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6883B1 - 전선 대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대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883B1
KR101406883B1 KR20120122766A KR20120122766A KR101406883B1 KR 101406883 B1 KR101406883 B1 KR 101406883B1 KR 20120122766 A KR20120122766 A KR 20120122766A KR 20120122766 A KR20120122766 A KR 20120122766A KR 101406883 B1 KR101406883 B1 KR 10140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erminal
receptacle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601A (ko
Inventor
켄이치 시모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8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8Coupling devices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provided on the edge of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전선에 외력이 작용해도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기 어려운 전선 대(對) 기판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전선(2)에 부착되는 플러그(3)와, 기판(4)에 실장되는 리셉터클(5)을 구비한다. 플러그(3) 및 리셉터클(5)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3)를 리셉터클(5)과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전선(2)을 기판(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리셉터클(5)은, 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11)를 갖는다. 플러그(3)는,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에 삽입되는 삽입부(31)를 갖는다. 삽입부(31)는, 본체판(35)과, 본체판(35)에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 지지된 탄성편(36)을 갖는다. 삽입부(31)의 탄성편(36)에 자유 단부(端部; 39)를 형성한다. 수용부(11)에 피(被)걸어맞춤부(20)를 형성한다. 삽입부(31)를 수용부(11)에 삽입하면, 탄성편(36)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자유 단부(39)가 피걸어맞춤부(20)에 걸어맞춤되고, 이 결과, 플러그(3)가 리셉터클(5)과 걸어맞춤된다.

Description

전선 대 기판 커넥터{WIRE-TO-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 대(對)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86663호는, 본원의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00) 상에 표면 실장되는 저배형(low-height type) 표면 실장 패스트 온 탭 단자(fast-on tab terminal;101)에, 선재(線材;102)가 붙은 선재측 패스트 온 탭 단자(103)를 접속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86663호
그러나,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86663호의 구성에서는, 선재(102)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선재측 패스트 온 탭 단자(103)가 저배형 표면 실장 패스트 온 탭 단자(101)로부터 빠지기 쉬웠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전선에 외력이 작용해도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기 어려운 전선 대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전선에 부착되는 제1 단자와, 기판에 실장되는 제2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제2 단자에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전선을 상기 기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제2 단자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에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 지지된 탄성편을 갖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탄성편에 제1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제2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면, 상기 탄성편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2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되고, 이 결과,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와 끼워맞춤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편은,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빠짐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걸어맞춤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측으로 돌출하는 내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돌출부가 상기 제2 걸어맞춤부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빠짐 방향의 단부(端部)를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빠짐 방향의 상기 단부를 대략 180도,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탄성편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걸어맞춤부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편에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편에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의해 덮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노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노출부는, 상기 탄성편의 자유 단부로 이어지고, 커넥터 폭방향 또는 커넥터 삽발(insertion/removal)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됨으로써 압압 에어리어(pushing area)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자에는, 상기 제2 단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상기 수용부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과(過)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슬릿으로 삽입되는 오(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삽입 방지부는, 상기 과삽입 방지부를 겸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슬릿으로 삽입되는 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편은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상기 기판측이 되는 저판(bottom plate)과, 상기 저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반대측이 되는 천판(top plate)과, 상기 천판과 상기 저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고 대략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판은,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빠짐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판에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에 접촉하는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 스프링편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판금 절곡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이음매의 근방에는, 상기 수용부의 통 형상으로 한 형상을 유지(保持)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형상 유지 기구는, 형상 유지 돌기와, 상기 형상 유지 돌기가 수용되는 형상 유지 돌기 수용구멍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수용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상기 수용부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과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삽입 방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빠짐 방향측의, 가장자리면의 일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상기 수용부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2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될 때의 상기 제1 걸어맞춤부의 변위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전선에 외력이 작용해도 상기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도 1은 끼워맞춤 전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는 끼워맞춤 도중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일부 절결(cut-away)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3은 끼워맞춤 상태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4는 리셉터클(receptacle)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5는 리셉터클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6은 