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1746B1 - Magnetic contactor - Google Patents

Magnetic cont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746B1
KR101451746B1 KR1020130008805A KR20130008805A KR101451746B1 KR 101451746 B1 KR101451746 B1 KR 101451746B1 KR 1020130008805 A KR1020130008805 A KR 1020130008805A KR 20130008805 A KR20130008805 A KR 20130008805A KR 101451746 B1 KR101451746 B1 KR 10145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electromagnetic contactor
driving unit
re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7619A (en
Inventor
염종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746B1/en
Publication of KR2014009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74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16Form of contacts universal; mod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전자접촉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접촉기의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여 전자접촉기를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접촉기의 온 동작 시에 발생하는 진동 현상을 방지하고 진동 현상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초기 구동 시와 정상 동작 시를 구분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코일의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코어를 구동시키는 영구자석과, 코일의 인입부에 구비되어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는 정류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영구자석에 의한 자기력만큼 코일의 양(동량)을 줄일 수 있어 구동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disclos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 signal is rectified to a DC signal to drive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thereby preventing a vibration phenomenon occurring during the ON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reducing the noise caused by the vibration phenomen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llowing a current to flow between an initial drive operation and a normal operation operation by using a plurality of coils. A permanent magnet for driving the core, and a rectifying circuit provided in a lead-in portion of the coil for converting the alternating current into direct current, whereby the amount of coils can be reduced by the magnetic force by the permanent magnet, Can be reduced.

Description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사용량을 저감하여 구동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직류 및 교류 전원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coil used to reduce electric power consumed during driving and being usable in both DC and AC power sources.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주전원과 부하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의 일종이다. 전자접촉기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를 개폐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Generally,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a type of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main power source and a loa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and a driv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ct portion.

도 1은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접촉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주전원과 부하를 개폐하는 접점부(20)와, 상기 접점부(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ncludes a case 10 for forming a housing space therein, a contact portion 20 provided inside the case 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power source and the load, And a driving unit 30 for driving the unit 20.

상기 접점부(20)는, 예를 들면, 주전원 또는 부하와 연결되는 고정접점(22)과, 상기 고정접점(22)에 대해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24)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20 may include a fixed contact 22 connected to a main power source or a load and a movable contact 24 disposed so as to be contactable with and detachable from the fixed contact 22 .

상기 구동부(30)는, 예를 들면, 상기 가동접점(24)과 연결되는 가동코어(31)와, 상기 가동코어(31)의 일 측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코어(33)와, 상기 가동코어(31)의 둘레에 배치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미도시)과, 상기 가동코어(31)에 탄성력을 가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0 includes a movable core 31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24, a fixed core 33 fixed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core 31, (Not shown) disposed around the movable core 31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and a return spring 35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core 31 and returning the movable core 31 to an initial position.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는, 교류신호로 제어 장치, 제어 회로를 조작하는 경우에, 신호의 세기가 0인 지점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신호의 세기가 0인 지점에서 가동 전자석이 순간적으로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이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교류 신호의 특성으로 인하여, 전자접촉기가 온 동작시에도 떨리는 진동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심하게는 소음으로 이어져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전자접촉기의 온 상태 시, 높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when operating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circuit with the AC signal, a point where the signal intensity is zero occurs periodically, and when the signal intensity is zero,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voltage is turned off and then turned on agai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 signal, the vib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generated even whe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turned on, and the noise can be seriously disturbed to the users. Further, whe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in an on state, it can consume high electric pow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접촉기의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that reduces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reduces power consump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접점부 및 상기 접점부를 개폐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일 영역이 상기 코일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일의 둘레에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와, 상기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의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코어를 이동시키는 영구자석과, 상기 코어에 탄성력을 가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접촉기는, 초기 구동시 상기 코일에 일정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일정 전류보다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구동된다.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contact portion and a driv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ct por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coil including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the coil generating magnetic force, a core having one region movably disposed inside the coil, and a magnetic path provided around the coil to form a magnetic path A permanent magnet for moving the core in cooperation with a magnetic force of the coil when the coil is energized; and a return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core to return the core to an initial positio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driven such that a curr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constant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at the time of initial driving and a current smaller than the constant current flows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는, 상기 초기 구동시 상기 제1 코일을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구동된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configured to cause a current to flow through the first coil during the initial driving, and to be driven to flow current through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fter the lapse of the predetermined tim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을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차단하여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switch for connecting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or for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to form a current path.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브릿지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인입측에 구비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rectifier circuit that includes a bridge diode and is provided at a lead-in side of the coil and converts an alternating current into a direct curren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접촉기의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여 전자접촉기를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접촉기의 온 동작 시에 발생하는 진동 현상을 방지하고 진동 현상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초기 구동 시와 정상 동작 시를 구분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 signal is rectified to a DC signal to drive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thereby preventing a vibration phenomenon occurring during the ON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reducing the noise caused by the vibration phenomenon.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llowing a current to flow between an initial operation and a normal operation by using a plurality of coil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코일의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코어를 구동시키는 영구자석과, 코일의 인입부에 구비되어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는 정류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영구자석에 의한 자기력만큼 코일의 양(동량)을 줄일 수 있어 구동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ermanent magnet for driving a core in cooperation with a magnetic force of a coil and a rectifying circuit provided in a lead-in portion of the coil for converting an alternating current into a direct curr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consumed during driving.

