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722B1 - Elecrto-magnetic Contactor - Google Patents
Elecrto-magnetic Conta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9722B1 KR101869722B1 KR1020140139262A KR20140139262A KR101869722B1 KR 101869722 B1 KR101869722 B1 KR 101869722B1 KR 1020140139262 A KR1020140139262 A KR 1020140139262A KR 20140139262 A KR20140139262 A KR 20140139262A KR 101869722 B1 KR101869722 B1 KR 1018697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switch
- electromagnetic contactor
- bobbin
- lower frame
- cont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8—Indicators; Distinguishing mar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b접점 스위치의 통전 유무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삽입 설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b접점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b접점스위치의 단자부를 살펴볼 수 있는 통전확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apable of easily measu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ergization of a contactor switch.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frame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 bobbin inserted into the lower frame; And a b contact switch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bbin, wherein the lower frame is provided with an energization confirmation hole for observing a terminal portion of the b contact switch.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b접점 스위치의 통전 유무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 또는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Direct Current Relay or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a kind of electric circuit switching device that transmits the mechanical driving and current signal by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 It is used for various industrial equipment, machinery and vehicles And the like.
이러한 전자접촉기에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주접점 기구(main contactor mechanism)와, 상기 주접점 기구의 여자코일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보조 접점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ay include a main contactor mechanism capable of supplying or blocking power to the load and an auxiliary contact mechanism capable of supplying or blocking power to the excitation coil of the main contact mechanism.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하부프레임(110), 보빈(120), 복귀스프링(130), 가동코어(140), 홀더 어셈블리(150), 상부프레임(160) 등으로 구성된다.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상부프레임(160)과 하부프레임(110)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보빈(120), 복귀스프링(130), 가동코어(140), 홀더 어셈블리(150) 등을 수용하게 된다.The
홀더 어셈블리(150)에는 각 상별로 가동접점(151)이 구비된다. 홀더 어셈블리(150)가 하방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가동접점(151)이 보빈(120)에 설치되는 고정접점에 접촉되어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에 전류가 흐른다. The
가동코어(140)는 보빈(120) 내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고정코어(121) 내부에 설치된 코일에 자기장이 흐를 경우에는 하방으로 자기력을 받아 움직이게 된다. 가동코어(140)는 홀더 어셈블리(15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방 운동하면서 홀더 어셈블리(150)도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The
보빈(120)에는 고정코어(121)가 코어삽입부(122)에 설치된다. 보빈(120)의 전면에 PCB기판(126)이 구비되고, PCB기판(126)에는 b접점 스위치(127)가 설치되어 있다. The
여기서, 보빈(120)은 조작코일부의 역할을 포함한다.Here, the
b접점 스위치(127)는 On 상태에서는 외부 전원을 코일에 연결하여 코일에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며, Off 상태에서는 외부 전원이 코일에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가동코어(140)가 하방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초기에 커다란 힘이 소요되므로 코일에 대전류를 제공하여 강한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가동코어(140)를 당기도록 하는 것이며, 정상상태에서는 가동코어(140)와 고정코어(121)의 결합이 유지전류에 의해 지속될 수 있으므로 코일에 제공되던 대전류는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동코어(140)가 하강한 이후에는 b접점 스위치(127)가 Off되도록 함으로써 코일에 전달되는 외부 전원이 저전류 회로로 전환되도록 한다. b The contact switch (127) connects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coil so that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coil. When the contact switch (127) is in the off state,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not connected to the coil. Since a large force is initially required to move the
코일에 인가된 전압이 완전히 사라지면 코일의 자기력이 제거되고 복귀스프링(130)의 반발력에 의해 가동코어(140)가 상승하면서 가동접점(151)은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된다.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il completely disappears,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is removed and the
도 2a 및 도 2b에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조작코일부의 회로 작동도가 도시되어 있다. 2A and 2B show circuit operation diagrams of the operating coi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조작코일부의 회로에는 AC/DC 변환을 위한 정류회로가 포함된다. 도 2a는 b접점 스위치(127)가 On인 상태이다. 외부전원단자(P1,P2)에 전원이 연결되면 코일단자(A1,A2)에 전압이 인가되고, 코일의 저항요소와 전압에 의하여 전류가 발생하면서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자기력에 의해 가동코어(140)가 하강하여, b접점 스위치(127) 상부의 스위치 레버를 눌러 b접점 스위치(127)를 Off 상태로 전환시키면 도 2b와 같이 회로가 저전류 회로로 변하게 된다. The circuit of the operating coil part includes a rectifying circuit for AC / DC conversion. 2A shows a state in which the
여기서, b접점 스위치(127)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과전류에 의해 코일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타버리게 된다. 따라서, b접점 스위치(127)의 통전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b접점 스위치(127)가 상,하부 케이스(160,110)의 내부에 있으므로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는 이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ere, if the switching of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b접점 스위치의 통전 유무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apable of easily measu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ergization of the b contact switch from the outside without disassembling the produ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삽입 설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b접점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b접점스위치의 단자부를 살펴볼 수 있는 통전확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frame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 bobbin inserted into the lower frame; And a b contact switch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bbin, wherein the lower frame is provided with an energization confirmation hole for observing a terminal portion of the b contact switch.
