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6648B1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648B1
KR101476648B1 KR1020080025911A KR20080025911A KR101476648B1 KR 101476648 B1 KR101476648 B1 KR 101476648B1 KR 1020080025911 A KR1020080025911 A KR 1020080025911A KR 20080025911 A KR20080025911 A KR 20080025911A KR 101476648 B1 KR101476648 B1 KR 10147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ns unit
unit
changed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624A (ko
Inventor
토모나가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5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64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6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와 통신 가능한 렌즈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렌즈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수단; 및 상기 렌즈부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시, 상기 변경된 정보를 이용하는 상기 각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정보의 변경이 있었음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통신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부와 본체부 사이의 통신 지연원인이 적고 고속의 응답이 가능한 렌즈 교환식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필름 대신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 시키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일안반사식(single lens reflex: SLR) 디지털 카메라는 대체로 렌즈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에서 촬영이 가능하고, 수광 면적이 넓고 성능이 뛰어난 타입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에 비하여 고화질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점차 일안반사식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필름 카메라의 경우에는 그 부재나 재료의 대부분이 광학 기구 관련의 것인 반면,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광학 기구뿐만 아니라 전기 또는 전자적인 부품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들의 제어하에 여러 가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나 화상 처리 장치의 장착이 필요 불가결하다. 특히, 렌즈 교환식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재구매를 촉발하기 위하여, 종래의 일안반사식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에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하는 기능들을 점차 결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개발 수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멀티태스크 오퍼레이션 시스템(multitask operation system)을 탑재해 소프트웨어의 작업을 태스크(task)의 형태로 분할하여 실현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 모듈(module) 간의 의존관계를 줄이고 소프트웨어의 재이용성을 높임으로써, 개발기간의 단축, 품질 향상, 개발 비용 절감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C++, JAVA라는 객체(object) 지향적인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해 한층 더 개발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 있어서는, 자동노출(automatic exposure: AE), 자동초점(autofocing: AF), 렌즈 제어, GUI, 데이터 처리를 취급하는 데이터 또는 하드웨어의 차이에 따라 구분가능한 기능들을, 태스크(task)나 클래스(class)라는 각각의 모듈로서 작성하여, 그 모듈의 사이에 소프트웨어적인 통신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종합적인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로 실현되고 있던 기능을, 렌즈 교환식 디지털 카메라에 이식해서 실현하는 경우, 렌즈의 정보를 시리얼 통신과 같은 물리적 통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하기 때문에 통신 지연의 원인(오버헤드, overhead)을 제공하고, 고해상력의 광학 렌즈를 탑재하고 있어 이를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들의 종류가 증가하며, MF ring이나 AF/MF(autofocing/manual-focusing) 변환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기구적인 부재가 많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로 통지해야 할 데이터량이 많아 고속 통신의 실현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부와 본체부 사이의 통신 지연원인이 적고 고속의 응답이 가능한 렌즈 교환식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와 통신 가능한 렌즈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렌즈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수단; 및 상기 렌즈부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시, 상기 변경된 정보를 이용하는 상기 각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정보의 변경이 있었음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통신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통신 제어수단은, 상기 렌즈부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정보를 임시 보관하는 임시저장부; 상기 렌즈부의 특정 정보를 이용하는 특정 소프트웨어 모듈의 대응정보를 보관하는 정보저장부; 및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렌즈부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시, 상기 변경된 렌즈부의 정보를 이용하는 각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개별통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개별통지부는,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렌즈부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시, 상기 변경된 정보와 함께, 상기 변경된 정보를 이용하는 각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개별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렌즈부와 본체부 사이에는, 상기 렌즈부의 정보를 상기 본체부에 송신하는 제1통신수단과 별도로, 상기 본체부의 상태를 상기 렌즈부에 송신할 수 있는 제2통신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의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태를 상기 렌즈부에 송신할 시, 상기 개별 통지부는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상기 제2통신수단을 제어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개별 통지부는, 상기 변경된 렌즈부의 정보와 함께, 상기 렌즈부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상기 제2통신수단을 제어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와 통신 가능한 렌즈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렌즈부의 고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본체부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의 통지를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렌즈부의 정보와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렌즈부의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테이블에 변경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렌즈부의 변경된 정보와 함께,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체부의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렌즈부의 정보를 상기 본체부에 송신하는 제1통신수단과 별도로 구비된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태를 상기 렌즈부에 송신하면,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본체부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의 통지를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 변경된 렌즈부에 신호를 송신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통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변경된 렌즈부의 정보와 함께, 상기 렌즈부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상기 제2통신수단을 제어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교환식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해당 렌즈 정보의 변경을 통지해야 하는 본체부의 소프트웨어 모듈에만 변경 상태를 통지하기 때문에, 렌즈부와 본체부 사이에 통신량을 줄임으로써 지연원인을 줄이고 속도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CPU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렌즈부(100)의 탈부착이 가능한 일안반사식 디지털 카메라이다. 그러나, 상기 도면에 도시된 디지털 상기 도면에 디지털 촬영 장치는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일안반사식 디지털 카메라뿐만 아니라, 본체부에 렌즈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모두 적용될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렌즈부(100)와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100)는 촬영렌즈(110), 렌즈 구동부(111), 조리개(120), 조리개 구동부(121), 렌즈CPU(130) 및 제1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촬영렌즈(110)는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을 포함한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 고, 피사체의 상을 디지털 촬영 장치의 본체부(200) 내에 입사시킨다.
