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622B1 -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1622B1 KR101461622B1 KR1020130078227A KR20130078227A KR101461622B1 KR 101461622 B1 KR101461622 B1 KR 101461622B1 KR 1020130078227 A KR1020130078227 A KR 1020130078227A KR 20130078227 A KR20130078227 A KR 20130078227A KR 101461622 B1 KR101461622 B1 KR 101461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se
- pulse rate
- band
- exercis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612 cardiopulmona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932 little fing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526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532 heart rat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321 radial arter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6010042434 Sudden d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11 Cerebr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7 arte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는, 본체케이스와, 본체케이스의 일단으로 연장되는 제1 밴드와, 본체케이스의 타단으로 연장되는 제2 밴드를 포함하여 손목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시계형 케이싱부; 제1 밴드 또는 제2 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밴드에 내장되며, 착용시 손목에 밀착되어 노동맥에서 발생되는 맥박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감지되는 맥박을 분당 맥박수로 실시간 산출하여 실시간 맥박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박수 데이터 생성단과, 실시간 맥박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맥박수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준 맥박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맥박알림 제어신호 생성단을 포함하는 맥박알림 제어부; 실시간 맥박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 맥박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준 맥박수를 벗어난 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소리 또는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맥박상태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가 손목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맥박알림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의 블록도이다.
11 : 노동맥
110 : 시계형 케이싱부
111 : 본체케이스
112 : 제1 밴드
113 : 제2 밴드
120 : 진동 감지부
121 : 제1 진동 센서
122 : 제2 진동 센서
130 : 맥박알림 제어부
131 : 제1 노이즈 제거단
132 : 제2 노이즈 제거단
133 : 맥박수 데이터 생성단
134 : 맥박알림 제어신호 생선단
135 : 나이 입력단
136 : 운동최대 맥박수 산출단
137 : 운동모드 선택단
138 : 기준 맥박수 범위 선택단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맥박상태 알림부
160 : 무선 통신부
200 : 스마트폰
Claims (5)
-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단으로 연장되는 제1 밴드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타단으로 연장되는 제2 밴드를 포함하여 손목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시계형 케이싱부;
상기 제1 밴드 또는 상기 제2 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밴드에 내장되며, 착용시 손목에 밀착되어 노동맥에서 발생되는 맥박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감지되는 상기 맥박을 분당 맥박수로 실시간 산출하여 실시간 맥박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박수 데이터 생성단과, 상기 실시간 맥박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맥박수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 맥박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맥박알림 제어신호 생성단을 포함하는 맥박알림 제어부;
상기 실시간 맥박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 맥박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준 맥박수를 벗어난 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소리 또는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맥박상태 알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감지부는,
상기 제1 밴드에 내장되고 플렉시블 압전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진동 센서와, 상기 제2 밴드에 내장되고 플렉시블 압전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진동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시계형 케이싱부의,
상기 제1 밴드는 손목의 노동맥 상에 밀착되도록 엄지손가락 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밴드는 새끼손가락 쪽에 마련되되, 상기 제2 진동 센서가 상기 노동맥의 맥박을 센싱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밴드가 상기 제1 밴드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맥박알림 제어부는,
상기 제1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진동을 맥박 신호로 판단하되, 상기 제2 진동 센서에서 진동이 감지될 때 동일 시점에서 상기 제1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진동을 제1 노이즈 신호로 판단하여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 노이즈 제거단과,
상기 맥박 신호의 피크치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 상기 피크치의 평균값으로부터 상하 일정 범위를 기준 맥박 피크치 범위로 설정하여, 상기 맥박 신호의 피크치가 상기 기준 맥박 피크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노이즈 신호로 판단하여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노이즈 제거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박알림 제어부는,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나이 입력단과,
