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3127B1 -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127B1
KR101453127B1 KR1020100093118A KR20100093118A KR101453127B1 KR 101453127 B1 KR101453127 B1 KR 101453127B1 KR 1020100093118 A KR1020100093118 A KR 1020100093118A KR 20100093118 A KR20100093118 A KR 20100093118A KR 101453127 B1 KR101453127 B1 KR 10145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block copolymer
styrene
conjugated diene
aromatic hydrocarb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633A (ko
Inventor
김진영
서유석
윤병훈
전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9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1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1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유황과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 아스팔트 개질제 및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에 따르면, 아스팔트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조성물과 아스팔트 중량대비 10% 이상의 다량의 유황을 포함하는, 겔 발생이 방지되고 연화점, 저온신도, 탄성회복률이 우수한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Modified asphal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modified asphalt}
본 발명은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팔트와 아스팔트 개질제인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2종 또는 그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이 다량의 유황과 함께 포함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이며, 다량의 유황 첨가에 의한 겔 발생이 방지되고 아스팔트의 물성이 개선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는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재료로 사용되며 주로 도로포장에 사용되고, 골재와 골재를 잘 부착하게 하는 바인더 역할을 한다. 일반 아스팔트는 고온에서의 소성 변형 및 저온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사용 가능한 온도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아스팔트 개질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스팔트 개질제로서 주로 고분자 화합물, 특히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같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사용이 고온 및 저온 물성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스팔트에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첨가할 경우 아스팔트와 공중합체간의 친화력이 적기 때문에 개질 아스팔트는 불균일한 상으로 분리된다. 아스팔트에 첨가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양은 매우 적기 때문에 공중합체의 분산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질 아스팔트에 5% 미만의 소량으로 유황을 첨가하여 아스팔트와 공중합체의 친화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으며 상분리 안정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개질 아스팔트에 10중량% 이상의 다량의 유황을 사용할 경우는 겔이 형성되어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바인더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반 아스팔트에 다량의 유황을 첨가할 경우 유황이 아스팔트에 비해 가격이 싸기 때문에 원가절감의 측면에서 다량의 유황을 첨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개질 아스팔트에 비해 물성이 낮아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개질 아스팔트에 다량의 유황이 첨가되어도 겔이 형성되지 않고 물성을 향상시키는 아스팔트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하기와 같다.
미국특허번호 제4,412,019호는 겔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소화 처리를 한 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서 유황을 아스팔트 중량 대비 0 ~ 20% 첨가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번호 제5,756,566호는 겔이 형성되지 않는 아스팔트-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서 아스팔트 중량대비 0.1~5%의 겔 방지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개질 아스팔트에 다량의 유황을 첨가했을 경우 겔 방지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이 더욱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질 아스팔트에 다량의 유황을 함유하면서도 개질 아스팔트의 겔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화점, 점도, 저온신도, 탄성회복률과 같은 아스팔트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 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질 아스팔트의 개질제로 2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공액디엔 구조를 갖는 2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과 같이 2종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아스팔트와 혼합하여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다량의 황을 첨가하더라도 겔 형성이 방지되고 연화점, 점도, 저온신도 및 탄성회복률이 우수한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에 다량의 황을 첨가할 경우 황에 의해서 가교가 일어나게 되고 겔이 형성된다. 하지만 이소프렌 고분자와 같은 구조를 포함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소량의 황을 첨가할 경우 또는 특정 온도 및 농도 조건하에서 겔 형성이 지연된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다량의 황이 첨가되더라도 겔 형성이 방지되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공액디엔 구조를 갖는 2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를 제공한다.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이 비닐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인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이다.
또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0g/mol인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이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4-(p-메틸페닐)스티렌, 1-비닐-5-헥실나프탈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며, 상기 공액디엔은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리렌, 3-부틸-1,3-옥타디엔, 이소프렌, 2-페닐-1,3-부타디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가 스티렌 또는 메틸스티렌 단량체로 중합되고, 공액디엔은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단량체로 중합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가 스티렌이고, 상기 공액디엔이 1,3-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2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물 총 함량 중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아스팔트; B) 서로 상이한 공액디엔 구조를 갖는 2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 및 C) 유황;을 포함하여 우리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이며, 상기 유황의 함량은 상기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의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용해시간이 길어져서 완전하게 용해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유황의 함량이 40중량부를 초과하면 겔 발생을 조절할 수 없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는 탄화수소 용매, 개시제인 유기리튬 화합물이 있는 반응기에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및 공액디엔을 첨가하고 단량체의 소모율이 99% 이상일 때까지 중합을 진행한 후 커플링 반응제를 첨가하여 직쇄형 혹은 분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이후, 물 또는 알코올을 첨가하여 고분자의 활성을 제거하여 중합을 종료시킨다. 산화방지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섞는다. 교반하여 균일화된 블록 공중합체 용액은 스팀을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크럼 형태의 블록 공중합체를 얻는다. 그 후 탈수와 건조를 거쳐서 잔존하는 용매와 수분을 제거한다.
