시된다. 인장 시험은 0.100" 게이지 재료 상에서 수행되었으며, 샤르피 시험은 0.197" 두께의 샘플 상에서 수행되었으며, 올슨 컵 시험은 0.040-인치 내지 0.050-인치 두께의 재료상에서 수행되었다. 모든 시험은 실온에서 수행되었다. 표 1의 데이터에 대한 단위는 다음과 같다: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 ksi; 신장률, 백분율(percent); 올슨 컵 높이, 인치.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합금, 특히 본 발명의 합금 4 및 5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S31635 재료의 물성과 상응하는 물성을 나타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합금은 대조 합금 S31635에 비하여 절반 미만의 니켈 농도 및 상당히 더 낮은 몰리브덴을 포함하였다. 고가의 합금 원소인 니켈 및 몰리브덴의 상당히 더 낮은 농도로 인하여, 본 발명의 합금 4 및 5의 RMCI는 대조 합금 S31635에 대하여 최소 40% 미만이다. 그렇지만, 이들의 실질적으로 감소된 수준의 니켈 및 몰리브덴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합금 4 및 5는 오스테나이트 마이크로구조를 가졌으며 대조 합금 S31635보다 상당히 더욱 우수한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신규한 합금의 잠재적인 용도는 다양하다. 앞서 설명하고 증명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조성물은 많은 응용분야에서 S31600 및 특히 S31635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니켈 및 몰리브덴의 높은 가격 때문에, S31600 및 S31635를 본 발명의 합금 조성물로 대체함으로써 상당한 비용 절감이 고려될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은, 본 발명의 합금들이 충분히 오스테나이트계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합금들은 영하의 온도에서의 예리한 연성-취성 천이(ductile-to-brittle transition, DBT) 또는 상승된 온도에서의 885℉ 취성(embrittlement)에 대하여 민감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듀플렉스 합금과는 달리, 본 발명의 합금들은 650℉ 이상의 온도에서도 사용가능하며 저온 및 극저온의 응용분야에 대하여도 주요한 후보물질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합금의 내부식성, 성형성 및 가공성(processability)이 표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그것들과 매우 유사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명세서에 따르는 합금이 특히 유리할 수 있는 특정 제조 물품의 비-제한적 실시예에는 예를 들면 자동차 배기구 및 그 밖의 다른 응용분야용의 가요성 컨넥터(flexible connector), 벨로우(bellow), 가요성 파이프(flexible pipe), 및 굴뚝/송관 라이너(chimney/flue liner)를 포함한다. 해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종래의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합금으로부터 이러한 물품 및 그 밖의 다른 제조 물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전술한 설명이 필연적으로 제한된 수의 구체 예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또 다른 상세한 부분들에서의 다양한 변화가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수정사항들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시된 기술내용의 범위 및 원칙 내에 포함될 것이라고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수록된 특정 구체 예에 제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원칙 및 범위 내에서의 변화들을 포함한다고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범위한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체 예에 대한 변화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Claims (41)

  1. 중량% 단위로, 0 초과 최대 0.20 C, 2.0-6.0 Mn, 0 초과 최대 1.0 Si, 16.0-23.0 Cr, 1.0-5.5 Ni, 0.4 내지 최대 3.0 Mo, 0.05-0.35 N, 0 초과 최대 4.0 W, (7.5(%C)) ≤ (Nb + Ti + V + Ta + Zr) ≤ 1.5, 0 초과 최대 0.01 B, 0 초과 최대 1.0 Co, 0 초과 최대 1.0 Cu, 철 및 불순물로 구성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되,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22 초과 및 최대 30의 PREW 값, 및 46.1 내지 53.7의 항복 강도(yield strength)를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0.5 ≤ (Mo + W/2) ≤ 5.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 청구항 1에 있어서,
    0.5 ≤ (Mo + W/2) ≤ 4.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4. 청구항 1에 있어서,
    1.0 ≤ (Ni + Co) ≤ 8.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5. 청구항 1에 있어서,
    4.0 ≤ (Ni + Co) ≤ 7.5
    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6. 청구항 1에 있어서,
    (7.5(%C)) ≤ (Nb + Ti + V +Ta + Zr) ≤ 1.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최소 0.1 N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8. 청구항 1에 있어서,
    (7.5(%C)) ≤ Nb ≤ 1.5
