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246B1 - Charge/dischar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Charge/dischar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3246B1 KR101493246B1 KR20130120477A KR20130120477A KR101493246B1 KR 101493246 B1 KR101493246 B1 KR 101493246B1 KR 20130120477 A KR20130120477 A KR 20130120477A KR 20130120477 A KR20130120477 A KR 20130120477A KR 101493246 B1 KR101493246 B1 KR 101493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output
- vehicle
- large capacity
- renewable energ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59 moto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22—Dynamic electric resistor braking, combined with 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발전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그리드에서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충전 전류 변동량의 허용치별로 서로 다른 전력 단가를 가지는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 자동차로 충전 전력을 출력하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설정된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제1 자동차로 출력하는 자동차 충전부 및 제1 자동차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서 설정된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n automobile including a battery in a micro grid including a renewable energy generator. The apparatus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olerance value, A charging unit for outputting charging power to the first vehicle and outputting a power lower than the set allowable value of the output fluctu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o the first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charging charge according to a power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allowable value.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그리드에서의 충방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 / discharge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in a microgrid.
계통을 안정시키기 위해 집단적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건물과 같은 집단 전력 소비체 내에 부가적인 에너지 관리 장치들이 설치되고 있다. 예를들어,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이라고 불리우는 건물 내 에너지 장치는 건물 내 전력망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 혹은 분산전원을 제어하여 건물 내에서의 전력 소비 혹은 생산이 계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조절한다.Additional energy management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collective power consumers such as buildings that collectively consume power to stabilize the grid. For example, a building energy system (BEMS), called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controls the load or distributed power connected to the grid in a building, .
이러한 부가적인 에너지 관리 장치 중 가장 핵심적인 장치는 대용량 배터리이다. 전력의 생산과 소비 시점이 다를 경우, 이러한 시점 상의 전력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전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다시 필요한 시점에 저장된 전력을 출력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장치가 대용량 배터리이다.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additional energy management devices is a large capacity battery. In order to solve the imbalance in power supply and demand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lectricit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device that temporarily stores the electric power and outputs the stored electric power again is needed.
대용량 배터리는 말 그대로 건물과 같이 집단적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곳에서 대용량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대용량 배터리는 전력량의 측면에서 대용량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지만 유출입되는 전류(충방전 전류)의 측면에서 급속한 전류의 변화량을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좀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대용량 배터리는 변화량이 작은 안정적인 전류를 통해 많은 양의 전력을 저장하는 용도로 개발된 것으로서 순간적으로 급변하는 전류에 대하여는 불안정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A large-capacity battery means a device capable of storing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in a place where the electric power collectively collects like a building. However, such a large-capacity battery can store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in terms of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but in many cases, it can not cope with a rapid change in current in terms of the current flowing in and out (charge / discharge current). More specifically, a large-capacity battery has been developed for storing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through a stable current having a small change amount, and has an unstable aspect for an instantaneous rapidly varying current.
또한, 배터리의 수명은 충방전 횟수 및 충방전되는 전류의 변화량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고가의 대용량 배터리의 수명을 길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변화량이 큰 전류의 유출입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Also, the life of the battery is affected by the number of time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the amount of charge and discharge current.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flow of current with a large amount of change in order to keep the lifetime of the expensive large capacity battery long.
전술한 변화량이 큰 전류는 마이크로그리드 내에서 수시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결된 부하 혹은 신재생에너지발전기는 예측하기 어려운 급변 전력 소비 혹은 급변 전력 생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건물 내 냉난방 부하의 경우, 장시간 미가동 상태에 있다가 갑자기 가동을 시작하는 경우 실내 온도와 설정 온도의 큰 차이로 인해 급격한 출력 상승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급격한 출력 상승은 냉난방기로 흘러가는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전력을 생산하는 측면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마이크로그리드에 소형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신재생에너지발전기는 기상 상황에 따라 급격한 출력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급격한 출력 상승은 신재생에너지발전기로부터 마이크로그리드로 흘러가는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The above-described large currents occur frequently in the microgrid. Specifically, the load or renewable energy generator connected to the micro grid has characteristics of rapid power consumption or rapid power generation that are difficult to predic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eating / cooling load in a building, if the heating / unloading operation starts suddenly after being in an unoperated state for a long time, a sudden increase in output is caused due to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This sudden increase in output results in a sudden increase in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cooling / heating system. A similar situation can arise in terms of power generation, for example, when a small wind or photovoltaic generator is connected to a micro grid, such a renewable energy generator can cause a dramatic power increase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 This rapid increase in output results in a drastic increase in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o the micro grid.
