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1513B1 -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513B1
KR101511513B1 KR20080095820A KR20080095820A KR101511513B1 KR 101511513 B1 KR101511513 B1 KR 101511513B1 KR 20080095820 A KR20080095820 A KR 20080095820A KR 20080095820 A KR20080095820 A KR 20080095820A KR 101511513 B1 KR101511513 B1 KR 101511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hin plate
plate member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09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6511A (ko
Inventor
한성석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286,96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90093207A1/en
Priority to CN2008101701997A priority patent/CN101407166B/zh
Publication of KR2009003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51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8Film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본체의 외측면에 박판부재를 감싸도록 설치하되 상기 박판부재의 양단부를 결합수단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도어 본체의 측면에는 박판부재 완충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중량을 줄여 재료비 및 전체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상기 박판부재 사용으로 인해 곰팡이 균 서식에 의한 냄새를 방지하고 도어 작동시 소음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박판부재를 간단한 구조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공조장치, 도어, 회전축, 도어 본체, 박판부재, 지지부, 완충공간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본체의 외측면에 박판부재를 감싸도록 설치하되 상기 박판부재의 양단부를 결합수단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도어 본체의 측면에는 박판부재 완충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중량을 줄여 재료비 및 전체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상기 박판부재 사용으로 인해 곰팡이 균 서식에 의한 냄새를 방지하고 도어 작동시 소음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박판부재를 간단한 구조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 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2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2d)로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5b)(16b)과, 상기 회전축(15b)(16b)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5a)(16a)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모드도어(16) 중에는 상기 회전축(16b)의 양측면에 플레이트(16a)를 형성한 센터 피봇 도어도 사용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로 구동되는 캠(미도시)이나 레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게 되면서 상기 냉,온풍유로(P1)(P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각 벤트(12a~12d)로 향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5a)(16a)의 가장자리에 실(SEAL)부재(15c)(16c)가 부착되어 각 도어(15)(16)들이 해당 유로를 폐쇄할때 상기 실부재(15c)(16c)가 공조케이스(10)측에 밀착되면서 실링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풍유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한편,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믹싱챔버(MC)에 대하여 상기 냉풍유로(P1) 및 상기 온풍유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가 믹싱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에는 실링성 향상을 위해 실부재(15c)(16c)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기 실부재(15c)(16c)에 곰팡이균이 서식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에 부착되는 실부재(15c)(16c)의 가격이 비싸고, 부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많이 걸려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상기 실부재(15c)(16c)를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15)(16)의 플레이트(15a)(16a)가 일정두께로 되어 있어 중량이 무겁고, 중량에 의한 재료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다른 종래기술로서, 실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재질의 실부재를 도어의 사출성형시 도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성형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고무재질의 실부재를 사출성형한 경우 케이스측 돌출부(실링면)와 맞닿아 있 던 고무재질이 접촉면에서 떨어지면서 점착음(고무가 케이스 표면에 들러붙었다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쩍~ 소음)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본체의 외측면에 박판부재를 감싸도록 설치하되 상기 박판부재의 양단부를 결합수단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도어 본체의 측면에는 박판부재 완충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중량을 줄여 재료비 및 전체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상기 박판부재 사용으로 인해 곰팡이 균 서식에 의한 냄새를 방지하고 도어 작동시 소음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박판부재를 간단한 구조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특정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구동되어 상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의 외측면을 따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내에 형성된 돌출부와 맞닿는 박판부재와, 상기 도어 본체의 측면에 박판부재를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측 돌출부와 대응하는 도어 본체의 측면에 박판부재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 본체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 본체 의 외측면에는 박판부재를 감싸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중량을 줄여 재료비 및 전체 제조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상기 박판부재 사용으로 인해 곰팡이 균 서식에 의한 냄새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도어 본체의 측면에 박판부재를 지지하도록 지지부를 돌출 형성하여 박판부재 완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가 공조케이스측 돌출부와 맞닿을 때 충격을 완충하여 소음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를 공조케이스측 돌출부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완충공간측으로 인입되는 박판부재의 인입 부위 양측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박판부재의 과도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요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가 공조케이스측 돌출부의 일측면과 맞닿을 때 충돌 및 소음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박판부재에 항균 재질을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곰팡이 균 등의 서식을 방지하여 냄새가 더욱 저감된다.
