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14956A -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 Google Patents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956A
KR20230114956A KR1020220011341A KR20220011341A KR20230114956A KR 20230114956 A KR20230114956 A KR 20230114956A KR 1020220011341 A KR1020220011341 A KR 1020220011341A KR 20220011341 A KR20220011341 A KR 20220011341A KR 20230114956 A KR20230114956 A KR 2023011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struts
strut
rhombic
disp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5889B1 (ko
Inventor
이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1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5889B1/ko
Publication of KR2023011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58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8Mean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stents allowing flexibility of the whol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57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stret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2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elasticity, flexibility, spring rate or mechanical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18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elasticity, stiffness or compressi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셀과 오픈 셀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로서 특히 메인 셀에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여 스텐트의 유연성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이다.

Description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HYBRID STENT WITH RHOMBUS-SHAPED STRUTS}
본 발명은 메인 셀과 오픈 셀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로서 특히 메인 셀에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여 스텐트의 유연성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체내의 수관(conduits), 혈관 또는 다른 체내 관내에 이식되는 관 구조물로써 그러한 관의 확장이나 오픈이 되게 도움을 주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스텐트는 압축된 형상으로 체내에 이송되고, 그후 관내의 표적 위치에 일단 자리잡아 최종 지름까지 확장한다. 이러한 스텐트는 상술된 바와 같이 혈관 등에 이식되며, 상기 스텐트가 혈관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서는 스텐트의 변형이 용이해야 한다. 즉, 혈관의 경우 일정한 직선 형상이 아니고 굴곡이 많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혈관 내에 스텐트를 삽입할 때, 상기 혈관의 형상에 따라 스텐트가 변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스텐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셀(10)과 오픈 셀(20)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타입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텐트(1)는 상기 메인 셀(10)과 오픈 셀(20)이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다. 상기 메인 셀(10)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인 셀(10) 사이에 스텐트의 유연성 증가를 위해 오픈 셀(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픈 셀(20)은 메인 셀(10) 2개당 1개씩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인 셀(10)과 오픈 셀(20)의 조합에 의해 스텐트의 유연성을 필요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셀(10)은 한 쌍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메인 스트럿(S1)을 포함하고 나선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메인 스트럿(S1)이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 개 배치되어 다수 개의 메인 셀(10)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메인 셀 내부에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링크 스트럿(11)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링크 스트럿(11)의 배치 방향에 따라 유연성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다양한 방향으로 유연성을 조절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스텐트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93223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965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 셀에 마름모 형상인 마름모 스트럿을 형성하며, 상기 마름모 스트럿은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상기 마름로 스트럿에 의해 스텐트의 반경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하여 스텐트의 유연성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메인 셀(110)과, 상기 메인 셀(11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오픈 셀(12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셀(110)은 한 쌍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탄성 재질의 메인 스트럿(S1)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스트럿(S1) 사이에는 마름모 형상인 마름모 스트럿(130)이 배치되며,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은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고,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 중 스텐트의 반경 방향 양 꼭지점을 연결한 선과 스텐트의 직선 방향 직선과 이루는 예각 각도는 50도 이상으로 형성되는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 중 스텐트의 반경 방향 양 꼭지점과 오픈 셀(120)사이에는 제2연결부(150)가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사이에는 제1연결부(140)가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부(140)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고 상기 제2연결부(150)는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한다.
상기에서,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은 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는 스트럿(130s) 4개로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스트럿(130s)은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부(140)는 나선 꼬임부(141)를 포함하되, 상기 나선 꼬임부(141)는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의 하측 꼭지점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스트럿이 상호 꼬이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140)의 변형 및 복귀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140)가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2연결부(150)는 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고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연결부 본체(151)와, 상기 제2연결부 본체(151)에 형성되고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요홈되는 댐퍼부(152)를 포함하여, 상기 댐퍼부(152)의 변형 및 복귀에 의해 제2연결부(150)가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한다.
상기에서, 상기 다수 개의 마름모 스트럿(130) 중 인접하는 마름모 스트럿(130)사이에는 접합부(160) 및 제1연결부(140)가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접합부(160)는 특정의 파단 강도를 구비하여 스텐트의 강도를 조절한다.
상기에서, 상기 접합부(160)는 기포가 내재되어 외부의 초음파 가진부에 의해 파단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스텐트의 유연성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텐트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펼친 상태에서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펼친 상태에서 일부만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스텐트로서 다수 개의 메인 셀(110)과 다수 개의 오픈 셀(12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셀(110)은 특정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오픈 셀(120)은 상기 다수 개의 메인 셀(1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메인 셀(110)은 한 쌍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메인 스트럿(S1)을 포함한다. 즉, 한 쌍의 메인 스트럿(S1)이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메인 스트럿(S1)이 메인 셀(110)을 형성한다.