    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9. 청구항 1에 있어서, 10 미만의 페라이트 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0 초과 최대 10의 페라이트 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3 내지 5의 페라이트 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20℃ 미만의 MD30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10℃ 미만의 MD30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는 0 초과 최대 0.10으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i는 0 초과 최대 0.5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W는 0.05 내지 0.60으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n은 3.5 내지 5.1으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i는 4.0 내지 5.5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r은 17.0 내지 21.0으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o는 0.4 내지 2.0으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중량% 단위로, 0 초과 최대 0.10 C, 2.0-6.0 Mn, 0 초과 1.0 미만 Si, 16.0-22.0 Cr, 1.0-5.5 Ni, 0.40-2.0 Mo, 0.08-0.30 N, (7.5(% C)) ≤ (Nb + Ti + V +Ta + Zr) ≤ 1.5, 0.05-0.60 W, 0 초과 최대 1.0 Co, 0 초과 최대 0.040 P, 0 초과 최대 0.030 S, 0 초과 최대 0.008 B, 0 초과 최대 1.0 Cu, 철,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구성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되,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22 초과 및 최대 30의 PREW 값, 및 46.1 내지 53.7의 항복 강도(yield strength)를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2. 중량% 단위로, 0 초과 최대 0.20 C, 2.0-9.0 Mn, 0 초과 최대 2.0 Si, 16.0-23.0 Cr, 1.0-7.0 Ni, 0.50-2.0 Mo, 0 초과 최대 3.0 Cu, 0.05-0.35 N, 0 초과 최대 4.0 W, (7.5(% C)) ≤ (Nb + Ti + V +Ta + Zr) ≤ 1.5, 0 초과 최대 0.01 B, 0 초과 최대 1.0 Co, 잔부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0.5 ≤ Mo + W/2 ≤ 5.0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22 초과의 PREW 값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7.5% C ≤ Nb + Ti + V + Ta + Zr ≤ 1.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22 초과 최대 30의 PREW 값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7. 청구항 22에 있어서, 10 미만의 페라이트 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8. 청구항 22에 있어서, 0 초과 최대 10의 페라이트 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9. 청구항 22에 있어서, 3 내지 5의 페라이트 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0. 청구항 22에 있어서, 20℃ 미만의 MD30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1. 청구항 22에 있어서, -10℃ 미만의 MD30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2. 청구항 22에 있어서, 0 초과 최대 0.10 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3. 청구항 22에 있어서, 0.5 내지 1.0 Si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4. 청구항 22에 있어서, 2.0-8.0 Mn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5. 청구항 22에 있어서, 3.5-6.5 Mn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6. 청구항 22에 있어서, 4.0-6.5 Ni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7. 청구항 22에 있어서, 17.0-21.0 Cr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8. 청구항 22에 있어서, 중량% 단위로, 0 초과 최대 0.10 C, 2.0-8.0 Mn, 0 초과 최대 1.00 Si, 16.0-22.0 Cr, 1.0-7.0 Ni, 0.50-2.0 Mo, 0 초과 최대 1.00 Cu, 0.08-0.30 N, (7.5(% C)) ≤ (Nb + Ti + V + Ta + Zr) ≤ 1.5, 0.05-0.60 W, 0 초과 최대 1.0 Co, 0 초과 최대 0.040 P, 0 초과 최대 0.030 S, 0 초과 최대 0.008 B, 잔부 철 및 부수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9. 청구항 22에 있어서, 중량% 단위로, 0 초과 최대 0.08 C, 3.5-6.5 Mn, 0 초과 최대 1.00 Si, 17.0-21.0 Cr, 0.5-2.0 Mo, 4.0-6.5 Ni, 0.08-0.30 N, (7.5(% C)) ≤ (Nb + Ti + V + Ta + Zr) ≤ 1.0, 0 초과 최대 1.0 Cu, 0 초과 최대 0.050 P, 0 초과 최대 0.030 S, 0 초과 최대 0.008 B, 잔부 철 및 부수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40. 가요성 컨넥터(flexible connector), 벨로우(bellow), 가요성 파이프, 굴뚝 라이너(chimney liner), 및 송관 라이너(flue lin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조 물품이되, 상기 제조 물품은 중량% 단위로, 0 초과 최대 0.20 C, 2.0-9.0 Mn, 0 초과 최대 2.0 Si, 16.0-23.0 Cr, 1.0-7.0 Ni, 0.50-2.0 Mo, 0 초과 최대 3.0 Cu, 0.05-0.35 N, 0 초과 최대 4.0 W, (7.5(% C)) ≤ (Nb + Ti + V +Ta + Zr) ≤ 1.5, 0 초과 최대 0.01 B, 0 초과 최대 1.0 Co, 잔부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물품.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적어도 0.1 N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물품.