조리개(120)는 본체부(200)에 입사하는 피사체의 상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 구동부(111)는 렌즈 CPU(130)의 제어하에 상기 촬영 렌즈(110)의 초점 조절과 변배를 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21)는 렌즈 CPU(130)의 제어하에 조리개(120)의 개폐를 구동한다.
렌즈 CPU(130)는 상술한 렌즈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21)의 제어, 및 상기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렌즈부(100) 경통 내부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렌즈 CPU(130)의 제1통신부(140)는 제2통신부(240)를 통하여 본체부의 CPU(23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렌즈부(100)는 렌즈의 종류, 초점 거리 등과 같은 교환 렌즈부(100)의 고유 데이터를 보관하는 렌즈 ROM(read only memory)(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렌즈부(100)의 촬영 렌즈(110)를 통과한 빛은, 본체부(200)의 반사경(211)이 상기 도면과 같이 내려가 있는 경우에는 반사경(211)에 의해 반사된 후, 펜타프리즘(pentaprism)(213)을 거쳐서 파인더(미도시)에 도달한다. 이때 사용자는 파인더를 통하여 피사체의 상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반사경(211)이 올라가 있고, 셔터(214)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렌즈(110)를 통과한 빛은 촬상 소자(216)에 수광되어 피사체의 3차원 영상에 대응하는 2차원 영상으로 결상된다.
셔터(124)는 셔터 구동부(215)에 의해 구동되어, 촬영 시 촬상 소자(216)에의 노광 시간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셔터(124)는 촬상 소자(216)의 촬상면 전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로서, 촬상면에 조사되는 광을 차폐 또는 개방하기 위해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촬상 소자 구동부(217)에 의해 구동되는 촬상 소자(216)에서는, 렌즈(110)와 셔터(120)를 통과하여 입사된 빛, 즉 광학 신호가 전기 신호로 변경된다. 이러한 촬상 소자(216)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촬상 소자(216)를 구성하고 있는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을 제어하거나 전하를 판독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D 변환부(218)는 촬상 소자(216)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원본(RAW) 데이터가 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219)는 아날로그 이미지의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는 곳으로, 온도 변화에 민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 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또한,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감마 보정,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 하는 CFA 보간, 보간 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 및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영상 신호는 버퍼 메모리(220)에 임시 저장되며, 임시 저장된 영상 신호는 표시 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222)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22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222)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버퍼 메모리(220)에 임시 저장된 영상 신호는 기록/판독 제어부(223)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 기록/판독 제어부(223)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스마트 카드, 컴팩트 플래쉬(Compact flash, CF) 메모리, 메모리 스틱,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등 다양한 형태의 기록매체(224)에 기록될 수 있다. 물론 기록/판독 제어부(223)는 기록매체(224)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버퍼 메모리(220)를 통해 표시 제어부(221)에 입력하여 표시부(222)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원부(250)는 디지털 촬영 장치가 동작하도록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내장 가능한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의 전지 및/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각종 동작에 관한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디지털 촬 영 장치의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70)는 사용자 등으로 하여금 촬영 장치의 조작을 수행하거나 촬영 시 각종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원 버튼, 반셔터로서 제1 셔터 릴리즈 버튼(S1), 온 셔터로서 제2 셔터 릴리즈 버튼(S2), 촬영 모드나 재생 모드의 선택 및 효과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기능 버튼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80)는 렌즈부(100)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로서는 예컨대 AF(autofocusing), AE(automatic exposure), AWB(automatic white-balance) 등과 같이, 디지털 촬영 장치가 일정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정의 프로그램들일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의 동작에는 렌즈부(100)로부터 수신된 일정 정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AF 기능을 수행할 경우에는, 렌즈부(100)로부터 렌즈의 초점 길이 또는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요구될 수 있고, 이때 AF 모듈은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본체 CPU(230)의 제어하에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별도의 구성인 데이터 처리부(28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소프트웨어 모듈이 전술한 저장부(260)의 일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체 CPU(230)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렌즈부(100)로부터 획득한 정보의 변경이 있을 시, 이러한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해당 정보를 이용하는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하고, 궁극적으로 렌즈부(100)의 변경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이 디지털 촬영 장치의 소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 CPU(230)는 임시 저장부(231), 정보 저장부(232) 및 개별 통지부(233)를 포함한다.
