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3970B1 - Electromagnetic contactor - Google Patents

Electromagnetic cont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970B1
KR102333970B1 KR1020150002214A KR20150002214A KR102333970B1 KR 102333970 B1 KR102333970 B1 KR 102333970B1 KR 1020150002214 A KR1020150002214 A KR 1020150002214A KR 20150002214 A KR20150002214 A KR 20150002214A KR 102333970 B1 KR102333970 B1 KR 10233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tact
node
loop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5412A (en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5000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970B1/en
Publication of KR2016008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97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01H47/004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using plural redundant serial connected relay operated contacts in controlled circuit
    • H01H47/005Safety control circuits therefor, e.g. chain of relays mutually monitoring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1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biasing the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접촉기는 접점의 개폐와 상보적으로 스위칭되는 접점 스위치 및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정하고,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제1 코일이 연결되는 제1 루프 및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제2 코일이 연결되는 제2 루프를 형성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의 제2 루프는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의 입력단의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고 다이오드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The 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ower applied to the contact switch and the coil that are switched complementary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and a first loop to which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and the first coil are connected, and the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of the power and a control circuit part forming a second loop to which a coil is connected, wherein the second loop of the control circuit part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and the second coil to full-wave rectify the AC voltage of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dvantageous Effects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diode capacity can be reduced.

Figure R1020150002214
Figure R1020150002214

Description

전자 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Electromagnetic contactor {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접촉기의 초기 구동시 과도 전류로 인하여 브릿지 다이오드의 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ncluding a control circuit capable of preventing burnout of a bridge diode from occurring due to excessive current during initial driving of the magnetic contactor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will be.

최근 자동 제어 분야에서는 접점부의 개폐가 전자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접촉기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접촉기는 주전원과 부하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코일에 의하여 접점부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주전원과 부하(예를 들어, 모터)의 연결을 원격으로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Recently, in the field of automatic control,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that opens and closes a contact part electromagnetically has been used. For example, the magnetic contacto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main power source and the load, and may be used to remotely control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power source and the load (eg, a motor)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art by a coil.

일반적으로, 전자 접촉기는 주전원 또는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 접점과,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접촉기의 구동부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코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자성 코어, 자성 코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접촉기는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제거함으로써 접점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the magnetic contactor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including a fixed contact respectively connected to a main power source or a load, and a movable contact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The driving unit of the magnetic contactor may include a coil that contacts or separates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a magnetic core that is movably disposed inside the coil, and a return spring that returns the magnetic core to an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the magnetic contactor may include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ortion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coil or removing the voltage.

전자 접촉기의 제어 회로는 교류 신호 또는 직류 신호를 코일에 인가하여 접점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데, 특히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신호의 세기가 주기적으로 0에 도달함에 따라 순간적으로 전자 접촉기의 접촉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자 접촉기의 구동시 간헐적인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감소되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The control circuit of the magnetic contactor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by applying an AC signal or a DC signal to the coil. In particular, when an AC signal is applied, the contact of the magnetic contactor is momentarily interrupted as the signal strength periodically reaches 0. can fall This phenomenon may generate intermittent noise whe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driven, and may result in reduced durability and shortened product lifespan.

도 1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전자 접촉기의 제어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류 전원 입력단(100)과 전자 접촉기 코일(104) 사이에 브릿지 다이오드(102)를 연결함으로써, 안정적인 직류 전압이 출력되고 전자 접촉기의 접촉이 순간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a conventional magnetic contactor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Referring to FIG. 1 , by connecting the bridge diode 102 between the AC power input terminal 100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coil 104, a stable DC voltage is output and a phenomenon in which the contac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momentarily dropped can be minimized. .

한편, 도 1과 같은 제어 회로에서 브릿지 다이오드(102)의 전류 용량을 결정할 때 전자 접촉기 코일(104)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접촉기 코일(104)을 초기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는 매우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브릿지 다이오드(102)의 전류 용량이 커져야 한다. 그러나 브릿지 다이오드(102)의 전류 용량이 커지는 경우에는 큰 용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전자 접촉기 내부에 구조적으로 결합되기 어렵고,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determining the current capacity of the bridge diode 102 in the control circuit as shown in FIG. 1,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contactor coil 104 must be considered. In general, since the current for initially driving the magnetic contactor coil 104 has a very large value, the current capacity of the bridge diode 102 must be increased. However, when the current capacity of the bridge diode 102 increases, since it occupies a large volume, it is difficult to be structur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ncreases.

