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421B1 -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1421B1 KR101441421B1 KR1020140022335A KR20140022335A KR101441421B1 KR 101441421 B1 KR101441421 B1 KR 101441421B1 KR 1020140022335 A KR1020140022335 A KR 1020140022335A KR 20140022335 A KR20140022335 A KR 20140022335A KR 101441421 B1 KR101441421 B1 KR 101441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ching
- filtrate
- acid
- ion battery
- resid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07—Leaching processes
- C22B23/0415—Leaching processes with acids or salt solutions except ammonium salts solu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6—Wet processes
- C22B7/007—Wet processes by acid leach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은, (a) 폐 양극재 산화물 파우더를 환원 분위기 하에서 산으로 침출하여 침출 잔사와 침출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분리된 침출 잔사를 소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소성 후, 환원 분위기 하에서 산으로 재침출하여 재침출 잔사와 재침출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분리된 재침출 여과액을 선택적 가수분해를 하여 금속성 불순물을 정제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정제된 재침출 여과액을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비금속성 불순물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성분 | Li | Ni | Co | Mn | Al | Fe | Cu | Mg | Ca | Si | |||||||||||||||||||||
함량(wt%) | 6.99 | 26.94 | 13.20 | 13.54 | 0.092 | 0.076 | 0.019 | 0.020 | 0.053 | 0.089 |
성분 | Ni | Co | Mn | |
함량 (%) |
여과액 | 95.3 | 91.8 | 89.3 |
잔사 | 3.9 | 6.2 | 7.9 |
성분 | Li | Ni | Co | Mn | Al | Fe | Cu | Mg | Ca | Si | ||||||||||||
함량(ppm) | 516.1 | 5116 | 5985 | 3951 | 101.1 | 13.38 | 0 | 9.949 | 16.17 | 339.6 |
성분 | Li | Ni | Co | Mn | Al | Fe | Cu | Mg | Ca | Si | ||||||||||||
함량(ppm) | 385.7 | 3178 | 4087 | 2803 | 0 | 0 | 0 | 6.937 | 7.448 | 240.9 |
성분 | Li | Ni | Co | Mn | Al | Fe | Cu | Mg | Ca | Si | ||||||||||||||||||||||||||||
함량(ppm) |
추출 | 236 | 265.1 | 108.1 | 0 | 0 | 0 | 0 | 1.23 | 1.81 | 205.7 | |||||||||||||||||||||||||||
역추출 | 49.9 | 3174 | 4182 | 2901 | 0 | 0 | 0 | 6.35 | 6.08 | 6.79 |
Claims (16)
- (a) 폐 양극재 산화물 파우더를 환원 분위기 하에서 산으로 침출하여 침출 잔사와 침출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분리된 침출 잔사를 소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소성 후, 환원 분위기 하에서 산으로 재침출하여 재침출 잔사와 재침출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분리된 재침출 여과액을 선택적 가수분해를 하여 금속성 불순물을 정제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정제된 재침출 여과액을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비금속성 불순물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e) 단계는,
비금속성 불순물로 실리콘(Si)을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염산 존재 하에 환원제로서 과산화수소를 반응조에 투입하여 75 도(℃) 내지 85 도(℃)에서 80 분 내지 95 분 동안 침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침출 공정 후 반응조 내부의 pH가 0.3 내지 0.8이 되도록, 염산 및 과산화수소의 투입량을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소성 온도는 500 도(℃) 내지 600 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소성 과정에서 공급되는 산소 또는 공기의 유량은 1 LPM(liter per minute) 내지 5 LPM(liter per minu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염산 존재 하에 환원제로서 과산화수소를 반응조에 투입하여 75 도(℃) 내지 85 도(℃)에서 80분 내지 95분 동안 재침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재침출 공정 후 반응조 내부의 pH가 1.1 내지 1.7이 되도록, 염산 및 과산화수소의 투입량을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탄산나트륨(Na2CO3)의 함량이 탄산나트륨 수용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20 중량%인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내부의 온도는 45도(℃) 내지 65도(℃)이고, pH는 4.9 내지 5.5이며, 교반 속도는 180 내지 22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금속성 불순물로 알루미늄(Al), 철(Fe), 마그네슘(Mg) 및 칼슘(C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재침출 여과액을 케로신으로 희석한 혼합 용매인 D2EHPA(di-2-ethylhexyl-phosphoric acid)와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반응 온도는,
