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901B1 - Side of the filter holder equipped with a filt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Side of the filter holder equipped with a filtr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9901B1 KR101449901B1 KR1020140044949A KR20140044949A KR101449901B1 KR 101449901 B1 KR101449901 B1 KR 101449901B1 KR 1020140044949 A KR1020140044949 A KR 1020140044949A KR 20140044949 A KR20140044949 A KR 20140044949A KR 101449901 B1 KR101449901 B1 KR 101449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case
- fixing
- arm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케이스 덮개가 결합되며, 상·하부 측면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유입관과 배출관이 장착되는 정수 케이스; 상기 정수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관통공 및 지지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구획 판; 상기 구획 판의 지지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필터; 상기 구획 판의 중앙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에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 암;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 상기 여과필터의 상부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돌기의 상부에는 여과필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다수개의 탄성 결합체; 상기 고정 암의 고정결합부와 중앙에 배치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작동 손잡이기 나선결합되고 상기 작동 손잡이의 회전 작동에 따라 탄성 결합체를 동시에 가압하여 여과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를 통해 여과필터를 간단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경감과 함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ing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wherein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case cover for opening or closing the receiving spac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 inlet case and an outlet case; A partition plate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therein with through holes and support protrusions; A filtration filter mount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A fixed arm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at the center of the partition plate and a fixed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filter holder mounted on the water purifying case and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filtering filter and the fixing arm; A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members, in which a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a pressure plate for press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ixing protrusion, and a spring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And a fixing plate that is coupled to an operating knob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disposed at a center of the fixed arm of the fixed arm and is fixed to the filter by simultaneously pressing the elastic coupling bod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ng kno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filter filter be easily supported and fixed through the filter holder mounted on the water purification case, but also the structure can be easily configured with the cost redu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하면서도 제작을 간편하게한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for purifying purified water from the outside to simplify the production.
일반적으로 여과기는 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공정과 내부 여과기를 역세시키는 역세 공정을 자동화시키면서 여과와 역세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전 되고 있다.In general, a filter is being developed to efficiently improve filtration and backwash while automating the filtration process for filtering raw water and the backwash process for backwashing an internal filter.
따라서, 여과기에서는 여과경로와 역세경로의 구분이 엄격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fore, in the filter, it is general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iltration path and the backwash path is strictly maintained.
한편, 여과기의 능력 요구에 있어서는 정밀한 미세 여과가 요구되는 분야에서부터 큰 부유물질의 여과를 요구하는 분야 등이 매우 엄격하게 구분되어져 있는데, 비교적 큰 부유물질들의 1차적인 여과가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여과능력보다는 여과와 역세의 효율성이 더 크게 강조되어 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quirements of the filter, there is a very strict division between fields requiring precise microfiltration and those requiring filtration of a large suspended material. In fields where relatively large floating substances are required to be primarily filtered, The efficiency of filtration and backwashing is emphasized more.
또한 여과기 기술분야에서는 여전히 여과 공정과 역세 공정의 효율적이고 순조로운 전환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정의 전환이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계속되어도 고장이 없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In the field of filter technology, efficient and smooth transition of filtration process and backwash process is still required, and even if the process is switched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there is no breakdown and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is continuously required have.
여과기의 자동화 공정을 위하여 여과층을 형성시키는 섬유 여재의 공극제어를 자동화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데, 종래기술 방식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의 공극제어는 스트레이너를 지지체로 삼아 상기 섬유여재를 압착시키거나 풀어줌으로써 실시되었다.There is a continuing need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automating air gap control of a fiber filter material for forming a filtration layer for an automated process of a filter. In the prior art method, the air gap control of the fiber filter material is performed by using a strainer as a support, Squeezing or loosening the filter media.