이렇게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결된 부하 혹은 신재생에너지발전기가 급변하는 전력 소비 혹은 전력 생산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그리드를 안정시키기 위한 대용량 배터리는 순간적으로 급변하는 전류에 대하여 불안정한 측면이 있어, 이러한 특성을 모두 받아주기 어렵다.Although the load or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connected to the micro grid has a characteristic of rapidly changing power consumption or power gen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large capacity battery for stabilizing the micro grid is unstable in terms of instantaneous rapidly varying current It is difficult to take all of these characteristics.
한편,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전기자동차를 비롯하여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들은 제동을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다시 활용할 수 있는 회생제동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회생제동장치란, 자동차의 제동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후 배터리에 저장하는 기술로서, 도심 운행과 같이 제동에 의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연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다.Meanwhile, a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many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and batteries have been developed. These vehicles include regenerative braking devices that can reuse the energy consumed for braking.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is a technology that converts energy generated by the braking of an automobile into electric energy and stores it in a battery. It can improve fuel efficiency in a vehicle that consumes a lot of energy by braking It is a breakthrough technology.
전기자동차와 같은 자동차는 이러한 회생제동장치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제동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전류를 받아들일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2714호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include a battery capable of receiving a sudden current generated in braking in order to include such a regenerative braking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to be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92714.
이러한 배경에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순간적으로 급변하는 전류 변동을 마이크로그리드에서 흡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this context, in one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absorbing instantaneous rapidly changing current fluctuations in a microgrid.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변하는 전류 변동량을 자동차 배터리로 흡수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of absorbing a rapidly varying amount of current fluctuation into an automobile battery.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결되어 있는 대용량 배터리의 수명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lifetime of a large-capacity battery connected to a micro-gri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발전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그리드에서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충전 전류 변동량의 허용치별로 서로 다른 전력 단가를 가지는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 자동차로 충전 전력을 출력하며,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급격한 출력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설정된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하는 자동차 충전부; 및 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상기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서 상기 설정된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in a micro grid including a renewable energy generator, A storage unit for storing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by tolerance having unit price; An automobile charging unit that outputs charging power to the first vehicle and outputs power less than a set allowable value among output fluctuations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o absorb sudden output fluctuations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o the first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charging charge according to the power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set allowable value in the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per the allowable value with respect to the power amount output to the first vehicl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발전기 및 대용량 배터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그리드에서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충전 전류 변동량의 허용치별로 서로 다른 전력 단가를 가지는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1 자동차로 충전 전력을 출력하는 단계; 제2 자동차로 충전 전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급격한 출력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제1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제2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상기 제2 자동차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충전 전류 변동량이 제3 허용치 이상에 해당되는 전력은 상기 대용량 배터리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상기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서 상기 제1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제2 자동차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상기 제2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charging of an automobile including a battery in a micro grid including a renewable energy generator and a large capacity battery,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toring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Outputt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first vehicle; Outputt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second vehicle; Outputting a power less than a first allowable value of the output fluctu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o the first vehicle to absorb a sudden output fluctu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Outputting power of the second renewable energy generator to the second automobile;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such that the charge current fluctuation amount of whi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ird allowable value is not output to the large capacity battery; And calculating a charge rate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lerance value from the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per the allowable value with respect to the power amount output to the first automobile, And calculating a charging charge according to the power unit price.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그리드에서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대한 충전 혹은 방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류 변동량에 대한 제1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출력시키거나 입력받는 제1 필터를 포함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큰 값의 제2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출력시키거나 입력받는 제2 필터를 포함하는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1 출력부를 통해 출력 혹은 입력되는 전력에 대한 단가가 상기 제2 출력부를 통해 출력 혹은 입력되는 전력에 대한 단가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or discharging of an automobile including a battery in a microgrid, the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filter for outputting or receiving a power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allowable value A fir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first output signal; A second output section including a second filter for outputting or receiving a power equal to or lower than a second toleranc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toleran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unit price of power output or input through the first output unit to be higher than a unit price of power output or input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순간적으로 급변하는 전류 변동을 마이크로그리드에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급변하는 전류 변동량을 자동차 배터리로 흡수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결되어 있는 대용량 배터리의 수명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nstantaneous rapidly changing current fluctuations can be absorbed by the microgri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bsorb a rapidly varying amount of current fluctuation by an automobile battery and to improve the life of a large-capacity battery connected to the micro-grid.
도 1은 건물 내 전력망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들의 연결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대용량 배터리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충전 전류 변동량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제1 자동차 충전부의 필터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대용량 배터리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는 제1 필터, 제2 필터 및 대용량 배터리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nnection diagram of components connected to a power grid in a building.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factors affecting the life of a large-capacity battery.
4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terface screen for selecting a charge current variation amou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block of a first vehicle charging unit.
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ing a large-capacity battery charging unit.
