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541B1 -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Google Patents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6541B1 KR101496541B1 KR20130027466A KR20130027466A KR101496541B1 KR 101496541 B1 KR101496541 B1 KR 101496541B1 KR 20130027466 A KR20130027466 A KR 20130027466A KR 20130027466 A KR20130027466 A KR 20130027466A KR 101496541 B1 KR101496541 B1 KR 1014965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
- node
- unit
- closed
- cell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abstract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804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99 angioplast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32 gallbladd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6—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more than one stent being applied sequential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 스텐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각 노드의 개폐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노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말아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스텐트의 각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각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각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부가 형성된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200 : 외부셀 310 : 제1부재
320 : 제2부재 330 : 제3부재
340 : 제4부재 350 : 개방부
400 : 제1커넥터 500 : 제2커넥터
Claims (8)
-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를 평평하게 펼친 상태로 보았을 때,
상기 스텐트는 다수의 셀과 상기 다수의 셀들을 연결하는 노드로 구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길이쪽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권취된 상태에서의 원주방향을 펼쳐진 상태에서의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하나의 셀은 폭방향의 상측노드 및 하측노드와 길이방향의 좌측노드 및 우측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상측노드와 좌측노드를 연결하는 제1부재와,
상기 좌측노드와 하측노드를 연결하는 제2부재와,
상기 하측노드와 우측노드를 연결하는 제3부재와,
상기 우측노드와 상측노드를 연결하는 제4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노드와 하측노드를 연결하는 가상세로선(P)과 상기 좌측노드와 우측노드를 연결하는 가상가로선(W)은 서로 교차되고,
상기 셀은 폭방향으로 제1번셀부터 제n번셀까지 다수 개로 구성된 하나의 셀유닛이 형성되되,
상기 셀유닛에서 각 셀의 배치는 어느 하나의 셀의 하측노드가 하측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셀의 상측노드와 겹치게 형성되며,
상기 셀유닛은 길이방향으로 제1셀유닛부터 제m셀유닛까지 다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셀유닛들의 배치는,
어느 하나의 셀유닛의 우측노드들과 다른 하나의 셀유닛의 좌측노드들이 겹치도록 형성되어 n-1 개의 외부셀을 형성하고,
각 셀유닛의 각 셀과 각 외부셀은 개방과 폐쇄가 일정 반복되도록 형성되며,
각 셀유닛의 각 상측노드를 형성하는 제1부재와 제4부재 또는 각 하측노드를 형성하는 제2부재와 제3부재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되, 폐쇄된 상측노드 또는 하측노드는 제1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외부셀을 형성하기 위한 어느 한 셀유닛의 우측노드와 인접한 다른 셀유닛의 좌측노드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되, 우측노드는 제2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며,
상호 연통된 각 셀들과 각 외부셀들의 변형이 용이함에 따라 각 셀유닛들의 변형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체내의 관에 삽입되기 위해 관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굴곡은 물론 횡방향의 뒤틀림도 가능하여 변형되는 체내 관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해당 관 내부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각 노드의 제1부재와 제2부재, 제3부재 및 제4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해당 부재에 인접한 셀과 외부셀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유닛의 셀은 12개가 형성되고, 이러한 셀유닛은 길이방향으로 8개(A ~ H)가 형성되며,
제1셀유닛(A)의 각 셀을 형성하는 노드의 개폐는,
제1번셀의 상측노드(A0)는 개방되고,
제1번셀의 하측노드(A1:제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번셀의 하측노드(A2:제3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3번셀의 하측노드(A3:제4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4번셀의 하측노드(A4:제5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5번셀의 하측노드(A5:제6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번셀의 하측노드(A6:제7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7번셀의 하측노드(A7:제8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8번셀의 하측노드(A8:제9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9번셀의 하측노드(A9:제10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10번셀의 하측노드(A10:제11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1번셀의 하측노드(A11:제1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12번셀의 하측노드는 개방되며,
제1셀유닛(A)과 제2셀유닛(B) 사이(AB)의 각 노드의 개폐는,
