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0956B1 - 접이식 대피통로 - Google Patents

접이식 대피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956B1
KR101480956B1 KR1020130138533A KR20130138533A KR101480956B1 KR 101480956 B1 KR101480956 B1 KR 101480956B1 KR 1020130138533 A KR1020130138533 A KR 1020130138533A KR 20130138533 A KR20130138533 A KR 20130138533A KR 101480956 B1 KR101480956 B1 KR 101480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ed
screen
evacuation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희
박원희
권순박
정우성
정우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3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9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5/00Means or methods for preventing, binding, depositing, or removing dust; Preventing explosions or fires
    • E21F5/02Means or methods for preventing, binding, depositing, or removing dust; Preventing explosions or fires by wetting or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접이식 대피통로는 고정유닛, 회전유닛 및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기 또는 물이 공급되는 배관부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유닛은 일 끝단이 상기 고정유닛에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다른 끝단에 고정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지지부에 권치된 상태에서 비상 상황시 하부로 펼쳐져 내부에 대피통로를 구획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대피통로{FOLDABLE EVACUATING PATHWAY}
본 발명은 대피통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지하도 또는 건물 내에서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펼쳐져 대피가 가능한 접이식 대피통로에 관한 것이다.
터널이나 지하도 또는 건물 내에서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화재에 의한 유독가스의 확산이나 열을 차단하여, 대피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여유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천장부에 설치된 제연 경계벽으로 일시적으로 연기의 확산을 차폐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연 경계벽은 연기 차폐율이 높지 않으며 넓게 개방된 공간에서는 효용성이 낮은 문제접이 있어 최근에는 롤 스크린(roll screen) 방식으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서 안전구역을 구획하여 대피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상기 롤 스크린 방식의 대피통로 구획 기술은 차폐 및 롤 스크린 동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0049604호는 내화스크린의 펼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장력을 인가하여 내화스크린을 펼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7018035호는 구획된 피난 통로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여 복사열을 제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의 경우, 롤 스크린 방식의 대피통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구획된 피난 통로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급수라인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대피통로로 구획된 천정에 롤스크린을 펼치기 위한 각종 시설물을 미리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설물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 문제가 있으며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간단하여 비용 절감 및 미관에 도움이 되는 접이식 대피통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대피통로는 고정유닛, 회전유닛 및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기 또는 물이 공급되는 배관부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유닛은 일 끝단이 상기 고정유닛에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다른 끝단에 고정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지지부에 권치된 상태에서 비상 상황시 하부로 펼쳐져 내부에 대피통로를 구획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비상 상황시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가 상기 고정유닛의 측부에 위치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은 구조물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평상시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끝단은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유닛을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유닛은 서로 대칭인 한 쌍의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이 각각 고정되는 제2 및 제3 고정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회전유닛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회전유닛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은 비상 상황시 상기 제2 및 제3 고정부재들로부터 탈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이 상기 고정유닛의 양 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 권치된 상태에서 비상 상황시 하부로 펼쳐지는 제1 스크린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권치된 상태에서 비상 상황시 하부로 펼쳐지는 제2 스크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부는 각각 터널, 지하도 또는 건물의 배관부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부는,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는 급기 배관, 상기 급기 배관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대피통로로 공급하는 급기부,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 배관, 및 상기 급수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대피통로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회전유닛이 고정유닛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터널이나 지하공간 등의 구조물 내부의 미관의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비상 상황시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회전하여 지지부가 상기 고정 유닛의 측부에 위치하고, 스크린부가 하부로 펼쳐져 대피통로를 구획하므로, 