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9901B1 -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901B1
KR101449901B1 KR1020140044949A KR20140044949A KR101449901B1 KR 101449901 B1 KR101449901 B1 KR 101449901B1 KR 1020140044949 A KR1020140044949 A KR 1020140044949A KR 20140044949 A KR20140044949 A KR 20140044949A KR 101449901 B1 KR101449901 B1 KR 101449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fixing
ar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기
Original Assignee
김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기 filed Critical 김양기
Priority to KR1020140044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케이스 덮개가 결합되며, 상·하부 측면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유입관과 배출관이 장착되는 정수 케이스; 상기 정수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관통공 및 지지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구획 판; 상기 구획 판의 지지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필터; 상기 구획 판의 중앙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에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 암;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 상기 여과필터의 상부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돌기의 상부에는 여과필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다수개의 탄성 결합체; 상기 고정 암의 고정결합부와 중앙에 배치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작동 손잡이기 나선결합되고 상기 작동 손잡이의 회전 작동에 따라 탄성 결합체를 동시에 가압하여 여과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를 통해 여과필터를 간단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경감과 함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Side of the filter holder equipped with a filtration system}
본 발명은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하면서도 제작을 간편하게한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기는 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공정과 내부 여과기를 역세시키는 역세 공정을 자동화시키면서 여과와 역세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전 되고 있다.
따라서, 여과기에서는 여과경로와 역세경로의 구분이 엄격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여과기의 능력 요구에 있어서는 정밀한 미세 여과가 요구되는 분야에서부터 큰 부유물질의 여과를 요구하는 분야 등이 매우 엄격하게 구분되어져 있는데, 비교적 큰 부유물질들의 1차적인 여과가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여과능력보다는 여과와 역세의 효율성이 더 크게 강조되어 지고 있다.
또한 여과기 기술분야에서는 여전히 여과 공정과 역세 공정의 효율적이고 순조로운 전환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정의 전환이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계속되어도 고장이 없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여과기의 자동화 공정을 위하여 여과층을 형성시키는 섬유 여재의 공극제어를 자동화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데, 종래기술 방식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의 공극제어는 스트레이너를 지지체로 삼아 상기 섬유여재를 압착시키거나 풀어줌으로써 실시되었다.
대표적으로는 원통형 스트레이너 주변에 섬유여재를 적층 형성시키고 상기 섬유여재를 스트레이너에 비틀어 조이거나,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섬유여재에 장력을 발생시켜 형성하는 원통 방식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평판형 스트레이너 좌우면에 상기 섬유여재를 적층 형성시키고, 섬유여재가 스트레이너에 압착되도록 외부 봉으로 조이거나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섬유여재에 장력을 발생시켜 형성시키는 평판 방식이 있다.
특히, 정수를 위한 정수챔버 내부의 구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층과, 그 여과층을 거치면서 정수 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저장층으로 구획되게 형성된다.
이때, 여과층에서 여과필터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관 형태의 관통관이 여과필터 내부에 구비되게 된다.