본 발명은 접점의 개폐와 상보적으로 스위칭되는 접점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자 접촉기의 초기 구동시 제어 회로의 제1 루프를 통해 높은 전류로 제1 코일을 구동시키고, 유지 구동시 제어 회로의 제2 루프를 통해 낮은 전류로 제2 코일을 구동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고 다이오드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il is driven with a high current through the first loop of the control circuit when the magnetic contactor is initially driven using a contact switch that is switched complementary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and the second loop of the control circuit during maintenance ope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reducing diode capacitance by driving the second coil with a low current through the .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접촉기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이 조정됨에 따라 상기 코일과 상호 작용하는 코어가 이동하여 접점이 개폐되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접점의 개폐와 상보적으로 스위칭되는 접점 스위치 및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정하고,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제1 코일이 연결되는 제1 루프 및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제2 코일이 연결되는 제2 루프를 형성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의 제2 루프는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의 입력단의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n which the contact is opened and closed by moving the core interacting with the coil as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is adjusted. A control circuit unit for adjusting the power applied to the contact switch and the coil, and forming a first loop to which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and the first coil are connected, and a second loop to which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and the second coil are connected, and , The second loop of the control circuit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and the second coi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tifier circuit part for full-wave rectification of the AC voltage of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의 개폐와 상보적으로 스위칭되는 접점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자 접촉기의 초기 구동시 제어 회로의 제1 루프를 통해 높은 전류로 제1 코일을 구동시키고, 유지 구동시 제어 회로의 제2 루프를 통해 낮은 전류로 제2 코일을 구동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고 다이오드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il is driven with a high current through the first loop of the control circuit when the magnetic contactor is initially driven by using the contact switch that is switched complementary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and the first coil is driven during the sustain operation By driving the second coil with a low current through the second loop of the control circui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the diode capacity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전자 접촉기의 제어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오프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온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오프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접촉기의 제어 회로의 일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 접촉기의 제어 회로의 다른 실시예.
1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a conventional magnetic contactor.
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n OFF stat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n on stat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n ON state of a contact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n OFF state of a contact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circuit of the 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circuit of the 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오프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온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ff state,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n stat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접점부(10), 접점을 개폐하는 구동부, 구동부의 코일(211)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정하여 접점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한다.2 and 3, the 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by adjusting the voltage or current applied to the contact unit 10, the driv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ct, and the coil 211 of the driving unit. It includes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구동부는 상부 프레임(201)과 하부 프레임(202)을 포함하는 하우징(200), 하부 프레임(202)에 안착하는 코일 조립체(210), 코일 조립체(210)와 상부 프레임(201) 사이에 배치되는 가동 철심부(240) 및 코일 조립체(210)에 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가동 철심부(2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200 including the upper frame 201 and the lower frame 202 , the coil assembly 210 seated on the lower frame 202 , and the coil assembly 210 and the upper frame 201 . It may include a return spring 220 supported by the movable iron core 240 and the coil assembly 210 to return the movable iron core 240 to an initial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코일 조립체(21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211), 코일(211)을 둘레에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조립체(210)는 하부 프레임(202) 내에 안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은 코일(211)에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il assembly 210 may include a coil 211 that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nd a yoke 212 that is provided around the coil 211 to form a magnetic path. The coil assembly 210 may be seated in the lower frame 202 . Here, the power may include a voltage or current applied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in the coil 211 .

가동 철심부(240)는 코일의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는 코어(241), 코어(241)와 연결되는 가동 철심 플레이트(401) 및 가동 철심 플레이트(242) 상부에 가동 철심 지지대(2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iron core 240 includes a core 241 that interacts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a movable iron core plate 401 connected to the core 241, and a movable iron core support 243 on the movable iron core plate 242. can

가동 철심부(240)의 코어(241)는 일 영역이 코일 조립체(210) 내부에 배치되고, 코일(211)의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왕복 운동할 수 있다.One region of the core 241 of the movable iron core 2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il assembly 210 and may reciprocate by interacting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211 .