도 1은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일 예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내부를 보인 도;
도 3은 도 2의 전자접촉기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도 2의 코어 및 제1코어플레이트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2의 요크를 보인 도;
도 6은 도 2의 전자접촉기의 코일의 전원 인가 시 영구자석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은 도 5의 전자접촉기의 코일의 전원 인가 후를 도시한 도;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회로구성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re and the first core plate of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the yoke of FIG. 2;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action of the permanent magnets when the coil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Fig. 2 is powered 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FIG. 5; FIG.
8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접점부(120) 및 상기 접점부(120)를 개폐하는 구동부(130)를 구비한다.2 and 3,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part 120 and a driving part 1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ct part 120. As shown in FIG.

상기 구동부(130)는, 제1 코일(L1) 및 제2 코일(L2)을 포함하고,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31)과, 일 영역이 상기 코일(13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어(140)와, 상기 코일(13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150)와, 상기 코일(13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131)의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코어(140)를 이동시키는 영구자석(165)과, 상기 코어(140)에 탄성력을 가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6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130 includes a coil 131 that generates a magnetic force and includes a first coil L1 and a second coil L2 and a coil 131 that is disposed so that one region is movable within the coil 131 A yoke 150 provided around the coil 131 to form a magnetic path and a yoke 150 which cooperates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131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131, A permanent magnet 165 for moving the core 140 and a return spring 167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core 140 and returning the core 140 to an initial position.

상기 전자접촉기는, 초기 구동시 상기 코일에 일정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일정 전류보다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구동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일 수도 있고,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검출된 시간일 수도 있다.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driven such that a curr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constant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at the time of initial driving and a current smaller than the constant current flows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a preset time or a time detected using a timer or the like.

삭제delete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을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차단하여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스위치(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스위치(23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b접점 스위치일 ㅅ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230 connecting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or blocking a connection to form a current path. Here, the switch 23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 b contact switch.

초기 구동시에 제1 코일(L1)은 전자접촉기에 인입되는 전원과 직렬로 연결되고, 저항(R2)도 상기 제1 코일(L1)에 직렬로 연결되되, 제2 코일(L2)은 상기 저항(R2)과 병렬로 연결되어, 제1 코일(L1), 제2 코일(L2) 및 저항(R2)의 합성 저항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스위치(230)를 구동하여 직렬로 연결된 제1 코일(L1) 및 제2 코일(L2)을 상기 저항(R2)와 병렬로 연결하여, 제1 코일(L1), 제2 코일(L2) 및 저항(R2)의 합성 저항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The first coil L1 is connected in series with a power source which is drawn in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the resistor R2 is also connected in series to the first coil L1 while the second coil L2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R2 so that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mbined resistance of the first coil L1, the second coil L2 and the resistor R2.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switch 230 is driven in series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resistor R2 so that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mposite resistance of the first coil L1, the second coil L2 and the resistor R2 Let it flow.

상기 접점부(120) 및 구동부(130)는, 예를 들면,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120 and the driving portion 130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상기 접점부(120) 및 구동부(130)의 외곽에는 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A cas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ct part 120 and the driving part 1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점부(120)의 외곽에는 접점부케이스(111)가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portion case 11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tact portion 120.

