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3940B1 -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940B1
KR101423940B1 KR1020097007790A KR20097007790A KR101423940B1 KR 101423940 B1 KR101423940 B1 KR 101423940B1 KR 1020097007790 A KR1020097007790 A KR 1020097007790A KR 20097007790 A KR20097007790 A KR 20097007790A KR 101423940 B1 KR101423940 B1 KR 10142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
guide
conveying
conveyor
contact 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819A (ko
Inventor
요하네스 윌헬무스 브로우어스
조제프 왈터 마리아 호프만
와우터 발크
Original Assignee
스페셜티 컨베이어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페셜티 컨베이어 비.브이. filed Critical 스페셜티 컨베이어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8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9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a single traction element
    • B65G17/06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a single traction element specially adapted to follow a curv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 B65G21/18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in three-dimensionally curved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4Helical or spiral conveying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물품 등을 수직방향의 중앙 축 주위에 있는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는 헬리컬 경로를 따라서 운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무단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하는 프레임(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서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이송판(9)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14)를 포함하고 적어도 다수의 이송판(9)은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11)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11)는 제 1 접촉 위치(19)에서 가이드(14)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 롤러면(17)과, 제 2 접촉 위치(20)에서 상기 가이드(14)와 접촉하는 제 2 가이드 롤러면(1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접촉 위치(19)와 제 2 접촉 위치(20)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제 1 접촉 위치(19)에서의 제 1 가이드 롤러면(17)의 법선은 제 2 접촉 위치(20)에서의 제 2 가이드 롤러면(18)의 법선과 빗나간다. 본 발명은 이송판(9)과 가이드(14) 사이의 저항을 줄임으로서 컨베이어의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9022946624-pct00001
헬리컬 경로, 무단 컨베이어 벨트, 프레임, 이송판, 가이드 롤러, 컨베이어, 법선, 중심축.

Description

컨베이어{CONVEYOR}
본 발명은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라 개별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너는 EP 1 009 692 B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헌은 이송판을 구비한 컨베이어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이송판은 수직 가이드면을 구비한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 가이드와 가이드 롤러의 공지된 장치에 의하면 헬리컬 경로를 따라서 이송판을 이동시키는 동안에 마찰력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당히 높은 구동 효율로 작동하는 개량된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특징부에 의하면 이송판의 가이드 롤러는 가이드에 의하여 2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지지되고; 실제 상기 2개의 상이한 방향은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과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이다. 가이드 롤러가 양 방향에서 지지됨에 따라 가이드에 대한 가이드 롤러의 이동이 가이드를 따르는 가이드 롤러의 롤링에 의하여 슬립이 없거나 슬립이 거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를 따라 이송판이 이동하는 동안에 이송판과 가이드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구동효율이 향상된다.
회전축은 운반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다. 이러한 방향의 장점은 이송판 구성부의 높이가 컴팩트하게 되는 운반면에 가이드 롤러가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 1 접촉 위치에서 제 1 가이드 롤러면의 법선은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가이드면 상의 제 1 가이드 롤러면만 롤링 이동하기 때문에 제 1 가이드 롤러면과 제 1 가이드면 사이의 마찰이 적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접촉 위치와 제 2 접촉 위치에서의 가이드 롤러의 회전속도의 차이가 작거나 실질적으로 영이 되는 구성으로 인하여, 제 1 접촉 위치가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제 2 접촉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거나 근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제 2 접촉 위치에서의 가이드에 대한 가이드 롤러의 슬립이 최소가 되어, 효율이 더욱더 향상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접촉 위치가 실질적으로 점 접촉을 형성하도록 제 2 가이드와 가이드 롤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 2 접촉 위치내에서의 슬립이 회전축의 거리 변경에 따라 최소가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 1 가이드 롤러면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롤러부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제 1 가이드면은 운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 1 접촉 위치에서의 가이드와 가이드 롤러 사이에서 선 접촉을 형성한다. 선 접촉의 장점은 회전축의 방향에서 가이드 롤러에 대한 가이드의 지지부가 안정적이라는 것과 롤링 저항이 작다는 것이다.