접점부(10)는 고정 접점(30)과 가동 접점(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접점(30)은 상부 프레임(201)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동 접점(20)은 가동 철심부(240)에 형성될 수 있다. 가동 접점(20)은 고정 접점(3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가동 철심부(240)의 왕복 운동에 따라 고정 접점(30)과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The contact unit 10 may include a fixed contact 30 and a movable contact 20 . The fixed contact 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frame 201 , and the movable contact 20 may be formed on the movable iron core 240 . The movable contact 2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30 , and may contact or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30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able iron core 240 .

고정 접점(30)의 일 측은 주전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일 측은 부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접점(30)에 가동 접점(20)이 접촉하면 주전원과 부하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xed contact 30 may be connected to a main power source (not shown),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a load (not shown). When the movable contact 20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30 , the main power and the loa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제어 회로부(미도시)는 코일(211)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정하여 접점부(10)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 회로부에 의하여 코일(211)에 전압 또는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력이 발생함에 따라 코어(241)가 코일(211) 내부로 인입된다. 그로 인하여, 가동 철심부(240)의 코어(241)의 일 영역이 코일 조립체(210) 내부로 이동하고 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30)과 접촉되어 전자 접촉기가 온 상태가 될 수 있다.The control circuit unit (not shown)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unit 10 by adjusting the voltage or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11 . When a voltage or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211 by the control circuit unit, the core 241 is introduced into the coil 211 as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As a result, one region of the core 241 of the movable iron core 240 moves into the coil assembly 210 and the movable contact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30 so that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can be turned on. .

제어 회로부에 의하여 코일(211)에 인가된 전원이 제거되면 자기력이 소멸되거나 발생하지 않는다. 가동 철심부(240)와 코일 조립체(210) 사이의 리턴 스프링(220)은 가동 철심부(240)가 코일 조립체(210) 내부로 인입될 때 탄성력을 저장하였다가 전원이 제거되면 탄성력을 가동 철심부(240)에 제공하여 가동 철심부(2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코어(241)의 일 영역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가동 철심부(24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30)에서 떨어져 전자 접촉기가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211 is removed by the control circuit unit, the magnetic force is not extinguished or generated. The return spring 220 between the movable iron core 240 and the coil assembly 210 stores the elastic force when the movable iron core 240 is drawn into the coil assembly 210 and applies the elastic force when the power is removed. By providing the portion 240, the movable iron core 240 can be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As a result, one region of the core 241 may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as the movable iron core 24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 movable contact 20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30 and the magnetic contactor is in an off state. can be

본 발명의 전자 접촉기는 구동부에 의한 접점의 개폐와 상보적으로 스위칭되는 접점 스위치(400)를 포함한다.The 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switch 400 that is switched complementary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by the driving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오프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ct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n state,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n off stat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철심부(240)가 코일 조립체(210) 내부에서 이동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접점 스위치(400)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 철심부(240)의 일 영역을 접점 스위치(400)의 제1 단자(401)로 구성하고, 코일 조립체의 일 영역을 접점 스위치(400)의 제2 단자(402)로 구성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 the contact switch 400 may be configured using a structure in which the movable iron core 240 moves inside the coil assembly 210 . For example, one area of the movable iron core 240 is configured as the first terminal 401 of the contact switch 400 , and one area of the coil assembly is configured as the second terminal 402 of the contact switch 400 . can do.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접촉기가 오프 상태일 때 접점 스위치(400)의 제1 단자(401)와 제2 단자(402)는 구조적으로 접촉하여 온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철심부(240)가 코일 조립체(210) 내부로 인입되어 전자 접촉기가 온 상태가 되면, 제1 단자(401)와 제2 단자는 구조적으로 이격되어 접점 스위치(400)가 오프 상태로 스위칭 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 when the magnetic contactor is in the off state, the first terminal 401 and the second terminal 402 of the contact switch 400 are in structural contact to be switched to the on stat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when the movable iron core 240 is drawn into the coil assembly 210 and the magnetic contactor is turned on, the first terminal 401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tructur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witch the contact switch. 400 may be switched off.