또한, 상기 박판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홀을 고정핀에 걸어 고정한 후 상기 고정핀을 융착시킴으로써, 상기 박판부재를 간단한 구조로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적용된 차량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일측면만 실링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도어 본체에 관통공을 생략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도어 본체에 박판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부인 도어(121)는 센터 마운팅 타입, 세미-센터 타입, 쓰리피스 타입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며, 여기서는 세미-센터 타입 공조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미-센터 타입 차량용 공조장치(100)를 간략히 설명하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유로상에는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유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기유입구(미도시)와 외기유입구(미도시)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측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 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115)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는, 앞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4)와, 뒷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15)로 분리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유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의 사이에는 가이드벽(116)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유로상에는 다수의 도어(121)들이 설치되어 특정 유로, 즉, 상기 냉풍유로(P1), 온풍유로(P2), 각 벤트(112~115)를 향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121)가 공조케이스(110)내 특정 유로를 폐쇄할 때 실링성을 향상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도어(121)와 맞닿는 돌출부(110a)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121)로는,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20a)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115)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각 벤트의 상류 유로상에 설치된 모드 도어(120b)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120a)와 모드도어(120b)들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로 구동되는 캠(미도시)이나 레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면서 상기 냉,온풍유로(P1)(P2)와 상기 각 벤트(112~115)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 상기 도어(121)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121)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2)과, 상기 회전축(122)과 함께 구동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 유로의 개도를 조절 도어 본체(123)와, 상기 도어 본체(123)의 외측면을 따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 형성된 돌출부(110a)와 맞닿는 박판부재(124)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본체(123)는 상기 회전축(122)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도어(121)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복수개의 관통공(123a)이 형성된 메시(MESH)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 본체(123)는 상기 박판부재(124)를 설치하기 위한 골격만 구성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박판부재(124)를 지지하면서 중량을 최대한 감소할 수 있는 메시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 본체(123)가 복수개의 관통공(123a)을 갖는 메시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도어 본체(123)의 측면은 바람이 통과하지 못하는 상기 박판부재(124)에 의해 감싸여지기 때문에 상기 도어 본체(123)의 관통공(123a)으로 바람이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박판부재(124)는 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박판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 외에도 더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탄성변형이 가능한 천이나 필름과 같이 얇은 재질의 박판부재(124)를 사용하게 되면 곰팡이 균이 서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마찰계수가 적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돌출부(110a)에 밀착되었다가 이격될때 붙지않고 잘 떨어져 도어 작동시 소음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박판부재(124)는 곰팡이 균 등의 서식을 방지하고 냄새를 저감하기 위해 항균 재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박판부재(124)의 제조시 항균 재질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박판부재(124)의 표면에 항균재질을 코팅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상기 도어 본체(123)의 폭방향 양단부측 박판부재(124)와 접촉하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 상기 박판부재(124)와 수직으로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도어 본체(123)의 길이방향 양단부측 박판부재(124)와 접촉하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미도시)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 상기 박판부재(124)와 평행하게 면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돌출부(110a)의 구조는 설계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 본체(123)의 측면에는 상기 박판부재(124)를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와 대응하는 도어 본체(123)의 측면에 박판부재 완충공간(S)을 형성하는 지지부(123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완충공간(S)은, 상기 도어 본체(123)와 박판부재(124)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23b)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와 맞닿는 박판부 재(124)의 일부 영역이 완충공간(S)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123b)는 상기 도어 본체(123)의 테두리 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부(123b)에 의해 상기 도어 본체(123)의 측면 가장자리에 일정폭의 박판부재 완충공간(S)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3b)는 도 11과 같이 상기 완충공간(S)측으로 인입되는 박판부재(124)의 인입 부위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 본체(123)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돌출부(110a)의 단부(끝부분) 양측에 각각 인접되게 지지부(123b)를 형성하여 상기 박판부재(124)의 인입 부위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124)가 늘어지는 등의 과도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23b)의 돌출 높이를 통해 완충공간(S)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본체(123)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완충공간(S)의 양측에 각각 지지부(123b)를 형성하여 상기 박판부재(124)의 인입 부위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하였지만, 상기 도어 본체(12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완충공간(S)의 일측에만 지지부(123b)를 형성하여 완충공간(S)으로 인입되는 박판부재(124)의 일측만 지지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도어 본체(12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박판부재(124)의 끝단부는 지지부(123b)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즉, 상기 도어 본체(123)의 길이방향 양단부측 박판부재(124)와 맞닿는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는 박판부재(124)와 평행하게 면접촉하도록 돌출 형성 되기 때문에 상기 박판부재(124)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23b)를 생략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124)가 돌출부(110a)의 일측면에 면접촉할 때 충돌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만일, 상기 도어 본체(12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박판부재(124)의 인입 부위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지지부(123b)를 형성하게 되면, 즉, 상기 박판부재(124)의 끝단부까지 지지하도록 하게 되면 상기 지지부(123b)가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의 일측면에 맞닿게 되어 