7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filter, the second filter, and the large capacity battery.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coupled," or "connected."
마이크로그리드는 소규모 전력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산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그리드의 대표적인 예는 건물 내 전력망이다. 아래에서는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건물 내 전력망을 예로 들어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야전부대와 같이 그리드(상용 전력망)와 독립적으로 운용되기도 하고, 결합되어 운용되기도 하는 마이크로그리드에도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The microgrid means a small power grid and can include a distributed power source. A typical example of a micro grid is a building grid. In the following, the micro grid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of a power grid in a building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icro grid, which may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a grid (commercial power grid) like a field unit, or may be operated in combination.
도 1은 건물 내 전력망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들의 연결도이다.1 is a connection diagram of components connected to a power grid in a building.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내 전력망(120, 이하에서는 '건물 전력망'이라 함)은 계통(130)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계통(1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이러한 건물 전력망(120)은 계통(13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a power grid 1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ilding power grid) is connected to a
건물 전력망(120)에는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140)들과 전력을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외에도 건물 전력망(120)에는 디젤 등의 다른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분산전원이 더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건물 전력망(120)에 연결되어 잇는 부하(140)들의 대표적인 예는 건물 냉난방 장치이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대표적인 예는 소형 풍력 발전기 혹은 태양광 발전기일 수 있다.The
건물 전력망(120)에는 시간상의 전력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대용량 배터리(17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대용량 배터리(170)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특정 형태의 ESS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대용량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의 형태는 모두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대용량 배터리(170)에 해당될 수 있다.The
대용량 배터리(170)는 건물 전력망(1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10)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110)는 건물 전력망(120)과 대용량 배터리(170) 사이에 위치하면서 대용량 배터리(170)로 유출입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전력망(120)에는 자동차들(160a, 160b)이 더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들(160a, 160b)은 제어 장치(110)를 거쳐 건물 전력망(120)에 연결된다. 자동차들(160a, 160b)은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이러한 배터리가 건물 전력망(120)에 연결되게 된다. 자동차들(160a, 160b)에 포함되어 있는 배터리는 대용량 배터리(17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건물 전력망(120)에는 대용량 배터리(170)와 하나 이상의 소용량 배터리(자동차들(160a, 160b)에 포함된 배터리)가 연결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10)의 내부 블록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10)는 저장부(210), 자동차 충전부(220), 계산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b)를 참조하면, 자동차 충전부(220)는 제1 자동차 충전부(221) 및 제2 자동차 충전부(222)를 포함하면서 둘 이상의 자동차로 전력을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일 예시로서 자동차 충전부(220)는 N(N은 1이상의 자연수)개의 서브 블록을 가지고 있으면서 N개의 자동차로 전력을 출력할 수도 있다.2 (a), the
저장부(210)는 내부적으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블록으로서, 제어 장치(110)의 프로세스 실행에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10)는 충전 전류 변동량의 허용치별로 서로 다른 전력 단가를 가지는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표 1은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의 일 예시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충전 전류의 변동량이 초당 5A에 해당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경우, 전력 단가를 kwh당 200원으로 책정한다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10A/s에 대하여는 190원/kwh, 100A/s에 대하여는 180원/kwh로 책정한다는 정보가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저장부(210)는 이러한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일정한 식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Table 1 is an example of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by tolerance. Referring to Table 1, information is stored that the power unit price is set at 200 won per kWh when the vari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allows a current corresponding to 5A per second. Table 1 also shows that information is set at 190 won / kwh for 10A / s and 180 won / kwh for 100A / s. The
자동차 충전부(220)는 연결된 자동차들(160a, 160b)에 충전 전류를 공급한다. 자동차 충전부(220)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대의 자동차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자동차 충전부(220)는 도 2의 (b)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출력부(제1 자동차 충전부(221), 제2 자동차 충전부(222))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자동차 충전부(220)는 자동차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자동차로 전달되는 전력의 제어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우선, 자동차에 온보드차저(on-board charger)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자동차 충전부(220)는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자동차에 온보드차저가 없는 경우, 자동차 충전부(220)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들은 일 예시들이고 자동차 충전부(220)와 자동차의 특성(자동차 내부의 배터리 제어 장치 특성)에 따라 다른 실시예들이 도출될 수도 있다.The
자동차 충전부(220)가 온보드차저가 없는 자동차에 대하여 전력량을 제어하는 일 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동차에 온보드차저가 없고 자동차의 배터리가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 직접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자동차 충전부(220)는 이러한 자동차의 배터리로 DC 전류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자동차의 배터리 전압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자동차 충전부(220)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충전 전력량을 제어하게 된다.An example in which the
자동차 충전부(220)가 온보드차저를 구비한 자동차에 대하여 전력량을 제어하는 예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자동차에 온보드차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온보드차저는 자동차로 입력되는 전력의 전압을 자동차 배터리의 특성에 맞추어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때, 자동차 충전부(220)는 자동차 배터리의 전압과 무관하게 전압을 변경하면서 자동차로 출력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n example in which the
제어부(230)는 제어 장치(110)의 프로세스 실행에 필요한 제반 제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제어부(230)는 충전을 실행한 자동차에 대하여 충전 요금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충전 요금의 계산에 사용되는 전력 단가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The
도 3은 대용량 배터리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factors affecting the life of a large-capacity battery.