KR1020107015647A 2007-12-20 2008-02-20 안정화 원소를 함유하고 저 함량 니켈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Active KR101535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6407P 2007-12-20 2007-12-20
US61/015,264 2007-12-20
PCT/US2008/054396 WO2009082498A1 (en) 2007-12-20 2008-02-20 Austenitic stainless steel low in nickel containing stabilizing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726A KR20100099726A (ko) 2010-09-13
KR101535695B1 true KR101535695B1 (ko) 2015-07-09

Family

ID=3973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647A Active KR101535695B1 (ko) 2007-12-20 2008-02-20 안정화 원소를 함유하고 저 함량 니켈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3) US8337748B2 (ko)
EP (1) EP2245202B1 (ko)
JP (1) JP5383700B2 (ko)
KR (1) KR101535695B1 (ko)
CN (2) CN101903551A (ko)
AT (1) ATE522635T1 (ko)
AU (1) AU2008341063C1 (ko)
BR (1) BRPI0820586B1 (ko)
CA (1) CA2706473A1 (ko)
DK (1) DK2245202T3 (ko)
ES (1) ES2394980T3 (ko)
IL (1) IL205868A (ko)
MX (1) MX2010006038A (ko)
PL (1) PL2245202T3 (ko)
RU (1) RU2461641C2 (ko)
WO (1) WO20090824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7812B2 (en) 2004-05-21 2010-11-23 Ati Properties, Inc. Metastable beta-titanium alloys and methods of processing the same by direct aging
WO2009070345A1 (en) * 2007-11-29 2009-06-04 Ati Properties, Inc.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CN101903551A (zh) 2007-12-20 2010-12-01 Ati资产公司 含有稳定元素的低镍奥氏体不锈钢
US8877121B2 (en) 2007-12-20 2014-11-04 Ati Properties, Inc. Corrosion resistant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8337749B2 (en) * 2007-12-20 2012-12-25 Ati Properties, Inc.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9162285B2 (en) 2008-04-08 2015-10-20 Federal-Mogul Corporation Powder metal compositions for wear and temperature resistance application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9624568B2 (en) 2008-04-08 2017-04-18 Federal-Mogul Corporation Thermal spray applications using iron based alloy powder
US9546412B2 (en) 2008-04-08 2017-01-17 Federal-Mogul Corporation Powdered metal alloy composition for wear and temperature resistance application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U2015203729B2 (en) * 2009-11-02 2018-06-07 Ati Properties Llc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10053758B2 (en) 2010-01-22 2018-08-21 Ati Properties Llc Production of high strength titanium
FI122657B (fi) * 2010-04-29 2012-05-15 Outokumpu Oy Menetelmä korkean muokattavuuden omaavan ferriittis-austeniittisen ruostumattoman teräksen valmistamiseksi ja hyödyntämiseksi
KR20120132691A (ko) * 2010-04-29 2012-12-07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높은 성형성을 구비하는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 및 사용 방법
US9255316B2 (en) 2010-07-19 2016-02-09 Ati Properties, Inc. Processing of α+β titanium alloys
US8613818B2 (en) 2010-09-15 2013-12-24 Ati Properties, Inc. Processing routes for titanium and titanium alloys
US10513755B2 (en) 2010-09-23 2019-12-24 Ati Properties Llc High strength alpha/beta titanium alloy fasteners and fastener stock
WO2012060208A1 (ja) * 2010-11-02 2012-05-10 学校法人同志社 金属微粒子の製造方法
EP2692887B1 (en) * 2011-03-31 2017-07-19 Kubota Corporation Cast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8652400B2 (en) 2011-06-01 2014-02-18 Ati Properties, In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nickel-base alloys
KR101586590B1 (ko) * 2011-07-06 2016-01-1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오스테나이트강 용접 조인트
CN102304674B (zh) * 2011-08-23 2013-03-06 永兴特种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焊接用奥氏体不锈钢线材
CN102321853B (zh) * 2011-09-20 2017-04-26 上海尊马汽车管件股份有限公司 航空器及其超低温系统用不锈钢管及制备方法
UA111115C2 (uk) 2012-04-02 2016-03-25 Ейкей Стіл Пропертіс, Інк. Рентабельна феритна нержавіюча сталь
US20150068628A1 (en) * 2012-05-24 2015-03-12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ITRM20120647A1 (it) * 2012-12-19 2014-06-20 Ct Sviluppo Materiali Spa ACCIAIO INOSSIDABILE AUSTENITICO AD ELEVATA PLASTICITÀ INDOTTA DA GEMINAZION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E SUO USO NELLÂeuro¿INDUSTRIA MECCANICA.