대표적으로는 원통형 스트레이너 주변에 섬유여재를 적층 형성시키고 상기 섬유여재를 스트레이너에 비틀어 조이거나,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섬유여재에 장력을 발생시켜 형성하는 원통 방식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평판형 스트레이너 좌우면에 상기 섬유여재를 적층 형성시키고, 섬유여재가 스트레이너에 압착되도록 외부 봉으로 조이거나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섬유여재에 장력을 발생시켜 형성시키는 평판 방식이 있다.Typically, there is a cylindrical method in which a fibrous filter material is laminated around a cylindrical strainer, the fiber filter material is twisted or strained to the strainer or pulled upward to generate tension in the fiber filter material, and a flat plate- There is a flat plate method in which the fibrous filter material is laminated and the fiber filter material is tightened with the outer bar so as to be pressed on the strainer or pulled upward to generate tension in the fiber filter material.
특히, 정수를 위한 정수챔버 내부의 구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층과, 그 여과층을 거치면서 정수 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저장층으로 구획되게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cation chamber for the water purification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a filtration layer for filter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purified water storage layer into which the purified water flows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layer.
이때, 여과층에서 여과필터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관 형태의 관통관이 여과필터 내부에 구비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lter in the filter layer, a tube-shaped pipe is provided inside the filter.
이에 따라 여과되는데 시간이 더 많이 소모되는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which is consumed more time to be filtered.
또한, 정수저장층과 여과층을 구획하면서 여과층의 하부를 이루는 구획판의 상면에는 여과필터를 부양 지지하는 캡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캡에서 여과필터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cap for supporting a filtration filt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which forms the lower part of the filtration layer while partitioning the purified water storage layer and the filtration layer.
특히, 상기 캡은 정수저장층과 여과층을 구획하는 구획판의 상면에 용접되게 되는데 기존에 사용되는 캡은 구획판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에서 최하단을 용접하여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용접공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the cap is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partitioning the purified water storage layer and the filtration layer. The cap us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is difficult to be welded because it is used by welding the lowermost end of the partition plate.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를 통해 여과필터를 간단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easily supporting and fixing a filtering filter through a filter holder mounted on a purified water case.
또한 구획 판을 구성하는 지지부의 지지돌기를 통해 여과필터의 위치 변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preventing positional deviation and departure of a filter through a support protrusion of a support portion constituting a partition pla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케이스 덮개가 결합되며, 상·하부 측면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유입관과 배출관이 장착되는 정수 케이스; 상기 정수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관통공 및 지지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구획 판; 상기 구획 판의 지지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필터; 상기 구획 판의 중앙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에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 암;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 상기 여과필터의 상부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돌기의 상부에는 여과필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다수개의 탄성 결합체; 상기 고정 암의 고정결합부와 중앙에 배치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작동 손잡이기 나선결합되고 상기 작동 손잡이의 회전 작동에 따라 탄성 결합체를 동시에 가압하여 여과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In the filtration apparatus having the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case cover for opening or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 inlet case and an outlet case; A partition plate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therein with through holes and support protrusions; A filtration filter mount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A fixed arm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at the center of the partition plate and a fixed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filter holder mounted on the water purifying case and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filtering filter and the fixing arm; A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members, in which a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a pressure plate for press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ixing protrusion, and a spring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And a fixing plate that is coupled to an operating knob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disposed at a center of the fixed arm of the fixed arm and is fixed to the filter by simultaneously pressing the elastic coupling bod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ng knob.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고정구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 고정구와 대응하는 케이스 덮개에는 케이스 연결구가 장착될 수 있다. A case fixing member is mounted on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water purifying case at an interval, and a case connecting hole is formed in the case lid corresponding to the case fixing member.
또한 상기 정수 케이스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필터 지지구를 수용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 지지구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lter holder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purifying case so as to receive and support the filter holder.
여기서 상기 필터 지지구는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필터 고정공 및 암 고정공;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을 연결하는 고정공 연결편; 상기 필터 고정공의 외면에 형성되고 정수 케이스에 고정 또는 지지되는 케이스 연결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filter support includes filter fixing holes and an arm fixing hol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ltering filter and the fixing arm, respectively; A fixing hole connecting piece connecting the filter fixing hole and the arm fixing hole; And a case connecting pie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fixing hole and fixed or supported on the purified water case.
또한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에는 여과필터와 고정 암의 크기에 대향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크기 조절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ze adjuster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filter fixing hole and the arm fixing hole so as to be opposed to the filter filter and the fixing arm.