제 2 가이드 면은 제 1 가이드면과 인접하고 회전축의 중심축으로부터 회전축을 향하여 보았을 때 하향 경사져 뻗어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원통형 가이드 롤러가 롤러의 측벽과 닿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이드 롤러는 원통형 형상이고 가이드의 단면은 운반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여물통 형상이고, 가이드는 여물통 형상의 단면의 개구가 가이드 롤러를 회전축의 반경방향에서 수용하도록 방향이 설정된다. 상기 여물통 형상 단면의 개구의 하부 벽은 제 2 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물통 형상 단면의 바닥부는 제 1 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벽과 마주한 상기 여물통 형상 단면의 상부 벽은 컨베이어가 작동중일 때 이송판이 상향으로 이송된다면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를 따라 가이드되는 제 2 가이드 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상대적으로 제조가 간단하고 가이드 롤러를 이송판의 상하 양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 2 가이드 롤러면은 가이드 롤러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플랜지에 의해 적어도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는 제 2 가이드 롤러면이 제 1 가이드 롤러면과 인접하고 회전축에서 반경방향으로 보았을 경우 상향으로 경사져 뻗어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를 구비한 가이드 롤러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롤러는 제 2 가이드 롤러면을 포함한 상부 벽과, 하부벽이 제 1 가이드 롤러면을 포함하는 회전축과 동축으로 뻗어있는 바닥 벽과, 컨베이어가 작동 중일 때 이송판이 상향으로 이송된다면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를 따라서 가이드되기 위한 제 2 가이드 롤러면을 포함한 상부 벽과 마주한 하부 벽에 의해 형성된 원주방향의 홈을 구비한 디아볼로 형상(diabolo shape)을 갖는다. 디아볼로 형상(diabolo shape)의 가이드 롤러의 장점은 가이드가 가이드 롤러를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향 및 반경방향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이송판이 상향으로 이송될 때 하향으로도 지지한다는 것이다.
이송판에는 중심축의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제 2 가이드 롤러가 적어도 제공되고, 제 2 가이드 롤러는 프레임 상의 제 2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가이드를 따라서 구름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송판과 가이드 사이에서 임의의 슬라이딩 접촉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송판이 가이드 롤러에 의해 하나 이상의 지지 위치에서 지지될 때 이것은 장점이 된다.
바람직하게, 제 2 가이드 롤러는 가이드 롤러와 치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조 비용이 최소가 된다.
이송판은 미러 대칭이며, 상부 운반면에 수직이고 운반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 대칭선을 형성한다. 대칭적인 구성은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이송판은 단일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지지부가 상기 이송판에 제공되며, 컨베이어는 회전축의 반경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이송판에 인접한 제 2 이송판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판은 제 2 이송판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와;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 부근에 위치된 지지부;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이송판의 지지부를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를 통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이송판의 지지부와 결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 하나의 가이드 롤러를 허용하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이송판은 인접한 제 2 이송판의 제 2 이송판 가이드의 지지부에 의해 장점이 된다. 이송판과 제 2 이송판의 속도가 지지부에서 운반 방향으로 동일할 경우 상기 이송판은 상기 이송판과 상기 제 2 이송판 사이의 마찰 저항이 없이 가이드 롤러와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에 의해 지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베이어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헬리컬 경로에 있는 도 1과 도 2의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의 작은 부분의 이송판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이송판의 상부 운송면에 수직인 도 3의 선 Ⅳ-Ⅳ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5의 도면과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이송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 4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은 개별 물품 등을 수직방향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제로 상기 컨베이어는 스파이럴 컨베이어나 와인딩 컨베이어로서 알려졌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물품을 이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산품의 이동은 수직 운반을 위한 것이거나 처리 구간에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 분야는 음식물 처리 공장이나, 유통 센터, 또는 그래픽 산업 등과 같은 곳이다.