상기 구동부(130)의 외곽에는 구동부케이스(112)가 구비될 수 있다.A driving unit case 112 may be provided outside the driving unit 130.

상기 접점부(120)는, 예를 들면 상기 접점부케이스(111)의 내부에 고정배치되는 고정접점(122)과, 상기 고정접점(122)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124)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120 includes a fixed contact 122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ntact case 111 and a movable contact 124 disposed to be connect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xed contact 122, ).

상기 고정접점(122)은 서로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contacts 1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접점(122) 중 일 측 접점(123a)은 주전원에 연결되고, 타 측 접점(123b)은 부하에 연결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ne side contact 123a of the fixed contact 12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ource, and the other side contact 123b may be connected to the load.

상기 가동접점(124)이 상기 고정접점(122)에 접촉되면 상기 주전원과 부하가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가동접점(124)이 상기 고정접점(122)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주전원과 부하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부하의 전원 공급이 중지된다.When the movable contact 124 contacts the fixed contact 122, the main power and the load ar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load. When the movable contact 124 is disconnected from the fixed contact 122, The connection of the load is released and the power supply of the load is stopped.

상기 가동접점(124)은 양 단부가 상기 고정접점(122)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movable contact 124 may be formed such that both end portions thereof can contact the fixed contact 122.

상기 가동접점(124)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점(124)이 상기 고정접점(122)에 접촉 및 분리되게 구동시키는 구동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The movable contact 124 may be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driving unit 130 for driving the movable contact 124 to contact and separate from the fixed contact 122.

상기 구동부(130)는, 예를 들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31); 일 영역이 상기 코일(13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어(140); 상기 코일(13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150); 상기 코일(131)의 전원 인가시 상기 코일(131)의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코어(140)를 이동시키는 영구자석(165); 상기 코어(140)에 탄성력을 가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67); 및 상기 코일(131)의 인입측에 구비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 includes, for example, a coil 131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 core (140) movably disposed within the coil (131); A yoke 150 provided around the coil 131 to form a magnetic path; A permanent magnet (165) for interacting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131) when the power of the coil (131) is applied to move the core (140); A return spring 167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core 140 and returning the core 140 to an initial position; And a rectifying circuit 220 provided at a lead-in side of the coil 131 and converting AC into DC.

상기 코일(131)의 양 단부는 단자(132a,132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coil 131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132a and 132b, respectively.

상기 코일(131)은 상기 영구자석(165)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에 대응되게 상기 코일(131)의 양(턴수 또는 길이)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31)에 인가되는 전류가 저감되어 구동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코일(131)의 발열량이 저감되므로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고온에 의한 부품의 강제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The number of turns (the number of turns or length) of the coil 131 may be reduced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165. As a result,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31 is reduced, and the power consumption during driving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coil 131 is reduced, the temperature rise is suppressed and the forced deterioration of the component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an be suppressed.

또한, 상기 코일(131)의 인입 측에 정류회로(220)가 구비되어 직류 전원뿐만 아니라 교류 전원에서 동작이 가능하여 사용 전원(코일(131)의 구동전원)의 제약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코일(131)의 단자의 극성을 구분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제작(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tifier circuit 220 is provided on the lead-in side of the coil 131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not only the direct current power but also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thereby reducing the restriction of the power source (the driving power of the coil 131). In addition, since the polarity of the terminal of the coil 131 may not be distinguished, manufacture (or assembly) may be facilitated.

상기 코어(140)는 긴 길이를 가지는 막대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re 140 may have a rod shape having a long length.

상기 코어(140)는 자로를 형성할 수 있게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re 14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o as to form a magnetic path.

상기 코어(140)의 일 영역은 상기 코일(131)의 내부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One region of the core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coil 131.

상기 코어(140)의 일 단부는 상기 가동접점(1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어(140)의 이동시 상기 가동접점(124)이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re 140 may be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124. Accordingly, the movable contact 124 can be moved integrally when the core 140 is moved.

상기 코일(131)의 내부에는 보빈(135)이 구비될 수 있다.A bobbin 135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il 131.

상기 보빈(135)의 중앙에는 상기 코어(14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core 140 may be movab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obbin 135.

상기 코일(131)의 외곽에는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150)가 구비될 수 있다.A yoke 150 for forming a magnetic path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il 131.