신속한 대피통로의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유닛은 터널 등의 구조물의 측벽에 고정되어, 하나의 스크린부가 상기 측벽과 함께 대피통로를 구획하게 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유닛은 터널 등의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되어, 한 쌍의 스크린부가 대피통로를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별도의 고정부를 통해 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도 및 미관의 우수성이 있으며,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탈착으로 신속하게 대피통로를 구획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피통로의 내부에 과급되는 공기 또는 분사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대신, 터널 등의 구조물에 기 사용되는 배관부를 측벽이나 천정으로 이동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유닛을 추가하여 설비할 수 있으므로 대피통로 설치의 비용을 절감하면서 구조물 내부의 설치물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의 지지부와 스크린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의 지지부와 스크린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10)는 고정유닛(100), 회전유닛(200) 및 스크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100)은 터널, 지하도, 건물 등의 구조물의 측벽(1)을 따라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배관부(110)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터널, 지하도, 건물 등에는 공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설치되며, 특히 터널의 경우, 터널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 등을 대비하기 위하여 소방수가 공급되는 소방수 공급 배관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유닛(100)은 배관부(110)를 포함하는데, 상기 배관부(110)는 종래에 터널 등에 설치된 소방수 공급 배관과 별도의 배관으로 설치될 수는 있으나, 종래의 소방수 공급 배관의 설치 위치 및 설계를 변경하여 상기 배관부(110)로 통일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유닛(100)이 상기 측벽(1)을 따라 연장되는 경우, 종래 터널 등의 내부에 설치되었던 배관도 상기 측벽(1)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고정유닛(100)이 기 설치되던 배관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관부(110)는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급기 배관(120), 상기 급기 배관(120)으로 공급된 공기를 후술할 대피 통로(400)를 향해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급기부(121), 상기 급기 배관(12)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급수 배관(130), 및 상기 급수 배관(130)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대피 통로(400) 및 상기 스크린부(300)로 분사하는 분사부(131)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분사부(131)와 상기 급기부(121)는 서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한 공기 및 물 분사량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131)는 상기 대피 통로(400)로 물을 분사하여 연기나 유해물질의 확산 및 사용자를 세척하는 것 외에, 상기 스크린부(300)로도 물을 분사하여 상기 스크린부(300)의 온도를 낮추고 습기를 높여, 외부의 화기로 상기 스크린부(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100)은 내부에 상기 배관부(110)가 설치되며, 외면부에는 후술할 상기 회전유닛(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유닛(200)은 상기 고정유닛(100)의 외면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부(300)가 권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유닛(200)은 연장부(210), 지지부(220) 및 조명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210)는 일 끝단이 상기 고정유닛(100)의 외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210)는 상기 고정유닛(10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연장부(2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1)에 고정된 상기 고정유닛(100)의 연장방향, 즉 상기 제1 방향(X)을 회전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유닛(100)에 결합된다.
상기 연장부(210)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유닛(100)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220)가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측벽(1)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반면, 화재 등이 발생한 비상 상황시에는 상기 연장부(210)는 상기 고정유닛(100)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X)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지부(220)가 상기 고정유닛(10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위치가 바뀐다. 상기 지지부(220)가 평상시에 상기 측벽(1)에 고정된 상태였다면, 상기 지지부(220)와 상기 측벽(1) 사이의 고정부재(미도시)가 탈착되면서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상기 연장부(210)가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유닛(100)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연장부(210)가 시야에서 사라지므로, 측벽이나 천정 부위의 설치물이 안보여 미관에 유리하고, 사용되지 않는 공간인 상기 고정유닛(100)의 상부를 사용하므로 터널 등의 구조물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연장부(210)의 다른 끝단에 고정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유닛(100)의 상부에 위치하였다가 비상 상황의 발생시 상기 고정유닛(100)의 측부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222)와 상기 지지바(222)의 일 끝단에서 상기 지지바(222)를 구동하는 구동부(22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222)에는 후술할 상기 스크린부(300)가 권치된 상태로 유지되고, 비상 상황의 발생시 상기 구동부(221)가 회전하여 상기 지지바(222)를 회전시키면 권치된 상기 스크린부(300)는 상기 지지바(222)로부터 풀려 하부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한편, 상기 조명부(230)는 상기 연장부(210)가 상기 고정유닛(100)의 측부방향으로 내려가 위치할 때, 상기 대피통로(400)를 향하도록 상기 연장부(210)에 설치되어, 상기 대피통로(400)의 내부에 조명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부(300)는 평상시에는 상기 지지바(222)에 권치된 상태로 유지되다,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지지바(222)의 회전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풀려 상기 측벽(1)과 함께 내부에 상기 대피통로(400)를 형성한다.