한편, 접점 스위치(400)를 등가 회로로 나타내면 제어 회로부의 접점 스위치(SW)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 회로부의 접점 스위치(SW)는 전자 접촉기의 접점의 개폐와 상보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act switch 400 is represented as an equivalent circuit, it may operate like the contact switch SW of the control circuit unit. In this way, the contact switch SW of the control circuit unit may be switched complementary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of the 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접촉기의 코일(211)은 제1 코일(213) 및 제2 코일(21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접촉기는 초기 구동시 제1 코일(213)을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구동되고, 유지 구동시 제2 코일(214)을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213)은 전자 접촉기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는 초기 구동을 위한 코일이며, 제2 코일(214)은 전자 접촉기가 온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전자 접촉기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접점을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코일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211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ay include a first coil 213 and a second coil 214 . In more detail, the magnetic contactor may be driven so that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213 during initial driving, and may be driven so that current flows through the second coil 214 during sustain driving. Here, the first coil 213 is a coil for initial driving of switching the magnetic contactor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the second coil 214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agnetic contactor after the magnetic contactor is switched to the on state. A coil to keep the contact in contact to reduce it.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접촉기의 초기 구동시 코일(211)에 코어(241)를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큰 전류가 필요하며, 코일(211)에 코어(241)가 인입되어 고정 접점(30)과 가동 접점(20)이 접촉한 이후에는 전자 접촉기를 온 상태로 유지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초기 구동시의 전류를 유지 구동시까지 유지하지 않아도 된다. 즉, 전자 접촉기의 유지 구동시 제2 코일(214)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코일(213)에 흐르는 전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코일(213) 및 제2 코일(214)을 등가 회로로 나타내면 인덕터(L1, L2) 성분과 저항 성분(R1, R2)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제1 코일(213)의 저항(R1) 또는 임피던스(Z1)를 제2 코일(214)의 저항(R2) 또는 임피던스(Z2)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제1 코일(213)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코일(214)에 흐르는 전류보다 크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more detail, a large current is required to draw the core 241 into the coil 211 when the magnetic contactor is initially driven, and the core 241 is drawn into the coil 211 so that the fixed contact 30 and the movable contact are drawn in. Since it is only necessary to keep the magnetic contactor in the on state after the (20) is in contact, it is not necessary to maintain the current during the initial driving until the sustain driving.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il 214 is smaller tha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il 213 when the magnetic contactor is maintained and driven.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il 213 and the second coil 214 are represented by an equivalent circuit, it can be represented by inductors L1 and L2 components and resistance components R1 and R2, and the resistance of the first coil 213 is By designing (R1) or impedance (Z1) to be smaller than the resistance (R2) or impedance (Z2) of the second coil 214 ,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il 213 is higher tha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il 214 . It can be configured to be large.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접촉기의 제어 회로의 일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어 회로부는 교류 전원 입력단(600)과 제1 코일(213)이 연결되는 제1 루프(P1), 교류 전원 입력단(600)과 제2 코일(214)이 연결되는 제2 루프(P1)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루프(P2)에서, 교류 전원 입력단(600)과 제2 코일(214) 사이에 정류 회로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6 is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circui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 circuit unit of the 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oop P1 to which an AC power input terminal 600 and a first coil 213 are connected, an AC power input terminal 600 and a second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econd loop P1 to which the two coils 214 are connected. Also, in the second loop P2 , a rectifying circuit unit 610 may be included between the AC power input terminal 600 and the second coil 214 .