또한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에는 여과필터와 고정 암의 고정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측면 고정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A side fastener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filter fixing hole and the arm fixing hole so as to widen the fixing range of the filtering filter and the fixing ar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를 통해 여과필터를 간단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필터의 내부에 수용되었던 여과봉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비용경감과 함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filter filter be easily supported and fixed through the filter holder mounted on the case, but also the filter rod accommodated in the filter filter can be remove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또한 구획 판을 구성하는 지지부의 지지돌기를 통해 여과필터의 위치 변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fluctuation and deviation of the posi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through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support part constituting the partition plate,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holder constituting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lter holder constituting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ltration apparatus of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lter holder constituting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발명인 본 발명은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10)는 정수 케이스(20)와,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획 판(30)과, 상기 구획 판(30)의 상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여과필터(40)와, 상기 구획 판(30)의 중앙에 장착되는 고정 암(50)과, 상기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60)와, 상기 여과필터(40)를 가압지지하는 탄성 결합체(70)와, 상기 탄성 결합체(7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판(80) 등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정수 케이스(20)는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정수 케이스(20)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정수 케이스(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 the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2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케이스 덮개(22)가 결합되고, 상·하부 측면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유입관(23)과 배출관(24)이 각각 장착된다.A
여기서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케이스 덮개(22)는 정수 케이스(2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정수 케이스(20)와 케이스 덮개(22)는 케이스 고정구(25)과 케이스 연결구(26)로 결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 고정구(25)는 정수 케이스(20)의 상부 외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25a)과 상기 고정 브라켓(25a)의 일 측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고정 너트(25c)가 장착되는 고정봉(25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브라켓(25a)과 대응되는 케이스 덮개(22)에는 케이스 연결구(26)가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즉 상기 케이스 고정구(25)는 고정 브라켓(25a)과 일 측이 결합되는 고정봉(25b)의 회전작동에 따라 반대 측이 케이스 연결구(26)에 삽입되면서 고정 너트(25c)를 통해 고정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더불어 상기 정수 케이스(20)와 케이스 덮개(22)에는 회전작동을 위하여 힌지 회전부(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 외면에 장착되는 유입관(23)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여과할 물을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내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하부 외면에 장착되는 배출관(24)은 여과된 정수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상기 정수 케이스(20)에 장착되는 구획 판(30)은 여과할 여과수와 여과된 정수를 구분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의 내부에 장착된다. The
그리고 상기 구획 판(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32) 및 지지돌기(33)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부(31)가 형성된다. The
본원발명에서 상기 구획 판(30)은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고정 암(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중앙 관통공(34)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32) 및 지지돌기(33)가 구비된 지지부(31)가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관통공(32)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돌기(33)는 여과필터(40)의 위치 안내와 함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구획 판(3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필터(40)는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구획 판(30)을 구성하는 지지부(31)와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The
즉 상기 여과필터(4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하부 끝단이 지지부(31)의 지지돌기(33)이 각각 지지되고 상기 유입관(23)를 통해 유입되는 여과수를 여과하게 된다. That is, the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여과필터(40)는 수용공간(21)을 구획하는 구획 판(30)의 지지돌기(33)에 각각 장착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여과수를 자연스럽게 여과시켜 정수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The
상기 구획 판(30)의 중앙에 장착되는 고정 암(50)은 소정의 높이와 지름을 가지며 상부에는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결합부(52)가 형성된다. The
즉 상기 고정 암(50)은 구획 판(30)의 중앙 관통공(34)에 수직으로 장착되면서 상부에 고정판(80)과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결합부(52)가 형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고정결합부(52)는 필요 이상으로 상기 고정판(80)이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 암(5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At this time, it is effective that the fixed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60)는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을 지지하게 된다. The
