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2096B1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 Google Patents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096B1
KR101472096B1 KR1020130169022A KR20130169022A KR101472096B1 KR 101472096 B1 KR101472096 B1 KR 101472096B1 KR 1020130169022 A KR1020130169022 A KR 1020130169022A KR 20130169022 A KR20130169022 A KR 20130169022A KR 101472096 B1 KR101472096 B1 KR 10147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ethyl
imidazolium
methylimidazolium
multifila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신
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30169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0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01F2/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from solutions of cellulose in acids, bases or sal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6We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8Tyre co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1Cut or abrasion resistant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46Tyre cor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 D10B2505/02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for ty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7/00Textiles: spinning, twisting, and twining
    • Y10S57/902Reinforcing or tyre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사의 힘-변형곡선을 조절함으로써 산업용 섬유, 바람직하게는 타이어 코드용 섬유에 적합한 고강력, 고모듈러스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사에 관한 것으로, (a) 상온 상태에서 측정된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가 1.0g/d의 초기 강력에 처해졌을 때 2% 미만 신장하며, 100 내지 400g/d의 초기 모듈러스 값을 가지고, (b) 3.0g/d의 강력에 처해졌을 때 4 내지 12% 신장하며; (c) 최소 6.5g/d의 인장강도로부터 사가 절단될 때까지 신장하는, 힘-변위 프로필을 갖는 모노필라멘트의 집합체로 구성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는 산업용 및 특히 타이어 코드용 섬유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Cellulose multi-filament using ionic liquid}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사의 힘-변형곡선을 조절함으로서 산업용 섬유, 바람직하게는 타이어 코드용 섬유에 적합한 고강력, 고모듈러스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를 이온성 액체에 용해시켜 적합하게 설계된 방사노즐을 이용하여 타이어코드용으로 적합한 우수한 물성을 갖는 타이어 코드용 셀룰로오스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타이어 내부를 이루고 있는 골격으로 타이어 코드가 다량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타이어 형태 유지나 승차감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코드 소재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라미드, 레이온 및 스틸까지 여러 종류가 있지만, 타이어 코드에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기능을 완전히 만족시키지는 못한다. 이러한 타이어 코드 소재에 필요한 기본 성능으로는 (1) 강도, 초기 모듈러스가 큰 것 (2) 내열성이 있고, 건·습열에서 취화되지 않을 것 (3) 내피로성 (4) 형태안정성 (5) 고무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각 코드 소재의 고유물성에 따라 그 용도를 정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 레이온 타이어 코드의 가장 큰 장점은 내열성과 형태안정성이며 고온에서도 탄성계수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낮은 수축률과 우수한 형태안정성 때문에 승용차 등의 고속주행용 래디얼 타이어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레이온 타이어 코드는 강도 및 모듈러스가 낮고 흡습하기 쉬운 화학적, 물리적 구조로 인해 흡습에 따른 강력저하가 나타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5,942,327에 따르면, 약 78wt%의 NMMO에 셀룰로오스를 팽윤시킨 후, 증류과정을 통해 용해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여 에어갭(air-gap)의 온도와 노즐 오리피스 지름을 변화시키면서, 또한 NH4Cl이나 CaCl2등의 첨가제를 넣은 응고욕 온도에 따라서 강도와 신도에 변화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 때 노즐 orifice의 직경은 130, 200㎛로 변화시켜 제조하였다. 그러나 낮은 연신배향으로 신도는 9.0~13.0%정도로 높은 편이나 강도는 최대 6.0g/d 정도로 타이어 코드용 필라멘트로 사용하기에는 힘든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비스코스 레이온 타이어 코드가 가지는 낮은 강도와 낮은 초기 모듈러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온성 액체를 용매로 사용하여 직접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의 방사, 수세, 인터레이싱, 및 건조 조건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산업용 특히 타이어 코드용으로 적합한 힘-변형곡선을 갖는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 및 그 집합체로 구성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온성 액체에 의해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방사 노즐 orifice 직경 등 방사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비스코스 레이온이 가지는 낮은 강도와 낮은 초기 모듈러스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상온에서 방치된 상태에서 