상기 스크린부(300)는 화재 발생 구역과 대피구역을 구획하도록 넓은 면의 스크린(screen)으로 형성되며, 터널 등의 구조물의 길이를 고려하여, 하나의 스크린으로 설치되거나 복수의 스크린들이 서로 연결되며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스크린들이 서로 연결되며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부(300)가 권치된 상기 지지바(222) 및 상기 지지바(222)를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부(221)도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며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부(300)에는 상기 대피통로(400)에서 대피방향을 알리는 조명 역할을 하는 유도조명부(310), 천공부(320), 세로 가름선(330) 및 중량봉(340)이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320)는 상기 스크린부(300) 상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부(121)를 통해 일정 압력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대피통로(4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상기 대피통로(400)의 내부에는 항상 상기 급기부(121)를 통해 제공되는 신선한 공기가 채워질 수 있으며, 외부의 오염된 연기나 열기가 상기 대피통로(40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세로 가름선(330)은 상기 스크린부(300)의 하부에, 상기 스크린부(300)가 세워진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부(300)의 하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외부에 위치하던 사람은 상기 세로 가름선(330)을 통해 상기 대피통로(400) 내부로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중량봉(340)은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상기 스크린부(300)의 하부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린부(300)가 상기 지지바(222)로부터 풀려 하부로 내려올 때 상기 스크린부(300)의 끝단이 바닥면과 접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300)가 차단벽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대피통로(400)가 좁아지거나 정확하게 구획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20)는 고정유닛이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되며 한 쌍의 스크린부들에 의해 대피통로가 구획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20)는 고정유닛(100),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600, 700), 제1 및 제2 스크린부들(800, 900) 및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20)는 터널, 지하도, 건물 등의 구조물의 천정(20)에 고정되므로, 상기 구조물의 천정(20)과 상기 고정유닛(100)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500)는 제1, 제2 및 제3 고정부재들(510, 520, 5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510)는 상기 천정(20)에 직접 고정되고, 상기 제2 및 제3 고정부재들(520, 530)은 상기 제1 고정부재(510)의 양 끝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고정부재들(520, 530)은 끝단이 서로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고정부재들(510, 520, 530)은 상기 천정(20)을 따라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방향을 따른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100)은 배관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110)의 구조 및 형상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유닛(100)은 상기 제2 및 제3 고정부들(520, 530)이 서로 만나는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600, 700)이 상기 고정유닛(100)의 외면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600, 700)은 상기 고정유닛(100)의 연장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 회전유닛(600)은 제1 연장부(610), 제1 지지부(620) 및 제1 조명부(6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유닛(700)은 제2 연장부(710), 제2 지지부(720) 및 제2 조명부(73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610, 710),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620, 720), 및 상기 제1 및 제2 조명부들(630, 730)의 형상 및 기능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연장부(210), 상기 지지부(220) 및 상기 조명부(230)와 각각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1 회전유닛(600)은 상기 제2 고정부(520)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제2 회전유닛(700)은 상기 제3 고정부(530)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한다. 즉, 상기 제1 연장부(610)가 상기 제2 고정부(520)의 연장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연장부(710)는 상기 제3 고정부(530)의 연장면에 고정된다.