도시된 컨베이어는 프레임(1)을 포함하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프레임(1)은 중심축(2a)을 갖는 중앙 칼럼(2), 다리부(3) 및 상기 칼럼(2)에 부착되어 주위로 뻗어있는 헬리컬 가이드 슈트(4, chute)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다양한 여러 종류의 프레임 구조부가 고려될 수 있다. 엔드 풀리(5, 6)가 가이드 슈트(4)의 상하단부에 구비되고, 헬리컬 가이드 슈트(4)의 이들 단부 사이에는 프레임(1)의 복귀 슈트(7)가 뻗어있다. 이러한 경우에, 프레임(1)에 의해 지지되는 무단 컨베이어 벨트(8)는 운반부와 복귀부에 있는 또 다른 경로를 통해 가이드 된다. 그러나, 상기 운반부가 가이드 슈트(4)의 낮은쪽에서 다시 가이드되는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가 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하여 운반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가이드 슈트(4)는 4개의 와인딩을 포함하나, 특정한 경우에 따라 상기 와인딩의 개수는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단 컨베이어 벨트(8)가 많은 수의 와인딩을 통하여 구동상 아무 문제점이 없이 구동될 수 있고 효율도 향상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모터는 컨베이어의 경로의 말단에서 엔드 풀리(5, 6)와 결합하고, 필요하다면 운반 경로 중 여러 위치에서 보조 구동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무단 컨베이어 벨트(8)용 선형 구동부 역시 고려될 수 있다. 컨베이어는 상단 엔드 풀리(5)와 하단 엔드 풀리(6)에 있는 다른 컨베이어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의 작은 부분의 이송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운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도시된 단면도(도 3의 선 Ⅳ-Ⅳ에 따라 취함)이다. 이들 도면을 살펴보면, 무단 컨베이어 벨트(8)는 서로 이동될 수 있게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측면 보우 체인(side bow chain)과 같은 무단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이송판(9)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이송판(9)은 상부의 평평한 운반면(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송판(9)은 운반 경로에 매우 가깝게 서로 연결되고 상기 운반 경로에서 물품이 다수의 인접한 이송판(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이송판(9)은 중심축(2a)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뻗어있는 길이방향의 세장형 부재이다.
도 4는 2개의 가이드 롤러, 즉 가이드 롤러(11)와 제 2 가이드 롤러(11a)를 구비한 이송판(9)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들 가이드 롤러는 중심축(2a, X축)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양 가이드 롤러(11, 11a)는 Y방향으로 뻗어있는 회전축(12, 1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Y방향은 본 명세서에서 상부 운반면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방향이나, 실제로는 헬리컬 경로의 경사각도에 따르기 때문에 수직에 가깝다. 가이드 롤러(11, 11a)의 회전축(12, 12a)의 방 향은 Y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Y방향에 대해 경사져 뻗어있는 회전축(12, 12a)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 가이드 롤러(11, 11a)가 예를 들면 운반 방향에서 봤을 때 V자의 축 방향과 같이, 운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서로 마주한 각을 갖는 회전축(12, 12a)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롤러(11, 11a)는 바람직하게 롤링 베어링에 의하여 대응하는 회전축(13, 13a)에 저어널되어 가이드 롤러(11, 11a)의 원활한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12)는 프레임(1)에 고정된 가이드(14) 및 제 2 가이드(14a)와 각각 함께 작동한다. 이 경우에, 컨베이어(1)의 중앙 칼럼(2)은 도 4에 있어서 이송판(9)의 우측(X 방향)에 위치된다. 상기 사항은 컨베이어의 통상적인 작동시 주 반경방향 힘이 도 4에서의 가이드 롤러(11)와 가이드(14)에 가해짐에 따라 가이드(14)가 가이드 롤러(11)를 중심축(2a)과 면한 반경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11, 11a)를 포함한 이송판(9)은 상부 운반면(10)에 수직이면서 운반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미러 대칭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평면은 이송판(9)의 중심이 이송판의 축방향에서 교차한다. 또한 제 2 가이드 롤러(11a)가 가이드 롤러(11)와 달리 이송판에 장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롤러(14, 14a)가 헬리컬 경로를 따르는 홈 형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홈은 서로 면하며 가이드 롤러(11, 11a)를 가이드한다. 중심축(2a)으로부터의 제 2 가이드 롤러(11a)의 거리가 가이드 롤러(11)보다 큼에 따라, 제 2 가이드(14a)의 직경은 중앙축(2a)을 따라서 봤을 때 가이드(14)보다 더 크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가이드(14)는 제 1 가이드 면(15)과 제 2 가이드 면(16)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롤러(11)는 제 1 가이드 롤러면(17)과 제 2 가이드 롤러면(18)으로 이루어진다. 컨베이어가 작동중일 경우 제 1 가이드 롤러면(17)과 제 1 가이드 면(15)은 제 1 접촉 위치(19)에서 서로 접촉하고, 제 2 가이드 롤러면(18)과 제 2 가이드 면(16)은 제 2 접촉 위치(20)에서 서로 접촉한다.