임시 저장부(231)는 렌즈부(10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임시 보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임시 저장부(231)가 본체 CPU(230)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임시 저장부(231)는 본체 CPU(230)의 주변 구성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제2통신부(240)와 본체 CPU(230) 사이의 별도의 저장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정보 저장부(232)는 렌즈부(100)의 특정 정보를 이용하는 특정 소프트웨어 모듈의 대응정보를 보관한다. 예를 들어 렌즈부(100)의 초점거리에 관련된 정보가 데이터 처리부(280)의 AF 모듈 및 AE 모듈이 필요로 하는 정보인 경우에는, 초점거리 정보에는 AF 및 AE 소프트웨어 모듈이 대응된다는 정보를 보관한다. 특히 렌즈부(100)의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렌즈부(100)의 각 정보에 대응되는 모듈의 정보를 보관하며, 이러한 대응정보들은 테이블로 작성될 수도 있다.
개별 통지부(233)는 임시 저장부(231)에 저장된 렌즈부(100)의 정보 변경이 발생할 시, 정보 저장부(232)에 보관된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변경된 렌즈 정보를 이용하는 각 소프트웨어 모듈에 렌즈부(100)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개별적으로 통지한다. 이때 개별 통지부(233)는 변경된 정보도 함께 통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렌즈부(100)의 제1통신부(140)와 본체부(200)의 제2통신부(240) 사이에는, 렌즈부(100)의 정보를 본체부(200)에 송신하는 제1통신수단(미도시)과 별도로, 본체부(200)의 상태를 렌즈부(100)에 송신할 수 있는 제2통신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2통신수단으로는, 본체부(200)의 각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의 신호선의 변경이 있어, 하이/로(High/Low)와 같은 신호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준비하여 렌즈부(100)와 연결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즉, 렌즈부(100)의 렌즈 CPU(130)는, 하이/로 분할 신호에 따라 변동하는 값, 예컨대 줌의 위치 등을 보존해 두고, 본체 CPU(200)가 이를 등록된 본체부(200)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정보의 변경이 있음을 통지함으로써, 본체부(200)가 바라는 타이밍에서의 원하는 정보 취득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정보의 변경뿐만 아니라, 변경된 정보값도 함께 통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렌즈부와 본체부 사이에 정보의 통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100)가 가지는 복수 개의 렌즈 정보들(L1, L2,,,Ln) 중 하나 이상의 렌즈 정보가 변경될 시, 이러한 변경은 렌즈 PCU(130)의 제어하에 제1통신부(140)와 제2통신부(240) 사이의 제1통신수단(C1)을 통하여 본체부(200)에 통지된다. 특정 렌즈 정보(예를 들어, 초점거리(L1))가 변경되었음이 본 체부(200)에 통지되면, 본체 CPU(230)는 복수 개의 소프트웨어 모듈(M1, M2,,, Mn) 중, 해당 정보(L1)에 대응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예를 들어, AF 모듈(M1) 및 AE 모듈(M2)에 선택적으로 이와 관련된 렌즈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이 통지하고, 이때 해당 변경된 렌즈 정보도 함께 통지할 수 있다.
한편, 렌즈부(100)의 정보를 본체부(200)로 송신하는 제1통신수단(C1)과 별도로, 본체부(200)의 상태를 렌즈부(100)에 송신하는 제2통신수단(C2)을 통하여, 본체부의 상태를 렌즈부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F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M1)을 수행한다는 신호가 본체부(200)로부터 렌즈부(100)에 송신된 후, 렌즈부(100)에서 해당 모듈이 필요로 하는 렌즈의 정보, 예컨대 초검 거리 정보(L1)의 변경이 있으면, 해당 정보(L1)에 대응하는 AF 모듈(M1) 및 AE 모듈(M2)에, 제2통신수단(C2)을 통하여 해당 정보의 변경이 있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변경된 렌즈 정보도 함께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제1통신수단(C1) 및 제2통신수단(C2) 이외에도 전원선과 같이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통신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본체 CPU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우선,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전원 온(ON)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동이 개시된다.