반면, 화재 등이 발생한 비상 상황시에는, 상기 제1 회전유닛(600)은 상기 고정유닛(100)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X)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지지부(620)가 상기 고정유닛(100)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회전유닛(700)도 상기 고정유닛(100)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X)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지지부(720)가 상기 고정유닛(100)의 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610, 710)을 각각 포함한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600, 700)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유닛(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이식으로, 시야에서 사라지므로 측벽이나 천정 부위에 관련 설치물이 보이지 않아 미관에 유리하고, 비상통로가 형성되지 않을 때는 상기 고정유닛(100)의 하부공간을 열린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620)에는 상기 제1 스크린부(800)가 권치되었다가, 비상상황에서 상기 제1 지지부(620)가 상기 고정유닛(100)의 측부로 위치하면 상기 제1 스크린부(800)는 풀려 바닥으로 내려온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지지부(720)에는 상기 제2 스크린부(900)가 권치되었다가, 비상상황에서 상기 제2 지지부(720)가 상기 고정유닛(100)의 측부로 위치하면 상기 제2 스크린부(800)는 풀려 바닥으로 내려온다.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부(620)와 상기 제1 스크린부(800) 사이의 결합 및 동작, 또한 상기 제2 지지부(720)와 상기 제2 스크린부(900) 사이의 결합 및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지지부(200)와 상기 스크린부(300)의 관계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린부(800)의 구조 및 형상, 상기 제2 스크린부(900)의 구조 및 형상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스크린부(300)의 구조 및 형상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스크린부(800) 및 상기 제2 스크린부(900)가 비상시 바닥으로 하강하여 대피통로(450)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회전유닛이 고정유닛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터널이나 지하공간 등의 구조물 내부의 미관의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비상 상황시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회전하여 지지부가 상기 고정 유닛의 측부에 위치하고, 스크린부가 하부로 펼쳐져 대피통로를 구획하므로, 신속한 대피통로의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유닛은 터널 등의 구조물의 측벽에 고정되어, 하나의 스크린부가 상기 측벽과 함께 대피통로를 구획하게 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유닛은 터널 등의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되어, 한 쌍의 스크린부가 대피통로를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별도의 고정부를 통해 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도 및 미관의 우수성이 있으며,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탈착으로 신속하게 대피통로를 구획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피통로의 내부에 과급되는 공기 또는 분사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대신, 터널 등의 구조물에 기 사용되는 배관부를 측벽이나 천정으로 이동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유닛을 추가하여 설비할 수 있으므로 대피통로 설치의 비용을 절감하면서 구조물 내부의 설치물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피통로는 터널, 지하도, 건물 등의 내부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시 대피로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20 : 접이식 대피통로
100 : 고정유닛 200 : 회전유닛
300 : 스크린부 400, 450 : 대피통로
500 : 고정부 600 : 제1 회전유닛
700 : 제2 회전유닛 800 : 제1 스크린부
900 : 제2 스크린부

Claims (10)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기 또는 물이 공급되는 배관부가 형성되는 고정유닛;
    일 끝단이 상기 고정유닛에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다른 끝단에 고정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회전유닛; 및
    상기 지지부에 권치된 상태에서 비상 상황시 하부로 펼쳐져 내부에 대피통로를 구획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비상 상황시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가 상기 고정유닛의 측부에 위치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구조물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평상시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5. 제1항에 있어서, 일 끝단은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유닛을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서로 대칭인 한 쌍의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이 각각 고정되는 제2 및 제3 고정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회전유닛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회전유닛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유닛들은 비상 상황시 상기 제2 및 제3 고정부재들로부터 탈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이 상기 고정유닛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 권치된 상태에서 비상 상황시 하부로 펼쳐지는 제1 스크린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권치된 상태에서 비상 상황시 하부로 펼쳐지는 제2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각각 터널, 지하도 또는 건물의 배관부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는 급기 배관;