상기 나이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시 최대 맥박수를 산출하는 운동최대 맥박수 산출단과,
유산소운동모드 또는 심폐지구력강화운동모드를 선택하는 운동모드 선택단과,
상기 운동모드 선택단에서 유산소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운동최대 맥박수의 60%인 맥박수를 제1 기준 맥박수로 설정하고, 상기 운동최대 맥박수의 80%인 맥박수를 제2 기준 맥박수로 설정하여, 상기 제1 기준 맥박수로부터 상기 제2 기준 맥박수까지 기준 맥박수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 맥박수 범위 선택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맥박수 범위 선택단은, 상기 운동모드 선택단에서 심폐지구력강화운동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운동최대 맥박수의 80%인 맥박수를 제3 기준 맥박수로 설정하고, 상기 운동최대 맥박수를 제4 기준 맥박수로 설정하여, 상기 제3 기준 맥박수로부터 상기 제4 기준 맥박수까지 기준 맥박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실시간 맥박수 데이터 및 상기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맥박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8227A KR101461622B1 (ko) | 2013-07-04 | 2013-07-04 |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8227A KR101461622B1 (ko) | 2013-07-04 | 2013-07-04 |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1622B1 true KR101461622B1 (ko) | 2014-11-20 |
Family
ID=5229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82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1622B1 (ko) | 2013-07-04 | 2013-07-04 |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162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5429A (ko) | 2017-01-19 | 2018-07-27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
KR102048159B1 (ko) | 2018-11-05 | 2019-11-22 | 전욱 |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1164A (ja) * | 1998-08-07 | 2000-02-22 | Seiko Instruments Inc | 脈波検出装置 |
KR20080043545A (ko) * | 2006-11-14 | 2008-05-19 | 이상규 | 휴대용 맥진기 및 그 맥진방법 |
KR20100049862A (ko) * | 2008-11-04 | 2010-05-13 | 한국전기연구원 | 위급 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
2013
- 2013-07-04 KR KR1020130078227A patent/KR10146162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1164A (ja) * | 1998-08-07 | 2000-02-22 | Seiko Instruments Inc | 脈波検出装置 |
KR20080043545A (ko) * | 2006-11-14 | 2008-05-19 | 이상규 | 휴대용 맥진기 및 그 맥진방법 |
KR20100049862A (ko) * | 2008-11-04 | 2010-05-13 | 한국전기연구원 | 위급 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5429A (ko) | 2017-01-19 | 2018-07-27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
KR102048159B1 (ko) | 2018-11-05 | 2019-11-22 | 전욱 |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17308B2 (en) |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heart rate during motion | |
US11298036B2 (en) | Wearable device including PPG and inertial sensors for assessing physical activity and biometric parameters | |
CN107260142B (zh) | 利用惯性频率减少生理指标误差 | |
JP6516846B2 (ja) | 睡眠監視のデバイス及び方法 | |
US20090082681A1 (en) |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JP5310542B2 (ja) | 運動状態検出装置、運動状態検出プログラム、運動状態検出方法 | |
KR101352479B1 (ko) | 심박수 및 맥박수의 측정을 통한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 |
EP2229880A1 (en) | Headband integrated monitoring unit using an accelerometer | |
JP5760351B2 (ja) | 睡眠評価装置、睡眠評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06572804A (zh) | 用于使用声学信号来测量血压的方法和装置 | |
CN114983372B (zh) | 一种可穿戴运动设备及其数据检测方法、装置及介质 | |
US20170014041A1 (en) | Simple heart rate monitor showing minutes below, in, and above a heart rate zone | |
KR101461622B1 (ko) |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 |
TWI546051B (zh) | 偵測心臟狀態的方法、監測運動時之心臟狀態的方法以及監測心臟狀態的裝置 | |
JP2014132934A (ja) | 計測装置および計測方法 | |
JP2014057622A (ja) | 波形データ処理装置、波形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WO201113211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r assess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of a subject | |
WO2012093397A2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energy expenditure measurement | |
JP6066451B2 (ja) | 生体情報検出装置及び生体情報検出方法、生体情報検出プログラム | |
US11992336B2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biofeedback | |
JP2016067481A (ja) | 生体情報検出装置 | |
KR20190091880A (ko) | 경고 기능을 가지는 웨어러블 심박수 측정 장치 | |
TWM477869U (zh) | 無線心跳率監控系統 | |
WO2017109909A1 (ja) | 電子機器及び身体状況判定プログラム | |
JP2002336209A (ja) | 運動強度検出装置、生体負荷検出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