리셉터클의 또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7은 도 4의 Ⅶ-Ⅶ선 화살표 단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8은 리셉터클의 평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9는 전선이 접속된 플러그(plug)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0은 전선이 접속된 플러그의 다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1은 전선이 접속된 플러그의 평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2는 전선이 접속된 플러그의 탄성편의 단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3은 리셉터클로의 플러그의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4는 리셉터클로의 플러그의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5는 리셉터클로의 플러그의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6은 전선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작동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7은 리셉터클로의 플러그의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제4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8은 리셉터클로의 플러그의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제5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9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끼워맞춤 해제 방법의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0은 리셉터클의 사시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1은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86663호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도 19를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전선(2)에 부착되는 플러그(3)(제1 단자)와, 기판(4)에 표면 실장되는 리셉터클(5)(제2 단자)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3)와 리셉터클(5)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판금 절곡(bending)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를 리셉터클(5)과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전선(2)은 기판(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및 「커넥터 높이 방향」, 「커넥터 폭방향」을 정의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삽발 방향」은, 리셉터클(5)에 대하여 플러그(3)를 빼고 꽂는 방향이다. 「커넥터 삽발 방향」은, 「삽입 방향」과 「빠짐 방향」을 포함한다. 「삽입 방향」은, 리셉터클(5)에 대하여 플러그(3)를 꽂아 넣는 방향이다. 「빠짐 방향」은, 리셉터클(5)로부터 플러그(3)를 뽑아내는 방향이다. 「커넥터 높이 방향」은,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커넥터 높이 방향」은, 「탑재면 근접 방향」과 「탑재면 이간(separation) 방향」을 포함한다. 「탑재면 근접 방향」은,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대하여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탑재면 이간 방향」은,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커넥터 폭방향」은, 「커넥터 삽발 방향」과 「커넥터 높이 방향」의 쌍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커넥터 폭방향」은, 「커넥터 폭 중앙 방향」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포함한다.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1)(플러그(3), 리셉터클(5))의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이다.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1)(플러그(3), 리셉터클(5))의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리셉터클 5: 도 4∼도 8)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5)은, 리셉터클 본체(6)와, 한 쌍의 실장부(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5): 리셉터클 본체(6))
리셉터클 본체(6)는, 플러그(3)를 받아들이는 부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본체(6)는, 기판(4)(도 1을 아울러 참조)측이 되는 저판(8)과, 저판(8)을 사이에 두고 기판(4)과 반대측이 되는 천판(9)과, 저판(8)과 천판(9)을 연결하는 측판(10a) 및 측판(10b)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저판(8)과 천판(9)은,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도 1을 아울러 참조)에 대하여 대략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측판(10a) 및 측판(10b)은,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측판(10a)은, 리셉터클 본체(6)를 삽입 방향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측판(10b)은, 리셉터클 본체(6)를 삽입 방향에서 보아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천판(9)은, 저판(8)이나 측판(10a), 측판(10b)과 비교하여 커넥터 삽발 방향에 있어서 짧게 형성되어 있고, 삽입 방향에 있어서 안쪽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본체(6)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안쪽이 되는 위치에, 대략 각통 형상의 수용부(11)를 갖고 있다. 수용부(11)는, 저판(8)과 천판(9), 측판(10a), 측판(10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11)는, 판금 절곡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할 수 있다.
저판(8)과 측판(10a)과의 사이에는 이음매(12)가 존재하고 있다. 이음매(12)의 근방에는, 2개의 형상 유지 기구(E)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형상 유지 기구(E)는, 저판(8)과 측판(10a)을 연결시킨다. 각 형상 유지 기구(E)는, 저판(8)에 형성된 형상 유지 돌기(13)와, 측판(10a)에 형성된 형상 유지 돌기 수용구멍(14)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즉, 저판(8)에 형성된 한 쌍의 형상 유지 돌기(13)를, 측판(10a)에 형성된 한 쌍의 형상 유지 돌기 수용구멍(14)에 수용함으로써, 저판(8)과 측판(10a)은, 상호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형상 유지 기구(E)의 존재에 의해, 수용부(11)는, 수용부(11)의 통 형상으로 한 형상이 유지되어 있다.
측판(10a)의 빠짐 방향측에는, 측판(10b)에 대하여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향하지 않는 플러그 안내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5): 리셉터클 본체(6): 천판(9))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에는, 슬릿(15)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수용부(11)를 구성하는 천판(9)과 측판(10a)에 걸치도록,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고, 빠짐 방향으로 개구하는 슬릿(15)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의 천판(9)은, 이 슬릿(15)을 커넥터 삽발 방향에 있어서 구획(define)하는 슬릿 구획 가장자리면(16)을 갖고 있다. 슬릿 구획 가장자리면(16)은, 수용부(11)의 천판(9)의 빠짐 방향측의 가장자리면의 일부이다. 슬릿 구획 가장자리면(16)은, 커넥터 삽발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있다.
도 4 및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9)의 빠짐 방향의 단부(17)에는, 리셉터클측 걸어맞춤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리셉터클측 걸어맞춤부(18)는, 천판(9)의 빠짐 방향의 단부(17)의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으로서, 약간 측판(16b)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걸어맞춤부(18)는, 천판(9)의 빠짐 방향의 단부(17)에 접속하면서, 빠짐 방향, 탑재면 근접 방향, 삽입 방향의 순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는 만곡부(19)와, 만곡부(19)에 접속하면서,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被)걸어맞춤부(20)(내측 돌출부, 제2 걸어맞춤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걸어맞춤부(20)는, 만곡하는 만곡부(19)를 통하여 천판(9)에 지지됨으로써, 수용부(11)의 내주측으로 돌출하고 있다고 언급할 수 있다. 또한, 피걸어맞춤부(20)는, 수용부(11)의 빠짐 방향의 단부(17)를 대략 180도,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할 수 있다. 피걸어맞춤부(20)는, 천판(9)에 대하여 대략 극간(gap) 없이 대향하고 있다.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천판(9)의 빠짐 방향의 단부(17)에는, 스토퍼 가장자리면(21)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가장자리면(21)은, 수용부(11)의 천판(9)의 빠짐 방향측의 가장자리면의 일부이다. 스토퍼 가장자리면(21)은, 리셉터클측 걸어맞춤부(18)보다도 측판(10b)측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가장자리면(21)은, 커넥터 삽발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있다.
