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403B1 -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기포 발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4403B1 KR101524403B1 KR1020140022686A KR20140022686A KR101524403B1 KR 101524403 B1 KR101524403 B1 KR 101524403B1 KR 1020140022686 A KR1020140022686 A KR 1020140022686A KR 20140022686 A KR20140022686 A KR 20140022686A KR 101524403 B1 KR101524403 B1 KR 1015244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member
- inner guide
- fluid
- inlet
- micr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가 유입되고,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유체가 순환되어 유입되는 유입부(100); 상기 유입부(100)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유체에 기체가 분사되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부(200);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200)의 후미에 연결되어 미세 기포를 포함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300);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200)를 통과하는 유체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400); 및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200)의 배출측을 통과하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유입부(100) 측으로 순환시키는 유체 순환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기체 공급부(400)와 유체 순환부(500)의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우측면도,
도 4는 유입부(100)의 (a) 단면도, (b) 우측면도,
도 5는 제1외측 가이드부재(210)의 (a) 단면도, (b) 우측면도,
도 6은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의 (a) 단면도, (b) 우측면도,
도 7은 제3외측 가이드부재(230)의 (a) 단면도, (b) 우측면도,
도 8은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의 (a) 단면도, (b) 우측면도,
도 9는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의 (a) 단면도, (b) 우측면도,
도 10은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의 (a) 단면도, (b) 우측면도,
도 11은 후미에 위치하는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의 (a) 단면도, (b) 우측면도,
도 12는 배출부(300)의 (a) 단면도, (b) 좌측면도,
도 13은 기체 공급부(400)의 (a) 단면도, (b) 우측면도,
도 14는 유체 순환부(500)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단면도.
120 : 유입구 130 : 출구
140 : 유체순환배출구 200 : 미세기포 발생부
210 : 제1외측 가이드부재 213 : 기체유입공
220 : 제2외측 가이드부재 230 : 제3외측 가이드부재
233 : 유체순환유입공 240 : 제1내측 가이드부재
242 : 유체배출공 250 : 제2내측 가이드부재
252 : 와류형성돌기 252a : 와류형성홈
253 : 유체유입공 254 : 결합홈
260 : 제3내측 가이드부재 262 : 와류형성돌기
262a : 와류형성홈 300 : 배출부
313 : 테이퍼부 314 : 결합돌기
400 : 기체 공급부 410 : 기체 공급관
411 : 기체 공급구 500 : 유체 순환부
510 : 유체 순환관 520 : 제1연결관
530 : 제2연결관
Claims (12)
- 액체 내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있어서,
액체가 유입되고,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유체가 순환되어 유입되는 유입부(100);
상기 유입부(100)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유체에 기체가 분사되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부(200);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200)의 후미에 연결되어 미세 기포를 포함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300);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200)를 통과하는 유체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400); 및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200)의 배출측을 통과하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유입부(100) 측으로 순환시키는 유체 순환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200)는, 상기 기체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공(213)과,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200)의 배출측을 통과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순환유입공(233)이 형성된 외측 가이드부재(210,220,230)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210,220,230)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유체배출공(242)과 유체유입공(253)이 형성된 내측 가이드부재(240,250,260)로 이루어지며,
후방부에 위치하는 내측 가이드부재의 내경(d3)은 상기 유입부(100)의 내경(d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부에 위치하는 내측 가이드부재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P2)과, 상기 유입부(1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P1) 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후방부에 위치하는 내측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유체유입공(253)을 통하여 상기 유체 순환부(500)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유입부(100)에 형성된 유체순환배출구(140)를 통하여 순환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210,220,230)는, 상기 유입부(100)의 후미에 연결되며 상기 기체유입공(213)이 형성된 제1외측 가이드부재(210)와, 상기 제1외측 가이드부재(210)의 후미에 연결되는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와, 상기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의 후미와 상기 배출부(30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유체순환유입공(233)이 형성된 제3외측 가이드부재(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240,250,260)는, 상기 유체배출공(242)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와,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의 내경(d2)보다 큰 내경(d3)을 가지며 상기 유체유입공(253)이 형성된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와, 상기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와 동일한 내경(d3)을 갖는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외측 가이드부재(2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와,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 및 복수의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가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의 내측에는,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와,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와,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 및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가 순차로 연결되며,
