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2006B1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006B1
KR101442006B1 KR1020080052961A KR20080052961A KR101442006B1 KR 101442006 B1 KR101442006 B1 KR 101442006B1 KR 1020080052961 A KR1020080052961 A KR 1020080052961A KR 20080052961 A KR20080052961 A KR 20080052961A KR 101442006 B1 KR101442006 B1 KR 10144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ver sheet
sheet portion
backlight assembly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721A (ko
Inventor
김창회
신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006B1/ko
Priority to US12/469,095 priority patent/US8052296B2/en
Priority to JP2009136729A priority patent/JP5511229B2/ja
Publication of KR2009012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0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5Balancing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1Illuminating devices for spatial active dimm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H05B45/325Pulse-width modulation [PW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적어도 하나의 광 발생유닛 및 커버 시트부를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바닥판 및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한다. 광 발생유닛은 수납용기 내에 배치된 발광기판,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들, 및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되어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커버 시트부는 발광기판의 발광영역 상에 부착되고 발광 다이오드들이 관통하도록 발광홈들을 갖는 중앙 시트부, 및 발광기판의 외곽영역의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고 일부가 측벽과 부착된 커버 시트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반사시트의 커버 시트부가 구동 회로부를 커버함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반사시트, 중앙 시트부, 커버 시트부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BACK 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BACK LIGHT ASSEMBLY}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는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전력소모가 낮은 장점이 있어, 모니터, 노트북, 휴대폰뿐만 아니라 대형TV에도 사용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들를 갖는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는 컬러필터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으로 복수의 냉음극 형광램프들(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을 채용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낮은 전력소모 및 높은 색재현성을 갖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Light Emitting Diodes)을 채용하고 있다. 즉,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용기 내에 배치된 광 발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 발생유닛은 발광기판과,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 상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들 및 전류 밸런스 소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전류 밸런스 소자들은 상기 발광영역의 외곽인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전류 밸런스 소자들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로 인가되는 전류들의 밸런스(balance)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류 밸런스 소자들은 광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류 밸런스 소자들을 커버하는 사이드 몰드를 더 구비하여야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전류 밸런스 소자들을 커버하기 위한 상기 사이드 몰드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이 상기 사이드 몰드 만큼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 몰드의 생략으로 인해 낮은 제조비용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적어도 하나의 광 발생유닛 및 반사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광 발생유닛은 상기 수납용기 내에 배치된 발광기판,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장착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 상기 발광영역의 외곽인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부착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관통하도록 복수의 발광홈들을 갖는 중앙 시트부, 및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고 일부가 상기 측벽과 부착된 커버 시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시트부는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기 수납용기의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부 및 상기 측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수납용기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상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시트부의 일부가 상기 상판부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는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측부의 에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상판부는 상기 측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수납용기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커버 시트부의 일부는 상기 상판부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시트부의 일부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시트부은 상기 중앙 시트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커버 시트부은 상기 중앙 시트부와 분리되어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시트부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고정된 형상을 갖도록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의 4 변들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시트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커버 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 커버 시트부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시트부는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로 인가되는 전류들의 밸런스(balance)가 유지되도록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전류 밸런스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되고, 커넥터선을 통해 상기 발광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은 상기 커넥터선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적어도 하나의 광 발생유닛 및 반사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광 발생유닛은 상기 수납용기 내에 배치된 발광기판,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장착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 상기 발광영역의 외곽인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부착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관통하도록 복수의 발광홈들을 갖는 중앙 시트부, 및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고 일부가 상기 측벽과 부착된 커버 시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 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에서 발생된 광의 광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 시트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 상에 안착된 상기 광학 시트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부는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기 수납용기의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부, 및 상기 측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수납용기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상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시트부의 일부가 상기 상판부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시트의 커버 시트부가 측벽과 부착되어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된 구동 회로부를 커버함에 따라, 종래에 사용되었던 사이드 몰드가 생략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표시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DA)는 표시패널(100), 백라이트 어셈블리(BL) 및 광학 시트류(2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패널(100)은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및 액정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10)은 복수의 신호선들, 상기 신호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120)은 상기 제1 기판(110)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화소전극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컬러필터들 및 기판 전면에 배치된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컬러필터들은 상기 제2 기판(120)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기판(11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130)은 상기 제1 기판(110)과 상기 제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전극들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배열이 변경되고, 그로 인해, 상기 액정층의 광투과율이 변경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L)는 상기 표시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100)로 광을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L)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이므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L)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별도의 도면들을 이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광학 시트류(2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L) 및 상기 표시패널(1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 시트류(2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L)로부터 발생된 광의 광학특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시트류(200)는 확산판(210), 제1 프리즘 시트(220) 및 제2 프리즘 시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판(21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L)로부터 발생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즘 시트들(220, 23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L)로부터 발생된 광의 정면 휘도를 증가시킨다.