도 3의 (a)는 대용량 배터리(170)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대용량 배터리(170)는 50%에서 90% 사이의 SOC를 유지하고 있다. 대용량 배터리는 과충전 상태(예를들어, SOC 90% 이상) 혹은 과방전 상태(예를들어, SOC 50% 이하)에서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적정 상태(예를들어, SOC 50% 내지 90%)에서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더 큰 수명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용량 배터리(170)의 충전 상태가 일정 치 이상인 경우, 이러한 대용량 배터리(170)로 충전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것이 대용량 배터리(170)의 수명을 증진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3 (a) is a graph showing a state of charge (SOC) of the
도 3의 (b)는 대용량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전류가 일부 구간에서 급격히 상승(기울기 1로 표시된 부분)하다가 급격히 하강(기울기 2로 표시된 부분)하고 있다. 이렇게 충전 전류가 급격하게 변하는 구간에서 대용량 배터리(170)의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3 (b) is a graph show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large-capacity battery. Referring to FIG. 3 (b), the current rises sharply (a portion indicated by a slope 1) in a certain section, but falls sharply (a portion indicated by a slope 2). The lifetime of the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대용량 배터리(170)의 수명 감축 요인들은 대용량 배터리(170)의 전기화학적 특성에서 유례할 수 있다. 대용량 배터리(170)의 경우,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 전극 사이를 멀리 떨어뜨릴 수 있는데, 이때, 충전 전류가 급변하는 경우, 일 전극에서는 정상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들이 전극에 충분히 존재하기 이전에 충전 전류가 공급되어 정상 반응이 아닌 부반응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반응은 충방전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지 않는 침전 물질들을 만들어 냄으로써 대용량 배터리(170)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과방전 혹은 과충전 상태에서의 반응도 비슷한 맥락에서 대용량 배터리(17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lifetime reduction factors of the
건물 전력망(120)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140) 혹은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는 예측되지 않는 급격한 전류 변동의 전력 소비 혹은 전력 생산의 행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결과로서 발생하는 건물 전력망(120) 내의 급격한 전류 변동이 대용량 배터리(17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10)는 자동차 충전부(220)에 대한 제어를 통해 급격한 전류 변동이 대용량 배터리(170)가 아닌 자동차 배터리로 전달되도록 한다.The
자동차 배터리는 대용량 배터리(170)와 다른 용도로 설계되어 그 특성도 대용량 배터리(170)와 다르다. 자동차 배터리는 급격히 변동하는 전류를 흡수하거나 이러한 전류를 공급해 줄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은 회생 제동 기능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회생 제동 기능은 자동차가 정지하면서 방출하는 자동차의 관성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로 저장하는 기능이다. 이때, 자동차는 급브레이크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전류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이를 위해 이러한 자동차는 급격히 변동하는 전류를 적절히 흡수할 수 있는 배터리를 구비하게 된다.The car battery is designed for a different purpose than the
이러한 자동차 배터리는 또한, 급격히 변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능력은 정지된 상태에서의 급가속을 전기모터가 온전히 감당하거나 혹은 전기모터가 토크 어시스턴스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능력이다.Such an automotive battery also has the ability to supply rapidly varying currents, which is the capability required when the electric motor fully compensates for rapid acceleration in a stationary state or when the electric motor functions as a torque assistance to b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물 전력망(120) 내의 급격한 전류 변동을 이러한 전류를 적합하게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로 전달하는 기술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echnique for delivering abrupt current fluctuations in the
그런데, 자동차 배터리는 대용량 배터리(170)와 달리 건물 전력망(120)에 상시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장치가 아니며, 또한 건물 관리자가 마음대로 급격히 변동하는 전류를 공급해 줄 수 있는 장치도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건물 관리자는 건물 전력망(120)에 연결되는 자동차에 대해 자동차 사용자가 허용할 수 있는 전류 변동량 허용치를 입력받거나 자동차 사용자에게 특정 허용치 이하의 전류 변동이 공급될 수 있음을 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급격한 전류 변동의 공급을 허용한 자동차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However, unlike the
도 4는 충전 전류 변동량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terface screen for selecting a charge current variation amount.