제1셀유닛 제1번셀의 우측노드(ABa:제2셀유닛 제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1셀유닛 제2번셀의 우측노드(ABb:제2셀유닛 제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셀유닛 제3번셀의 우측노드(ABc:제2셀유닛 제3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1셀유닛 제4번셀의 우측노드(ABd:제2셀유닛 제4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셀유닛 제5번셀의 우측노드(ABe:제2셀유닛 제5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1셀유닛 제6번셀의 우측노드(ABf:제2셀유닛 제6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셀유닛 제7번셀의 우측노드(ABg:제2셀유닛 제7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1셀유닛 제8번셀의 우측노드(ABh:제2셀유닛 제8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셀유닛 제9번셀의 우측노드(ABi:제2셀유닛 제9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1셀유닛 제10번셀의 우측노드(ABg:제2셀유닛 제10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셀유닛 제11번셀의 우측노드(ABh:제2셀유닛 제1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1셀유닛 제12번셀의 우측노드(ABi:제2셀유닛 제1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셀유닛(B)의 각 셀을 형성하는 각 노드의 개폐는,
제1번셀의 상측노드(B0)는 개방되고,
제1번셀의 하측노드(B1:제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번셀의 하측노드(B2:제3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3번셀의 하측노드(B3:제4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4번셀의 하측노드(B4:제5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5번셀의 하측노드(B5:제6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번셀의 하측노드(B6:제7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7번셀의 하측노드(B7:제8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8번셀의 하측노드(B8:제9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9번셀의 하측노드(B9:제10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10번셀의 하측노드(B10:제11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11번셀의 하측노드(B11:제1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2번셀의 하측노드는 개방되고,
제2셀유닛(B)과 제3셀유닛(C) 사이(BC)의 각 노드의 개폐는,
제2셀유닛 제1번셀의 우측노드(BCa:제3셀유닛 제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2셀유닛 제2번셀의 우측노드(BCb:제3셀유닛 제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셀유닛 제3번셀의 우측노드(BCc:제3셀유닛 제3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2셀유닛 제4번셀의 우측노드(BCd:제3셀유닛 제4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셀유닛 제5번셀의 우측노드(BCe:제3셀유닛 제5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2셀유닛 제6번셀의 우측노드(BCf:제3셀유닛 제6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셀유닛 제7번셀의 우측노드(BCg:제3셀유닛 제7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2셀유닛 제8번셀의 우측노드(BCh:제3셀유닛 제8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셀유닛 제9번셀의 우측노드(BCi:제3셀유닛 제9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2셀유닛 제10번셀의 우측노드(BCg:제3셀유닛 제10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셀유닛 제11번셀의 우측노드(BCh:제3셀유닛 제1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2셀유닛 제12번셀의 우측노드(BCi:제3셀유닛 제1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3셀유닛(C)의 각 셀을 형성하는 각 노드의 개폐는,
제1번셀의 상측노드(C0)는 폐쇄되고,
제1번셀의 하측노드(C1:제2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2번셀의 하측노드(C2:제3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3번셀의 하측노드(C3:제4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번셀의 하측노드(C4:제5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5번셀의 하측노드(C5:제6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번셀의 하측노드(C6:제7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7번셀의 하측노드(C7:제8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8번셀의 하측노드(C8:제9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9번셀의 하측노드(C9:제10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0번셀의 하측노드(C10:제11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11번셀의 하측노드(C11:제1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2번셀의 하측노드는 폐쇄되고,
제3셀유닛(C)과 제4셀유닛(D) 사이(CD)의 각 노드의 개폐는,
제3셀유닛 제1번셀의 우측노드(CDa:제4셀유닛 제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3셀유닛 제2번셀의 우측노드(CDb:제4셀유닛 제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3셀유닛 제3번셀의 우측노드(CDc:제4셀유닛 제3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3셀유닛 제4번셀의 우측노드(CDd:제4셀유닛 제4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3셀유닛 제5번셀의 우측노드(CDe:제4셀유닛 제5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3셀유닛 제6번셀의 우측노드(CDf:제4셀유닛 제6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3셀유닛 제7번셀의 우측노드(CDg:제4셀유닛 제7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3셀유닛 제8번셀의 우측노드(CDh:제4셀유닛 제8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3셀유닛 제9번셀의 우측노드(CDi:제3셀유닛 제9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3셀유닛 제10번셀의 우측노드(CDg:제3셀유닛 제10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3셀유닛 제11번셀의 우측노드(CDh:제3셀유닛 제1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3셀유닛 제12번셀의 우측노드(CDi:제3셀유닛 제1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셀유닛(D)의 각 셀을 형성하는 각 노드의 개폐는,