즉 상기 필터 지지구(60)는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상기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측면 일부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60)는 여과필터(40) 및 고정 암(50)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터 고정공(61) 및 암 고정공(6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의 사이에는 고정공 연결편(63)이 연결되며, 상기 필터 고정공(61)의 외면에는 정수 케이스(20)에 고정 또는 상기 필터 지지구 장착홈(27)에 지지되는 케이스 연결편(64)이 돌출형성된다. The
이때 상기 필터 지지구(6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을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필터 고정공(61), 암 고정공(62), 고정공 연결편(63), 케이스 연결편(64)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은 구획 판(30)의 지지부(31) 및 중앙 관통공(3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다음으로 상기 필터 지지구(60)는 도시된 도 5 내지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먼저 도시된 도 5의 필터 지지구(60)는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됨을 나타낸 것이다. 5 shows that the
이를 위해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필터 지지구 장착홈(27)이 형성된다.To this end, the filter
즉, 상기 필터 지지구 장착홈(27)은 서로 다른 높이에 필터 지지구(6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을 더욱더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filter
그리고 도시된 도 6의 필터 지지구(60)는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에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크기에 대향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택일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크기 조절구(1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예를 나타낸 것이다. The
즉 상기 크기 조절구(100)는 필터 고정공(61)과 여과필터(40) 또는 암 고정공(62)과 고정 암(50)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에 장착되어 상기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다음으로 도시된 도 7의 필터 지지구(60)는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에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측면 고정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측면 고정구(1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The
즉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측면 고정구(110)를 끼움 또는 볼팅 결합하여 여과필터(40)와 고정 암(50)의 결합부분을 넓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이때 상기 측면 고정구(110)의 내면에는 여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간격을 두고 여과공(112)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여과필터(40)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탄성 결합체(70)는 여과필터(40)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The
그리고 상기 탄성 결합체(70)는 여과필터(40)의 상부에 고정돌기(72)가 삽입되면서 여과필터(40)의 상부를 지지하는 가압판(71)과 상기 가압판(71)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프링(73)으로 구성된다. The
즉 상기 탄성 결합체(70)는 여과필터(40)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가압판(71) 및 스프링(73)을 통해 여과필터(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상기 고정 암(50)의 고정결합부(52)에 결합되는 고정판(8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고 중앙에는 결합공(82)이 구비된 작동손잡이(81)가 형성된다.The fixing
여기서 상기 고정판(80)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고정판(8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fixing
즉 상기 고정판(80)은 고정 암(50)의 고정결합부(52)에 작동손잡이(81)의 결합공(82)이 나선 결합되고, 상기 작동손잡이(81)의 작동에 따라 고정결합부(52)를 따라 상, 하로 이동하면서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 결합체(70)의 스프링(73)을 가압하여 여과필터(4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ix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a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side suppor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2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케이스 덮개(22)가 결합되며, 상·하부 측면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유입관(23)과 배출관(24)이 각각 장착되는 정수 케이스(20)를 형성한 후 상기 정수 케이스(20)와 케이스 덮개(22)에 케이스 고정구(25)과 케이스 연결구(26)를 결합한다. First, a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고정 암(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중앙 관통공(34)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32) 및 지지돌기(33)가 구비된 지지부(31)가 형성되는 구획 판(30)을 장착한다. A central through
다음으로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지지부(31) 및 중앙 관통공(34)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터 고정공(61) 및 암 고정공(6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의 사이에는 고정공 연결편(63)이 연결되며, 상기 필터 고정공(61)의 외면에는 케이스 연결편(64)이 형성되는 필터 지지구(60)를 용접을 통해 고정결합한다. A
그리고 상기 구획 판(30)의 중앙 관통공(34)에 소정의 높이와 지름을 가지며 상부에는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결합부(52)가 형성되는 고정 암(50)을 장착한 후 상기 구획 판(30)을 구성하는 지지부(31)의 지지돌기(33)에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여과필터(40)를 각각 장착한다. A fixing
이때 상기 고정 암(50)과 여과필터(40)는 필터 고정공(61)과 암 고정공(62)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At this time, the fixed
다음으로 상기 여과필터(40)의 상부에 고정돌기(72)가 삽입되면서 여과필터(40)의 상부를 지지하는 가압판(71)과 상기 가압판(71)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프링(73)으로 구성되는 탄성 결합체(70)를 각각 장착한다. A fixing
그리고 상기 고정 암(50)의 고정결합부(52)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고 중앙에는 결합공(82)이 구비된 작동손잡이(81)가 형성되는 작동손잡이(81)를 결합하면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When the operating
여기서 상기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assembly order of the filter device having the filter side support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use state of the filtration apparatus having the filter side support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케이스 덮개(22)를 개방한 후, 상기 고정판(80)의 작동손잡이(81)를 회전작동시켜 탄성 결합체(70)가 여과필터(40)를 고정하도록 한다. The elastic gripping
그리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유입관(23)에 여과수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을 결합하고, 상기 정수 케이스(20의 배출관(24)에는 여과된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관을 결합한다. A pipeline is connected to the