렌즈부(100)가 본체부(20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본체 CPU(230)는 렌즈 CPU(130) 또는 렌즈부(100)의 ROM(미도시)로부터 렌즈부(100)의 고정 데이터를 획득한다(410단계).
렌즈부(100)의 정보가, 렌즈부(100)의 조작 등에 의해 렌즈부(100)의 정보가 변경되면, 이와 같은 렌즈부(100)의 정보 변경을 통지해야 할 소프트웨어 모듈이 본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20단계).
통지의 필요성이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렌즈부(100)의 정보에 대응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목록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T)을 작성한다(430단계).
도 5는 이때 생성된 테이블의 일 예로서,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면, 렌즈부(100)의 정보 L1에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M1 및 M2가 대응되고, 렌즈부(100)의 정보 L2에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M2가 대응되고, 렌즈부(100)의 정보 L3에는 소프트웨어 모듈 M2, M3, M4, M5가 대응된다.
테이블(T) 작성후, 렌즈부(100)를 초기화하여 렌즈부(100)에 명령이 가능하거나 정보 변경 통지가 가능한 상태로 한다(440단계).
만약 특정 렌즈의 정보가 변경되었다면(450단계), 변경된 정보를 테이블(T)에 기록하고, 이러한 변경이 있었음을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한다(460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개 별 통지부는 변경된 렌즈 정보를 함께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렌즈부(100)가 본체부(20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본체 CPU(230)는 렌즈 CPU(130) 또는 렌즈부(100)의 ROM(미도시)로부터 렌즈부(100)의 고정 데이터를 획득한다(610단계).
렌즈부(100)의 정보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정보와 함께, 이러한 정보의 변경이 있었음을 통지해야 할 소프트웨어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620단계), 렌즈부(100)의 정보 리스트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테이블을 작성한다(630단계).
다음으로 렌즈부(100)를 초기화하여 렌즈부(100)에 명령이 가능하거나 정보 변경 통지가 가능한 상태로 하고(640단계), 만약 렌즈의 정보가 변경되었다면(650단계), 변경된 정보를 테이블(T)에 기록하고, 변경된 정보와 함께, 이러한 변경이 있었음을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한다(660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렌즈부(100)의 정보의 변경이 있을 경우, 렌즈부(100)의 정보 변경에 대응하여 본체부(200)의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에 개별적으로 정보의 변경을 통지하는 것인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경우에는, 본체부(200)의 특정 소프트웨어 모듈의 상태 변경 신호가 먼저 렌즈부(100)에 송신되면,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이 필요로 하는 렌즈부(100)의 정보 변경 여부가 체크되고, 체크된 정보 변경이 다시 본체부(200)에 통지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렌즈부(100)가 본체부(20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본체 CPU(230)는 렌즈 CPU(130) 또는 렌즈부(100)의 ROM(미도시)로부터 렌즈부(100)의 고정 데이터를 획득한다(610단계).
본체부(200)의 통지에 의해, 해당 렌즈부(100)의 정보가 변경될 경우, 이러한 정보의 변경이 있었음을 통지해야 할 소프트웨어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720단계), 렌즈부(100)의 정보 리스트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테이블(T)을 작성한다(730단계).
다음으로 렌즈부(100)를 초기화하여 렌즈부(100)에 명령이 가능하거나 정보 변경 통지가 가능한 상태로 한다(740단계).
이때, 본체부(200)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 제2통신수단(C2)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고(750단계), 이에 따라 렌즈부의 정보가 변경되었다면(760단계), 제2통신수단(C2)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변경된 렌즈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대응 정보 테이블(T)에 기록하고, 이러한 변경이 있었음을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한다(770단계). 이때, 변경된 정보를 함께 통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렌즈의 정보를 시리얼 통신과 같은 물리적 통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하기 때문에 통신 지연의 원인을 제공하고, 고해상력의 광학 렌즈를 탑재하고 있어 이를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들의 종류가 증가하고, MF ring이나 AF/MF(autofocing/manual-focusing) 변환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한 기구적인 부재가 많아 본체부로 통지해야 할 데이터량이 많은 렌즈 교환식 디지털 촬영 장치의 경우에도, 해당 렌즈 정보의 변경을 통지해야 하는 본체부의 소프트웨어 모듈에만 변경 상태를 통지하기 때문에, 렌즈부와 본체부 사이의 통신 지연원인을 줄이고, 고속의 응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CPU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이다.