제1번셀의 상측노드(D0)는 폐쇄되고,
제1번셀의 하측노드(D1:제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번셀의 하측노드(D2:제3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3번셀의 하측노드(D3:제4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번셀의 하측노드(D4:제5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5번셀의 하측노드(D5:제6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6번셀의 하측노드(D6:제7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7번셀의 하측노드(D7:제8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8번셀의 하측노드(D8:제9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9번셀의 하측노드(D9:제10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0번셀의 하측노드(D10:제11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11번셀의 하측노드(D11:제12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12번셀의 하측노드는 폐쇄되고,
제4셀유닛(D)과 제5셀유닛(E) 사이(DE)의 각 노드의 개폐는,
제4셀유닛 제1번셀의 우측노드(DEa:제5셀유닛 제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4셀유닛 제2번셀의 우측노드(DEb:제5셀유닛 제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셀유닛 제3번셀의 우측노드(DEc:제5셀유닛 제3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4셀유닛 제4번셀의 우측노드(DEd:제5셀유닛 제4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셀유닛 제5번셀의 우측노드(DEe:제5셀유닛 제5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4셀유닛 제6번셀의 우측노드(DEf:제5셀유닛 제6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셀유닛 제7번셀의 우측노드(DEg:제5셀유닛 제7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4셀유닛 제8번셀의 우측노드(DEh:제5셀유닛 제8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셀유닛 제9번셀의 우측노드(DEi:제5셀유닛 제9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4셀유닛 제10번셀의 우측노드(DEg:제5셀유닛 제10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셀유닛 제11번셀의 우측노드(DEh:제5셀유닛 제1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4셀유닛 제12번셀의 우측노드(DEi:제5셀유닛 제1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5셀유닛(E)의 각 셀을 형성하는 각 노드의 개폐는,
제1번셀의 상측노드(E0)는 개방되고,
제1번셀의 하측노드(E1:제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번셀의 하측노드(E2:제3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3번셀의 하측노드(E3:제4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4번셀의 하측노드(E4:제5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5번셀의 하측노드(E5:제6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번셀의 하측노드(E6:제7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7번셀의 하측노드(E7:제8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8번셀의 하측노드(E8:제9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9번셀의 하측노드(E9:제10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10번셀의 하측노드(E10:제11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11번셀의 하측노드(E11:제1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2번셀의 하측노드는 개방되고,
제5셀유닛(E)과 제6셀유닛(F) 사이(EF)의 각 노드의 개폐는,
제5셀유닛 제1번셀의 우측노드(EFa:제6셀유닛 제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5셀유닛 제2번셀의 우측노드(EFb:제6셀유닛 제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5셀유닛 제3번셀의 우측노드(EFc:제6셀유닛 제3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5셀유닛 제4번셀의 우측노드(EFd:제6셀유닛 제4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5셀유닛 제5번셀의 우측노드(EFe:제6셀유닛 제5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5셀유닛 제6번셀의 우측노드(EFf:제6셀유닛 제6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5셀유닛 제7번셀의 우측노드(EFg:제6셀유닛 제7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5셀유닛 제8번셀의 우측노드(EFh:제6셀유닛 제8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5셀유닛 제9번셀의 우측노드(EFi:제6셀유닛 제9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5셀유닛 제10번셀의 우측노드(EFg:제6셀유닛 제10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5셀유닛 제11번셀의 우측노드(EFh:제6셀유닛 제1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5셀유닛 제12번셀의 우측노드(EFi:제6셀유닛 제1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셀유닛(F)의 각 셀을 형성하는 각 노드의 개폐는,
제1번셀의 상측노드(F0)는 폐쇄되고,