측정된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가 1g/d의 초기 강력에 처해졌을 때 2% 미만 신장하며, 100 내지 400g/d의 초기 모듈러스 값을 가지고, (b) 3.0g/d의 강력에 처해졌을 때 4 내지 12% 신장하며; (c) 최소 6.5g/d의 인장강도로부터 사가 절단될 때까지 신장하는, 힘-변위 프로필을 갖는 모노필라멘트의 집합체로 구성된 고강도, 고모듈러스 타이어 코드용 셀룰로오스 필라멘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셀룰로오스를 이온성 액체에 용해시켜 방사원액(Dope)을 제조하는 단계; ii) 직경 70 내지 300㎛이고, 길이는 140 내지 2,400㎛인 오리피스로서, 직경과 길이의 비(L/D)가 2 내지 8배이고, 오리피스간 간격은 1.0 내지 6.0㎜인 오리피스를 포함한 방사노즐을 통해 상기 방사원액을 압출방사하여, 섬유 상의 방사원액이 공기층을 통과하여 응고욕에 도달하도록 한 후, 이를 응고시켜 멀티 필라멘트를 수득하는 단계; iii) 수득된 멀티 필라멘트를 수세욕으로 도입하여 이를 수세하는 단계; iv) 상기 수세욕을 통과하여 수세가 완료된 상기 필라멘트가 유제처리장치 후방의 인터레이스 노즐을 통과하면서 유제 분산을 촉진시키고 교락이 부여되는 단계; v)상기 인터레이스 노즐에 의해 교락이 부여된 필라멘트가 건조 및 권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되는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층의 길이는 10 내지 300mm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고욕의 온도는 0 내지 3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터레이스는 0.5 내지 4.0kg/cm2사이의 공기압력을 유지하여 필라멘트의 미터당 교락의 수를 2 내지 40회로 하여 집속성을 향상시키고 원사의 내부구조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는, (a) 상온에서 방치된 상태에서 측정된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가 1g/d의 초기 강력에 처해졌을 때 2% 미만 신장하며, 100 내지 400g/d의 초기 모듈러스 값을 가지고, (b) 3.0g/d의 강력에 처해졌을 때 4 내지 12% 신장하며; (c) 최소 6.5g/d의 인장강도로부터 사가 절단될 때까지 신장하는, 힘-변위 프로필을 가지게 되며, 이렇게 하여 기존의 비스코스 레이온이 가지고 있던 낮은 강도와 낮은 초기 모듈러스의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우수한 치수안정성과 내열성을 가지는 셀룰로오스 타이어 코드 및 그와 유사한 산업용 셀룰로오스 필라멘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이어 코드용 고강도 셀룰로오스 필라멘트 제조를 위한 방사공정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과 같은 셀룰로오스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셀룰로오스의 순도가 높은 펄프를 사용해야 하며, 고품질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α-셀룰로오스 함량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중합도가 높은 셀룰로오스 분자를 사용하여 고배향구조 및 고결정화를 시킴으로써 높은 강도와 높은 초기 모듈러스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셀룰로오스는 DP 1,200, α-셀룰로오스함량 95%이상인 soft wood pulp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온성 액체는 디부틸 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Dibutyl imidazolium acetate), 디펜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Dipentylimidazolium acetate), 디헥실 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Dihexyl imidazolium acetate), 디프로필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 (Dipropylimidazolium octanoate), 디부틸 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 (Dibutyl imidazolium oct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헵타노에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pt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 (1-Ethyl-3-methylimidazolium oct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노나노에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non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데카노에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dec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운데카노에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undec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도데카노에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dodec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에틸 인산염 (l-Ethyl-3-methyl immidazolium diethyl phosphate), 디에틸 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 (Diethyl imidazolium oct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acetate), 그리고 1-데실-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1-Decyl-3-methyl imidazolium acetate) 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셀룰로오스는 나무 펄프,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린터, 면 및 종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셀룰로오스를 이온성 액체에 용해시켰다. 이상과 같은 셀룰로오스 용액을 오리피스 직경이 70~300μm, 오리피스 길이는 140~2,400μm로서 오리피스 직경과 길이의 비가 2~8배 정도인 노즐을 통하여 방사한 후, 도 1에 나타낸 공정을 통해서 셀룰로오스 필라멘트를 얻을 수 있다. 도 1과 같은 공정을 통한 셀룰로오스 필라멘트를 생산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며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사노즐(1)로부터 압출된 용액은 수직 방향으로 에어 갭(air gap)을 통과하고 응고욕(2)에서 응고된다. 이때 에어 갭은 치밀하고 균일한 섬유를 얻기 위해서, 또 원활한 냉각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약 10~300mm의 범위 내에서 방사가 이루어진다.