도 2는 도 1의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중 광 발생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BL)는 수납용기(300), 적어도 하나의 광 발생유닛(400), 반사시트(500) 및 발광 제어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30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바닥판(310) 및 상기 바닥판(310)의 에지(edge)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용기(300)는 예를 들어, 바텀 샤시(bottom chassis)일 수 있다.
상기 바닥판(310)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제1 내지 제4 변들로 구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바닥판(310)은 상기 제1 내지 제4 변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에지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바닥판(310)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제1 방향(DI1)의 길이가 상기 제1 방향(DI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I2)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벽(320)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1 내지 제4 에지들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322, 324)은 상기 제1 방향(DI1)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측벽들(326, 328)은 상기 제2 방향(DI2)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단면적으로 보았을 때 L-자 형상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벽은 단면적으로 보았을 때, 일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322, 324)의 단면들이 L-자 형상을 갖고, 상기 제3 및 제4 측벽들(326, 328)의 단면들은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322)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1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1 측부(322a) 및 상기 제1 측부(322a)로부터 상기 수납용기(3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상판부(3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벽(324)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2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2 측부(324a) 및 상기 제2 측부(324a)로부터 상기 수납용기(3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상판부(324b)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및 제4 측벽들(326, 328)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3 및 제4 에지들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들 각각은 상기 바닥판(310)에 대하여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의 상단면에는 도 1의 광학 시트류(200)가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수납용기(3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의 상단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330)는 상기 광학 시트류(200)의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 발생유닛(400)은 상기 수납용기(300)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4 개의 광 발생유닛들(400)이 2행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광 발생유닛(400)은 발광기판(410),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420) 및 구동 회로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기판(410)은 상기 수납용기(300)의 바닥판(3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기판(410)은 상기 바닥판(310)과 마주하는 하면 및 상기 하면의 반대측인 상면을 갖는다.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은 광이 발생되기 위한 발광영역(AR1) 및 상기 발광영역(AR1)의 외곽에 형성된 외곽영역(AR2)으로 구분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은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발광영역(AR1) 상에 장착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들, 녹색 발광 다이오드들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430)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 회로부(430)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은 상기 구동 회로부(430)에 의해 제어되어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 회로부(430)는 예를 들어, 전류 밸런스부(432) 및 내부 커텍터(4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밸런스부(432)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로 인가되는 전류들의 밸런스(balance)가 유지되도록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텍터(434)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 또는 상기 전류 밸런스부(4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4 개의 광 발생유닛들(400)은 분리되어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일체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4 개의 발광기판들(410)이 서로 연결된 일체형의 발광기판이 상기 수납용기(300)의 바닥판(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체형의 발광기판의 상면은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구동 회로부(430)가 장착되는 외곽영역(AR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체형의 발광기판의 상면은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322, 324)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외곽영역들(AR1)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외곽영역들(AR1) 각각에는 상기 구동 회로부(430)가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측벽(320)은 상기 내부 커넥터(43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1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322, 324) 각각은 상기 관통홀(1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500)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시트(500)는 접착물질에 의해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500)는 중앙 시트부(510) 및 상기 중앙 시트부(510)와 연결된 커버 시트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시트부(510)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발광영역(AR1) 상에 부착된다. 상기 중앙 시트부(510)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이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발광홈들(512)을 갖는다.