20도(℃) 내지 30도(℃)인 것인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믹싱 시간을 1 분 내지 2 분, 분리 시간을 20 분 내지 30 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함량이 수산화나트륨 용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25 중량%인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pH를 조정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병류 다단 추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2335A KR101441421B1 (ko) | 2014-02-26 | 2014-02-26 |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2335A KR101441421B1 (ko) | 2014-02-26 | 2014-02-26 |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1421B1 true KR101441421B1 (ko) | 2014-09-23 |
Family
ID=5176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2335A Active KR101441421B1 (ko) | 2014-02-26 | 2014-02-26 |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1421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29732A1 (ko) * | 2015-02-13 | 2016-08-18 | 주식회사 이엔드디 | 볼밀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폐전구체 재생 방법 |
KR101823952B1 (ko) * | 2016-10-28 | 2018-01-31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이온 2차전지의 폐 양극재로부터 리튬을 회수하여 탄산리튬을 제조하는 방법 |
KR20190044792A (ko) | 2017-10-23 | 2019-05-02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이차전지 폐 양극재를 재생하여 칼슘 농도가 낮은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KR20190066351A (ko) | 2017-12-05 | 2019-06-13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용매추출 공정을 적용하여 리튬이차전지 폐 양극재를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으로 재생하는 방법 |
KR20190079988A (ko) | 2017-12-28 | 2019-07-08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 이온 2차전지의 폐 양극재를 재활용하여 전구체 원료를 회수하는 방법 |
KR20200051925A (ko) | 2018-11-06 | 2020-05-14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이차전지의 폐 양극재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칼슘 이온 및 규소 이온을 동시에 제거하여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KR20200087525A (ko) * | 2019-01-11 | 2020-07-21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니켈 브리켓을 이용하여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용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KR102408888B1 (ko) * | 2022-01-11 | 2022-06-15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폐 양극재 반응용기로부터 유가금속 및 제올라이트 함유 물질의 회수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03680A (ja) * | 2002-01-08 | 2003-07-18 |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 使用済み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からの有価金属回収方法 |
KR20090031321A (ko) * | 2007-09-21 | 2009-03-2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석유화학 탈황 촉매 재활용 잔사로부터의 철 니켈 함유 원료 및 코발트 함유 원료의 제조방법 및 철 니켈 함유 원료를 이용한 스텐레스 원료의 제조방법 및 페로니켈의 제조방법 |
-
2014
- 2014-02-26 KR KR1020140022335A patent/KR10144142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03680A (ja) * | 2002-01-08 | 2003-07-18 |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 使用済み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からの有価金属回収方法 |
KR20090031321A (ko) * | 2007-09-21 | 2009-03-2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석유화학 탈황 촉매 재활용 잔사로부터의 철 니켈 함유 원료 및 코발트 함유 원료의 제조방법 및 철 니켈 함유 원료를 이용한 스텐레스 원료의 제조방법 및 페로니켈의 제조방법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29732A1 (ko) * | 2015-02-13 | 2016-08-18 | 주식회사 이엔드디 | 볼밀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용 폐전구체 재생 방법 |
KR101823952B1 (ko) * | 2016-10-28 | 2018-01-31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이온 2차전지의 폐 양극재로부터 리튬을 회수하여 탄산리튬을 제조하는 방법 |