상기 요크(150)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4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면 접촉되게 결합되는 제1요크(151) 및 제2요크(161)를 구비할 수 있다.4, the yoke 150 may include a first yoke 151 and a second yoke 161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core 140 interposed therebetween, have.

상기 제1요크(151) 및 제2요크(161)는, 수직부(152,162) 및 상기 수직부(152,162)의 양 단부에 수평으로 각각 절곡된 수평부(154,164)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yoke 151 and the second yoke 161 may have vertical portions 152 and 162 and horizontal portions 154 and 164 respectively bent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ortions 152 and 162.

상기 제1요크(151) 및 제2요크(161)는 대략 "U" 형상으로 각각 구성되어 상호 대면 접촉시 대략 직사각 단면의 폐루프 자로를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yoke 151 and the second yoke 161 are each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d configuration and can constitute a closed loop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when facing each other.

상기 제1요크(151) 및 제2요크(161)이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코어(140)를 수용할 수 있게 코어수용부(15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core receiving portion 156 may be formed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yoke 151 and the second yoke 161 to accommodate the core 140.

상기 제1요크(151) 및 제2요크(161)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복귀스프링(167)을 수용할 수 있게 복귀스프링수용부(158)가 형성될 수 있다.A return spring receiving portion 158 may be formed in the mutual contact area of the first yoke 151 and the second yoke 161 to receive the return spring 167.

상기 코어(140)에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플레이트(17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re 140 may be provided with a core plate 170 that forms a magnetic path.

상기 코어플레이트(170)는, 예를 들면, 상기 코어(140)의 일 단에 구비되는 제1코어플레이트(171) 및 타 단에 구비되는 제2코어플레이트(181)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re plate 170 may include a first core plate 171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re 140 and a second core plate 181 provided at the other end.

예를 들면, 상기 제1코어플레이트(171)는 상기 코어(140)의 하부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2코어플레이트(181)는 상기 코어(140)의 상부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re plate 171 may be provided in a lower region of the core 140, and the second core plate 181 may be provided in an upper region of the core 140.

*52상기 코어(140)의 상단에는 서포트(147)가 구비될 수 있다.52 A support 147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re 140.

상기 서포트(147)는 상기 가동접점(124)과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147 may be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124.

상기 제1코어플레이트(171)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14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re plate 17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re 140 by fastening members.

상기 코어(140)의 하단에는 돌기(142)가 구비되고, 상기 제1코어플레이트(171)에는 상기 돌기(142)가 수용 결합될 수 있게 돌기홈(173)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re plate 171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groove 173 so that the protrusion 142 can be received in the protrusion 142.

상기 제1코어플레이트(171)에는 상기 체결부재(177)가 삽입될 수 있게 체결부재삽입부(175)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re plate 171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member insertion portion 175 so that the coupling member 177 can be inserted therein.

상기 코어(140)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부재(177)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A female screw 145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re 140 to screw the fastening member 177 thereto.

상기 코일(131)의 외측에는 영구자석(165)이 구비될 수 있다.A permanent magnet 165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il 131.

상기 영구자석(165)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165 may be configured to have, for exampl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상기 영구자석(165)은, 예를 들면, 상기 코어(14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165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two piece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core 140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영구자석(165)은 제1요크(151) 및 제2요크(161)의 내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s 165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yoke 151 and the second yoke 161, respectively.

상기 영구자석(165)은 두께 방향으로 착자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165 may be magnetiz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상기 영구자석(165)은, 예를 들면, 요크(150)측 판면이 N극이고 코어(140)측 판면이 S극을 구비하게 착자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165 may be magnetized such that the plate surface on the side of the yoke 150 is an N pole and the plate surface on the side of the core 140 has an S pole.

상기 각 영구자석(165)의 일 측에는 영구자석플레이트(16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구자석(165)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 permanent magnet plate 166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ermanent magnets 165. Thereby, the permanent magnet 165 can be stably supported.

상기 영구자석플레이트(166)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plate 166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상기 코어(140)의 일 측에는 상기 코어(1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탄성력을 가하는 복귀스프링(167)이 구비될 수 있다.A return spring 167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re 140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core 140 to an initial position.

한편, 상기 코일(131)의 전원 인입측에는 정류회로(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교류 전원에서 상기 구동부(130)가 동작이 가능하여 직류 및 교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다.The rectifier circuit 220 may be provided on the power supply side of the coil 131. As a result, the driving unit 130 can be operated from an AC power source, so that the driving unit 130 can be used without DC or AC.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코일(131)의 인입측에 구비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130 further includes a rectifying circuit 220 provided at the inlet side of the coil 131 and converting AC into DC.