제1번셀의 하측노드(F1:제2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2번셀의 하측노드(F2:제3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3번셀의 하측노드(F3:제4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번셀의 하측노드(F4:제5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5번셀의 하측노드(F5:제6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번셀의 하측노드(F6:제7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7번셀의 하측노드(F7:제8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8번셀의 하측노드(F8:제9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9번셀의 하측노드(F9:제10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0번셀의 하측노드(F10:제11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11번셀의 하측노드(F11:제1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2번셀의 하측노드는 폐쇄되고,
제6셀유닛(F)과 제7셀유닛(G) 사이(FG)의 각 노드의 개폐는,
제6셀유닛 제1번셀의 우측노드(FGa:제7셀유닛 제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6셀유닛 제2번셀의 우측노드(FGb:제7셀유닛 제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셀유닛 제3번셀의 우측노드(FGc:제7셀유닛 제3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6셀유닛 제4번셀의 우측노드(FGd:제7셀유닛 제4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셀유닛 제5번셀의 우측노드(FGe:제7셀유닛 제5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6셀유닛 제6번셀의 우측노드(FGf:제7셀유닛 제6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셀유닛 제7번셀의 우측노드(FGg:제7셀유닛 제7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6셀유닛 제8번셀의 우측노드(FGh:제7셀유닛 제8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셀유닛 제9번셀의 우측노드(FGi:제7셀유닛 제9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6셀유닛 제10번셀의 우측노드(FGg:제7셀유닛 제10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6셀유닛 제11번셀의 우측노드(FGh:제7셀유닛 제1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6셀유닛 제12번셀의 우측노드(FGi:제7셀유닛 제1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7셀유닛(G)의 각 셀을 형성하는 각 노드의 개폐는,
제1번셀의 상측노드(G0)는 폐쇄되고,
제1번셀의 하측노드(G1:제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번셀의 하측노드(G2:제3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3번셀의 하측노드(G3:제4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번셀의 하측노드(G4:제5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5번셀의 하측노드(G5:제6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6번셀의 하측노드(G6:제7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7번셀의 하측노드(G7:제8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8번셀의 하측노드(G8:제9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9번셀의 하측노드(G9:제10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0번셀의 하측노드(G10:제11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11번셀의 하측노드(G11:제12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12번셀의 하측노드는 폐쇄되고,
제7셀유닛(G)과 제8셀유닛(H) 사이(GH)의 각 노드의 개폐는,
제7셀유닛 제1번셀의 우측노드(GHa:제8셀유닛 제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7셀유닛 제2번셀의 우측노드(GHb:제8셀유닛 제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7셀유닛 제3번셀의 우측노드(GHc:제8셀유닛 제3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7셀유닛 제4번셀의 우측노드(GHd:제8셀유닛 제4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7셀유닛 제5번셀의 우측노드(GHe:제8셀유닛 제5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7셀유닛 제6번셀의 우측노드(GHf:제8셀유닛 제6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7셀유닛 제7번셀의 우측노드(GHg:제8셀유닛 제7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7셀유닛 제8번셀의 우측노드(GHh:제8셀유닛 제8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7셀유닛 제9번셀의 우측노드(GHi:제8셀유닛 제9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7셀유닛 제10번셀의 우측노드(GHg:제8셀유닛 제10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7셀유닛 제11번셀의 우측노드(GHh:제8셀유닛 제11번셀의 좌측노드)는 개방되고,
제7셀유닛 제12번셀의 우측노드(GHi:제8셀유닛 제12번셀의 좌측노드)는 폐쇄되며,
제8셀유닛(H)의 각 셀을 형성하는 각 노드의 개폐는,
제1번셀의 상측노드(H0)는 폐쇄되고,
제1번셀의 하측노드(H1:제2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2번셀의 하측노드(H2:제3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3번셀의 하측노드(H3:제4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4번셀의 하측노드(H4:제5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5번셀의 하측노드(H5:제6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6번셀의 하측노드(H6:제7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7번셀의 하측노드(H7:제8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8번셀의 하측노드(H8:제9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고,
제9번셀의 하측노드(H9:제10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며,