제어 장치(11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자동차 충전부(220)로 접속되는 자동차에 허용되는 충전 전류 변동량을 확인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The
도 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화면은 충전 전류 변동량에 대한 선택 버튼과 각각의 충전 전류 변동량 허용치에 대한 전력 단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5A/s에 대한 충전 전류 변동량 허용치 버튼 옆에는 200원/kwh를 표시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10A/s 버튼 옆에 190원/kwh, 그리고 100A/s 버튼 옆에 180원/kwh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interface screen may display a selection button for the amount of charge current variation and a power unit price for each charge current variation tolerance value. For example, next to the charge current variation tolerance button for 5A / s, you can display 200 won / kwh. In the same way, you can display 190 won / kwh next to the 10A / s button and 180 won / kwh next to the 100A / s button.
제어 장치(11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은 표 1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The
제어 장치(110)는 더 큰 전류 변동량을 허용하는 자동차에 대해 더 저렴한 전력 단가로 충전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5A/s에 비해 100A/s는 10% 저렴한 180원/kwh의 전력 단가로 충전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The
전술한 예에서는 전류 변동량이 전류의 변동 기울기를 통해 표현되었으나, 이와 달리 전류 변동량이 주파수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1Hz의 변동을 가지는 전류가 0.1Hz의 변동을 가지는 전류보다 전류 변동량이 크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amount of current variation is expressed through the slope of the current, but the amount of current variation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frequency. For example, a current having a fluctuation of 1 Hz is larger than a current having a fluctuation of 0.1 Hz.
이에 따라, 저장부(210)는 표 2와 같이 주파수의 형태로 표현되는 허용치에 따라 전력 단가가 다르게 결정되는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230)는 이러한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건물 전력망(120)에서 충전 전류의 변동은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 충전부(220)는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급격한 출력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 변동 중 설정된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자동차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자동차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저장부(210)에 저장된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서 상기 설정된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The vari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in the
자동차 충전부(220)는 설정 변경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 변동 중 다른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출력하고, 제어부(230)는 이러한 설정 변경에 따라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서 상기 다른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The
이때, 자동차 충전부(220)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필터링 대역을 가지는 둘 이상의 필터들을 포함하고, 설정되는 허용치에 따라 필터들 중 하나의 필터를 통해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충전부(220)가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러 개의 하부 충전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각각의 하부 충전부(도 2의 (b)에서 제1 자동차 충전부(221) 및 제2 자동차 충전부(222))가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필터링 대역을 가지는 둘 이상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도 5는 제1 자동차 충전부(221)의 필터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block of the first
도 5를 참조하면, 제1 자동차 충전부(221)는 건물 전력망(1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1 자동차(160a)로 전달한다. 이때, 제1 자동차 충전부(221)는 3개의 필터가 병렬로 연결된 필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필터(510)는 허용치가 가장 낮은 전력을 통과시키는 필터일 수 있으며, 제3 필터(530)는 허용치가 가장 높은 전력을 통과시키는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520)는 그 중간의 값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각각의 필터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허용치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허용치에 따라 제1 자동차 충전부(221)는 해당되는 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The selection for each filter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choice. The user can determine the tolerance value on the interface screen as shown in FIG. 4, and the first
자동차 충전부(220)는 다른 예시로서 설정에 따라 필터링 대역이 변경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 충전부(220)는 설정되는 허용치에 따라 필터가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필터링 대역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자동차 충전부(220)는 설정된 허용치의 범위 내에서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에 비례하여 전력을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가 11A/s로 전력을 출력하고, 제1 자동차(160a)가 10A/s로 허용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자동차 충전부(220)는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에 비례하여 제1 자동차(160a)로 10A/s 범위 내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되는 경우,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 중 1A/s의 전력만 다른 장치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 값이 한도 이하의 작은 값일 경우 무시할 수 있게 된다.