탄화수소 용매는 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헵탄, 벤젠, 나프탈렌, 톨루엔, 크실렌, 펜탄, 헥산, 헵탄 및 옥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리튬 화합물은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메틸리튬, 에틸리튬, 이소프로필리튬, 사이클로헥실리튬, 알릴리튬, 비닐리튬, 페닐리튬 및 벤질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플링 반응제는 지방족 카복실산, 방향족 카복실산, 지방족 염화실란, 방향족 염화실란 및 사염화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산화방지제는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피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피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제조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고속 전단 믹서기와 저속 전단 믹서기로 아스팔트와 배합하여 개질 아스팔트를 얻는다.
아스팔트의 배합과정은 다음과 같다.
아스팔트를 1L 용기에 넣고 고속 전단 믹서기에서 온도는 180℃, 교반 속도는 2000rpm으로 유지하다가 정량의 블록 공중합체를 넣는다. 그 다음 교반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3000rpm을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 다음 아스팔트와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130℃로 식힌 뒤, 저속 전단 믹서기에서 교반을 수행한다. 저속 전단 믹서기의 온도는 130℃, 교반 속도는 250rpm으로 유지하고 다량의 유황을 첨가한 뒤 30분 동안 교반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개질 아스팔트로 연화점, 점도, 저온신도, 탄성회복률을 측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삼중 블록 공중합체 제조
질소로 치환된 10L 내압 반응기에 정제된 시클로헥산 4560g과 스티렌 279g을 주입한 후 60℃로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n-부틸리튬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스티렌을 중합하였다. 중합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한 후 5분 후에 부타디엔 621g을 주입하여 상기 중합된 스티렌 블록 말단에 부타디엔 블록을 생성하였다. 부타디엔 중합 완료 후 이염화이메틸실란을 투여하여 커플링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중합용액에 물 0.3g을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종결하였고, 산화방지제인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트리스(노닐페닐)포스피트를 16g 첨가하여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무게 조성비가 31:69인 선형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상기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를 고성능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검출기는 Waters 2414 굴절율 검출기를 사용하였고, 칼럼 온도는 38℃, 용매는 THF이다. 측정결과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120,000g/mol이고, 스티렌 블록 함량이 31%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얻었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제조
질소로 치환된 10L 내압 반응기에 정제된 시클로헥산 4592g과 스티렌 275g을 주입한 후 60℃로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n-부틸리튬을 32g 반응기에 투입하여 스티렌을 중합하였다. 중합 온도가 최고온도에 도달한 후 5분 후에 이소프렌 609g을 주입하여 상기 중합된 스티렌 블록 말단에 이소프렌 블록을 생성하였다. 이소프렌 중합 완료 후 이염화이메틸실란 7.7g을 투여하여 커플링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중합용액에 물 0.8g을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종결하였고, 산화방지제인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트리스(노닐페닐)포스피트를 16g 첨가하여 스티렌과 이소프렌의 무게 조성비가 31:69인 선형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상기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를 고성능 겔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148,000g/mol이고, 스티렌 블록 함량이 31%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삼중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제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용액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삼중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각각 분산제인 타몰(TAMOL), 칼슘클로라이드가 있는 95℃ 고온의 물에 투입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크럼 형태의 블록 공중합체를 얻은 후, 진공 탈수와 오븐 건조를 거쳐서 잔존하는 용매와 수분을 제거하여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합이 전체 중량대비 2.5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고,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이 1:1이 되도록 하였다. 유황의 함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 조성물(1:1) 16g을 아스팔트 500g과 고속 전단 믹서기로 1시간 동안 배합하고 130℃로 식힌 뒤, 저속 전단 믹서기에서 다량의 유황 첨가와 함께 30분간 배합하여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아스팔트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 함량이 16%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수평균 분자량: 106,000g/mol)의 혼합 조성물에 첨가된 유황의 함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가 되도록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첨가 단계를 생략하고 아스팔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유황만을 첨가하여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아스팔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5중량부 및 유황 20중량부를 첨가하여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이 2:1이 되도록 혼합하여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이 3:2가 되도록 혼합하여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시험예
제조된 개질 아스팔트의 연화점, 점도, 저온신도, 탄성회복률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아스팔트는 연화점이 45.4℃, 135℃ 점도 452.5 cPs, 침입도 71mm인 AP5 등급의 제품이다.
아스팔트 물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연화점: KS M 2250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점도: Brookfield DV1+ Model을 사용하여 스핀들 31의 조건으로 ASTM 4402에 따라 측정하였다.
(3) 저온신도: 5℃, 10℃에서 시편을 1시간 동안 방치 후 ASTM 113에 따라 측정하였다.
(4) 탄성회복률: 10℃에서 시편을 1시간 동안 방치 후 ASTM D 6083-97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개질 아스팔트 물성 측정결과는 표 1과 같다.