가이드 롤러(11)가 원통형이고 제 1 가이드 면(15)이 본 실시예에서 운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회전축(12)에 평행하게 뻗어있기 때문에 제 1 접촉 위치(19)는 선형 접촉을 형성한다. 선형 접촉은 수학적인 용어이며 실제로 선형 접촉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접촉 위치(19)에서의 제 1 가이드 롤러면(17)의 법선과 제 2 접촉 위치에서의 제 2 가이드 롤러면(18)의 법선은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빗나간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가이드 롤러(11)는 가이드(14)에 의하여 상향(Y 방향) 및 반경방향(X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 2 접촉 위치(20)는 바람직하게 점 접촉부이며, 이 접촉부는 제 1 접촉 위치(19)에 매우 근접하여 위치되어, 제 1 접촉 위치(19)와 제 2 접촉 위치(20)에서의 가이드 롤러(11)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따른 가이드 롤러(11)와 가이드(14) 사이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한다. 상기 사항은 제 2 가이드 면(16)이 제 1 가이드 면(15)과 인접하고 원통형 가이드 롤러(11)의 경우에 회전축(12)의 방향으로 제 1 가이드 면(15)으로부터 봤을 때 하향으로 뻗어있어 원통형 롤러(11)의 경우에 제 2 접촉 위치(20)에서 점 접촉부를 만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점 접촉부는 기계적인 용어이며 실제로 점 접촉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14)의 단면 형상은 는 여물통 형상(trough-shpaed)이다. 이러한 여물통의 개구는 회전축(12)에 반경방향으로 향하고 헬리컬 경로를 따라서 뻗어있다. 여물통 형상의 가이드(14)는 상기 개구의 하부 벽부인 제 2 가이드 면(16), 상기 여물통 부분의 바닥부인 제 1 가이드 면(15) 및 상기 여물통 부분의 상부인 제 3 가이드 면(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가이드 면(21)은 제 2 가이드 면(16)과 마주하며 이송판(9)이 프레임에 대하여 상향(Y 방향)으로 이송된다면 가이드(14)를 따라서 가이드 롤러(11)를 가이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롤러(11)와 가이드(14)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11)는 디아볼로 형상(diabolo shape)이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11)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디아볼로 형상(diabolo shape)의 커버부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커버되는 원통형 롤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아볼로 형상(diabolo shape)의 가이드 롤러(11)의 원주방향 홈에 끼워맞춰지는 가이드(14)의 일부분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바람직하게는 홈과 면한 가이드의 상기 일부분의 코너가 라운드 처리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높은 국부 접촉 압력을 피할 수 있다.
가이드(14)는 제 1 가이드 면(15)과 제 2 가이드 면(1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가이드 면(16)은 디아볼로 형상(diabolo shape)의 가이드 롤러(11)를 제 2 가이드 롤러 면(18)에서 상향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향으로 면해있다. 컨베이어가 작동중일 경우 제 1 가이드 롤러면(17)과 제 1 가이드 면(15)은 제 1 가이드 면(15)에서 서로 접촉한다. 제 1 가이드 롤러면(17)이 원통형 부를 형성하고 제 1 가이드 면(15)이 운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회전축(12)과 평행하게 뻗어있기 때문에 제 1 접촉 위치(19)는 선형 접촉을 형성한다. 제 2 가이드 롤러면(18)과 제 2 가이드면(16)은 제 2 접촉 위치(20)에서 서로 접촉한다.
제 2 가이드 롤러면(18)은 제 1 가이드 롤러면(17)과 인접하고 회전축(12)으로부터 봤을 때 상향으로 경사져 뻗어있다. 디아볼로(diabolo)의 원주방향 홈의 개구는 상부벽인 제 2 가이드 롤러면(18), 회전축(12)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바닥벽인 제 1 가이드 롤러면(17) 및 상부벽과 마주한 하부벽인 제 3 가이드 롤러면(2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가이드 롤러면(22)은 컨베이어가 작동중일 때 이송판이 상향으로 이송된다면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를 따라 가이드되도록 사용된다.