The
도 6은 대용량 배터리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ing a large-capacity battery charging unit.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10)는 대용량 배터리 충전부(61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대용량 배터리 충전부(610)는 건물 전력망(120)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전류 변동이 대용량 배터리(17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거나 대용량 배터리(170)의 충전 상태가 일정 치 이상인 경우, 대용량 배터리(170)로 더 이상이 충전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건물 전력망(120)에서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가 급격한 전류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데, 대용량 배터리 충전부(610)는 이러한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 변동 중 충전 전류 변동량이 일정 치 이상에 해당되는 전력은 대용량 배터리(170)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치 이상에 해당되는 전력은 자동차 충전부(220)에 의해 자동차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다.The large capacity
또한, 대용량 배터리 충전부(610)는 대용량 배터리(170)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가 일정 치 이상인 경우,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 변동이 대용량 배터리(170)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어 방법은 전술한 제어 장치(110)에 의해 모두 실행될 수 있는 방법들로서, 아래에서 설명한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 장치(110)의 제어 방법들은 서로 조합되어 또 다른 실시예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control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is a method that can be all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10)는 충전 전류 변동량의 허용치별로 서로 다른 전력 단가를 가지는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를 저장한다(S710).Referring to FIG. 7, the
그리고, 제어 장치(110)는 제1 자동차(160a)로 충전 전력을 출력하고(S720), 제2 자동차(160b)로 충전 전력을 출력한다(S730).Then, the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 장치(110)는 건물 전력망(120)에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건물 전력망(120)에는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는 급격한 전류 변동을 가지는 전력을 건물 전력망(120)으로 출력할 수 있다.1, the
제어 장치(110)는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 변동 중 충전 전류 변동량이 제3 허용치 이상에 해당되는 전력은 대용량 배터리(170)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S740). 이러한 제3 허용치는 대용량 배터리(170)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 장치(110)로 전달될 수 있다.The
제어 장치(110)는 건물 전력망(120)에 연결된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급격한 출력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 변동 중 제1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제1 자동차(160a)로 출력하고(S750), 신재생에너지발전기(150)의 출력 변동 중 제2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제2 자동차(160b)로 출력한다(S760). 이때, 제1 허용치 및 제2 허용치는 사용 입력에 따라 제어 장치(11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들어, S750 단계 이전에, 제어 장치(110)는 제1 자동차(160a)로부터 충전 전류 변동량에 대한 허용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제어 장치(110)는 제1 자동차(160a)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서 제1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하고 제2 자동차(160b)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제2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한다(S770).The
한편, 제어 장치(110)는 S750 단계에서 필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출력하고, S750 단계 이전에, 필터의 필터링 대역을 제1 허용치에 해당되는 주파수로 조절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있다.
Meanwhile, the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8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800)는 제1 출력부(810), 제2 출력부(820) 및 제어부(830)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장치(800)는 건물 전력망(120) 및 그 주변 장치들과의 연결 관계에서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110)와 동일한 연결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 사이에서 서로 충돌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 장치(110)의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800)에 적용될 수 있다.8, the
제1 출력부(810)는 전류 변동량에 대한 제1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출력시키거나 입력받는 제1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출력부(820)는 제1 허용치보다 큰 값의 제2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출력시키거나 입력받는 제2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제어부(830)는 제1 출력부(810)를 통해 출력 혹은 입력되는 전력에 대한 단가가 제2 출력부(820)를 통해 출력 혹은 입력되는 전력에 대한 단가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제2 출력부(820)에 접속하여 충전 전류를 공급받는 제2 자동차(160b)는 제1 출력부(810)에 접속하여 충전 전류를 공급받는 제1 자동차(160a)에 비해 전류 변동량이 큰 충전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대신, 제2 자동차(160b)는 제1 자동차(160a)에 비해 보다 저렴한 충전 요금으로 충전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제1 출력부(810)에서의 제1 허용치 혹은 제2 출력부(820)에서의 제2 허용치는 변경될 수 있으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 아닐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 장치(800)는 제1 출력부(810)의 허용치를 고정시켜 놓고 이러한 허용치로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tolerance value at the
제어 장치(800)는 건물 전력망(120)에 연결되어 있는 대용량 배터리(170)에 대하여 건물 내의 급격한 부하 변동에 해당되는 전력이 대용량 배터리(170)로부터 공급되지 않도록 전류 변동량에 대한 제3 허용치 이상의 전력이 대용량 배터리(170)로부터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대용량 배터리 제어부(도 9에서 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도 9는 제1 필터, 제2 필터 및 대용량 배터리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filter, the second filter, and the large capacity battery.
도 9를 참조하면, 제2 필터(920) 및 제2 출력 소켓(925)를 포함하는 제2 출력부(820)이 먼저 건물 전력망(1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출력 소켓(925)에는 제2 자동차(160b)가 연결되어 있다.9, a
제2 필터(920)의 출력단에는 제1 필터(910)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필터(910) 및 제1 출력 소켓(915)을 포함하는 제1 출력부(810)가 건물 전력망(120)에 대하여 제2 출력부(820) 다음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제1 출력 소켓(915)에는 제1 자동차(160a)가 연결된다.A
제1 필터(910)의 출력단에는 대용량 배터리 제어부(930)가 연결되고, 이러한 대용량 배터리 제어부(930)의 출력단에는 대용량 배터리(170)가 직렬로 연결된다.A large
이러한 연결 구조를 통해 제1 허용치를 초과하고 제2 허용치 이하에 해당되는 전력은 제2 자동차(160b)로 전달되고, 제1 허용치 이하의 전력은 제1 자동차(160a)와 제2 자동차(160b)로 전달되게 된다.The power exceeding the first tolerance and below the second tolerance is transmitted to the
대용량 배터리(170)는 제2 필터(920)와 제1 필터(910)를 통과한 전력 중 대용량 배터리 제어부(930)에 의해 제어되는 전력만 전달받게 된다.