정류 회로부(610)는 교류 전원 입력단(600)을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류 회로부(610)는 네 개의 다이오드들을 이용하여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 다이오드는 제1 노드(n1) 및 제4 노드(n4)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D1), 제2 노드(n2) 및 제4 노드(n4)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D2), 제3 노드(n3) 및 제1 노드(n1) 사이에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D3) 및 제3 노드(n3)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되는 제4 다이오드(D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는 교류 전원 입력단(600)에 각각 연결되고, 제3 노드(n3) 및 제4 노드(n4)는 제2 코일(2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릿지 다이오드를 구성함으로써, 제2 코일(214) 양 단에는 안정적인 직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The rectifying circuit unit 610 performs a function of full-wave rectification of the AC voltage applied through the AC power input terminal 600 . Preferably, the rectifier circuit unit 610 may be configured as a bridge diode using four diodes. For example, the bridge diode includes a first diode D1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n1 and the fourth node n4 , and a second diode D1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node n2 and the fourth node n4 . A diode D2, a third diode D3 connected between the third node n3 and the first node n1, and a fourth diode connected between the third node n3 and the second node n2 ( D4) may be included. Here, the first node n1 and the second node n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C power input terminal 600 , and the third node n3 and the fourth node n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214 . can By configuring the bridge diode in this way, a stable DC voltage may b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214 .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코일(213)의 저항(R1) 또는 임피던스(Z1)는 제2 코일(214)의 저항(R2) 또는 임피던스(Z2)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어 회로부를 이와 같이 구성할 때, 제어 회로부는 접점 스위치(SW)의 스위칭에 따라 초기 구동시 제1 루프(P1)로 동작하고, 유지 구동시 제2 루프(P2)로 동작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R1 or the impedance Z1 of the first coil 213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resistance R2 or the impedance Z2 of the second coil 214 . When the control circui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control circuit unit operates as the first loop P1 during initial driving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contact switch SW, and operates as the second loop P2 during sustain driving. have.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접촉기의 초기 구동시 접점 스위치(SW)는 턴온되며, 제1 루프(P1)를 통해 제1 코일(213)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점 스위치(SW)는 전자 접촉기의 접점의 개폐와 상보적으로 스위칭되므로, 전자 접촉기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접점 스위치(SW)는 턴 오프된다. 그에 따라, 유지 구동시에는 접점 스위치가 턴 오프되어 제2 루프(P2)를 통해 제2 코일(214)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루프(P2)를 통해 제2 코일(214)에 흐르는 제2 전류는 제1 루프(P1)를 통해 제1 코일(213)에 흐르는 제1 전류보다 작다.In more detail, when the magnetic contactor is initially driven, the contact switch SW is turned on, an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loop P1 through the first coil 213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tact switch SW is switched complementary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of the magnetic contactor, the contact switch SW is turned off as the magnetic contactor is turned on. Accordingly, during the sustain driving, the contact switch may be turned off to drive current to flow in the second coil 214 through the second loop P2 . Here, the secon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il 214 through the second loop P2 is smaller than the fir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il 213 through the first loop P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부는 제2 루프로 동작하는 유지 구동시 교류 전원 입력단(600)과 정류 회로부(610) 사이에 연결되어 교류 전원 입력단(60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강하시키는 커패시터(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커패시터(620)는 저항과 커패시터가 직렬 연결되는 RC 직렬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620)를 추가함으로써, 제2 코일(214)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류 회로부(610)의 다이오드 전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브릿지 다이오드 모듈의 용적이 감소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ircuit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AC power input terminal 600 and the rectifier circuit unit 610 during sustain driving operating as a second loop to drop the voltage input from the AC power input terminal 600 . 620 may be further included.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pacitor 620 may be configured as an RC series circuit in which a resistor and a capacitor are connected in series. By adding the capacitor 620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il 214 is reduc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reducing the diode current capacity of the rectifying circuit unit 610 . 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bridge diode module can be reduced.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 접촉기의 제어 회로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점 스위치(SW)는 초기 구동시 제1 루프(P1)를 통해서만 동작하도록 연결되며, 유지 구동시 제2 루프(P2)를 통해서만 동작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점 스위치는 전자 접촉기가 오프 상태일 때 턴 온되어 제1 루프를 형성하도록 동작하지만 전자 접촉기가 온 상태가 되면 턴 오프되지 않고, 제2 루프를 형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circui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 the contact switch SW may be connected to operate only through the first loop P1 during initial driving, and may be connected to operate only through the second loop P2 during sustain driving. In this case, the contact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magnetic contactor is in an off state and operates to form a first loop, but is not turned off when the magnetic contactor is in an on state, and may operate to form a second loop.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의 개폐와 상보적으로 스위칭되는 접점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자 접촉기의 초기 구동시 제어 회로의 제1 루프를 통해 높은 전류로 제1 코일을 구동시키고, 유지 구동시 제어 회로의 제2 루프를 통해 낮은 전류로 제2 코일을 구동시킴으로써, 전자 접촉기의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고 다이오드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il is driven with a high current through the first loop of the control circuit when the magnetic contactor is initially driven using the contact switch that is switched complementary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and the first coil is driven during the sustain operation By driving the second coil with a low current through the second loop of the control circuit, power consumption of the magnetic contactor can be reduced and the diode capacity can be reduced.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Claims (5)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부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전원에 의해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서 왕복 운동하는 코어;
상기 코어와 연결되며 일측에 가동 접점이 형성되는 가동 철심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 접점;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접촉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접점 스위치; 및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정하고,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제1 코일이 연결되는 제1 루프 및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제2 코일이 연결되는 제2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접점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제1 루프 또는 상기 제2 루프로 동작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가동 철심 플레이트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이 접촉하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이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접촉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의 제2 루프는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의 입력단의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 housing including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 coil disposed in the lower frame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by a power source;
a core reciprocating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a movable iron core plate connected to the core and having a movable contact poin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fixed contact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 contact switch includ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e contact switch being switched according to a contact state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nd
Adjusting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forming a first loop to which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and the first coil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loop to which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and the second coil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contact switch and a control circuit unit operating as the first loop or the second loop,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movable iron core plate,
the second terminal is fixed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Wh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contac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do not contact each other,
Wh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do not contac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loop of the control circuit
and a rectifying circuit part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and the second coil to full-wave rectify the AC voltage of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electromagnetic cont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회로부는
제1 노드 및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제2 노드 및 상기 제4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 제3 노드 및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 및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4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전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제4 노드는 상기 코일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ectifier circuit
A first diode connected between a first node and a fourth node, a second diode connected between a second node and the fourth node, a third diode connected between a third node and the first node, and the third and a bridge diode having a fourth diode connected between a node and the second node, converting the AC voltage of the power supply into a DC voltage and supplying it to the coil,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third node and the fourth nod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il.
electromagnetic cont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의 제2 루프는
상기 전원의 입력단과 상기 정류 회로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강하시키는 RC 직렬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loop of the control circuit
Further comprising an RC series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and the rectifier circuit to drop the voltage input from the power input termi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접점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초기 구동시 상기 제1 루프로 동작하고, 유지 구동시 제2 루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contact switch, it operates as the first loop during initial driving, and operates as the second loop during sustain driving.
electromagnetic cont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임피던스는 상기 제2 코일의 임피던스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mpedance of the first coil is smaller than the impedance of the second coil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20150002214A 2015-01-07 2015-01-07 Electromagnetic contactor Active KR102333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214A KR102333970B1 (en) 2015-01-07 2015-01-07 Electromagnetic cont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214A KR102333970B1 (en) 2015-01-07 2015-01-07 Electromagnetic cont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412A KR20160085412A (en) 2016-07-18
KR102333970B1 true KR102333970B1 (en) 2021-12-01