이에 따라 여과되는데 시간이 더 많이 소모되는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수저장층과 여과층을 구획하면서 여과층의 하부를 이루는 구획판의 상면에는 여과필터를 부양 지지하는 캡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캡에서 여과필터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캡은 정수저장층과 여과층을 구획하는 구획판의 상면에 용접되게 되는데 기존에 사용되는 캡은 구획판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에서 최하단을 용접하여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용접공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17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를 통해 여과필터를 간단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획 판을 구성하는 지지부의 지지돌기를 통해 여과필터의 위치 변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케이스 덮개가 결합되며, 상·하부 측면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유입관과 배출관이 장착되는 정수 케이스; 상기 정수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관통공 및 지지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구획 판; 상기 구획 판의 지지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필터; 상기 구획 판의 중앙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에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 암;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 상기 여과필터의 상부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돌기의 상부에는 여과필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다수개의 탄성 결합체; 상기 고정 암의 고정결합부와 중앙에 배치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작동 손잡이기 나선결합되고 상기 작동 손잡이의 회전 작동에 따라 탄성 결합체를 동시에 가압하여 여과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고정구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 고정구와 대응하는 케이스 덮개에는 케이스 연결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케이스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필터 지지구를 수용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 지지구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 지지구는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필터 고정공 및 암 고정공;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을 연결하는 고정공 연결편; 상기 필터 고정공의 외면에 형성되고 정수 케이스에 고정 또는 지지되는 케이스 연결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에는 여과필터와 고정 암의 크기에 대향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크기 조절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에는 여과필터와 고정 암의 고정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측면 고정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를 통해 여과필터를 간단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필터의 내부에 수용되었던 여과봉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비용경감과 함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획 판을 구성하는 지지부의 지지돌기를 통해 여과필터의 위치 변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본 발명은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10)는 정수 케이스(20)와,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획 판(30)과, 상기 구획 판(30)의 상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여과필터(40)와, 상기 구획 판(30)의 중앙에 장착되는 고정 암(50)과, 상기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60)와, 상기 여과필터(40)를 가압지지하는 탄성 결합체(70)와, 상기 탄성 결합체(7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판(8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수 케이스(20)는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 케이스(20)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정수 케이스(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2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케이스 덮개(22)가 결합되고, 상·하부 측면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유입관(23)과 배출관(24)이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케이스 덮개(22)는 정수 케이스(2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정수 케이스(20)와 케이스 덮개(22)는 케이스 고정구(25)과 케이스 연결구(26)로 결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 고정구(25)는 정수 케이스(20)의 상부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25a)과 상기 고정 브라켓(25a)의 일 측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고정 너트(25c)가 장착되는 고정봉(25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브라켓(25a)과 대응되는 케이스 덮개(22)에는 케이스 연결구(2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 고정구(25)는 고정 브라켓(25a)과 일 측이 결합되는 고정봉(25b)의 회전작동에 따라 반대 측이 케이스 연결구(26)에 삽입되면서 고정 너트(25c)를 통해 고정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정수 케이스(20)와 케이스 덮개(22)에는 회전작동을 위하여 힌지 회전부(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 외면에 장착되는 유입관(23)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여과할 물을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내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하부 외면에 장착되는 배출관(24)은 여과된 정수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정수 케이스(20)에 장착되는 구획 판(30)은 여과할 여과수와 여과된 정수를 구분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의 내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 판(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32) 및 지지돌기(33)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부(31)가 형성된다.