The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로그리드는 급변하는 전류를 자동차 배터리에서 흡수하고 대용량 배터리는 장기적인 충방전만을 실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용량 배터리는 충방전 횟수가 줄고 급변 전류를 받아들이지 않아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In the micro gri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rapidly varying current is absorbed by an automobile battery, and a large capacity battery is charged and discharg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a result, the large capacity battery has a short life span because the number of charge / discharge cycles is reduced and the battery does not accept a sudden current change.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급변 전류를 흡수하는 자동차에 충전 가격에 따른 유인책을 제공함으로써 마이크로그리드에 자동차 배터리가 접속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a car battery can be connected to a micro grid by providing an incentive depending on a charging price to a vehicle that absorbs a sudden current change.
이에 따라 자동차 운전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충전을 할 수 있고, 마이크로그리드는 전력망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As a result, automobile operators can charge at a low cost, and the micro grid has a stable operation of the power grid.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as us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further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시간당 충전 전류 변동량의 허용치별로 서로 다른 전력 단가를 가지는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 자동차로 충전 전력을 출력하며,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일부 혹은 전부를 흡수하는 자동차 충전부-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되는 충전 전력은 제1 허용치보다 크고 제2 허용치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변동을 가지도록 제어됨-;
상기 대용량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출력하며,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상기 제1 자동차로 흡수되지 않은 출력 변동 중 일부 혹은 전부를 흡수하는 대용량 배터리 충전부; 및
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상기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서 상기 제2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장치.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for regenerative braking in a micro grid including a renewable energy generator and a large capacity battery,
A storage unit for storing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olerance value having a different power unit price for each tolerance of the charge current variation per unit time;
An automobile charging unit that outputs charging power to a first automobile and absorbs some or all of output fluctuations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he charging power output to the first automobile is greater than a first tolerable value and less than or equal to a second permitted value Controlled to have power fluctuations;
A large capacity battery charging unit that outputs charging power to the large capacity battery and absorbs some or all of output fluctuations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hat are not absorbed by the first vehicle; An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a charge rate according to a power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llowable value from the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per the allowable value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power outputted to the first vehicle,
.
상기 자동차 충전부는,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다른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서 상기 다른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And outputs a power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another permissible value among output fluctuations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according to the setting change,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charge rate according to the power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allowable value from the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per the allowable value according to the setting change.
상기 자동차 충전부는,
필터를 포함하고, 설정되는 허용치에 따라 상기 필터가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필터링 대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filter to have filtering bands of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set tolerance value.
상기 자동차 충전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필터링 대역을 가지는 둘 이상의 필터들을 포함하고, 설정되는 허용치에 따라 상기 필터들 중 하나의 필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hicle-
Wherein the at least one filter includes at least two filters having different filtering bands and outputs the filtered signals through one of the filters according to a set tolerance.
상기 자동차 충전부는,
상기 제2 허용치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에 비례하여 전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And outputs power in proportion to an output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within a range of the second allowable value.
상기 대용량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시간당 충전 전류 변동량이 일정 치 이상에 해당되는 전력은 상기 대용량 배터리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rge capacity battery charg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so that the power whose fluctuation amount of the charge current per hour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not output to the large capacity battery.
상기 대용량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대용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가 일정 치 이상인 경우,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이 상기 대용량 배터리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rge capacity battery charg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o prevent the output fluctuation of the large capacity battery from being output to the large capacity battery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large capacity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시간당 충전 전류 변동량의 허용치별로 서로 다른 전력 단가를 가지는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급격한 출력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제1 허용치 이하의 전력 변동을 가지는 충전 전력을 제1 자동차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제1 허용치보다 크고 제2 허용치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변동을 가지는 충전 전력을 제2 자동차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의 출력 변동 중 충전 전류 변동량이 제3 허용치 이상에 해당되는 전력은 상기 대용량 배터리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상기 허용치별 전력 단가 정보에서 상기 제1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제2 자동차로 출력된 전력량에 대하여 상기 제2 허용치에 해당되는 전력 단가에 따라 충전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
CLAIMS 1. A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n automobile including a regenerative braking battery in a micro grid including a renewable energy generator and a large capacity battery,
Storing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olerance value having different power unit prices for each tolerance of charging current variation per unit time;
Outputting a charge power having a power variation less than or equal to a first allowable value among output variations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o the first vehicle so as to absorb abrupt output fluctu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Outputting a charging power having a power variation greater than a first allowable value and less than or equal to a second permissible value among output variations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to a second automobile;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or such that the charge current fluctuation amount of whi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ird allowable value is not output to the large capacity battery; And
Calculating a charge rate according to a power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lowable value from the power unit price information per the allowable value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power output to the first vehicle, Calculating charge rate according to power unit price
≪ / RTI >
상기 제1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자동차로부터 충전 전류 변동량에 대한 허용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Before the step of outputting power below the first tolerance to the first vehicl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olerance information on a charge current variation amount from the first vehicle.