    상기 급기 배관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대피통로로 공급하는 급기부;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 배관; 및
    상기 급수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대피통로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KR1020130138533A 2013-11-14 2013-11-14 접이식 대피통로 Active KR101480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33A KR101480956B1 (ko) 2013-11-14 2013-11-14 접이식 대피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33A KR101480956B1 (ko) 2013-11-14 2013-11-14 접이식 대피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956B1 true KR101480956B1 (ko) 2015-01-14

Family

ID=5258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533A Active KR101480956B1 (ko) 2013-11-14 2013-11-14 접이식 대피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9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151667A1 (no) * 2015-12-07 2017-06-08 Protan As Anordning for opprettelse av rømningsvei i tunneler
NO20180942A1 (no) * 2017-07-03 2019-01-04 Bmo Entreprenoer As Redningskorridor i tunneler
KR20210022883A (ko) * 2019-08-21 2021-03-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KR20210076258A (ko) * 2019-12-13 2021-06-24 주식회사 에이치투케이솔루션 물류창고 화재진압을 위한 공간형 소화장치
KR102795916B1 (ko) * 2024-11-20 2025-04-17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지하도로 구조물의 화재연기 확산 방지형 차량 진입 차단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5597U (ko) * 1975-06-05 1976-12-11
JPH1189952A (ja) * 1997-09-24 1999-04-06 Bunka Shutter Co Ltd 防火スクリーン装置
JP2002035147A (ja) * 2000-07-24 2002-02-05 Hochiki Corp トンネル用避難設備
JP3517722B2 (ja) * 1996-04-12 2004-04-1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扉 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5597U (ko) * 1975-06-05 1976-12-11
JP3517722B2 (ja) * 1996-04-12 2004-04-1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扉 体
JPH1189952A (ja) * 1997-09-24 1999-04-06 Bunka Shutter Co Ltd 防火スクリーン装置
JP2002035147A (ja) * 2000-07-24 2002-02-05 Hochiki Corp トンネル用避難設備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151667A1 (no) * 2015-12-07 2017-06-08 Protan As Anordning for opprettelse av rømningsvei i tunneler
NO342940B1 (no) * 2015-12-07 2018-09-03 Protan As Anordning for opprettelse av rømningsvei i tunneler
NO20180942A1 (no) * 2017-07-03 2019-01-04 Bmo Entreprenoer As Redningskorridor i tunneler
NO344481B1 (no) * 2017-07-03 2020-01-13 Bmo Entreprenoer As Redningskorridor i tunneler
KR20210022883A (ko) * 2019-08-21 2021-03-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KR102289390B1 (ko) * 2019-08-21 2021-08-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KR20210076258A (ko) * 2019-12-13 2021-06-24 주식회사 에이치투케이솔루션 물류창고 화재진압을 위한 공간형 소화장치
KR102297949B1 (ko) * 2019-12-13 2021-09-07 주식회사 에이치투케이솔루션 물류창고 화재진압을 위한 공간형 소화장치
KR102795916B1 (ko) * 2024-11-20 2025-04-17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지하도로 구조물의 화재연기 확산 방지형 차량 진입 차단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956B1 (ko) 접이식 대피통로
KR101402942B1 (ko) 피난장치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2438654B1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도로 터널 화재 진압용 차폐기구
KR101576614B1 (ko)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1396495B1 (ko) 연무 차단 장치
KR100998240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289865B1 (ko) 화연을 이용한 에어커튼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토목 건축 구조물
JP7630570B2 (ja) トンネルの防災設備
US20040159448A1 (en) Fire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22883A (ko)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JP516965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用の壁パネル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JP2008113829A (ja) ガス消火装置
CN206837251U (zh) 一种安全逃生系统
CN108325132A (zh) 一种消防水幕喷头及由其组成的隧道防火分隔系统
KR100637344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구조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195437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2743529B1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도로터널 화재 진압용 차폐기구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CN112197390B (zh) 高密度暗洞人行通道火灾防护系统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CN218234530U (zh) 跃层车库及建筑物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JP4349124B2 (ja) 加圧防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