여기서, 상기 통전확인홀은 상기 b접점스위치의 단자부로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energization confirmation hole is located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terminal portion of the b contact switch.
또한, 상기 통전확인홀 주변에는 측면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side wall is formed around the electric current confirmation hole.
그리고, 상기 통전확인홀에는 제거용 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removal cover is attached to the power supply confirmation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하부프레임에 b접점스위치의 단자부를 확인하고 탐침할 수 있는 통전확인홀이 형성되어 b접점스위치의 통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코일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자접촉기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energization state of the b contact switch can be easily confirmed by forming the energization confirmation hole for probing and checking the terminal portion of the b contact switch in the lower fram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current from flowing to the coil,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improving durabilit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b접점 스위치 동작 전후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내부사시도이다. 전자접촉기의 내부가 드러나도록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하부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통전확인홀에 제거용 커버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통전확인홀의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2A and 2B are circuit diagrams before and after the b contact switch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shown in an opened state so that the insid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exposed.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case is removed in Fig.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a removal cover is attached to the energization confirmation hole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urrent confirmation hole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allow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invention are limi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하부케이스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case is separated in Fig. Hereinafter,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프레임(60,10); 상기 하부프레임(10)에 삽입 설치되는 보빈(20); 및 상기 보빈(20)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26)에 설치되는 b접점스위치(27);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0)에는 상기 b접점스위치(27)의 단자부(27b,27c)를 살펴볼 수 있는 통전확인홀(1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프레임은 상부프레임(60)과 하부프레임(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60)과 하부프레임(10)은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각각 구비하여 끼움결합(SNAP FIT) 방식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rame may be composed of an
상부프레임(60)에는 홀더 어셈블리(50)가 삽입 설치된다. 홀더 어셈블리(50)는 상부프레임(6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주회로 접점부를 구성하는 부품들, 예를 들어 고정접점(51), 크로스바(52) 및 가동접점(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A
크로스바(52)는 상부프레임(6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가동접점(53)은 크로스바(52)의 움직임을 따라 상하운동을 하면서 고정접점(51)에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가동접점(53)은 전자접촉기에 외부전원이 연결되면 고정접점(51)으로 이동하여 접촉됨으로써 주회로의 전원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The
가동코어(40)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보빈(20)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가동코어(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42)와 상기 몸체부(42)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동코어 플레이트(41)로 구성될 수 있다. 가동코어(40)의 몸체부(42)가 보빈(2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가동코어(40)는 상하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운동력은 상기 가동코어 플레이트(41)가 고정되는 홀더 어셈블리(50)가 제공한다. 가동코어 플레이트(41)에는 b접점스위치(27)의 스위치레버(27a)를 조작할 수 있는 돌기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복귀스프링(30)은 보빈(20)과 가동코어(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흡인력이 해제되는 경우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홀더 어셈블리(50) 및 가동코어(40)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The
조작코일부는 보빈(20)과 고정코어(21) 및 상기 고정코어(21)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coil unit may include a
보빈(20) 내부에는 중공부를 가지며, 중공부에는 가동코어(4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된다. 또한, 보빈(20)의 중공부와 고정코어(21)의 사이에는 코일(미도시)이 권선되며, 외부전원이 코일(미도시)에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The bobbin (20) has a hollow portion, and the hollow portion is inser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movable core (4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oil (not shown) is wound between the hollow portion of the
보빈(20)의 전면에는 전자회로부가 형성되는 회로기판(26)이 구비되고, 회로기판(26)에는 b접점스위치(27)가 설치된다. b접점스위치(27)는 상기 코일(미도시)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정상상태에서는 'on'상태에 있고, 스위치레버(27a)가 눌려진 상태에서는 'off'상태에 놓이게 된다.The
고정코어(21)는 보빈(20)의 양쪽 측면에 코일을 감싸도록 ㄷ자형 박스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21)는 철심 재질로 이루어져 코일의 자기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xed
회로기판(26)은 보빈(2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26)에는 b접점스위치(27), 커패시터(28) 및 정류소자 등이 설치되어 제어회로부를 구성할 수 있다.The
b접점스위치(27)는 마이크로 스위치(혹은 반전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b접점스위치(27)는 평상시에 온(ON)상태에 있다가 주회로의 접점부가 온(ON) 상태에 놓이게 되면 오프(OFF)상태로 바뀌게 된다. b접점스위치(27)에는 스위치 레버(27a)가 구비될 수 있다. 가동코어(40)가 하강하여 스위치 레버(27a)를 누르는 경우 b접점스위치(27)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The