도 7은 이송판(9)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송판(9)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실제 이송판에는 한개의 가이드 롤러(11)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컨베이어는 중심축(2a)의 반경방향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송판(9)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부분적으로) 3개의 이송판(9, 9', 9")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들 이송판의 길이방향은 실질적으로 운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있고 실질적으로 상부 운반면(10)의 평면에 평행하게 뻗어있다. 제 2 이송판(9')에는 제 2 이송판 가이드(14')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11')가 제공된다. 이송판(9)은 가이드(14)에 의해 지지되고 효과적으로 지지되는 부분을 회전축(12)에서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판은 제 2 지지된 부분, 본 경우에서는 단부(23)를 포함한다. 이송판(9)의 단부(23)는 회전축(12)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떨어져 위치된다. 제 2 이송판(9')은 지지부, 본 경우에서는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11')의 회전축 주변에 위치된 제 2 이송판(9')의 단부(24)를 포함한다.
제 2 이송판(9')의 단부(24)는 이송판(9)의 단부(23)와 결합된다. 결론적으로, 이송판(9)은 인접한 이송판(9')의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11')와 가이드 롤러(11) 양자에 의해 지지된다. 단부(23, 24)는 상부 운반면(10)이 실질적으로 평평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단부(23, 24)에서 운반 방향으로의 양 이송판(9, 9')의 속도가 보다 작을 때 인접한 이송판(9)과 이송판(9')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컨베이어 작동 중 이송판과 가이드 사이에서 마찰이 적게 발생할 수 있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다. 제 1 접촉 위치와 제 2 접촉 위치에 있는 제 1 가이드 롤러면과 제 2 가이드 롤러면의 법선이 빗나감에 따라, 컨베이어의 구동 효율은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한 사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여러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판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축을 갖는 제 1 가이드 롤러와, 운반 방향에 수직인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이송판을 상향으로만 지지할 수 있다. 이송판과 가이드는 이송판이 상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공지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판의 제 2 부분이 미끄러질 수 있게 지지되면서 하나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이송판도 고려될 수 있다. 디아볼로 형상(diabolo shape)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가이드 롤러의 제 2 가이드 면은 예를 들면 2개의 동축의 플랜지를 포함한 디아볼로 형상(diabolo shape) 대신에 원통형 가이드 롤러와 동축으로 배치된 단지 하나의 플랜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3 접촉면이 이송판이 상향으로 상승되는 경우에 미끄럼 접촉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4)

  1.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로서,
    상기 헬리컬 경로를 따라서 이동가능하고 구동 수단에 의해 운반 방향으로 구동되는 무단 컨베이어 벨트(8)를 지지하는 프레임(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무단 컨베이어 벨트(8)는 상부 운반면(10)을 각각 구비하고 있고 서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이송판들(9)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송판들(9)을 상기 헬리컬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14)를 적어도 포함하고,
    적어도, 다수의 상기 이송판들(9)은 상기 상부 운반면(10)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뻗어있는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가이드 롤러(11)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11)는 상기 가이드(14)의 제 1 가이드면(15)과 제 1 접촉 위치(19)에서 접촉하는 제 1 가이드 롤러면(17)과, 상기 가이드(14) 상의 제 2 가이드면(16)과 제 2 접촉 위치(20)에서 접촉하는 제 2 가이드 롤러면(18)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 위치(19)와 제 2 접촉 위치(20)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가이드에 의하여 상향 및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 1 접촉 위치(19)에서의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면(17)의 법선은 상기 제 2 접촉 위치(20)에서의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면(18)의 법선과 빗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2)은 상기 운반면(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 위치(19)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면(17)의 법선은 상기 회전축(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 위치(19)는 상기 회전축(12)의 반경방향에서 상기 제 2 접촉 위치(20)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거나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 위치(20)가 실질적으로 점 접촉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제 2 가이드와 가이드 롤러면들(17, 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면(17)은 원통형 형상의 가이드 롤러부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 1 가이드면(15)은 상기 운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회전축(12)에 평행하게 뻗어있어, 상기 가이드 롤러(11)와 상기 가이드(14) 사이에서 선 접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면(16)은 상기 제 1 가이드면(15)에 인접하고 상기 중심축(2a)으로부터 상기 회전축(12)을 향하여 보았을 때 하향으로 경사져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11)는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14)의 단면은 상기 운반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여물통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14)는 상기 여물통 형상의 단면의 개구가 상기 가이드 롤러(11)를 상기 회전축(12)의 반경방향으로 수용하도록 방향이 설정되고,