US9869003B2 (en) 2013-02-26 2018-01-16 Ati Properties Llc Methods for processing alloys
US9192981B2 (en) 2013-03-11 2015-11-24 Ati Properties, In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high strength non-magnetic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US9777361B2 (en) 2013-03-15 2017-10-03 Ati Properties Ll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alpha-beta titanium alloys
DE202013012601U1 (de) * 2013-07-03 2017-11-28 J. D. Theile Gmbh & Co. Kg Kettenglied für Bergbauanwendungen
CN103388419A (zh) * 2013-08-13 2013-11-13 南通中正机械有限公司 火力发电厂用内衬不锈钢烟囱
US11111552B2 (en) 2013-11-12 2021-09-07 Ati Properties Llc Methods for processing metal alloys
CN103667853A (zh) * 2013-12-04 2014-03-26 蚌埠华泰特种钢有限公司 一种含钛奥氏体不锈钢的两步法冶炼方法
KR101659186B1 (ko) 2014-12-26 2016-09-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US10094003B2 (en) 2015-01-12 2018-10-09 Ati Properties Llc Titanium alloy
JP6552385B2 (ja) * 2015-11-05 2019-07-31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熱性と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ステンレス鋼製排気部品
US10502252B2 (en) 2015-11-23 2019-12-10 Ati Properties Llc Processing of alpha-beta titanium alloys
GB2546808B (en) * 2016-02-01 2018-09-12 Rolls Royce Plc Low cobalt hard facing alloy
GB2546809B (en) * 2016-02-01 2018-05-09 Rolls Royce Plc Low cobalt hard facing alloy
WO2017209431A1 (ko) * 2016-05-31 2017-12-07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642291B (zh) * 2016-08-30 2021-07-06 日本制铁株式会社 奥氏体系不锈钢
CN106439277A (zh) * 2016-10-28 2017-02-22 无锡市永兴金属软管有限公司 一种液硫输送金属软管及其制备方法
CN106439276A (zh) * 2016-10-28 2017-02-22 无锡市永兴金属软管有限公司 一种抗弯曲金属软管及其制备方法
CN106676407A (zh) * 2016-12-19 2017-05-17 苏州金威特工具有限公司 一种高硬度不锈钢
CN107099753B (zh) * 2017-04-13 2020-02-04 山东远大锅炉配件制造有限公司 循环流化床锅炉风帽用稀土高铬镍钨多元合金耐热钢
KR102021277B1 (ko) * 2017-11-23 2019-09-16 한국기계연구원 기계적 특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탄질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N108411208A (zh) * 2018-04-11 2018-08-17 石英楠 一种电厂发电机组用奥氏体耐热不锈钢的制备方法
SE541925C2 (en) 2018-04-26 2020-01-07 Suzuki Garphyttan Ab A stainless steel
CN111218624B (zh) * 2020-01-08 2021-10-15 北京科技大学 一种耐二氧化碳腐蚀无缝钢管及其制备方法
CN113337779A (zh) * 2021-05-21 2021-09-03 烟台恒邦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耐磨耐腐蚀泵用不锈钢材料及其制备方法
US12344918B2 (en) 2023-07-12 2025-07-01 Ati Properties Llc Titanium alloy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0022A2 (en) * 1986-08-30 1988-03-16 Aichi Steel Works, Ltd. Stainless steel having good corrosion resistance and good resistance to corrosion in seawa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1999032682A1 (en) * 1997-12-23 1999-07-01 Allegheny Ludlum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cluding columbium
JP2006219751A (ja) * 2005-02-14 2006-08-24 Nisshin Steel Co Ltd 耐候性に優れた低Ni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
WO2009082498A1 (en) * 2007-12-20 2009-07-02 Ati Properties, Inc. Austenitic stainless steel low in nickel containing stabilizing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983A (en) 1957-12-02 1961-11-22 Crane Co Improvements in alloy steel
US3171738A (en) 1960-06-29 1965-03-02 Allegheny Ludlum Steel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3284250A (en) * 1964-01-09 1966-11-08 Int Nickel Co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process therefor
GB1080886A (en) 1965-06-22 1967-08-23 Avesta Jernverks Ab Rollable and weldable stainless steel
US3599320A (en) 1967-12-26 1971-08-17 United States Steel Corp Metastable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3615365A (en) 1968-04-18 1971-10-26 Allegheny Ludlum Steel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3592634A (en) * 1968-04-30 1971-07-13 Armco Steel Corp High-strength corrosion-resistant stainless steel
USRE28645E (en) 1968-11-18 1975-12-09 Method of heat-treating low temperature tough steel
US3645725A (en) 1969-05-02 1972-02-29 Armco Steel Corp Austenitic steel combining strength and resistance to intergranular corrosion
US3736131A (en) 1970-12-23 1973-05-29 Armco Steel Corp Ferritic-austenitic stainless steel
US3716691A (en) 1971-04-27 1973-02-13 Allegheny Ludlum Ind Inc Shielded arc welding wi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3854938A (en) 1971-04-27 1974-12-17 Allegheny Ludlum Ind Inc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3770426A (en) 1971-09-17 1973-11-06 Republic Steel Corp Cold formable valve steel