상기 정류회로(220)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2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ctifier circuit 220 may include a bridge diode 2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전자접촉기는, 교류 신호가 전자접촉기의 입력 측(210)에 인가되면, 브릿지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회로(220)를 통하여 입력된 교류 신호를 전파 또는 반파 신호로 정류한다(S10). 초기 구동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b접점 스위치(230)를 통하여 제1 코일(L1)은 정류회로(220)와 직렬로 연결되고, 제2 코일(L2)은 저항(R2)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1 코일(L1), 제2 코일(L2) 및 저항(R2)의 합성 저항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S30). 전자접촉기가 초기 구동시 높은 전류에 의하여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력에 의해 코어가 이동하여, 가동접점(124)이 고정접점(122)에 접촉되어, 기구적으로 온 상태가 되면, b접점 스위치(230)가 구동하게 되고(S40), 제1 코일(L1)과 제2 코일(L2)은 직렬로 연결되고, 직렬로 연결된 제1 코일(L1)과 제2 코일(L2)은 저항(R2)과 병렬로 연결되어, 합성 저항을 감소시키고, 저항의 크기가 감소된 제1 코일(L1), 제2 코일(L2) 및 저항(R2)의 합성 저항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S50). 즉, 초기 구동 시에 큰 전류로 전자접촉기를 구동하고, 스위치에 의해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이 직렬 연결되어 감소된 합성 저항으로 전자접촉기를 유지하게 되어 소비전력이 감소한다. 전자접촉기는 내부의 커패시터(C1)를 이용하여 정류된 교류 신호는 평활화할 수 있다(S20). 즉, 주기적인 0의 세기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거하고 일정한 방향을 가지는 맥류 신호로 변환시켜 전자접촉기가 구동하게 된다.9, when the AC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side 210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rectifies the AC signal inputted through the rectifier circuit 220 constituted by the bridge diode into a radio wave or a half-wave signal ( S10). 8, the first coil L1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rectifying circuit 220 through the b contact switch 230 and the second coil L2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R2 Current flows through the combined resistance of the first coil L1, the second coil L2, and the resistor R2 (S30). The b contact switch 230 is turned on when the movable contact 12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122 and mechanically turned on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due to the high current whe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initially driven,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first coil L1 and the second coil L2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R2, The current flows to the composite resistor of the first coil L1, the second coil L2 and the resistor R2 whose resistance is decreased in size (S50). That is, at the time of initial driv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driven with a large current, and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connected in series by the switch to hol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the reduced composite resistanc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can smoothen the AC signal rectified by using the internal capacitor C1 (S20). That is, the AC signal having a periodic 0 intensity is removed and converted into a pulse signal having a constant direction, so that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drive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220)의 일 측에 서지 전압으로부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220)를 보호할 수 있게 서지 옵서버(surge absorber)(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지 옵서버(195)는, 예를 들면, 일 측은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22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접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지 전압을 흡수하여 상기 접지로 흘려줌으로써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220)(회로)를 서지 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8,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surge absorber 195 for protecting the bridge diode 220 from a surge voltage at one side of the bridge diode 220, May be provided. The surge observer 195 may, for example, be connected to the bridge diode 220 on one side and grounded on the other side. Thus, the bridge diode 220 (circuit) can be protected from the surge voltage by absorbing the surge voltage and flowing it to the ground.

여기서,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220)는 외부에서 부착(장착)이 가능하게 브릿지 다이오드 모듈(19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모듈(190)은 상기 서지 옵서버(185)를 동시에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bridge diode 220 may be implemented as a bridge diode module 190 so that the bridge diode 220 can be attached (mounted) from the outside. The bridge diode module 19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urge arrester 185 at the same time.