상기 커버 시트부(520)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하도록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부(520)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커버 시트부들(522, 524, 526, 5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1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일부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발광영역(AR1)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측벽(322)의 제1 상판부(322b)의 상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측벽(322)의 제1 상판부(322b)의 하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에 배치된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에서 발생된 광의 반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판(310)에 대하여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322)의 제1 상판부(322b)는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제1 측부(322a)의 에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 시트부(524)는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2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커버 시트부(524)는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반대측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3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측벽(526)의 경사부 상에 부착된다. 상기 제4 커버 시트부(528)는 상기 제3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4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측벽(528)의 경사부 상에 부착된다.
도 6은 도 2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중 광 발생유닛과 발광 제어유닛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들(425)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3 개의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들(425)이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발광영역(AR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류 밸런스부(432)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들(425)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전류 밸런스 소자들(4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밸런스 소자들(432) 각각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들(425) 각각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넥터(434)는 상기 전류 밸런스 소자들(432)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들(4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내부 커넥터(434)는 상기 관통홀(10)을 관통하는 커넥터선(20)에 통해 상기 발광 제어유닛(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발광 제어유닛(600)은 상기 수납용기(300)의 바닥판(310)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제어유닛(600)은 제어기판(610), 외부 커넥터(620), 구동전압 발생부(630) 및 PWM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판(610)은 상기 바닥판(310)의 배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 커넥터(620)는 상기 제어기판(6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선(20)을 통 해 상기 내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630)는 상기 제어기판(610)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커넥터(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630)는 외부로부터 입력전압(Vin) 및 그라운드 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구동전압(Vd)을 출력한다. 상기 구동전압(Vd)은 상기 입력전압(Vin)을 승압한 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전압(Vin)은 5V의 직류전압이고, 상기 구동전압은 24V의 직류전압일 수 있다.
상기 PWM 제어부(640)는 상기 제어기판(610)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6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PWM 제어부(640)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들(425)을 로컬디밍 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CON)를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63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630)는 상기 PWM 제어신호(CON)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들(425)을 로컬디밍 방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상기 구동전압(Vd)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전압(Vd)은 상기 외부 커넥터(620) 및 상기 내부 커넥터(434)를 경유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들(425)의 일단으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들(425)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류 밸런스 소자들에서 발생된 피드백 신호(FB)는 상기 외부 커넥터(620) 및 상기 내부 커넥터(434)를 경유하여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630)로 인가된다.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630)는 상기 피드백 신호(FB)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 들(425)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630) 및 상기 PWM 제어부(640)는 동일한 제어기판(6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630) 및 상기 PWM 제어부(640)는 서로 다른 제어기판들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시트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커버 시트부의 일부가 측벽의 상판부의 상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커버 시트부는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사이드 몰드가 생략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반사시트(500)의 커버 시트부(52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 1에 의한 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커버 시트부(5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 시트부(520)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와 분리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하도록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부(52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커버 시트부들(522, 524, 526, 52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 커버 시트부들(522, 524, 526, 528)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시트부가 상기 중앙 시트부(510)와 분리되고, 나머지 커버 시트부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커버 시트부들(522, 524)은 상기 중앙 시트부(510)와 분리되고, 상기 제3 및 제4 커버 시트부들(526, 528)은 상기 중앙 시트부(5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1 단부와 분리되고,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일부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발광영역(AR1)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측벽(322)의 제1 상판부(322b)의 상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측벽(322)의 제1 상판부(322b)의 하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에 배치된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에서 발생된 광의 반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판(310)에 대하여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322)의 제1 상판부(322b)는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제1 측부(322a) 의 에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 시트부(524)는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2 단부와 분리된다. 