상기 제3외측 가이드부재(230)의 내측에는,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와, 복수의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가 순차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210,220,230)는, 상기 유입부(100)의 후미에 연결되며 상기 기체유입공(213)이 형성된 제1외측 가이드부재(210)와, 상기 제1외측 가이드부재(210)의 후미에 연결되는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와, 상기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의 후미와 상기 배출부(30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유체순환유입공(233)이 형성된 제3외측 가이드부재(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240,250,260)는, 상기 유체배출공(242)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와,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의 내경(d2)보다 큰 내경(d3)을 가지며 상기 유체유입공(253)이 형성된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와, 상기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와 동일한 내경(d3)을 갖는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외측 가이드부재(2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와,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와,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 및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가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의 내측에는,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와,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 및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가 순차로 연결되며,
상기 제3외측 가이드부재(230)의 내측에는,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와, 복수의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 및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가 순차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는 복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와,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 및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가 순차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와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의 내주면 후단부에는, 중심축(C)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다수개의 와류형성돌기(252,262)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와 제3내측 가이드부재(260)의 내주면 후단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와류형성돌기(252,262)의 사이사이에 와류형성홈(252a,26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500)는, 유체 순환관(510)과, 상기 유체 순환관(510)의 일단과 상기 유체순환유입공(233)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520)과, 상기 유체 순환관(510)의 타단과 상기 유체순환배출구(140)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5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체 순환부(500)는 상기 유입부(100)와 미세 기포 발생부(200)의 외측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순환유입공(233) 및 유체순환배출구(140)는, 상기 제1연결관(520)및 제2연결관(5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순환배출구(140)는, 상기 유입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유체의 배출방향을 따라 중심축(C)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 가이드부재(240)에 형성된 유체배출공(242)은 유체의 배출방향을 따라 중심축(C)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240,250,260)의 외측면과, 상기 제1외측 가이드부재(210)와 제2외측 가이드부재(220) 및 제3외측 가이드부재(230)의 내주면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S1,S2,S3)은, 서로 격리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200)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제2내측 가이드부재(250)의 후단면과, 상기 배출부(300)의 선단면에는, 상호 끼움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254)과 결합돌기(3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2686A KR101524403B1 (ko) | 2014-02-26 | 2014-02-26 |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2686A KR101524403B1 (ko) | 2014-02-26 | 2014-02-26 |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4403B1 true KR101524403B1 (ko) | 2015-05-29 |
Family
ID=5339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2686A Active KR101524403B1 (ko) | 2014-02-26 | 2014-02-26 |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440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7204B1 (ko) | 2017-03-23 | 2018-04-10 | 에스제이 주식회사 | 폐경석을 활용한 고열탄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KR102294265B1 (ko) * | 2020-12-16 | 2021-08-27 | 주식회사 앤이에스솔루션 | 이물질 막힘 방지 효율을 향상시킨 수처리 시스템 |
KR102583987B1 (ko) * | 2023-05-16 | 2023-09-27 | 이갑순 | 미세기포 발생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1582A (ja) * | 1998-02-09 | 1999-08-17 | Takashi Yamamoto | 汚水の浄化処理装置 |
JP2000061489A (ja) * | 1998-08-24 | 2000-02-29 | Takashi Yamamoto | 曝気装置 |
KR100387028B1 (ko) * | 2000-12-15 | 2003-06-18 | 강성일 | 마이크로제너레이터 |
KR101281044B1 (ko) * | 2012-11-12 | 2013-07-09 | (주)미시간기술 |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
2014
- 2014-02-26 KR KR1020140022686A patent/KR10152440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1582A (ja) * | 1998-02-09 | 1999-08-17 | Takashi Yamamoto | 汚水の浄化処理装置 |
JP2000061489A (ja) * | 1998-08-24 | 2000-02-29 | Takashi Yamamoto | 曝気装置 |
KR100387028B1 (ko) * | 2000-12-15 | 2003-06-18 | 강성일 | 마이크로제너레이터 |
KR101281044B1 (ko) * | 2012-11-12 | 2013-07-09 | (주)미시간기술 |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7204B1 (ko) | 2017-03-23 | 2018-04-10 | 에스제이 주식회사 | 폐경석을 활용한 고열탄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KR102294265B1 (ko) * | 2020-12-16 | 2021-08-27 | 주식회사 앤이에스솔루션 | 이물질 막힘 방지 효율을 향상시킨 수처리 시스템 |
KR102583987B1 (ko) * | 2023-05-16 | 2023-09-27 | 이갑순 | 미세기포 발생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48162B2 (ja) | 旋回ユニット基盤の微細気泡発生装置 | |
CN106660842B (zh) | 微气泡喷嘴 | |
JP4142728B1 (ja) | 気泡微細化器 | |
JP4426612B2 (ja) | 微細気泡発生ノズル | |
JP2008086868A (ja) |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 |
CN110891674A (zh) | 微气泡产生设备和微气泡产生方法,以及具有该微气泡产生设备的淋浴装置和油水分离装置 | |
JP2017225961A (ja) | 微細気泡発生ノズル | |
JP2007021343A (ja) |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 |
KR20170104351A (ko) | 미세기포 발생장치 | |
KR20110088355A (ko) | 기액 혼합 순환류 발생 장치 | |
KR101524403B1 (ko) |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
JP2007069071A (ja) | 微細気泡発生装置およびそれが組み込まれた微細気泡循環システム | |
CN107207287B (zh) | 用于注入含有溶解气体的加压水的优化喷嘴 | |
US20240198300A1 (en) | Device and method for dispersing gases into liquids | |
KR101667492B1 (ko) | 미세기포 발생장치 | |
KR20150019299A (ko) | 미세 기포 발생 모듈 | |
JP5269493B2 (ja) |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 |
JP2010115586A (ja) | 微細気泡発生装置 | |
CN105565448A (zh) | 微气泡生成器 | |
KR102259060B1 (ko) | 미세 기포 발생 노즐 | |
JP2009226328A (ja) | 気体溶解器 | |
KR101874897B1 (ko) | 선회방식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 |
JP6075674B1 (ja) | 流体混合装置 | |
KR101812872B1 (ko) | 입자를 이용한 미세버블 생성장치 | |
US20210213400A1 (en) | Gas-liquid mix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