이후, 응고욕(2)를 통과한 필라멘트는 수세조(3)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응고욕(2)과 수세조(3)의 온도는 급격한 탈용매로 인한 섬유조직 내의 공극(pore) 등의 형성으로 인한 물성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0~30℃ 정도로 유지 관리된다.
그리고, 수세조(2)를 통과한 섬유는 수분 제거를 위해 스퀴징 롤러(4)를 통과한 후, 1차 유제처리장치(5)를 통과한다. 여기서 얻어진 필라멘트사는 스퀴징 롤러(4)와 1차 유제처리장치(5)의 효과로 인해 높은 편평성을 가지며, 유제와 수분을 함께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편평성을 개선하여 집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터레이스 노즐(6)을 통과하였다. 이때, 공기 압력은 0.5~4.0kg/cm2로 공급하였으며 필라멘트의 미터당 교락의 수를 2~40회로 하였다.
이후, 인터레이스 노즐(6)을 통과한 필라멘트사는 건조장치(7)를 거치면서 건조되어진다. 이때, 건조 온도와 건조 방식 등은 필라멘트의 후공정 및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공정수분률이 약 7~13%가 될 수 있도록 건조 온도를 조절하였다.
그리고, 건조장치(7)를 통과한 필라멘트는 2차 유제처리장치(8)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권취기(9)에서 권취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방사, 응고, 수세, 인터레이스, 건조, 권취 공정을 통과한 필라멘트는 타이어 코드를 포함한 산업재용 및 의류용 필라멘트 원사로서 제공되어진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셀룰로오스 용액 및 필라멘트 등의 특성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a) 중합도
용해한 셀룰로오스의 고유점도[I.V.]는 우베로드점도계를 이용하여 ASTM D539-51T에 따라 만들어진 0.5M 큐프리에틸렌디아민 히드록사이드용액으로 25±0.01℃에서 0.1 내지 0.6 g/dl의 농도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고유점도는 비점도를 농도에 따라 외삽하여 구하며 이를 마크-호우윙크의 식에 대입하여 중합도를 구한다.
[I.V.] = 0.98×10-2DPw 0 .9
(b) 필라멘트 점착
필라멘트 원사를 1M단위로 자르고 그 중 0.1M만 절취하는 방법으로 5개의 시료를 만든 후 107℃로 2시간 무하중상태에서 건조한 다음 Image Analyser를 통해 유관으로 필라멘트의 점착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한가닥이라도 점착된 경우 ' fail(F) ', 그렇지 않은 경우 ' pass (P) '로 판정한다.