    상기 여물통 형상의 단면의 개구의 하부 벽은 상기 제 2 가이드면(16)을 포함하고, 상기 여물통 형상의 단면의 개구의 바닥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면(15)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벽과 마주한 상기 여물통 형상의 상부 벽은 상기 컨베이어가 작동중일 때 상기 이송판(9)이 상기 회전축(12)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향으로 이송된다면 상기 가이드 롤러(11)를 상기 가이드(14)를 따라서 가이드하는 제 3 가이드면(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면(18)은 상기 가이드 롤러(11)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플랜지에 의해 적어도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면(18)이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면(17)과 인접하고 상기 회전축(12)에서 반경방향으로 보았을 경우 상향 경사져 뻗어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11)는,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면(18)을 구비하는 상부 벽;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면(17)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12)과 동축으로 뻗어있는 원통형 바닥부; 및 상기 컨베이어가 작동중일 때 상기 이송판(9)이 상기 회전축(12)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다면 상기 가이드 롤러(11)를 상기 가이드(14)를 따라서 가이드하는 제 3 가이드 롤러면(22)을 구비하는 상기 상부 벽과 마주한 하부 벽;에 의해 형성된 원주방향 홈을 구비한 디아볼로 형상(diabolo shape)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9)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11)로부터 상기 중심축(2a)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제 2 가이드 롤러(11a)가 적어도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11a)는 상기 프레임 상의 제 2 가이드(14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가이드(14a)를 따라서 구름 운동(roll)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11a)의 치수는 상기 가이드 롤러(11)의 치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은 미러 대칭이며,
    상기 상부 운반면(10)과 수직이고 상기 운반 방향과 평행한 평면이 대칭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9)은 단 하나의 가이드 롤러(11)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판(9)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11)의 상기 회전축(12)으로부터 이격된 지지부(23)가 제공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회전축(2a)의 반경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이송판(9)에 인접한 제 2 이송판(9')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판(9')은 제 2 이송판 가이드(14')에 의해 지지된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11')와 상기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11')의 상기 회전축의 근방에 위치된 지지부(24)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판 가이드 롤러(11')를 통하여 상기 이송판(9)의 지지부(23)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24)가 상기 이송판(9)의 지지부(23)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물품 등을 중심축(2a) 주변의 헬리컬 경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KR1020097007790A 2006-09-25 2007-09-24 컨베이어 Active KR101423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1202.3 2006-09-25
EP06121202.3A EP1902978B1 (en) 2006-09-25 2006-09-25 Conveyor
PCT/EP2007/060091 WO2008037686A1 (en) 2006-09-25 2007-09-24 Convey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819A KR20090084819A (ko) 2009-08-05
KR101423940B1 true KR101423940B1 (ko) 2014-07-29

Family

ID=3776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790A Active KR101423940B1 (ko) 2006-09-25 2007-09-24 컨베이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63389B2 (ko)
EP (2) EP1902978B1 (ko)
JP (2) JP2010504261A (ko)
KR (1) KR101423940B1 (ko)
CN (2) CN101535153A (ko)
AU (1) AU2007302032B8 (ko)
ES (2) ES2425982T3 (ko)
PL (2) PL1902978T3 (ko)
WO (1) WO2008037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72005A1 (it) * 2007-10-17 2009-04-18 Pneumelectric Automazione S R "convogliatore a spirale con catena di trasporto avente percorso di ritorno lungo la stessa traccia dell'andata "
NL1035783C2 (nl) 2008-08-04 2010-02-05 Jan Willem Takens Buffertransporteur voor het transporteren en bufferen van producten.
NL2002100C (en) 2008-10-15 2010-04-16 Specialty Conveyor Bv A buffer conveyor having parallel tracks.
NL2002878C2 (en) * 2009-05-13 2010-11-18 Ambaflex Internat B V A conveyor having parallel conveyor members.
EP2435345B1 (en) * 2009-05-27 2013-10-23 Plantagon International AB Conveying system, tower structure, use and method for conveying containers
CH704136A1 (de) 2010-11-26 2012-05-31 Ferag Ag Förderkette für ein fördermittel einer fördereinrichtung.
CH704135A1 (de) 2010-11-26 2012-05-31 Ferag Ag Fördermittel für eine fördereinrichtung, sowie fördereinrichtung mit einem solchen fördermittel.