아스팔트 조성물

유황
첨가량
(중량부)

블록공중합체
(중량부)

연화점
(℃)

135℃
점도
(cps)

탄성
회복률
(%)

저온신도(cm)
SBS*
SIS** 5℃ 10℃
실시예 1 20 1.25 1.25 63.2 695 73.5 319.5 724
실시예 2 20 1.25 1.25 71.7 910 75.5 338 617
비교예 1 20 - - 44.1 175 - - -
비교예 2 20 - 2.5 51.1 440 68.5 258 687.5
비교예 3 20 1.67 0.83 88.9 Gel 76.3 301 451
비교예 4 20 1.5 1.0 89.3 Gel 76.8 286 571

* S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 SI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1:1 비율로 적용한 실시예 1 및 2은 연화점, 점도, 저온신도, 탄성회복률의 물성이 블록 공중합체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의 단일 블록 공중합체를 적용한 비교예 2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1:1 비율로 적용한 실시예 1는 겔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아스팔트;
    B) 서로 상이한 공액디엔 구조를 갖는 2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제; 및
    C) 유황;을 포함하되,
    상기 유황의 함량이 상기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에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이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이고, 수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4-(p-메틸페닐)스티렌, 1-비닐-5-헥실나프탈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공액디엔은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리렌, 3-부틸-1,3-옥타디엔, 이소프렌, 2-페닐-1,3-부타디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가 스티렌이고, 상기 공액디엔이 1,3-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물 총 함량 중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13. 제 6항, 제 7항,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스팔트를 교반하는 제1 단계;
    상기 교반물에 서로 상이한 공액디엔 구조를 갖는 2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하는 제2 단계; 및
    교반된 아스팔트와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식힌 다음 교반하면서 유황을 투입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교반은 180 ℃하에 2000 rpm의 교반 속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교반은 3000 rpm 교반 속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교반된 아스팔트와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은 130 ℃로 식힌 다음 교반 조건 250 rpm 하에 교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KR1020100093118A 2010-09-27 2010-09-27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Active KR10145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118A KR101453127B1 (ko) 2010-09-27 2010-09-27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118A KR101453127B1 (ko) 2010-09-27 2010-09-27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633A KR20120031633A (ko) 2012-04-04
KR101453127B1 true KR101453127B1 (ko) 2014-10-27

Family

ID=4613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118A Active KR101453127B1 (ko) 2010-09-27 2010-09-27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124B1 (ko) 2016-11-22 2020-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2133192B1 (ko) * 2018-08-09 2020-07-1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527604B (zh) * 2020-04-22 2024-06-1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沥青改性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8703A (en) * 1992-11-12 1996-09-24 Fina Research, S.A. Bituminous compositions
JPH10168323A (ja) * 1996-12-12 1998-06-23 Sekiyu Sangyo Kasseika Center 改質アスファ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92459B1 (ko) * 2004-07-19 2005-06-02 주식회사 시티오브테크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개질재 칩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0677B1 (ko) * 2006-10-11 2007-02-08 (주)에이알앤씨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 개질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8703A (en) * 1992-11-12 1996-09-24 Fina Research, S.A. Bituminous compositions
JPH10168323A (ja) * 1996-12-12 1998-06-23 Sekiyu Sangyo Kasseika Center 改質アスファ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92459B1 (ko) * 2004-07-19 2005-06-02 주식회사 시티오브테크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개질재 칩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0677B1 (ko) * 2006-10-11 2007-02-08 (주)에이알앤씨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 개질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633A (ko)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355B1 (en) Asphalt modifier and asphalt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1688504B1 (ko) 개질 아스팔트용 첨가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4725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US12305039B2 (en) Asphalt modifier and asphalt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100009799A (ko)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453127B1 (ko)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KR102140125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20110038245A (ko) 아스팔트의 저온물성 개선을 위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244902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2140124B1 (ko)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1140501B1 (ko) 아스팔트 개질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아스팔트조성물
KR20160063980A (ko)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493648B1 (ko) 아스팔트 개질제용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130045305A (ko)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251010B1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522447B1 (ko) 반응성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242313B1 (ko) 열안정성이 개선된 아스팔트 조성물
KR20120012856A (ko) 아스팔트의 열 안정성 개선을 위한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130090728A (ko) 비닐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개질한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5424A (ko) 혼련성이 개선된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742760B1 (ko)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674708B1 (ko) 아스팔트 개질제용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728102B1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241925B1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989807B1 (ko) 개질 아스팔트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4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