충돌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박판부재(124)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23b)를 생략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 본체(12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요입홈(123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도어 본체(12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요입홈(123c)을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의 구조에 따라 상기 요입홈(123c)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도어 본체(123)의 폭방향 양단부처럼 완충공간(S)의 양측에 모두 지지부(123b)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3b)는 완충공간(S)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지만, 상기 도어 본체(123)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123a) 사이에도 박판부재(124) 지지를 위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1)를 양측면 모두 실링 가능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 본체(123)의 양측면에 상기 지지부(123b)를 각각 형성하여 도어 본체(123)의 양측면에 모두 완충공간(S)을 형성하면 되고, 도 7과 같이 상기 도어(121)를 일측면만 실링 가능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 본체(123)의 일측면에만 상기 지지부(123b)를 형성하여 도어 본체(123)의 일측면에만 완충공간(S)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도어 본체(123)에는 복수개의 관통공(123a)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8과 같이 관통공(123a)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별도의 관통공(123a) 없이 도어 본체(123)를 얇은 판부재로 형성하여 도어(121)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 본체(123)에는 상기 박판부재(124)의 인입 부위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123b)의 사이에 박판부재(124)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23d)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123d)는 상기 완충공간(S)내로 인입되는 박판부재(124)에 대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박판부재(124)가 일정이상 변형시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여 박판부재(124)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123b)를 통해 도어 본체(123)의 측면에 형성된 완충공간(S)의 형성위치는 도어 본체(123)의 단부측 뿐만아니라, 공조케이스(11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완충공간(S)의 개수 또는 형태 역시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 본체(123)의 외측면을 따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박판부재(124)의 양단부는 결합수단(125)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125)은, 도 6과 같이 상기 회전축(122)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122a)과, 상기 고정핀(122a)에 걸리도록 상기 박판부재(124)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홀(124a)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판부재(124)의 홀(124a)을 상기 고정 핀(122a)에 건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122a)을 융착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핀(122a)은 상기 회전축(122)에서 상기 도어 본체(123)의 반대편 측면에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12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홀(124a)은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122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박판부재(124)의 일단부에 형성된 홀(124a)을 상기 회전축(122)의 고정핀(122a)에 건 상태에서 상기 박판부재(124)를 팽팽하게 당기면서 상기 도어 본체(123)를 감싼 후, 상기 박판부재(124)의 타단부에 형성된 홀(124a)을 다시 상기 회전축(122)의 고정핀(122a)에 걸어서 고정한다.
이후, 상기 회전축(122)의 고정핀(122a)을 융착하여 상기 박판부재(124)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125)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도어 본체(123)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122a)과, 상기 고정핀(122a)에 걸리도록 상기 박판부재(124)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홀(124a)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판부재(124)의 홀(124a)을 상기 고정핀(122a)에 건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122a)을 융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9의 결합수단(125)은 상기 고정핀(122a)을 도어 본체(123)의 끝단부에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결합수단(125)은 상기 고정핀(122a)을 도어 본체(123)의 측면 중 실링이 필요없는 면에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어 본체(123)에 고정핀(122a)을 형성할 경우, 상기 고정핀(122a) 을 상기 돌출부(110a) 또는 지지부(123b)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124)가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에 접촉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고정핀(122a)은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 뿐만아니라 상기 돌출부(110a)와 간섭되지 않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121)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박판부재(124)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박판부재(124)의 일단부에 형성된 홀(124a)을 상기 고정핀(122a)에 건 상태에서 상기 박판부재(124)를 팽팽하게 당기면서 상기 도어 본체(123)를 감싼 후, 상기 박판부재(124)의 타단부에 형성된 홀(124a)을 다시 상기 고정핀(122a)에 걸어서 고정하고, 상기 고정핀(122a)을 융착하여 상기 박판부재(124)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박판부재(124)의 조립이 완료된 도어(121)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특정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며, 즉, 상기 도어(121)는 온도조절도어(120a)나 모드도어(120b) 또는 내,외기 전환도어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 도어(121)의 작동에 의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 공기의 순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기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기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20a)의 냉,온풍유로(P1)(P2) 개도 조절에 따라 상기 냉풍통로(P1)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상기 온풍통로(P2)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거치면서 온기로 바뀌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를 선택적으로 통과한 냉기 또는 온기는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120b)에 의해 개도가 조절된 상기 벤트(112~115)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0a)가 냉풍유로(P1) 또는 온풍유로(P2)를 폐쇄하거나, 또한 상기 모드도어(120b)가 각 벤트(112~115)를 향하는 유로를 폐쇄할 때에는, 상기 도어 본체(123)의 외측면을 둘러싼 상기 박판부재(124)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 형성된 돌출부(110a)와 접촉하면서 실링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박판부재(124)가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에 맞닿게 되면 상기 돌출부(110a)와 맞닿는 박판부재(124)의 일부 영역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완충공간(S)으로 인입됨으로써 박판부재(124)와 돌출부(110a) 사이의 실링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박판부재(124)가 돌출부(110a)측에 맞닿을 때의 충격을 완충하여 소음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121)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20a)나 모드도어(120b) 또는 내,외기 전환도어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도어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온도조절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적용된 차량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일측면만 실링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도어 본체에 관통공을 생략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도어 본체에 박판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0a: 돌출부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벤트 113: 페이스벤트