제10번셀의 하측노드(H10:제11번셀의 상측노드)는 폐쇄되고,
제11번셀의 하측노드(H11:제12번셀의 상측노드)는 개방되며,
제12번셀의 하측노드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는 신축성을 갖고,
상기 제1커넥터는 일정 곡율을 갖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반원 또는 반타원형상으로 연결되며,
셀을 폐쇄시킨 두 개의 제1커넥터는 상호 대칭되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상측노드와 하측노드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이격된 우측노드와 좌측노드 사이에 구비되되, 우측노드와 좌측노드를 지나는 수평연장선과 직교되는 수직연장선과 일정각도로 경사진 중앙커넥터부재;
상기 우측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앙커넥터부재의 일단과 연결되기 위한 제1커넥터부재;`
상기 좌측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앙커넥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기 위한 제2커넥터부재;
상기 중앙커넥터부재와 제1커넥터부재를 일정 호를 갖도록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중앙커넥터부재와 제2커넥터부재를 일정 호를 갖도록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의 제1부재와 제2부재, 제3부재 및 제4부재는 상기 가상세로선(P)과 가상가로선(W)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의 제1부재와 제2부재, 제3부재 및 제4부재는 다수 번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7466A KR101496541B1 (ko) | 2013-03-14 | 2013-03-14 |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7466A KR101496541B1 (ko) | 2013-03-14 | 2013-03-14 |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2853A KR20140112853A (ko) | 2014-09-24 |
KR101496541B1 true KR101496541B1 (ko) | 2015-02-25 |
Family
ID=5175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27466A KR101496541B1 (ko) | 2013-03-14 | 2013-03-14 |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65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4956A (ko) | 2022-01-26 | 2023-08-02 |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54400A1 (en) | 1999-11-12 | 2004-03-18 | Granada Vuan Fernando | Conformable vascular stent |
JP2009505742A (ja) | 2005-08-22 | 2009-02-12 | インセプト・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 フレア展開ステント、ならびにこれを製造・使用する装置および方法 |
KR20110051847A (ko) * | 2009-11-11 | 2011-05-18 | (주) 태웅메디칼 | 확장식 스텐트 |
KR20130100649A (ko) * | 2012-03-02 | 2013-09-11 |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 성능개선을 위한 스텐트 |
-
2013
- 2013-03-14 KR KR20130027466A patent/KR1014965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54400A1 (en) | 1999-11-12 | 2004-03-18 | Granada Vuan Fernando | Conformable vascular stent |
JP2009505742A (ja) | 2005-08-22 | 2009-02-12 | インセプト・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 フレア展開ステント、ならびにこれを製造・使用する装置および方法 |
KR20110051847A (ko) * | 2009-11-11 | 2011-05-18 | (주) 태웅메디칼 | 확장식 스텐트 |
KR20130100649A (ko) * | 2012-03-02 | 2013-09-11 |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 성능개선을 위한 스텐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4956A (ko) | 2022-01-26 | 2023-08-02 |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
KR102715889B1 (ko) | 2022-01-26 | 2024-10-11 |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2853A (ko) | 2014-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516218A5 (ko) | ||
US7857009B2 (en) | Increasing the bending strength of tubes | |
JP2007167679A5 (ko) | ||
CA2279664A1 (en) | Serpentine coiled ladder stent | |
EP1161927A3 (en) | Serpentine coiled ladder stent | |
WO2009024156A3 (en) | A flexible pipe | |
KR100974308B1 (ko) | 스텐트 | |
JP6177259B2 (ja) |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グラフト | |
CN107078482A (zh) | 对电缆托盘段的改进 | |
KR101496541B1 (ko) |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 |
JP6334820B2 (ja) | ステントおよびこのステントの製造方法 | |
WO2017209095A1 (ja) | ワイヤーハーネス | |
RU2019116460A (ru) |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эмболической защиты, способ его складывания и форм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WO2020054027A1 (ja) | ステント | |
EP2427140B1 (en) | Stent graft | |
KR101410623B1 (ko) | 성능개선을 위한 스텐트 | |
EP4238539A3 (en) | Stent with atraumatic spacer | |
JP2015050193A5 (ko) | ||
WO2011093608A3 (ko) | 뇌동맥류 치료용 생체 금속 세선형 스텐트 | |
CN1681555B (zh) | 圆筒形展伸件 | |
KR20190088320A (ko) | 분기형 스텐트 | |
KR100548781B1 (ko) | 원통형 스텐트 | |
JP6655558B2 (ja) | 生体内留置部材を製造するための型及び該型を用いた生体内留置部材の製造方法 | |
KR20160026385A (ko) | 스텐트 제조 방법 | |
WO2015167928A1 (en) | Guide for coiling lengths on non-rigid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