GB1514934A (en) 1974-08-02 1978-06-21 Firth Brown Ltd Austenitic stainless steels
US4099966A (en) 1976-12-02 1978-07-11 Allegheny Ludlum Industries, Inc.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4170499A (en) 1977-08-24 1979-10-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of making high strength, tough alloy steel
JPS5441214A (en) 1977-09-08 1979-04-02 Nippon Yakin Kogyo Co Ltd Twoophase highhstrength stainless steel
SU874761A1 (ru) 1979-09-28 1981-10-23 Централь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Чер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Им. И.П.Бардина Коррозионностойка свариваема сталь
DE3071257D1 (en) 1979-12-29 1986-01-02 Ebara Corp Coating metal for preventing the crevice corrosion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S56119721A (en) 1980-02-25 1981-09-19 Sumitomo Metal Ind Ltd Solid solution treatment of two-phase stainless steel
GB2075550B (en) 1980-05-05 1984-04-04 Armco Inc Abrasion resistant austenitic stainless steel
SE430904C (sv) 1980-05-13 1986-07-14 Asea Ab Rostfritt, ferrit-austenitiskt stal framstellt av pulver
JPS5763666A (en) * 1981-08-12 1982-04-17 Nisshin Steel Co Ltd Warm water container with high yield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CA1214667A (en) 1983-01-05 1986-12-02 Terry A. Debold Duplex alloy
JPS59211556A (ja) 1983-05-18 1984-11-30 Daido Steel Co Ltd フエライト−オ−ステナイト系二相ステンレス鋼
CA1242095A (en) 1984-02-07 1988-09-20 Akira Yoshitake Ferritic-austenitic duplex stainless steel
SE451465B (sv) 1984-03-30 1987-10-12 Sandvik Steel Ab Ferrit-austenitiskt rostfritt stal mikrolegerat med molybden och koppar och anvendning av stalet
US4568387A (en) * 1984-07-03 1986-02-04 Allegheny Ludlum Stee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for low temperature service
US4609577A (en) 1985-01-10 1986-09-02 Armco Inc. Method of producing weld overlay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SU1301868A1 (ru) 1985-05-29 1987-04-07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литья АН УССР Нержавеюща сталь
WO1987004731A1 (en) 1986-02-10 1987-08-13 Al Tech Specialty Steel Corporation Corrosion resistant stainless steel alloys having intermediate strength and good machinability
IT1219414B (it) 1986-03-17 1990-05-11 Centro Speriment Metallurg Acciaio austenitico avente migliorata resistenza meccanica ed agli agenti aggressivi ad alte temperature
US5259443A (en) 1987-04-21 1993-11-09 Nippon Yakin Kogyo Co., Ltd. Direct production process of a length of continuous thin two-phase stainless steel strip having excellent superplasticity and surface properties
US4814140A (en) 1987-06-16 1989-03-21 Carpenter Technology Corporation Galling resistant austenitic stainless steel alloy
SE459185B (sv) 1987-10-26 1989-06-12 Sandvik Ab Ferrit-martensitiskt rostfritt staal med deformationsinducerad martensitfas
JPH0814004B2 (ja) 1987-12-28 1996-02-14 日新製鋼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高延性高強度の複相組織クロム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法
US4828630A (en) 1988-02-04 1989-05-09 Armco Advanced Materials Corporatio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high manganese
JPH0768603B2 (ja) 1989-05-22 1995-07-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建築建材用二相ステンレス鋼
US4985091A (en) 1990-01-12 1991-01-15 Carondelet Foundry Company Corrosion resistant duplex alloys
JPH04214842A (ja) 1990-01-19 1992-08-05 Nisshin Steel Co Ltd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
JP2574917B2 (ja) 1990-03-14 1997-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耐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鋼及びその用途
JP3270498B2 (ja) * 1991-11-06 2002-04-02 株式会社クボタ 耐割れ性及び耐食性にすぐれる二相ステンレス鋼
JP2500162B2 (ja) 1991-11-11 1996-05-2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二相ステンレス鋼
JP2618151B2 (ja) * 1992-04-16 1997-06-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強度・非磁性ステンレス鋼線材
US5254184A (en) 1992-06-05 1993-10-19 Carpenter Technology Corporation Corrosion resistant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galling resistance
US5340534A (en) 1992-08-24 1994-08-23 Crs Holdings, Inc. Corrosion resistant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galling resistance
US5286310A (en) 1992-10-13 1994-02-15 Allegheny Ludlum Corporation Low nickel, copper containing chromium-nickel-manganese-copper-nitrog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H06128691A (ja) 1992-10-21 1994-05-10 Sumitomo Metal Ind Ltd 靱性の良好な二相ステンレス鋼及びこれを素材とする厚肉鋼管