114,115: 플로어벤트 116: 가이드벽
120a: 온도조절도어 120b: 모드도어
121: 도어 122: 회전축
122a: 고정핀 123: 도어 본체
123a: 관통공 123b: 지지부
123c: 요입홈 123d: 스토퍼
124: 박판부재 124a: 홀
125: 결합수단 S: 완충공간

Claims (17)

  1.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특정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2)과,
    상기 회전축(122)과 함께 구동되어 상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 본체(123)와,
    상기 도어 본체(123)의 외측면을 따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 형성된 돌출부(110a)와 맞닿는 박판부재(124)와,
    상기 도어 본체(123)의 측면에 박판부재(124)를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와 대응하는 도어 본체(123)의 측면에 박판부재 완충공간(S)을 형성하는 지지부(1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공간(S)은, 상기 도어 본체(123)와 박판부재(124)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123b)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와 맞닿는 박판부재(124)의 일부 영역이 완충공간(S)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완충공간(S)측으로 인입되는 박판부재(124)의 인입 부위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12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와 충돌방지를 위해 내측방향으로 요입홈(123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3b)는 상기 도어 본체(123)의 테두리 단부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3b)는 상기 도어 본체(123)의 양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123)에는 상기 박판부재(124)의 인입 부위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123b)의 사이에 박판부재(124)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23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 상기 박판부재(124)와 수직으로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측 돌출부(110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 상기 박판부재(124)와 평행하게 면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123)에는 복수개의 관통공(12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부재(124)는 천과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부재(124)는 항균 재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20080095820A 2007-10-09 2008-09-30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Expired - Fee Related KR101511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86,963 US20090093207A1 (en) 2007-10-09 2008-10-03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CN2008101701997A CN101407166B (zh) 2007-10-09 2008-10-09 汽车空调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1562 2007-10-09
KR1020070101562 2007-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511A KR20090036511A (ko) 2009-04-14
KR101511513B1 true KR101511513B1 (ko) 2015-04-13

Family

ID=4057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582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1513B1 (ko) 2007-10-09 2008-09-30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1513B1 (ko)
CN (1) CN101407166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436A (ja) * 1998-08-20 2000-02-29 Denso Corp 開閉ドア
US20010008183A1 (en) * 2000-01-14 2001-07-19 Koichi Ito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vehicle air-conditioner
US6758260B2 (en) * 2002-10-15 2004-07-06 Delphi Technologies, Inc.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ssembly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7086B2 (ja) * 1995-12-22 2002-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扉の駆動機構
JP2000289431A (ja) * 1999-04-09 2000-10-17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ンパ取付構造及びダンパ取付方法
US7238102B2 (en) * 2003-02-18 2007-07-03 Delphi Technologies, In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a film valve and film for controlling air flow
JP4388243B2 (ja) * 2001-06-27 2009-12-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4671566B2 (ja) * 2001-09-18 2011-04-20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
JP4496546B2 (ja) * 2003-06-09 2010-07-07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空調装置用のスライドドア装置
DE10347247A1 (de) * 2003-10-08 2005-05-04 Beh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und Freigeben von Luftdurchtritts-Öffnungen
KR101078758B1 (ko) * 2004-03-11 2011-11-0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후석 공기조화장치
CN2837133Y (zh) * 2005-07-26 2006-11-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空调风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436A (ja) * 1998-08-20 2000-02-29 Denso Corp 開閉ドア
US20010008183A1 (en) * 2000-01-14 2001-07-19 Koichi Ito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vehicle air-conditioner
US6758260B2 (en) * 2002-10-15 2004-07-06 Delphi Technologies, Inc.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ssembly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7166A (zh) 2009-04-15
CN101407166B (zh) 2010-12-15
KR20090036511A (ko) 200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45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938178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070266721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4672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1247668B1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6852024B2 (e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JP2003220818A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090093207A1 (en)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319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40231834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511513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2384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50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1200184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1692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JP2005022595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替装置
KR10145063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37511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0800404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64821A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37511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5101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314460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リンク構造
KR10101411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케이스
KR101375117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9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