MY172945A (en) * 2011-05-10 2019-12-16 Flexmove System M Sdn Bhd A link for a conveyor chain, a conveyor chain made up of said links and a method of operation of said conveyor chain
WO2013010558A1 (en) * 2011-07-19 2013-01-24 Transnorm System Gmbh Curved belt conveyor and chain for the said conveyor
EP2644538B1 (en) * 2012-03-27 2015-02-25 Specialty Conveyor B.V. A conveyor
NL2009781C2 (nl) * 2012-11-09 2014-05-12 Ambaflex Internat B V Transporteur.
JP5547320B1 (ja) * 2013-03-19 2014-07-09 第一施設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MX377681B (es) * 2013-11-12 2025-03-04 Transnorm System Inc Transportador para transportar articulos a lo largo de un camino generalmente vertical y portador interminable para un transportador.
NL2012475B1 (nl) * 2014-03-19 2016-01-08 Ambaflex Int B V Transporteur voor het in hoogterichting transporteren van goederen.
NL2014054B1 (nl) 2014-12-24 2016-10-12 Ambaflex Int B V Transporteur.
US10201122B2 (en) 2015-01-23 2019-02-12 Kevin W. Higgins Large-scale helical farming apparatus
KR101770021B1 (ko) * 2015-04-09 2017-08-21 한국공항공사 단차 제거형 이동식 탑승교
ES2966601T3 (es) * 2019-03-29 2024-04-23 Specialty Conveyor Bv Un transportador de acumulación
CN111532664A (zh) * 2020-05-30 2020-08-14 金倍励金属(苏州)有限公司 一种金属网带卡合装置
EP4186826B1 (en) * 2021-11-25 2024-04-03 Ambaflex International B.V. A helical convey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4411A (ja) * 1994-10-04 1996-04-23 Toyo Kanetsu Kk スラットコンベヤにおけるチェーン支持装置
WO2003024846A1 (en) * 2001-09-20 2003-03-27 Ambaflex International B.V. Conveyor
JP2003312828A (ja) 2002-04-23 2003-11-06 Nobuyuki Tsuboi 走行用ガイドレ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647A (en) * 1909-09-27 1915-08-10 Stanley G Harwood Portable parcel-carrier.
FR1050098A (fr) * 1951-02-23 1954-01-05 Eickhoff Geb Transporteur à bande à éléments en acier
DE957374C (de) * 1951-12-29 1957-01-31 Gewerk Eisenhuette Westfalia Gummi- oder Stahlglieder-Foerderband
DE969122C (de) * 1952-06-07 1958-04-30 Wilhelm Zenz Endloser Foerderer
DE1014925B (de) * 1954-11-04 1957-08-29 Gewerk Eisenhuette Westfalia Endloses Foerderband mit waagerechten Laufrollen
DE1004101B (de) * 1955-10-08 1957-03-07 Oskar Noe Laufrollenbefestigung an Stahlgliederfoerderbaendern
US3857476A (en) * 1973-01-29 1974-12-31 Theodore Equipment Corp Helical endless-belt mechanisms for fuel or empty distray transporting and lifting
DE3437049A1 (de) * 1983-10-11 1985-04-25 Santrade Ltd., Luzern Foerdereinrichtung
JP2709600B2 (ja) * 1988-04-13 1998-02-0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JPH01261106A (ja) * 1988-04-11 1989-10-18 Uehara Jushi Kogyo Kk チェーンコンベア
GB2226289B (en) * 1988-12-23 1992-04-29 Lineal Thermotech Ltd Improvements in conveyors
JPH03256905A (ja) * 1990-03-05 1991-11-15 Sony Corp 部品供給機におけるプラテンのガイド機構
US5038925A (en) * 1990-04-20 1991-08-13 Psc Floturn, Inc. Conveyor for transporting articles along a curved path
ES2051680T1 (es) * 1992-06-22 1994-07-01 Zimmermann Marino Carriles de soporte de plataformas asi como plataforma de introduccion con carriles de soporte de plataformas y via de transporte.