Family

ID=5667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214A Active KR102333970B1 (en) 2015-01-07 2015-01-07 Electromagnetic cont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9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5210A (en) * 2017-12-18 2018-03-09 山西埃斯曼电气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ermanent magnetism double-coil contactor control circuit and its control method
KR101885308B1 (en) 2018-03-20 2018-08-03 손성민 DC Adapter for Magnetic Contactor Drive
CN113012981B (en) * 2019-12-20 2024-06-25 施耐德电气工业公司 Contac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50070921A (en) 2023-11-14 2025-05-21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Control system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6940A1 (en) * 2001-11-29 2003-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romagnetic switching apparatus
KR100425218B1 (en) * 2002-01-28 2004-03-30 엘지산전 주식회사 Coil operating circuit for electric contactor
KR101451746B1 (en) * 2013-01-25 2014-10-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agnetic cont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412A (en) 201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970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5284882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247121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WO2008038421A1 (en) Electromagnetic switchgear
JP5295858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witchgear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31125A (en) Magnetic latching relay having asymmetrical solenoid structure
KR101529589B1 (en) Magnetic contactor
CN103247481A (en) Solenoid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KR101068155B1 (en) Magnetic contactor with drive device to control manipulator
US7061352B2 (en) Noise-free low-power consumption wide voltage range DC and AC contactor and remote telephon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US11495380B2 (en) Bistable hoisting solenoid
JP5835451B1 (en) Silent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1451746B1 (en) Magnetic contactor
JPWO2019181274A1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control method
JP2012129143A (en) Electromagnetic operating device and drive circuit of switchgear
KR101202674B1 (en) A direct alternating magnetic contactor embedded operation-switch
KR20110014032A (en) Energy-saving electronic switchgear
KR102333969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clamping circuit
KR101473848B1 (en) Magnetic contactor
US8508321B2 (en) Relay with multiple coils
US8824117B2 (en) Re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lay
KR102114236B1 (en) Power saving magnetic switch
US20120044030A1 (en) Relay with multiple coils
JP6658621B2 (en) Control circuit and switch device for switch device
JP6704241B2 (en)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