상기 제2 커버 시트부(524)는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반대측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3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측벽(526)의 경사부 상에 부착된다. 상기 제4 커버 시트부(526)는 상기 제3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4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측벽(528)의 경사부 상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중앙 시트부(510)와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커버 시트부들(522, 524)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고정된 형상을 갖도록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시트부와 분리된 커버 시트부가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배치됨에 따라 구동 회로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사이드 몰드가 생략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시트부가 상기 중앙 시트부와 분리됨에 따라, 상기 중앙 시트부를 먼저 부착하고 나서 상기 커버 시트부를 부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반사시트의 설치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시트부가 고정된 형상을 갖도록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커버 시트부의 설치작업이 좀 더 용이해질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수납용기(300)의 측벽(320) 및 반사시트(500)의 커버 시트부(52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 1에 의한 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측벽(320) 및 상기 커버 시트부(5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측벽(320)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1 내지 제4 에지들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322, 324)은 상기 제1 방향(DI1)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측벽들(326, 328)은 상기 제2 방향(DI2)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 모두는 단면적으로 보았을 때, 일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 시트부(520)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하도록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부(52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 벽들(322, 324, 326, 328)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커버 시트부들(522, 524, 526, 5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1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일부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발광영역(AR1)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측벽(322)의 내측면의 상단에 부착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에 배치된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에서 발생된 광의 반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판(310)에 대하여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 시트부(524)는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2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커버 시트부(524)는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반대측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3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의 일부가 상기 제3 측벽(526)의 내측면의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커버 시트부(526)는 상기 제3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4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커버 시트부(528)의 일부가 상기 제4 측벽(528)의 내측면의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및 제4 커버 시트부들(526, 528)의 하부에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 상에 장착된 상기 구동 회로부(430)가 배치될 수도 있지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시트부와 연결된 커버 시트부의 일부가 측벽의 내측면의 상단에 부착됨에 따라,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사이드 몰드가 생략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수납용기(300)의 측벽(320) 및 반사시트(500)의 커버 시트부(52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 1에 의한 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측벽(320) 및 상기 커버 시트부(5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측벽(320)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1 내지 제4 에지들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의 상단면에는 도 1의 광학 시트류(20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322, 324)은 상기 제1 방향(DI1)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측벽들(326, 328)은 상기 제2 방향(DI2)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단면적으로 보았을 때 L-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의 단면들 모두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322)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1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1 측부(322a) 및 상기 제1 측부(322a)로부터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상판부(3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벽(324)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2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2 측부(324a) 및 상기 제2 측부(324a)로부터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상판부(324b)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측벽(326)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3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3 측부(미도시) 및 상기 제3 측부로부터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상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측벽(328)은 상기 바닥판(310)의 제4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4 측부(미도시) 및 상기 제4 측부로부터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상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 시트부(520)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단부와 연결 되고,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하도록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부(520)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322, 324, 326, 328)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커버 시트부들(522, 524, 526, 5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1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일부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발광영역(AR1)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측벽(322)의 제1 상판부(322b)의 상면에 부착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외곽영역(AR2) 상에 배치된 상기 구동 회로부(43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에서 발생된 광의 반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판(310)에 대하여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 시트부(524)는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2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커버 시트부(524)는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의 반대측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1 커버 시트부(5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3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의 일부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의 