다음으로 상기 유입관(23)을 통해 여과수가 공급되면, 상기 여과수는 정수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채워지고,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된 여과수는 구획 판(30)의 관통공(32)을 통해 이동된 후, 상기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When the filtered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더불어 상기 여과수는 구획 판(30)의 지지부(31)에 장착되는 여과필터(40)를 통해 여과되면서 하부로 이동한 후 배출관(24)을 배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iltered water is filtered through a
이때 상기 여과필터(40)의 상, 하부는 탄성 결합체(70) 및 구획 판(30)의 지지돌기(33)에 지지됨과 동시에 필터 지지구(60)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많은 량의 여과수를 여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는 정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구를 통해 여과필터를 간단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 apparatus having the filter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that not only the filtration filter can be easily supported and fixed, but also the cost can be reduced through the filter support installed in the purified water cas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20 : 정수 케이스,
30 : 구획 판,
40 : 여과필터,
50 : 고정 암,
60 : 필터 지지구,
70 : 탄성 결합체,
80 : 고정판.10: Filter device with filter side support,
20: Water purification case,
30: partition plate,
40: Filtration filter,
50: Fixed arm,
60: Filtered earth,
70: elastic bonding material,
80: Fixed plate.
Claims (6)
상기 정수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관통공 및 지지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구획 판;
상기 구획 판의 지지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필터;
상기 구획 판의 중앙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에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 암;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의 측면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
상기 여과필터의 상부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돌기의 상부에는 여과필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다수개의 탄성 결합체;
상기 고정 암의 고정결합부와 중앙에 배치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작동 손잡이기 나선결합되고 상기 작동 손잡이의 회전 작동에 따라 탄성 결합체를 동시에 가압하여 여과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ase cover for opening or closing the receiving space, and an inflow pipe and a discharge pipe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water are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 partition plate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therein with through holes and support protrusions;
A filtration filter mount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A fixed arm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at the center of the partition plate and a fixed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filter holder mounted on the water purifying case and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filtering filter and the fixing arm;
A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members, in which a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a pressure plate for press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ixing protrusion, and a spring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And a fixing plate which is spirally engaged with an operating knob having a coupling hol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xed arm of the fixed arm and which simultaneously presses the elastic coupling bod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ng knob to fix the filtering filter, .
상기 정수 케이스의 상부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고정구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 고정구와 대응하는 케이스 덮개에는 케이스 연결구가 장착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se fixing member is mounted on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water purifying case at an interval, and a case lid corresponding to the case fixing member is mount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water purifying case,
상기 정수 케이스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필터 지지구를 수용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 지지구 장착홈이 형성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lter side mount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case so as to be able to receive and support the filter support member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상기 여과필터 및 고정 암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필터 고정공 및 암 고정공;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을 연결하는 고정공 연결편;
상기 필터 고정공의 외면에 형성되고 정수 케이스에 고정 또는 지지되는 케이스 연결편;으로 구성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The filter according to claim 1 or 3,
A filter fixing hole and an arm fixing hol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ltering filter and the fixing arm;
A fixing hole connecting piece connecting the filter fixing hole and the arm fixing hole;
And a case connecting pie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fixing hole and fixed or supported on the purified water case.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에는 여과필터와 고정 암의 크기에 대향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크기 조절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ter fixing hole and the arm fixing hole are provided with a filter side support to which a size adjusting hole is detachably mounted so as to be fixed opposite to the size of the filtering filter and the fixing arm.