EP0595021A1 (en) 1992-10-28 1994-05-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proved lead frame package for electronic devices
JPH06235048A (ja) * 1993-02-09 1994-08-23 Nippon Steel Corp 高強度非磁性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US5496514A (en) 1993-03-08 1996-03-05 Nkk Corporation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JP3083675B2 (ja) 1993-05-06 2000-09-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JPH0760523A (ja) 1993-08-24 1995-03-07 Synx Kk 開先加工機における切削装置
KR950009223B1 (ko) 1993-08-25 1995-08-18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프레스 성형성, 열간가공성 및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H07138704A (ja) 1993-11-12 1995-05-30 Nisshin Steel Co Ltd 高強度高延性複相組織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83504B2 (ja) 1993-12-20 1998-08-06 神鋼鋼線工業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線状体
JP3242522B2 (ja) * 1994-02-22 2001-12-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冷間加工性・非磁性ステンレス鋼
JP3446294B2 (ja) 1994-04-05 2003-09-1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
JP3411084B2 (ja) 1994-04-14 2003-05-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建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5514329A (en) 1994-06-27 1996-05-07 Ingersoll-Dresser Pump Company Cavitation resistant fluid impelle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0694626A1 (en) 1994-07-26 1996-01-31 Acerinox S.A.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low nickel content
JP3588826B2 (ja) 1994-09-20 2004-11-1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窒素含有ステンレス鋼の熱処理方法
RU2107109C1 (ru) 1994-10-04 1998-03-2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ткрытого типа "Бумагоделате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Жаропрочная аустенитная сталь
JP3271262B2 (ja) 1994-12-16 2002-04-0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食性にすぐれた二相ステンレス鋼
JPH08170153A (ja) 1994-12-19 1996-07-02 Sumitomo Metal Ind Ltd 高耐食性2相ステンレス鋼
JP3022746B2 (ja) 1995-03-20 2000-03-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耐食高靱性二相ステンレス鋼溶接用溶接材料
JPH08283915A (ja) 1995-04-12 1996-10-29 Nkk Corp 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
EP0777756B2 (en) 1995-06-05 2004-03-17 POHANG IRON & STEE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uplex stainless steel
US5672315A (en) 1995-11-03 1997-09-30 Nippon Yakin Kogyo Co., Ltd. Superplastic dual-phase stainless steels having a small deformation resistance and excellent elongation properties
JP3241263B2 (ja) 1996-03-07 2001-12-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強度二相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DE69713446T2 (de) 1996-04-26 2003-08-07 Denso Corp., Kariya Verfahren zum spannungsinduzierten Umwandeln austenitischer rostfreier Stähl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zusammengesetzter magnetischer Teile
JPH09302446A (ja) 1996-05-10 1997-11-25 Daido Steel Co Ltd 二相ステンレス鋼
JP3409965B2 (ja) 1996-05-22 2003-05-26 川崎製鉄株式会社 深絞り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8010888A1 (fr) 1996-09-13 1998-03-19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Materiau d'apport pour la soudure d'aciers inoxydables
US6042782A (en) 1996-09-13 2000-03-28 Sumikin Welding Industries Ltd. Welding material for stainless steels
RU2167953C2 (ru) 1996-09-19 2001-05-27 Валентин Геннадиевич Гаврилюк Высокопрочная нержавеющая сталь
JPH10102206A (ja) 1996-09-27 1998-04-21 Kubota Corp 高耐食・高腐食疲労強度二相ステンレス鋼
FR2765243B1 (fr) 1997-06-30 1999-07-30 Usinor Acier inoxydable austenoferritique a tres bas nickel et presentant un fort allongement en traction
FR2766843B1 (fr) 1997-07-29 1999-09-03 Usinor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comportant une tres faible teneur en nickel
FR2780735B1 (fr) * 1998-07-02 2001-06-22 Usinor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comportant une basse teneur en nickel et resistant a la corrosion
US6395108B2 (en) 1998-07-08 2002-05-28 Recherche Et Developpement Du Groupe Cockerill Sambre Flat product, such as sheet, made of steel having a high yield strength and exhibiting good ductilit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is product