발광영역(AR1)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3 측 벽(326)의 제3 상판부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420)에서 발생된 광의 반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판(310)에 대하여 상기 수납용기(300)의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커버 시트부(528)는 상기 제3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중앙 시트부(510)의 제4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4 커버 시트부(528)는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의 반대측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3 커버 시트부(52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3 및 제4 커버 시트부들(526, 528)의 하부에는 상기 발광기판(410)의 상면 상에 장착된 상기 구동 회로부(430)가 배치될 수도 있지만, 배치되지도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시트부와 연결된 커버 시트부의 일부가 수납용기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판부의 상면에 부착됨에 따라,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사이드 몰드가 생략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시트부와 연결되거나 분리된 커버 시트부의 일부가 수납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판부의 상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측벽의 내측면의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커버 시트부는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를 커버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사이드 몰드가 생략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표시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중 광 발생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중 광 발생유닛과 발광 제어유닛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표시장치 중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A : 표시장치 100 : 표시패널
BL : 백라이트 어셈블리 200 : 광학 시트류
300 : 수납용기 310 : 바닥판
320 : 측벽 322 : 제1 측벽
322a: 제1 측부 322b : 제1 상판부
324 : 제2 측벽 326 : 제3 측벽
328 : 제4 측벽 330 : 고정돌기
400 : 광 발생유닛 410 : 발광기판
AR1 : 발광영역 AR2 : 외곽영역
420 : 발광 다이오드들 425 :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
430 : 구동 회로부 432 : 전류 밸런스부
434 : 내부 커넥터 500 : 반사시트
510 : 중앙 시트부 520 : 커버 시트부
522 : 제1 커버 시트부 524 : 제2 커버 시트부
526 : 제3 커버 시트부 528 : 제4 커버 시트부
600 : 발광 제어유닛 610 : 제어기판
620 : 외부 커넥터 630 : 구동전압 발생부
640 : PWM 제어부

Claims (20)

  1.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 내에 배치된 발광기판,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장착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 상기 발광영역의 외곽인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발생유닛; 및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부착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관통하도록 복수의 발광홈들을 가지며, 상기 발광기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중앙 시트부, 및 상기 중앙 시트부의 단부로부터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고 일단부가 상기 측벽의 상단에 부착된 제1 커버 시트부 및 상기 중앙 시트부의 단부로부터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측벽의 경사부에 부착되는 제2 커버 시트부를 포함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부; 및
    상기 측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수납용기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상판부를 포 함하고,
    상기 커버 시트부의 일부가 상기 상판부 상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측부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부의 일부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 상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부; 및
    상기 측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수납용기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시트부의 일부가 상기 상판부 상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부은
    상기 중앙 시트부와 분리되어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 상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부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고정된 형상을 갖도록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의 4 변들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벽들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시트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커버 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커버 시트부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시트부는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로 인가되는 전류들의 밸런스(balance)가 유지되도록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전류 밸런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되고, 커넥터선을 통해 상기 발광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커넥터선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 트 어셈블리.
  16.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 내에 배치된 발광기판,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장착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 상기 발광영역의 외곽인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발생유닛; 및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발광영역 상에 부착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관통하도록 복수의 발광홈들을 가지며, 상기 발광기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중앙 시트부, 및 상기 중앙 시트부의 단부로부터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발광기판의 상면의 외곽영역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고 일단부가 상기 측벽의 상단에 부착된 제1 커버 시트부 및 상기 중앙 시트부의 단부로부터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측벽의 경사부에 부착되는 제2 커버 시트부를 포함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에서 발생된 광의 광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 시트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 상에 안착된 상기 광학 시트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삭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부; 및
    상기 측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수납용기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시트부의 일부가 상기 상판부 상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80052961A 2008-06-05 2008-06-05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Active KR10144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61A KR101442006B1 (ko) 2008-06-05 2008-06-05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12/469,095 US8052296B2 (en) 2008-06-05 2009-05-20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9136729A JP5511229B2 (ja) 2008-06-05 2009-06-05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61A KR101442006B1 (ko) 2008-06-05 2008-06-05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721A KR20090126721A (ko) 2009-12-09
KR101442006B1 true KR101442006B1 (ko) 2014-09-19

Family

ID=4139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961A Active KR101442006B1 (ko) 2008-06-05 2008-06-05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52296B2 (ko)