상기 필터 고정공과 암 고정공에는 여과필터와 고정 암의 고정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측면 고정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ter fixing hole and the arm fixing hole are provided with a filter side support to which a side fixing member is detachably attached so as to widen the fixing range of the filtering filter and the fixing ar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4949A KR101449901B1 (en) | 2014-04-15 | 2014-04-15 | Side of the filter holder equipped with a filtr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4949A KR101449901B1 (en) | 2014-04-15 | 2014-04-15 | Side of the filter holder equipped with a filtr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9901B1 true KR101449901B1 (en) | 2014-10-13 |
Family
ID=5199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4949A Active KR101449901B1 (en) | 2014-04-15 | 2014-04-15 | Side of the filter holder equipped with a filtr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990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5993B1 (en) * | 2021-08-25 | 2022-02-23 | (주)해인시스템 | Apparatus for water purifying |
KR102426003B1 (en) * | 2021-05-31 | 2022-07-29 |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 Filter for purification of apartment water tank and filtration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82009A (en) * | 2004-09-16 | 2006-03-30 | Wako Filter Technology Kk | Safety device for fluid filtration filter |
JP2006082010A (en) * | 2004-09-16 | 2006-03-30 | Wako Filter Technology Kk | Fluid filtration filter |
KR20110001058U (en) * | 2009-07-23 | 2011-01-31 | 주식회사 앱스필 | Filter for seawater |
JP2011218253A (en) * | 2010-04-05 | 2011-11-04 | Wako Filter Technology Kk | Fluid filter |
-
2014
- 2014-04-15 KR KR1020140044949A patent/KR1014499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82009A (en) * | 2004-09-16 | 2006-03-30 | Wako Filter Technology Kk | Safety device for fluid filtration filter |
JP2006082010A (en) * | 2004-09-16 | 2006-03-30 | Wako Filter Technology Kk | Fluid filtration filter |
KR20110001058U (en) * | 2009-07-23 | 2011-01-31 | 주식회사 앱스필 | Filter for seawater |
JP2011218253A (en) * | 2010-04-05 | 2011-11-04 | Wako Filter Technology Kk | Fluid filt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6003B1 (en) * | 2021-05-31 | 2022-07-29 |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 Filter for purification of apartment water tank and filtration apparatus |
KR102365993B1 (en) * | 2021-08-25 | 2022-02-23 | (주)해인시스템 | Apparatus for water purify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983269B (en) | Filter assembly | |
US8764984B2 (en) | Filter-in-filter with funnel shaped passageway | |
JP5833493B2 (en) | Multi-cylinder type automatic backwash strainer for ballast water treatment | |
KR101449901B1 (en) | Side of the filter holder equipped with a filtration system | |
CN110606517A (en) | A new type of table-top water purifier | |
KR200367658Y1 (en) | Composite filter assembly | |
KR20110001021U (en) | Assembly construction of water purifying filter for water purification system | |
US20140319050A1 (en) | Water filter assembly | |
CN104056474A (en) | Filter device and backwashing method of filter materials | |
US10252197B2 (en) | Filter assembly | |
KR101349055B1 (en) | Filtration apparatus with lower part cap | |
US10617977B2 (en) | Outside-in water purification system | |
EP3120919B1 (en) | Membrane casing | |
KR101894435B1 (en) | Microfilters for industrial wastewater filtration or seawater desalination with casing of multi-in-out construction | |
KR101193732B1 (en) | Purifying Filter Structure for Waters with Enlarged Filtration Area | |
KR20160109967A (en) | assembly of RO sheet and RO filter | |
KR200420696Y1 (en) | Water filter | |
RU2006100527A (en) | DEVICE FOR FILTRATION OF FOOD LIQUIDS, PREVIOUSLY OF MILK | |
KR20130130274A (en) | Apparatus for filtering used with multi-fiber layer and the backward wash method thereof | |
JP3119066U (en) | Filter | |
KR20160068085A (en) | Industrial water purifier filter retainer | |
EP3498677B1 (en) | Outside-in water purification system | |
JP6569272B2 (en) | Pressure filtration device | |
KR102140265B1 (en) | Hollow fiber complex filter | |
KR20140051542A (en) |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4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5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