KR20010083939A (ko) 1998-11-02 2001-09-03 추후제출 Cr-Mn-Ni-Cu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JP3504518B2 (ja) 1998-11-30 2004-03-08 日鐵住金溶接工業株式会社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溶接材料ならびに溶接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08095B2 (ja) 1999-06-15 2004-03-22 株式会社クボタ 耐熱疲労性・耐腐食疲労性およびドリル加工性等に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二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製紙用サクションロール胴部材
RU2155821C1 (ru) 1999-07-12 2000-09-10 Кузнецов Евгений Васильевич Жаростойкая, жаропрочная сталь
JP2001131713A (ja) 1999-11-05 2001-05-15 Nisshin Steel Co Ltd Ti含有超高強度準安定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製造法
GB2359095A (en) 2000-02-14 2001-08-15 Jindal Strips Ltd Stainless steel
SE517449C2 (sv) 2000-09-27 2002-06-04 Avesta Polarit Ab Publ Ferrit-austenitiskt rostfritt stål
RU2173729C1 (ru) 2000-10-03 2001-09-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НИИчермет им. И.П. Бардина" Аустенитная коррозионностойкая сталь и изделие, выполненное из нее
JP2002173742A (ja) 2000-12-04 2002-06-21 Nisshin Steel Co Ltd 形状平坦度に優れた高強度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帯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819526B1 (fr) * 2001-01-15 2003-09-26 Inst Francais Du Petrole Utilisation d'aciers inoxydables austenitiques dans des applications necessitant des proprietes anti-cokage
US7090731B2 (en) 2001-01-31 2006-08-1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SE518516C2 (sv) 2001-04-19 2002-10-22 Bofors Defence Ab Sätt och anordning för förbättring av ytterballistiken för en artillerigranat
RU2207397C2 (ru) 2001-05-03 2003-06-27 Институт физики металлов Ураль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АН Аустенитная сталь
US7014719B2 (en) 2001-05-15 2006-03-21 Nisshin Steel Co., Ltd.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fine blankability
FR2827876B1 (fr) 2001-07-27 2004-06-18 Usinor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pour deformation a froid pouvant etre suivi d'un usinage
JP2003041341A (ja) 2001-08-02 2003-02-13 Sumitomo Metal Ind Ltd 高靱性を有する鋼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鋼管の製造方法
SE524952C2 (sv) 2001-09-02 2004-10-26 Sandvik Ab Duplex rostfri stållegering
US6551420B1 (en) 2001-10-16 2003-04-22 Ati Properties, Inc. Duplex stainless steel
IL161289A0 (en) * 2001-10-30 2004-09-27 Ati Properties Inc Duplex stainless steels
JP3632672B2 (ja) 2002-03-08 2005-03-2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水蒸気酸化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60346B1 (ko) 2002-03-25 2004-12-08 이인성 금속간상의 형성이 억제된 내식성, 내취화성, 주조성 및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US7842434B2 (en) 2005-06-15 2010-11-30 Ati Properties, Inc.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ferritic stainless steels adapted for us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US8158057B2 (en) 2005-06-15 2012-04-17 Ati Properties, Inc.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ferritic stainless steels adapted for us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US7981561B2 (en) 2005-06-15 2011-07-19 Ati Properties, Inc.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ferritic stainless steels adapted for us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EP1534867A2 (en) 2002-09-04 2005-06-01 Intermet Corporation Austempered cast iron articl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50103404A1 (en) 2003-01-28 2005-05-19 Yieh United Steel Corp. Low nickel containing chromim-nickel-mananese-copper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4221569B2 (ja) 2002-12-12 2009-02-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RU2246554C2 (ru) 2003-01-30 2005-02-20 Иэ Юнайтед Стил Корп. Хромоникельмарганцевомедная аустенитная нержавеющая сталь с низ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никеля
SE527175C2 (sv) 2003-03-02 2006-01-1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Duplex rostfri ställegering och dess användning
KR100689783B1 (ko) 2003-06-10 2007-03-08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수소 가스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및 그 제조 방법
EP1645650A4 (en) 2003-06-30 2007-07-25 Sumitomo Metal Ind DUPLEX STAINLESS STEEL
US7396421B2 (en) 2003-08-07 2008-07-08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Duplex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498847B2 (ja) 2003-11-07 2010-07-07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オ−ステナイト系高Mnステンレス鋼
EP1715073B1 (en) 2004-01-29 2014-10-22 JFE Steel Corporation Austenitic-ferritic stainless steel