JP (1) JP5511229B2 (ko)
KR (1) KR101442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7412B2 (en) * 2009-12-01 2012-04-17 Shin Zu Shing Co., Ltd. Light emitting diode substrate assembly
JP5197659B2 (ja) * 2010-03-11 2013-05-15 三菱電機照明株式会社 照明装置
JP4785979B1 (ja) 2010-04-05 2011-10-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中継コネク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20130063669A1 (en) * 2010-06-01 2013-03-14 Hirokazu Mouri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JP5100823B2 (ja) 2010-06-25 2012-12-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2029686A1 (ja) * 2010-09-03 2012-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30148332A1 (en) * 2010-09-15 2013-06-13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12133889A1 (ja) 2011-03-31 2012-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2230793A (ja) * 2011-04-25 2012-11-22 Opt Design:Kk 照明付き飾り台
WO2013065539A1 (ja) * 2011-11-02 2013-05-10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261519B1 (ko) * 2015-01-27 2021-06-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946556B2 (ja) * 2015-03-17 2016-07-06 三菱電機照明株式会社 照明ランプ
TWI651567B (zh) * 2015-07-03 2019-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器及顯示器的製造方法
US10643556B2 (en) 2015-09-01 2020-05-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ideo display device
US10642097B2 (en) 2015-09-01 2020-05-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ple light source substrates
JP6634612B2 (ja) 2015-09-01 2020-01-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EP3346320B1 (en) 2015-09-01 2019-10-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ideo display device
EP3346322B1 (en) 2015-09-01 2020-09-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ideo display device
JP6693918B2 (ja) * 2017-08-01 2020-05-13 三菱電機照明株式会社 照明ランプ
JP2019135729A (ja) * 2019-05-24 2019-08-15 三菱電機照明株式会社 照明ランプ
US11016339B2 (en) * 2019-08-28 2021-05-25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in vehicle display device
CN113359339A (zh) * 2020-03-06 2021-09-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显示屏防水处理工艺和终端设备
CN111290174B (zh) * 2020-03-31 2022-04-0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灯板、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036A (ja) * 2000-08-01 2002-02-15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235387A (ja) * 2005-02-25 2006-09-07 Rhythm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7180005A (ja) * 2005-12-28 2007-07-12 Lg Phillips Lcd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モジュール
JP2008108564A (ja) * 2006-10-25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ed点灯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1311A (ja) * 1993-12-27 1995-07-28 Kokusai Electric Co Ltd 液晶ユニット用バックライト装置
KR101034779B1 (ko) * 2004-08-06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4677746B2 (ja) * 2004-08-18 2011-04-27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
GB2426857B (en) * 2005-05-31 2009-10-07 Lg Philiph Lcd Co Ltd Backlight assembly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7087900A (ja) * 2005-09-26 2007-04-0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KR20070077610A (ko) 2006-01-24 200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7219075A (ja) * 2006-02-15 2007-08-30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7225781A (ja) 2006-02-22 2007-09-06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KR20070119453A (ko) 2006-06-15 2007-12-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JP2008053062A (ja) * 2006-08-24 2008-03-06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7566154B2 (en) * 2006-09-25 2009-07-28 B/E Aerospace, Inc. Aircraft LED dome light having rotatably releasable housing mounted within mounting flange
KR101385205B1 (ko) * 2007-07-25 2014-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US8277092B2 (en) * 2007-10-12 2012-10-02 Truck-Lite Co., Llc Lamp assembly utilizing light emitting diodes
JP5056372B2 (ja) * 2007-11-22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036A (ja) * 2000-08-01 2002-02-15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235387A (ja) * 2005-02-25 2006-09-07 Rhythm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7180005A (ja) * 2005-12-28 2007-07-12 Lg Phillips Lcd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モジュール
JP2008108564A (ja) * 2006-10-25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ed点灯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02780A1 (en) 2009-12-10
KR20090126721A (ko) 2009-12-09
US8052296B2 (en) 2011-11-08
JP5511229B2 (ja) 2014-06-04
JP2009295587A (ja)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00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08752B1 (ko) 액정표시장치
JP4172455B2 (ja) バックライト用光源ユニット、液晶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透過型カラー液晶表示装置
WO2007037036A1 (ja) 光源装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US7868972B2 (en) Light source unit,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EP3190456B1 (en) Display device
WO2007037037A1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1100716A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701806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20274875A1 (en)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69966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9534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20217A (ko) 액정 표시장치
KR10180391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56113A (ko)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95144B1 (ko) 백라이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130009558A1 (en) Backlight unit
KR20140020013A (ko)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0277853A (ja) バックライト
KR2008006787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6920867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06009582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3306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210801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27481A (ko)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6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