(c) 강도(g/d) 및 초기 모듈러스(g/d)
25℃, 65RH%에 24시간 방치한 다음 렌징사의 모노 필라멘트 인장시험기 Vibrojet 2000을 이용하여 초하중 100mg을 가한 후, 시료장 20mm, 인장속도 20mm/min로 측정한다. 초기 모듈러스는 항복점 이전의 그래프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7]
중합도(DPw)가 1200(α-셀룰로오스 함량; 97%)인 펄프와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로 제조된 셀룰로오스 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때 셀룰로오스의 농도는 9~14%로 하였고, Orifice 수를 1,000개로 하였으며, orifice 직경은 120~200μm까지 변화시켜 사용하였다. orifice 직경과 길이의 비(L/D)가 4 내지 8, 외경 100mmΦ인 방사노즐로부터 토출된 용액은 에어 갭 30~100mm의 길이를 가지며 냉각되었고, 방사 속도는 90~150m/min으로 변화시켜서 행하였으며, 최종 필라멘트 섬도가 1,500데니어가 되도록 하였다. 응고액 온도는 0~30℃, 농도는 물 80%,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20%로 조정하였으며, 응고액의 온도와 농도는 굴절계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monitor하였다. 응고욕을 빠져나온 필라멘트는 잔존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를 수세공정을 통해 제거하고, 1차 유제처리장치 후에 인터레이스 노즐을 사용하여 공기 압력을 0.5~4.0kg/cm2으로 변화시켰으며, 건조 후 2차 유제처리를 하여 권취하였다. 권취한 원사 필라멘트의 OPU는 0.3~0.8%로 조절하였다. 이때의 방사 조건 및 변수들을 표 1에 나타내었고, 제조된 원사의 모노 필라멘트 물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대신 N-메틸모르폴린-N-옥사이드(NMMO)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시료 조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1
셀룰로오스 중합도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셀룰로오스 농도(%) 13.0 13.0 13.0 13.0 13.0 13.0 10.0 13.0
오리피스 직경(μm) 120 150 200 150 150 150 150 120
방사속도 (mpm) 150 150 150 90 110 130 150 150
섬도 1510 1520 1505 1530 1510 1510 1500 1500
시료 조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1
점착성 P P P P P P P P
강도 (g/d) 7.1 8.1 7.0 7.3 7.7 7.6 7.0 6.3
3.0g/d에서의 신도(%) 6.5 5.0 6.7 6.0 5.9 5.8 6.7 1.5
절단신도 (%) 12.3 12.8 12.4 12.9 13.0 13.1 12.6 14.0
초기 모듈러스 (g/d) 300 320 280 290 295 280 270 290
표 2의 실시예 1 내지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셀룰로오스 필라멘트는, 270 내지 320g/d의 초기 모듈러스 값을 가지고, 7.0g/d 이상의 높은 강도를 갖게 되며, 이렇게 하여 기존의 비스코스 레이온이 가지고 있던 낮은 강도와 낮은 초기 모듈러스의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우수한 치수안정성과 내열성을 가지는 셀룰로오스 타이어 코드를 제공한다.

Claims (13)

  1. (a) 상온 상태에서 측정된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가 1g/d의 초기 강력에 처해졌을 때 2% 미만 신장하며, 100 내지 400g/d의 초기 모듈러스 값을 가지고,
    (b) 3.0g/d의 강력에 처해졌을 때 4 내지 12% 신장하며,
    (c) 최소 6.5g/d의 인장강도로부터 사가 절단될 때까지 신장하는, 힘-변위 프로필을 갖는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
  2. 제 1항의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가 50 개 내지 5000개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는 초기 모듈러스 값이 100 내지 350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는 인장강도 값이 4.0 내지 9.0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는 절단신도 값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7. 제 2항의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를 연사기로 연사하여 생코드를 제조한 후 이를 제직하여 딥핑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셀룰로오스 타이어 코드지.
  8. 제 7항의 셀룰로오스 타이어 코드지를 포함하는 타이어.
  9. 제 7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타이어 코드지를 카카스부에 적용한 타이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는
    (A) 이온성 액체에 셀룰로오스가 용해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셀룰로오스 용액을 방사노즐을 통해 압출 방사한 후, 공기층을 통과하여 응고욕에 도달한 후 이를 응고시켜 멀티필라멘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디부틸 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Dibutyl imidazolium acetate), 디펜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Dipentylimidazolium acetate), 디헥실 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Dihexyl imidazolium acetate), 디프로필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 (Dipropylimidazolium octanoate), 디부틸 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 (Dibutyl imidazolium oct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헵타노에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pt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 (1-Ethyl-3-methylimidazolium oct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노나노에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non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데카노에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dec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운데카노에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undec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도데카노에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dodec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에틸 인산염 (l-Ethyl-3-methyl immidazolium diethyl phosphate), 디에틸 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 (Diethyl imidazolium octano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1-Ethyl-3-methyl imidazolium acetate), 그리고 1-데실-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1-Decyl-3-methyl imidazolium acetate) 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셀룰로오스 용액의 셀룰로오스 농도는 6%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나무 펄프,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린터, 면 및 종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모노 필라멘트.