JP4760032B2 (ja) 2004-01-29 2011-08-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5281855A (ja) 2004-03-04 2005-10-13 Daido Steel Co Ltd 耐熱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4519513B2 (ja) 2004-03-08 2010-08-0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剛性率に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SE528008C2 (sv) 2004-12-28 2006-08-01 Outokumpu Stainless Ab Austenitiskt rostfritt stål och stålprodukt
RU2693990C1 (ru) * 2005-02-01 2019-07-0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жевский опытн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Сталь, изделие из стал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1690957A1 (en) 2005-02-14 2006-08-16 Rodacciai S.p.A.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4657862B2 (ja) 2005-09-20 2011-03-23 日本冶金工業株式会社 次亜塩素酸塩を使用する装置用二相ステンレス鋼
JP2008127590A (ja) 2006-11-17 2008-06-05 Daido Steel Co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118904B1 (ko) 2007-01-15 2012-03-22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 조인트 및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 재료
EA013146B1 (ru) 2007-03-26 2010-02-26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Индастриз, Лтд. Трубы нефтяного сортамента для развальцовки в скважине и дуплексная нержавеющая сталь, используемая для труб нефтяного сортамента для развальцовки
RU72697U1 (ru) 2007-08-22 2008-04-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ури" Пруток из нержавеющей высокопрочной стали
WO2009070345A1 (en) 2007-11-29 2009-06-04 Ati Properties, Inc.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8337749B2 (en) 2007-12-20 2012-12-25 Ati Properties, Inc.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8877121B2 (en) 2007-12-20 2014-11-04 Ati Properties, Inc. Corrosion resistant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5349015B2 (ja) 2008-11-19 2013-11-20 日新製鋼株式会社 Ni節約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の製造方法並びにスラブおよび熱延鋼板
SE533635C2 (sv) 2009-01-30 2010-11-1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ustenitisk rostfri stållegering med låg nickelhalt, samt artikel därav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0022A2 (en) * 1986-08-30 1988-03-16 Aichi Steel Works, Ltd. Stainless steel having good corrosion resistance and good resistance to corrosion in seawa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1999032682A1 (en) * 1997-12-23 1999-07-01 Allegheny Ludlum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cluding columbium
JP2006219751A (ja) * 2005-02-14 2006-08-24 Nisshin Steel Co Ltd 耐候性に優れた低Ni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
WO2009082498A1 (en) * 2007-12-20 2009-07-02 Ati Properties, Inc. Austenitic stainless steel low in nickel containing stabilizing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06473A1 (en) 2009-07-02
US8337748B2 (en) 2012-12-25
AU2008341063A1 (en) 2009-07-02
BRPI0820586B1 (pt) 2018-03-20
US9133538B2 (en) 2015-09-15
AU2008341063C1 (en) 2014-05-22
IL205868A0 (en) 2010-11-30
ES2394980T3 (es) 2013-02-07
US9873932B2 (en) 2018-01-23
BRPI0820586A8 (pt) 2017-04-04
HK1150244A1 (en) 2011-11-11
CN103060718B (zh) 2016-08-31
US20090162237A1 (en) 2009-06-25
KR20100099726A (ko) 2010-09-13
ATE522635T1 (de) 2011-09-15
RU2461641C2 (ru) 2012-09-20
EP2245202A1 (en) 2010-11-03
MX2010006038A (es) 2010-08-11
US20130129559A1 (en) 2013-05-23
EP2245202B1 (en) 2011-08-31
BRPI0820586A2 (pt) 2015-06-16
DK2245202T3 (da) 2011-12-19
WO2009082498A1 (en) 2009-07-02
CN103060718A (zh) 2013-04-24
RU2010130163A (ru) 2012-01-27
US20150337422A1 (en) 2015-11-26
JP2011508077A (ja) 2011-03-10
CN101903551A (zh) 2010-12-01
PL2245202T3 (pl) 2011-12-30
IL205868A (en) 2013-08-29
AU2008341063B2 (en) 2013-07-04
JP5383700B2 (ja)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695B1 (ko) 안정화 원소를 함유하고 저 함량 니켈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JP6214692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薄ステンレス鋼
US10323308B2 (en) Corrosion resistant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EP2220261B1 (en)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AU2015203729B2 (en)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K1150244B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low in nickel containing stabilizing elements
HK1147529A (en)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K1147529B (en)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