도 3은 렌즈부와 본체부 사이에 정보의 통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본체 CPU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 >
100: 렌즈부 110: 촬영렌즈
111: 렌즈 구동부 120: 조리개
121: 조리개 구동부 130: 렌즈 CPU
140: 제1통신부 200: 본체부
211: 반사경 212: 반사경 구동부
213: 펜타프리즘 214: 셔터
215: 셔터 구동부 216: 촬상소자
217: 촬상소자 구동부 218: A/D 변환부
219: 영상신호 처리부 220: 버퍼 메모리
221: 표시제어부 222: 표시부
223: 기록/판독 제어부 224: 기록매체
230: 본체 CPU 240: 제2통신부
250: 전원부 260: 저장부
270: 조작부 280: 데이터 처리부

Claims (11)

  1.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와 통신 가능한 렌즈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렌즈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수단; 및
    상기 렌즈부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정보를 임시 보관하는 임시저장부;
    상기 렌즈부의 특정 정보를 이용하는 특정 소프트웨어 모듈의 대응정보를 보관하는 정보저장부; 및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렌즈부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시, 상기 변경된 렌즈부의 정보를 이용하는 각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개별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통지부는,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렌즈부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시, 상기 변경된 정보와 함께, 상기 변경된 정보를 이용하는 각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와 본체부 사이에는, 상기 렌즈부의 정보를 상기 본체부에 송신하는 제1통신수단과 별도로, 상기 본체부의 상태를 상기 렌즈부에 송신할 수 있는 제2통신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태를 상기 렌즈부에 송신할 시,
    상기 개별 통지부는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상기 제2통신수단을 제어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통지부는, 상기 변경된 렌즈부의 정보와 함께, 상기 렌즈부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상기 제2통신수단을 제어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7.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와 통신 가능한 렌즈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렌즈부의 고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본체부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의 통지를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렌즈부의 정보와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d) 상기 렌즈부의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
    (e)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테이블에 변경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f)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8. 삭제
  9.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와 통신 가능한 렌즈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렌즈부의 고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본체부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의 통지를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렌즈부의 변경된 정보와 함께,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10.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와 통신 가능한 렌즈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렌즈부의 고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상기 본체부의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렌즈부의 정보를 상기 본체부에 송신하는 제1통신수단과 별도로 구비된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태를 상기 렌즈부에 송신하면,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본체부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의 통지를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시,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 변경된 렌즈부에 신호를 송신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상기 렌즈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변경된 렌즈부의 정보와 함께, 상기 렌즈부부의 정보 변경이 있었음을 상기 제2통신수단을 제어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025911A 2008-03-20 2008-03-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76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911A KR101476648B1 (ko) 2008-03-20 2008-03-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911A KR101476648B1 (ko) 2008-03-20 2008-03-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624A KR20090100624A (ko) 2009-09-24
KR101476648B1 true KR101476648B1 (ko) 2014-12-26

Family

ID=4135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9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6648B1 (ko) 2008-03-20 2008-03-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256B1 (ko) * 2019-08-05 2021-10-13 주식회사 스타리온 디지털 파워 발전 시스템
KR102311258B1 (ko) * 2019-08-05 2021-10-13 주식회사 스타리온 디지털 파워 발전 자동 전압 조절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6586B2 (ja) * 1990-02-17 1995-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交換レンズ及び光学付属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6586B2 (ja) * 1990-02-17 1995-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交換レンズ及び光学付属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624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6774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5967865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78341B2 (ja) 撮像装置及び補正方法
JP2008092440A (ja) 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2226184A5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033267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57146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20110001655A (ko)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4532819B2 (ja) 撮像装置
CN101373254A (zh) 摄影装置及摄影装置的控制方法
JP2005045552A (ja) 撮像装置及び方法
JP476157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47664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157597B2 (ja) 交換レンズ式デジタルカメラ、仮想撮影画像生成方法および仮想撮影画像表示方法
JP3605084B2 (ja) 画像データ補正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データ補正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545334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6332746A (ja) 撮影装置
JP201202905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5176062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20134546A (ja) 撮像装置、レンズ装置、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6109162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396334B1 (ko) 이미지 파일에 gps 정보를 입력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926609B2 (ja) 撮像装置
JP2018151415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35521A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3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3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