상기 오픈 셀(120)은 메인 셀(110) 사이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픈 셀(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의 반경 방향(도 2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링크(1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링크(121)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도 2에서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오픈 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픈 셀(120)과 메인 셀(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픈 셀(120)과 메인 셀(110) 자체는 종래 기술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한 쌍의 메인 스트럿(S1) 사이에는 마름모 형상인 마름모 스트럿(130)이 배치되며,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은 스텐트의 길이 방향(도 2체서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된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셀(10)의 메인 스트럿(S1)에 링크 스트럿(11)이 구비된다. 이러한 링크 스트럿(11)은 도시된 바와 같의 대략 직선 형상을 가지며 특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링크 스트럿(11)은 대략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스텐트의 유연성은 링크 스트럿(11)의 배치 방향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 스트럿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유연성은 증가시키기 어려워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경우 다양한 방향으로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조절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질의 메인 스트럿(S1) 사이에 마름모꼴 형상의 마름모 스트럿(130)이 구비된다.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은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꼭지점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기 마름모 스트럿은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도면부호 130-1참조) 또한,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도면부호 130-2 참조).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방향으로 변형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유연성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 중 스텐트의 반경 방향 양 꼭지점(C1,C2)을 연결한 선(L1)과 스텐트(100)의 직선 방향 직선(L2)과 이루는 예각 각도는 50도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가 50도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의 형상이 특정 방향으로 뾰족하게 되어(도면 부호130-3참조) 유연성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 중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도 2에서 수평 방향) 양 꼭지점(C1,C2)과 오픈 셀(120)사이에는 제2연결부(150)가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도 2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사이에는 제1연결부(140)가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도 2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연결부(140)는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고, 상기 제2연결부(150)는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마름모 스트럿을 구비하여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 또는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유연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150)를 추가하여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 신축 성능을 향상시켜 반경 방향 유연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한편 상기 제1연결부(140)에 의해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 유연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은 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는 스트럿(130s)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럿(130s)는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40)는 나선 꼬임부(141)를 포함한다. 이러한 나선 꼬임부(141)는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의 하측 꼭지점(C3)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스트럿(131,132)이 상호 꼬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나선 꼬임부(141)는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도 3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연결부(140)의 변형 및 복귀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140)가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한다. 즉, 상기 제1연결부(140)는 나선 꼬임부(141)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 꼬임부(141)는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될 때 꼬임된 형상이 풀어지면서 상호 밀착되고 반대로 길이가 단축될 때는 꼬임된 형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 변화에 의해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용이하게 되어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150) 역시 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2연결부(150)는 스텐트의 반경 방향(도 3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연결부 본체(151)와, 상기 제2연결부 본체(151)에 형성되고 스텐트(100)의 길이 방향(도 3에서 도면상 수직 방향)으로 요홈되는 댐퍼부(152)를 포함한다. 이러한 댐퍼부(152)의 변형 및 복귀에 의해 제2연결부(150)가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한다. 즉, 상기 댐퍼부(152)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2연결부(150)가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신장되고,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할 때 제2연결부(150)는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으로 단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댐퍼부(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댐퍼부(152-1), 제2댐퍼부(152-2), 제3댐퍼부(1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152-1)와 제3댐퍼부(15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 만곡되고 특정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댐퍼부(152-2)는 제1댐퍼부(152-1)와 제3댐퍼부(152-3)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의 길이 방향 상측으로 만곡되고 특정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연결부(140)와 제2연결부(150)에 의해 스텐트(100)의 반경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140)와 제2연결부(150)와 같이 탄성 변형에 의해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구성도 가능하고 이하 설명하는 접합부(160)에 의해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접합부(160)는 특정의 파단 강도를 구비하여 스텐트의 강도를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텐트에 소정의 외력이 작용되고, 상기 외력이 상기 파단 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접합부(160)가 파단되도록 하여 스텐트의 강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강도 조절에 의해 스텐트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접합부(160)는 기포가 내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부(160)에 외부로부터 초음파를 가진하여 상기 접합부(160)가 파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는 널리 알려진 초음파 가진부에 의해 가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160)는 널리 알려진 용접 등에 의해 소정의 파단 강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부(160)는 다수 개의 마름모 스트럿(130) 중 인접하는 마름모 스트럿(130)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 사이에는 상기 제1연결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마름모 스트럿(130) 사이에 접합부(160) 및 제1연결부(140)가 번갈아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150)가 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오픈 셀(120)에 제1링크(121)가 반경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링크(121)는 상기 제2연결부(150)가 배치된 마름모 스트럿(130)에 인접하는 다른 마름모 스트럿(130)에는 형성되지 않고 그 다음 마름모 스트럿(13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링크(121)에 의해 오픈 셀(120)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스텐트 110 : 메인 셀
120 : 오픈 셀 130 : 마름모 스트럿
140 : 제1연결부 150 : 제2연결부
160 : 접합부