본원발명에서 상기 구획 판(30)은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고정 암(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중앙 관통공(34)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32) 및 지지돌기(33)가 구비된 지지부(31)가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관통공(32)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돌기(33)는 여과필터(40)의 위치 안내와 함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구획 판(3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필터(40)는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구획 판(30)을 구성하는 지지부(31)와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여과필터(4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하부 끝단이 지지부(31)의 지지돌기(33)이 각각 지지되고 상기 유입관(23)를 통해 유입되는 여과수를 여과하게 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여과필터(40)는 수용공간(21)을 구획하는 구획 판(30)의 지지돌기(33)에 각각 장착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여과수를 자연스럽게 여과시켜 정수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획 판(30)의 중앙에 장착되는 고정 암(50)은 소정의 높이와 지름을 가지며 상부에는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결합부(5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암(50)은 구획 판(30)의 중앙 관통공(34)에 수직으로 장착되면서 상부에 고정판(80)과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결합부(52)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결합부(52)는 필요 이상으로 상기 고정판(80)이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 암(5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60)는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필터 지지구(60)는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상기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측면 일부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60)는 여과필터(40) 및 고정 암(50)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터 고정공(61) 및 암 고정공(6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의 사이에는 고정공 연결편(63)이 연결되며, 상기 필터 고정공(61)의 외면에는 정수 케이스(20)에 고정 또는 상기 필터 지지구 장착홈(27)에 지지되는 케이스 연결편(64)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 지지구(6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을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필터 고정공(61), 암 고정공(62), 고정공 연결편(63), 케이스 연결편(64)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은 구획 판(30)의 지지부(31) 및 중앙 관통공(3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 지지구(60)는 도시된 도 5 내지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5의 필터 지지구(60)는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됨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필터 지지구 장착홈(27)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필터 지지구 장착홈(27)은 서로 다른 높이에 필터 지지구(6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을 더욱더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6의 필터 지지구(60)는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에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크기에 대향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택일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크기 조절구(1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크기 조절구(100)는 필터 고정공(61)과 여과필터(40) 또는 암 고정공(62)과 고정 암(50)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에 장착되어 상기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7의 필터 지지구(60)는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에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측면 고정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측면 고정구(1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측면 고정구(110)를 끼움 또는 볼팅 결합하여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결합부분을 넓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 고정구(110)의 내면에는 여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간격을 두고 여과공(112)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여과필터(40)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탄성 결합체(70)는 여과필터(40)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결합체(70)는 여과필터(40)의 상부에 고정돌기(72)가 삽입되면서 여과필터(40)의 상부를 지지하는 가압판(71)과 상기 가압판(71)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프링(7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 결합체(70)는 여과필터(40)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가압판(71) 및 스프링(73)을 통해 여과필터(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 암(50)의 고정결합부(52)에 결합되는 고정판(8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고 중앙에는 결합공(82)이 구비된 작동손잡이(8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80)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고정판(8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고정판(80)은 고정 암(50)의 고정결합부(52)에 작동손잡이(81)의 결합공(82)이 나선 결합되고, 상기 작동손잡이(81)의 작동에 따라 고정결합부(52)를 따라 상, 하로 이동하면서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 결합체(70)의 스프링(73)을 가압하여 여과필터(4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2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케이스 덮개(22)가 결합되며, 상·하부 측면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유입관(23)과 배출관(24)이 각각 장착되는 정수 케이스(20)를 형성한 후 상기 정수 케이스(20)와 케이스 덮개(22)에 케이스 고정구(25)과 케이스 연결구(26)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고정 암(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중앙 관통공(34)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32) 및 지지돌기(33)가 구비된 지지부(31)가 형성되는 구획 판(3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지지부(31) 및 중앙 관통공(34)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터 고정공(61) 및 암 고정공(6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의 사이에는 고정공 연결편(63)이 연결되며, 상기 필터 고정공(61)의 외면에는 케이스 연결편(64)이 형성되는 필터 지지구(60)를 용접을 통해 고정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 판(30)의 중앙 관통공(34)에 소정의 높이와 지름을 가지며 상부에는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결합부(52)가 형성되는 고정 암(50)을 장착한 후 상기 구획 판(30)을 구성하는 지지부(31)의 지지돌기(33)에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여과필터(40)를 각각 장착한다.