커패시터(28)는 b접점스위치(27)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외부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즉, 커패시터(28)는 b접점스위치(27)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코일에는 감소된 전류가 흘러 주회로 접점부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b접점스위치(27)의 하부에는 제1,제2 단자부(27b,27c)가 돌출되어 있다. First and second
하부프레임(10)은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 구조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보빈(20), 복귀스프링(30), 가동코어(40)가 수용된다. 하부프레임(10)은 홀더 어셈블리(50)가 내장되는 상부프레임(6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하부프레임(10)의 저면에는 제1,제2통전확인홀(11,12)이 형성된다. 제1,제2통전확인홀(11,12)은 각각 제1,제2 단자부(27b,27c)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제2통전확인홀(11,12)의 위치는 각각 제1,제2 단자부(27b,27c)로부터 최단거리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1,제2 단자부(27b,27c)로부터 하부프레임(10)의 저면에 수직으로 이어진 선이 접하는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는 상기 제1,제2통전확인홀(11,12)에는 제거용 커버(13)가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거용 커버(13)를 그대로 둔 상태에 있다가 사용하는 경우 제거용 커버(13)를 떼어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제거용 커버는 이와 같은 탭 형태 외에 마개나 뚜껑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과 같이 상기 제1,제2통전확인홀(11,12)에는 측면벽(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하부프레임에 b접점스위치의 단자부를 확인하고 탐침할 수 있는 통전확인홀이 형성되어 b접점스위치의 통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코일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자접촉기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energization state of the b contact switch can be easily confirmed by forming the energization confirmation hole for probing and checking the terminal portion of the b contact switch in the lower frame.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current from flowing to the coil,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increasing durability.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하부프레임 11,12 제1,제2통전확인홀
13 제거용 커버 15 측면벽
20 보빈 21 고정코어
26 회로기판 27 b접점스위치
27a 스위치 레버 27b,27c 제1,제2단자부
28 커패시터 30 복귀스프링
40 가동코어 41 가동코어 플레이트
42 몸체부 50 홀더 어셈블리
51 고정접점 52 크로스바
53 가동접점 60 상부프레임10
13 Removing
20
26
28
40
42
51
53
Claims (4)
상기 하부프레임에 삽입 설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b접점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b접점스위치의 단자부를 살펴볼 수 있는 통전확인홀이 형성되어 상기 b접점스위치의 통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통전확인홀 주변에는 측면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An upper and a lower fram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 bobbin inserted into the lower frame; And
And a b contact switch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bbin,
The lower frame may be provided with an energization confirmation hole for observing the terminal portion of the b contact switch so as to confirm whether the b contact switch is energized,
And a side wall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current confirmation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9262A KR101869722B1 (en) | 2014-10-15 | 2014-10-15 | Elecrto-magnetic Conta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9262A KR101869722B1 (en) | 2014-10-15 | 2014-10-15 | Elecrto-magnetic Conta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4345A KR20160044345A (en) | 2016-04-25 |
KR101869722B1 true KR101869722B1 (en) | 2018-06-21 |
Family
ID=5591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9262A Active KR101869722B1 (en) | 2014-10-15 | 2014-10-15 | Elecrto-magnetic Conta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9722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46940A1 (en) * | 2001-11-29 | 2003-06-0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Elecromagnetic switching apparatus |
US7889032B2 (en) * | 2008-07-16 | 2011-02-15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Electromagnetic relay |
KR101451746B1 (en) * | 2013-01-25 | 2014-10-1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Magnetic contactor |
-
2014
- 2014-10-15 KR KR1020140139262A patent/KR101869722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4345A (en) | 2016-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76270B2 (en) | Magnetic contactor | |
KR101529588B1 (en) | Magnetic Contactor | |
KR101598421B1 (en) | Electromagnetic Contactor | |
US11270852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US11244798B2 (en) | Connection unit | |
KR200460095Y1 (en) | Auxiliary contact unit for auxiliary relay | |
WO2017068764A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H0143972B2 (en) | ||
KR101869722B1 (en) | Elecrto-magnetic Contactor | |
EP3016125B1 (en) | Crossba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 |
JP6213818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EP4092709B1 (en) | Electromagnetic contactor | |
CN113272929B (en) | Relay device | |
CN103871786B (en) | Electromagnetic contactor | |
JP6210409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2018107046A (en) | Drive circuit and contact device | |
JP5853224B2 (en) |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192305B1 (en) | Electric power switching apparatus protectable malfunction | |
KR101545894B1 (en) | Magnetic contactor | |
JP6640646B2 (en) | Relay device | |
KR102518886B1 (en) | Electro-magnetic Contactor | |
KR101700774B1 (en) | Magnetic contactor | |
KR101570103B1 (en) | Magnetic contactor | |
KR101116386B1 (en) |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 |
KR20160001526U (en) | Case structure for small capacity electromagnetic conta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