DE4324120A1 (de) * 1993-07-19 1995-01-26 Hauni Werke Koerber & Co Kg Förderkette
GB9321728D0 (en) * 1993-10-21 1993-12-15 Gramac Mechanical Handling Lim Improvements relating to conveyors
US5620084A (en) * 1995-03-30 1997-04-15 Jervis B. Webb Company Chain propelled belt conveyor
US5553697A (en) * 1995-06-15 1996-09-10 Otis Elevator Company Overlay for a passenger conveyor roller track
US5857559A (en) * 1996-02-13 1999-01-12 Mannesmann Dematic Rapistan Corp. Sliding belt turn conveyor
JP3606708B2 (ja) * 1997-05-26 2005-01-05 信行 坪井 走行ガイドシステム
NL1006909C2 (nl) * 1997-09-02 1999-03-04 Ambaflex B V Transporteur.
JP4498537B2 (ja) * 2000-04-20 2010-07-07 ウダ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パイラルコンベヤ
US6394260B1 (en) * 2000-07-17 2002-05-28 Pflow Industries, Inc. Conveyor system including roller-guided carriage assemblies
JP2003099272A (ja) * 2001-09-20 2003-04-04 Ricoh Co Ltd タスク切替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dspとモデム
AT412965B (de) * 2001-09-20 2005-09-26 Innova Patent Gmbh Förderanlage
ES2275164T3 (es) * 2004-10-30 2007-06-01 Ewab Holding Ag C/O Zumida Treuhand Ag Portapiezas para una instalacion transportadora de piezas provista de una cadena transportadora y un carril de guia.
DE202004017986U1 (de) * 2004-11-19 2006-02-09 Storcon Gmbh Spiralförderer
US7556142B2 (en) * 2005-11-30 2009-07-07 Rexnord Industries, Llc Conveyor plate with integrated rol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4411A (ja) * 1994-10-04 1996-04-23 Toyo Kanetsu Kk スラットコンベヤにおけるチェーン支持装置
WO2003024846A1 (en) * 2001-09-20 2003-03-27 Ambaflex International B.V. Conveyor
JP2003312828A (ja) 2002-04-23 2003-11-06 Nobuyuki Tsuboi 走行用ガイドレ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7686A1 (en) 2008-04-03
JP2010504261A (ja) 2010-02-12
CN101535153A (zh) 2009-09-16
EP2287094A1 (en) 2011-02-23
KR20090084819A (ko) 2009-08-05
EP2287094B1 (en) 2013-05-29
US7963389B2 (en) 2011-06-21
PL2287094T3 (pl) 2013-11-29
WO2008037686A8 (en) 2008-09-25
ES2425366T3 (es) 2013-10-15
AU2007302032B2 (en) 2013-02-21
AU2007302032A1 (en) 2008-04-03
JP2015027918A (ja) 2015-02-12
CN102351090B (zh) 2015-05-20
EP1902978A1 (en) 2008-03-26
ES2425982T3 (es) 2013-10-18
AU2007302032B8 (en) 2013-03-14
JP5955365B2 (ja) 2016-07-20
US20100089724A1 (en) 2010-04-15
CN102351090A (zh) 2012-02-15
PL1902978T3 (pl) 2013-11-29
EP1902978B1 (en)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940B1 (ko) 컨베이어
CN101466621B (zh) 旋转物品的带式输送机
EP3112299B1 (en) Transportation device and conveyor device
US6981580B2 (en) Apparatus for rotating an article
JP6564986B2 (ja) 搬送物排出装置
JP6140467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CN107624103B (zh) 倾斜辊式卸堆机
KR20150127700A (ko) 싱귤레이터 컨베이어
JP2014152026A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US5342040A (en) Turning device for sheets of paper in a feed web
US2637433A (en) Container handling conveyer
KR102676835B1 (ko) 커브 컨베이어
EP0385711A2 (en) Variable-speed pallet conveyor
KR102425593B1 (ko)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JP7268645B2 (ja) 物品搬送設備
JP5901954B2 (ja) 軸受構成部品搬送装置
TWI668171B (zh) 型鋼輸送橫移系統
JP2798362B2 (ja) ラウンドコンベヤベルトの搬送装置
JPH09240823A (ja) 搬送装置
JPH11246016A (ja) 搬送装置における搬送物の方向変換装置
GB2146965A (en) Elevating apparatus
JPH07285653A (ja) 物品搬送装置
JP2003095418A (ja) 搬送装置
JP2007106561A (ja) 物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