KR101997983B1 (ko) | 2017-10-23 | 2019-07-08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이차전지 폐 양극재를 재생하여 칼슘 농도가 낮은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KR20190044792A (ko) | 2017-10-23 | 2019-05-02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이차전지 폐 양극재를 재생하여 칼슘 농도가 낮은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KR102008582B1 (ko) | 2017-12-05 | 2019-08-07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용매추출 공정을 적용하여 리튬이차전지 폐 양극재를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으로 재생하는 방법 |
KR20190066351A (ko) | 2017-12-05 | 2019-06-13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용매추출 공정을 적용하여 리튬이차전지 폐 양극재를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으로 재생하는 방법 |
KR20190079988A (ko) | 2017-12-28 | 2019-07-08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 이온 2차전지의 폐 양극재를 재활용하여 전구체 원료를 회수하는 방법 |
KR102016817B1 (ko) | 2017-12-28 | 2019-09-02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 이온 2차전지의 폐 양극재를 재활용하여 전구체 원료를 회수하는 방법 |
KR20200051925A (ko) | 2018-11-06 | 2020-05-14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리튬이차전지의 폐 양극재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칼슘 이온 및 규소 이온을 동시에 제거하여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KR20200087525A (ko) * | 2019-01-11 | 2020-07-21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니켈 브리켓을 이용하여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용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KR102174631B1 (ko) | 2019-01-11 | 2020-11-05 | 타운마이닝리소스주식회사 | 니켈 브리켓을 이용하여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용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니켈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KR102408888B1 (ko) * | 2022-01-11 | 2022-06-15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폐 양극재 반응용기로부터 유가금속 및 제올라이트 함유 물질의 회수방법 |
WO2023136464A1 (ko) * | 2022-01-11 | 2023-07-20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폐 양극재 반응용기로부터 유가금속 및 제올라이트 함유 물질의 회수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1421B1 (ko) |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
KR102008582B1 (ko) | 용매추출 공정을 적용하여 리튬이차전지 폐 양극재를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으로 재생하는 방법 | |
CN111206148B (zh) | 一种利用废旧三元锂电池回收制备三元正极材料的方法 | |
US12170355B2 (en) | Process for the recovery of metals from a Li-containing starting material | |
KR101392616B1 (ko) | 리튬 이온 전지의 폐 양극재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재생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재생된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전구체, 양극재 및 리튬 이온 전지 | |
US8323376B2 (en) | Lead recycling | |
CN105567978B (zh) | 从各种含有色金属的废料中回收铜锌钴镍的方法 | |
CN112158894A (zh) | 一种废旧锂电池正极材料的回收方法 | |
KR20170061206A (ko) | 폐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한 전구체 원료의 회수 방법 | |
KR101823952B1 (ko) | 리튬이온 2차전지의 폐 양극재로부터 리튬을 회수하여 탄산리튬을 제조하는 방법 | |
KR102130899B1 (ko) | 리튬이차전지의 폐 양극재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칼슘 이온 및 규소 이온을 동시에 제거하여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
CN101899576A (zh) | 从铅酸蓄电池糊膏中回收铅的工艺 | |
CN115216620B (zh) | 一种从废旧三元锂电池中分步沉淀回收镍、钴和锰的方法 | |
KR102016817B1 (ko) | 리튬 이온 2차전지의 폐 양극재를 재활용하여 전구체 원료를 회수하는 방법 | |
CN108265178B (zh) | 一种钴镍冶金废水渣的处理方法 | |
KR101997983B1 (ko) | 리튬이차전지 폐 양극재를 재생하여 칼슘 농도가 낮은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
CN101508471A (zh) | 四氧化三钴生产工艺 | |
CN105907983A (zh) | 从火法回收锂电池产生的炉渣中提取锂的方法 | |
KR102774974B1 (ko) | 폐 배터리 내 리튬의 분리 회수를 위한 선택적 침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화합물 제조방법 | |
KR20230136948A (ko) | 리튬 이차전지 폐기물로부터 용매추출을 이용한 유가금속의 선택적 회수방법 | |
KR102228192B1 (ko) | 폐 전극재를 재생하여 니켈(Ni)-코발트(Co)-망간(Mn) 복합 황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 |
CN108588425A (zh) | 一种钴镍冶金废水渣的处理方法 | |
KR20130138491A (ko) | 코발트 함유 폐기물의 코발트 침출액 및 이를 이용한 코발트 회수방법 | |
CN108950218A (zh) | 一种从废旧印刷线路板中回收金、银和铜的方法 | |
CN118771415A (zh) | 一种带有镍钴锰三元正极材料的废旧锂电池回收工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