상기 코일(131)에는 소모성 저항(197)이 통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31)의 전원(구동전원) 차단(OFF) 시, 상기 코일(131)에 충전된 내부 충전전압이 신속하게 소모될 수 있다.The coil 131 may be provided with a consumable resistance 197 to be energized. Accordingly, when the power source (driving power) of the coil 131 is turned off, the internal charging voltage charged in the coil 131 can be quickly consume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코일(131)에 전원(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아니한 때는, 상기 코어(140)는 상기 복귀스프링(167)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접점(124)이 상기 고정접점(122)으로부터 분리된 초기위치(주전원 차단(OFF)위치)에 배치된다.
When the power source (driving power source) is not applied to the coil 131, the core 140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167, (The main power OFF (OFF)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122. [

*75한편, 상기 코일(131)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4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는 자기력선(실선 화살표)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류회로(220)는 상기 코일(131)에 교류 전원이 인가될 경우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코일(131)에 동일한 방향의 직류 전원을 인가하므로 상기 코일(131)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선은 동일하게 될 수 있다.Meanwhil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131, a magnetic force line (solid arrow) moving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core 140 may be generated as shown in FIG. When the AC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131, the rectifying circuit 220 converts the DC power into DC power and applies DC power in the same direction to the coil 131, so that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by the coil 131 Can be the same.

상기 제1코어플레이트(171) 및 제2코어플레이트(181)는 자속이 흐르는 자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자기저항이 작아지는 방향, 즉 상기 요크(150)의 하단 및 상단에 각각 접근하는 방향으로 흡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코어플레이트(171), 제2코어플레이트(18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150)의 하단 및 상단에 각각 접촉되게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core plate 171 and the second core plate 181 constitute a part of the magnetic flux flowing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yoke 150 And can be sucked. Accordingly, the first core plate 171 and the second core plate 181 can be move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yoke 15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상기 영구자석(165)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도 6의 점선 화살표)은 상기 코일(131)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요크(150)와 상기 제1코어플레이트(171) 및 제2코어플레이트(181)가 서로 흡인되게 하여 상기 코어(140), 제1코어플레이트(171) 및 제2코어플레이트(181)의 이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165 (dotted line arrow in FIG. 6) interacts with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131 so that the yoke 150 and the first core plate 171 and the second The movement of the core 140, the first core plate 171, and the second core plate 181 can be promoted by causing the core plates 181 to be attracted to each other.

상기 코어(140)가 하강하면 상기 가동접점(124)이 상기 고정접점(122)과 접촉되고, 이에 의해 주전원 및 부하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복귀스프링(167)은 상기 코어(140)의 하강시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다.When the core 140 is lowered, the movable contact 12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122, whereby the main power and the loa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ly power to the load. At this time, the return spring 167 can accumulate the elastic force while being compressed when the core 140 is lowered.

한편, 상기 코일(131)의 전원 공급이 중지되면, 상기 코어(140)는 상기 복귀스프링(167)의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24)이 상기 고정접점(122)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하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부하의 전원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131)에 연결된 소모성 저항에 의해 상기 코일(131)에 충전된 전압이 신속하게 소모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coil 131 is stopped, the core 140 can be urged by the accumulated sp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167 to be quickly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As a result, the movable contact 124 is disconnected from the fixed contact 122,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power source and the load is released, so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can be stopped. At this time, the voltage charged in the coil 131 can be quickly consumed due to the consuming resistance connected to the coil 131.

110 : 케이스 111 : 접점부케이스
112 : 구동부케이스 120 : 접점부
122 : 고정접점 124 : 가동접점
130 : 구동부 131 : 코일
135 : 보빈 140 : 코어
150 : 요크 151 : 제1요크
161 : 제2요크 165 : 영구자석
166 : 영구자석플레이트 167 : 복귀스프링
170 : 코어플레이트 171 : 제1코어플레이트
181 : 제2코어플레이트 190 : 브릿지 다이오드 모듈
220 : 브릿지 다이오드 195 : 서지옵서버
197 : 소모성 저항
110: Case 111: Contact part case
112: Driving unit case 120:
122: fixed contact point 124: movable contact point
130: driving part 131: coil
135: bobbin 140: core
150: York 151: 1st York
161: second yoke 165: permanent magnet
166: permanent magnet plate 167: return spring
170: core plate 171: first core plate
181: second core plate 190: bridge diode module
220: bridge diode 195: surge observer
197: Consumption resistance

Claims (8)