상기 제1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하는 단계에서,
필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제1 허용치 이하의 전력을 상기 제1 자동차로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필터의 필터링 대역을 상기 제1 허용치에 해당되는 주파수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power below the first allowable value to the first vehicle,
A filter is used to output power,
Before the step of outputting power below the first tolerance to the first vehicle,
And adjusting the filtering band of the filter to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lowable valu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0477A KR101493246B1 (en) | 2013-10-10 | 2013-10-10 | Charge/dischar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0477A KR101493246B1 (en) | 2013-10-10 | 2013-10-10 | Charge/dischar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3246B1 true KR101493246B1 (en) | 2015-02-17 |
Family
ID=5259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0477A Active KR101493246B1 (en) | 2013-10-10 | 2013-10-10 | Charge/dischar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324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5075B1 (en) | 2017-12-26 | 2018-11-05 | 김성두 |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s |
KR20190077690A (en) * | 2017-12-26 | 2019-07-04 | 김성두 |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65432A (en) | 2010-09-15 | 2012-03-29 | Mazda Motor Corp | Power stabilization method, charge control method, charger and electric vehicle |
KR20120071222A (en) * | 2010-12-22 | 2012-07-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Energy harves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thereof |
KR20120077126A (en) * | 2010-12-30 | 2012-07-10 | 김현기 | Solar energe storage system using superconducting magnet |
JP2013101554A (en) * | 2011-11-09 | 2013-05-23 | Mitsubishi Heavy Ind Ltd | Charging fee calculation apparatus, charging fee calcul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
-
2013
- 2013-10-10 KR KR20130120477A patent/KR1014932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65432A (en) | 2010-09-15 | 2012-03-29 | Mazda Motor Corp | Power stabilization method, charge control method, charger and electric vehicle |
KR20120071222A (en) * | 2010-12-22 | 2012-07-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Energy harves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thereof |
KR20120077126A (en) * | 2010-12-30 | 2012-07-10 | 김현기 | Solar energe storage system using superconducting magnet |
JP2013101554A (en) * | 2011-11-09 | 2013-05-23 | Mitsubishi Heavy Ind Ltd | Charging fee calculation apparatus, charging fee calcul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5075B1 (en) | 2017-12-26 | 2018-11-05 | 김성두 |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s |
KR20190077690A (en) * | 2017-12-26 | 2019-07-04 | 김성두 |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s |
KR102039703B1 (en) | 2017-12-26 | 2019-11-01 | 김성두 |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81259B2 (en) | Charging facility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for charging facility | |
EP2587623B1 (en) |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 |
EP2822138B1 (en) |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and storage cell control method | |
CN101604858B (en) | Battery management systems, battery pack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 |
JP6929385B2 (en) |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 |
JP5392357B2 (en) | Residential power storage system | |
US20160137065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of fuel cell-mounted vehicle, and external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 |
JP2011239670A (en) | Electric power exchanging system between battery and electric power network, method for exchanging electrical energy between battery and electric power network, and method for applying electric power exchanging system | |
KR20200048913A (en) | Stand-alone household energy storage system based on waste battery | |
US20160114694A1 (en) | Storage cell management apparatus | |
Joshi et al. | Improved energy management algorithm with time-share-based ultracapacitor charging/discharging for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 |
JP5510259B2 (en) | Vehicle power control device | |
KR101493246B1 (en) | Charge/dischar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JP2020031484A (en) | Energy storage systems and power conditioners | |
US20190103756A1 (en) | Power stor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and discharge, and program | |
JP2014103819A (en) | Charging device, charging method, power supply system and residual stored power amount measuring method thereof | |
JP6183465B2 (en) | Power storage system | |
JP2014201234A (en) | Auxiliary storage battery usage method in vehicular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ular power supply device | |
JP2019198169A (en) | Method for controlling nickel zinc battery | |
JP6016719B2 (en) | Charge control system | |
JP6706843B2 (en) |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converter | |
JP7372613B2 (en) | dc power system | |
EP4039534A1 (en) | Power management system, server, and power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method | |
JP2025037160A (en) |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
JP2017005804A (en) | On-vehicle battery char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