이때 상기 고정 암(50)과 여과필터(40)는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필터(40)의 상부에 고정돌기(72)가 삽입되면서 여과필터(40)의 상부를 지지하는 가압판(71)과 상기 가압판(71)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프링(73)으로 구성되는 탄성 결합체(70)를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암(50)의 고정결합부(52)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고 중앙에는 결합공(82)이 구비된 작동손잡이(81)가 형성되는 작동손잡이(81)를 결합하면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케이스 덮개(22)를 개방한 후, 상기 고정판(80)의 작동손잡이(81)를 회전작동시켜 탄성 결합체(70)가 여과필터(40)를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유입관(23)에 여과수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을 결합하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배출관(24)에는 여과된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관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입관(23)을 통해 여과수가 공급되면, 상기 여과수는 정수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채워지고,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된 여과수는 구획 판(30)의 관통공(32)을 통해 이동된 후, 상기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더불어 상기 여과수는 구획 판(30)의 지지부(31)에 장착되는 여과필터(40)를 통해 여과되면서 하부로 이동한 후 배출관(24)을 배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여과필터(40)의 상, 하부는 탄성 결합체(70) 및 구획 판(30)의 지지돌기(33)에 지지됨과 동시에 필터 지지구(60)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많은 량의 여과수를 여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는 정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를 통해 여과필터를 간단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20 : 정수 케이스,
30 : 구획 판,
40 : 여과필터,
50 : 고정 암,
60 : 필터 지지구,
70 : 탄성 결합체,
80 : 고정판.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케이스 덮개가 결합되며, 상·하부 측면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유입관과 배출관이 장착되는 정수 케이스;
    상기 정수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관통공 및 지지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구획 판;
    상기 구획 판의 지지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필터;
    상기 구획 판의 중앙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에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 암;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
    상기 여과필터의 상부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돌기의 상부에는 여과필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다수개의 탄성 결합체;
    상기 고정 암의 고정결합부와 중앙에 배치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작동 손잡이기 나선결합되고 상기 작동 손잡이의 회전 작동에 따라 탄성 결합체를 동시에 가압하여 여과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고정구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 고정구와 대응하는 케이스 덮개에는 케이스 연결구가 장착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케이스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필터 지지구를 수용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 지지구 장착홈이 형성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4. 제 1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구는,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필터 고정공 및 암 고정공;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을 연결하는 고정공 연결편;
    상기 필터 고정공의 외면에 형성되고 정수 케이스에 고정 또는 지지되는 케이스 연결편;으로 구성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에는 여과필터와 고정 암의 크기에 대향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크기 조절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에는 여과필터와 고정 암의 고정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측면 고정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KR1020140044949A 2014-04-15 2014-04-15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KR101449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949A KR101449901B1 (ko) 2014-04-15 2014-04-15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949A KR101449901B1 (ko) 2014-04-15 2014-04-15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901B1 true KR101449901B1 (ko) 2014-10-13

Family

ID=5199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949A KR101449901B1 (ko) 2014-04-15 2014-04-15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993B1 (ko) * 2021-08-25 2022-02-23 (주)해인시스템 정수장치
KR102426003B1 (ko) * 2021-05-31 2022-07-29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010A (ja) * 2004-09-16 2006-03-30 Wako Filter Technology Kk 流体濾過フィルタ
JP2006082009A (ja) * 2004-09-16 2006-03-30 Wako Filter Technology Kk 流体濾過フィルタの安全装置
KR20110001058U (ko) *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앱스필 수처리용 필터장치
JP2011218253A (ja) * 2010-04-05 2011-11-04 Wako Filter Technology Kk 流体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010A (ja) * 2004-09-16 2006-03-30 Wako Filter Technology Kk 流体濾過フィルタ
JP2006082009A (ja) * 2004-09-16 2006-03-30 Wako Filter Technology Kk 流体濾過フィルタの安全装置
KR20110001058U (ko) *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앱스필 수처리용 필터장치
JP2011218253A (ja) * 2010-04-05 2011-11-04 Wako Filter Technology Kk 流体フィル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003B1 (ko) * 2021-05-31 2022-07-29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2365993B1 (ko) * 2021-08-25 2022-02-23 (주)해인시스템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3269B (zh) 过滤器组件
US8764984B2 (en) Filter-in-filter with funnel shaped passageway
JP5833493B2 (ja) バラスト水処理用多筒型自動逆洗式ストレーナ
KR101449901B1 (ko)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CN110606517A (zh) 一种新型台上式净水器
KR200367658Y1 (ko) 복합 필터 조립체
KR20110001021U (ko) 정수시스템용 정수필터 결합구조
IT9048128A1 (it) Complesso a filtro per drenaggio.
CN104056474A (zh) 过滤装置及滤材的反洗方法
US10252197B2 (en) Filter assembly
KR100893197B1 (ko) 섬유사 여과장치
KR101349055B1 (ko) 하부캡이 구비된 여과장치
US10617977B2 (en) Outside-in water purification system
EP3120919B1 (en) Membrane casing
KR102049252B1 (ko) 케미컬 처리장치용 하우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처리장치
KR101193732B1 (ko) 여과면적이 확대된 수처리용 필터 구조체
RU2006100527A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пищевых жидкосте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молока
KR20160109967A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KR20130130274A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KR100873896B1 (ko) 섬유사 여과장치
KR101757651B1 (ko) 연장수관을 구비한 정수필터
JP3119066U (ja) 濾過器
KR20160068085A (ko) 산업용 정수기 필터 고정장치
EP3498677B1 (en) Outside-in water purification system
JP6569272B2 (ja) 圧力式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4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