접점부 및 상기 접점부를 개폐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일 영역이 상기 코일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어;
상기 코일의 둘레에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
상기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의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코어를 이동시키는 영구자석; 및
상기 코어에 탄성력을 가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에 인가되는 전원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고,
초기 구동시 상기 제1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전원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코일의 타단은 상기 저항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며,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직렬로 연결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부는, 전원 오프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에 충전된 전력을 소모하여, 상기 복귀 스프링에 의해 상기 코어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직렬로 연결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소모성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And a dri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il including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the coil generating magnetic force;
A core in which one region is movably disposed inside the coil;
A yoke provided around the coil to form a magnetic path;
A permanent magnet for moving the core in cooperation with a magnetic force of the coil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And
And a return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core and returning the core to an initial position,
And a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coil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ower source during an initial driving opera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sistor, the second coil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Wherei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connected in series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Wherein the drive unit consumes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so that the core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turn spring, And a consumable resistanc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oil.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을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차단하여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witch for connecting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or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to form a current path.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브릿지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인입측에 구비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driv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rectifier circuit including a bridge diode and provided at a leading side of the coil to convert an alternating current into a direct curren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다이오드는 외부 장착이 가능하게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aid bridge diode is configured as a module so as to be externally mountabl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브릿지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상기 브릿지다이오드를 보호하는 서지옵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unit includes:
And a surge observer connected to the bridge diode to protect the bridge diod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서지옵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dule comprises the surge observer.
삭제delete
KR1020130008805A 2013-01-25 2013-01-25 Magnetic contactor Expired - Fee Related KR101451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805A KR101451746B1 (en) 2013-01-25 2013-01-25 Magnetic cont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805A KR101451746B1 (en) 2013-01-25 2013-01-25 Magnetic cont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619A KR20140097619A (en) 2014-08-07
KR101451746B1 true KR101451746B1 (en) 2014-10-16

Family

ID=5174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8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1746B1 (en) 2013-01-25 2013-01-25 Magnetic cont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7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22B1 (en) * 2014-10-15 2018-06-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rto-magnetic Contactor
KR102333970B1 (en) * 2015-01-07 2021-12-01 엘에스일렉트릭(주)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2333969B1 (en) * 2015-01-07 2021-12-01 엘에스일렉트릭(주)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clamping circuit
KR101922011B1 (en) 2017-02-02 2018-11-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uxiliary relay of electro magnetic contector
CN116141993B (en) * 2021-11-23 2024-09-1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Contactor, charging and distributing system, vehicle and charging p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8131A (en) * 1981-08-13 1983-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JP2000357446A (en) * 1999-06-15 2000-12-26 Fuji Electric Co Ltd Earth leakage breaker and its electronic circuit
KR100505438B1 (en) * 2001-11-29 2005-07-2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8131A (en) * 1981-08-13 1983-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JP2000357446A (en) * 1999-06-15 2000-12-26 Fuji Electric Co Ltd Earth leakage breaker and its electronic circuit
KR100505438B1 (en) * 2001-11-29 2005-07-2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619A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746B1 (en) Magnetic contactor
US11120961B2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coil terminal
KR101247121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1157985B1 (en) Linear type vibration motor
JP5284882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529588B1 (en) Magnetic Contactor
US10141826B2 (en) Linear vibration motor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oil coupled thereto is positioned to cover the coil, such that the coil does not directly contact a stator part,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that the coil is unwound or disconnected and in which there are two ring-shaped damping members aligned with, spaced apart from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coil
CN105609372B (en) Mute electromagnetic contactor
US8237527B2 (en) Bistable permanent magnetic actuator
JP5549642B2 (en) relay
JP6301013B2 (en) Switch
KR102333970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1288627B1 (en) Magnetic contactor
CN112400209A (en) Medium voltage circuit breaker with vacuum interrupter and driv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dium voltage circuit breaker
KR101364634B1 (en) Magnetic contactor
CN218123307U (en) Switch control circuit and coil carrying same
CN104364870A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relay including a ferromagnetic or magnetic armature having a tapered portion
CN102592900B (en) Switching device having controllable switch disconnection performance
CN205230958U (en) Electromagnet device of direct current operation contactor
KR101961660B1 (en) Magnetic contactor
JP5743863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electromagnetic relay using the same
CN108074781A (en) A kind of electromagnetic system of double permanent magnet three-phase A.C. contactors
KR102333969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clamping circuit
JP2022113515A (en) Power supply circuit and power generation system
CN220172010U (en) Magnetic field superimposed contactor electromagnetic system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6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6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7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3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