KR1020130169022A 2013-12-31 2013-12-31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47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22A KR101472096B1 (ko) 2013-12-31 2013-12-31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22A KR101472096B1 (ko) 2013-12-31 2013-12-31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096B1 true KR101472096B1 (ko) 2014-12-15

Family

ID=5267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0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2096B1 (ko) 2013-12-31 2013-12-31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0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9548B2 (en) 2017-11-24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15838976A (zh) * 2022-12-07 2023-03-24 郑州中远氨纶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高抱合力氨纶复丝及其生产方法
CN116791225A (zh) * 2023-06-25 2023-09-22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超韧纤维素气凝胶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670B1 (ko) * 2006-04-27 2007-01-25 주식회사 효성 고무보강용 셀룰로오스 생코드
KR100721443B1 (ko) * 2006-04-27 2007-05-23 주식회사 효성 고무보강용 셀룰로오스 열처리 코드
CN102154720A (zh) * 2010-12-21 2011-08-17 天津工业大学 一种纤维素纤维的制备方法
WO2012108390A1 (ja) * 2011-02-07 2012-08-16 日東紡績株式会社 セルロース繊維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670B1 (ko) * 2006-04-27 2007-01-25 주식회사 효성 고무보강용 셀룰로오스 생코드
KR100721443B1 (ko) * 2006-04-27 2007-05-23 주식회사 효성 고무보강용 셀룰로오스 열처리 코드
CN102154720A (zh) * 2010-12-21 2011-08-17 天津工业大学 一种纤维素纤维的制备方法
WO2012108390A1 (ja) * 2011-02-07 2012-08-16 日東紡績株式会社 セルロース繊維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9548B2 (en) 2017-11-24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11218938B2 (en) 2017-11-24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12192843B2 (en) 2017-11-24 2025-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4G and 5G communication based on temperature
CN115838976A (zh) * 2022-12-07 2023-03-24 郑州中远氨纶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高抱合力氨纶复丝及其生产方法
CN116791225A (zh) * 2023-06-25 2023-09-22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超韧纤维素气凝胶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5001789A1 (zh) * 2023-06-25 2025-01-02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超韧纤维素气凝胶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604B1 (ko) 라이오셀 멀티 필라멘트
US6852413B2 (en) Lyocell multi-filament for tire cor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721443B1 (ko) 고무보강용 셀룰로오스 열처리 코드
US6159601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ellulosic fibers; and cellulosic fibers
KR101205940B1 (ko) 라이오셀 번들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KR100674670B1 (ko) 고무보강용 셀룰로오스 생코드
US20100154377A1 (en) Cellulose-based filament for tire cord, a bundle comprising the same, a twisted yarn comprising the same, and a tire cord comprising the same
KR100486812B1 (ko) 타이어 코드용 라이오셀 멀티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2096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JP2025518320A (ja) 三酢酸セルロース繊維を製造するための、ジクロロメタン非含有プロセス
KR100807367B1 (ko) 라이오셀 가교 코드 및 제조방법
KR100618401B1 (ko) 선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0899B1 (ko) 타이어 코오드용 필라멘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필라멘트 번들
KR100630265B1 (ko) 라이오셀 가교섬유 및 제조방법
KR101638505B1 (ko) 셀룰로오스섬유를 포함하는 토목구조물용 직물의 제조방법
KR100486816B1 (ko) 강력 이용률이 우수한 라이오셀 멀티 필라멘트 제조 방법
KR101205947B1 (ko) 셀룰로오스계 타이어 코오드
CN111041625A (zh) 一种胶管用浸胶维纶线
CA2511030C (en) Lyocell multi-filament for tire cor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20072858A (ko) 용매 잔존량이 낮은 고강력 라이오셀 섬유의 수세 방법
KR20050041002A (ko) 고강력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KR20110060312A (ko) 라이오셀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라이오셀 필라멘트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KR20120073963A (ko) 라이오셀 섬유의 물성 개선을 위한 알코올계 응고액
KR20090026105A (ko) 라이오셀 필라멘트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