Claims (5)

  1. 특정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메인 셀(110)과, 상기 메인 셀(11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오픈 셀(12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셀(110)은 한 쌍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탄성 재질의 메인 스트럿(S1)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스트럿(S1) 사이에는 마름모 형상인 마름모 스트럿(130)이 배치되며,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은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고,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 중 스텐트의 반경 방향 양 꼭지점을 연결한 선과 스텐트의 직선 방향 직선은 일정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 중 스텐트의 반경 방향 양 꼭지점과 오픈 셀(120)사이에는 제2연결부(150)가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사이에는 제1연결부(140)가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부(140)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고 상기 제2연결부(150)는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하는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은 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는 스트럿(130s) 4개로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스트럿(130s)은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부(140)는 나선 꼬임부(141)를 포함하되, 상기 나선 꼬임부(141)는 상기 마름모 스트럿(130)의 하측 꼭지점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스트럿이 상호 꼬이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140)의 변형 및 복귀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140)가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150)는 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고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연결부 본체(151)와, 상기 제2연결부 본체(151)에 형성되고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요홈되는 댐퍼부(152)를 포함하여,
    상기 댐퍼부(152)의 변형 및 복귀에 의해 제2연결부(150)가 스텐트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하는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마름모 스트럿(130) 중 인접하는 마름모 스트럿(130)사이에는 접합부(160) 및 제1연결부(140)가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접합부(160)는 특정의 파단 강도를 구비하여 스텐트의 강도를 조절하는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KR1020220011341A 2022-01-26 2022-01-26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Active KR10271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41A KR102715889B1 (ko) 2022-01-26 2022-01-26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41A KR102715889B1 (ko) 2022-01-26 2022-01-26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956A true KR20230114956A (ko) 2023-08-02
KR102715889B1 KR102715889B1 (ko) 2024-10-11

Family

ID=8756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341A Active KR102715889B1 (ko) 2022-01-26 2022-01-26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58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904A (ko) * 1999-08-05 2001-03-05 송호영 인조혈관 스텐트
JP2001104488A (ja) * 1999-10-04 2001-04-17 Kawasumi Lab Inc ステント
KR20140026310A (ko) * 2012-08-24 2014-03-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형 스텐트
KR20140041547A (ko) * 2011-05-13 2014-04-04 페녹시 게엠베하 혈전 제거 장치
KR101496541B1 (ko) 2013-03-14 2015-02-25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KR101593223B1 (ko) 2015-05-15 2016-02-12 (주)시지바이오 하이브리드 스텐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904A (ko) * 1999-08-05 2001-03-05 송호영 인조혈관 스텐트
JP2001104488A (ja) * 1999-10-04 2001-04-17 Kawasumi Lab Inc ステント
KR20140041547A (ko) * 2011-05-13 2014-04-04 페녹시 게엠베하 혈전 제거 장치
KR20140026310A (ko) * 2012-08-24 2014-03-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형 스텐트
KR101496541B1 (ko) 2013-03-14 2015-02-25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다수 회 굴곡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갖는 스텐트
KR101593223B1 (ko) 2015-05-15 2016-02-12 (주)시지바이오 하이브리드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5889B1 (ko) 2024-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133B2 (en) Stent
KR102393477B1 (ko) 안전한 밸브 스텐트의 이용 및 밸브 스텐트를 구비하는 밸브 치환 장치
AU2005313947B2 (en) Variable curvature stent
US6264690B1 (en) Stent having varying thickness along its length
KR100325267B1 (ko) 관절성 스텐트
JP4240399B2 (ja) 椎間インプラント
JP4898990B2 (ja) カニューレステント
EP1743603B1 (en) Flexible stent with excellent expandability and trackability
US11364135B2 (en) Stent
JP6817631B2 (ja) 曲面連結構造および立体連結構造
US1200497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using shape memory alloy wire, stent manufactured thereby,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US9855157B2 (en) Medical device for inserting into a hollow organ of the body
EP3369400B1 (en) Lumen woven support
US10772748B2 (en) Stent
US20090149943A1 (en) Flexible stent
CN114652486A (zh) 覆膜支架
KR20230114956A (ko) 마름모 형상의 스트럿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US12090045B2 (en) Intraocular lens
WO2001087401A1 (fr) Stent medical de type tube
US20240277499A1 (en) Medical device and treatment system
JPS61261554A (ja) 耐震管材
JP2004248978A (ja) 均一に拡張する柔軟なステント
KR20130101673A (ko) 협착부위 시술용 스텐트
JP2007312887A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