(리셉터클(5): 실장부(7))
한 쌍의 실장부(7)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8)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고, 저판(8)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실장부(7)는, 저판(8)과 비교하여 탑재면 근접 방향측에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전선(2): 도 9)
전선(2)은, 꼬임선(25)과 절연 피막(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꼬임선(25)은, 절연 피막(26)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플러그(3): 도 9∼도 12)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는, 전선 압착부(30)와, 삽입부(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3): 전선 압착부(30))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압착부(30)는, 전선(2)을 플러그(3)에 부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전선 압착부(30)는, 전선(2)의 꼬임선(2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압착하는 전선 접속부(32)와, 전선 접속부(32)에 커넥터 삽발 방향의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전선(2)의 절연 피막(26)을 유지하는 전선 유지부(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3): 삽입부(31))
삽입부(31)는, 리셉터클(5)의 리셉터클 본체(6)의 수용부(1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31)는, 본체판(35)과, 본체판(35)에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 지지된 탄성편(36)과, 한 쌍의 측판(37a) 및 측판(37b)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본체판(35)은, 전선 압착부(30)에 접속되어 있다. 탄성편(36)은, 본체판(35)의 삽입 방향 단부에 접속하면서, 빠짐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36)은, 빠짐 방향을 향함에 따라 본체판(35)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본체판(35)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36)은, 한 쌍의 측판(37a) 및 측판(37b)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3): 삽입부(31): 탄성편(36))
도 9 및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제1 걸어맞춤부)에는, 곡면 접촉부(40)(접촉부)와, 제1 폭방향 돌기부(41)와, 제2 폭방향 돌기부(42)와, 외부 노출부(43)와, 걸어맞춤면(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면 접촉부(40)는, 곡면을 갖도록,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로부터 탑재면 이간 방향으로 부풀어 올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곡면 접촉부(40)는, 자유 단부(39)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폭방향 돌기부(41)는,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폭방향 돌기부(41)는,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서, 측판(37a)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폭방향 돌기부(42)는,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폭방향 돌기부(42)는,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서, 측판(37b)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노출부(43)는,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로 이어지고,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로부터 빠짐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과, 외부 노출부(43)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에어리어(a)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노출부(43)는, 측판(37b)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면(44)은,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의 빠짐 방향측의 가장자리면으로서, 측판(37a)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3): 삽입부(31): 측판(37a))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37a)에는, 절결(50)과, 스토퍼 돌기부(51)(과삽입 방지부)와, 융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50)은, 측판(37a)의 빠짐 방향측에 있어서, 탑재면 이간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결(50)은, 탄성편(36)의 제1 폭방향 돌기부(41)를 수용함과 함께, 탄성편(36)의 과도한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절결 깊이가 조정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부(51)는, 절결(50)에 대하여 빠짐 방향측에 서로 이웃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부(51)는, 측판(37a)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52)는, 측판(37a)의 삽입 방향측에 있어서, 측판(37a)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해 융기되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3): 삽입부(31): 측판(37b))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37a)에는, 절결(60)과, 스토퍼 돌기부(61)(본 실시 형태에서는 과삽입 방지부로서 기능하고 있지 않음)와, 키(62)(오삽입 방지부, 과삽입 방지부)와, 융기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60)은, 측판(37b)의 빠짐 방향측에 있어서, 탑재면 이간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결(60)은, 탄성편(36)의 제2 방향 돌기부(42)를 수용함과 함께, 탄성편(36)의 과도한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절결 깊이가 조정되어 있다. 이점, 절결(60)은, 절결(50)과 대략 동등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스토퍼 돌기부(61)는, 절결(60)에 대하여 빠짐 방향측에 서로 이웃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키(62)는, 절결(60)에 대하여 삽입 방향측에 서로 이웃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부(61) 및 키(62)는, 모두, 측판(37b)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63)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37b)의 삽입 방향측에 있어서, 측판(37b)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해 융기되어 형성되어 있다.
(작동: 도 13∼도 19)
다음으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5)의 한 쌍의 실장부(7)를,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 패드(4b)에 각각, 납땜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2)을 플러그(3)의 전선 압착부(30)에 압착한 후에, 플러그(3)의 탄성편(36)이 본체판(35)으로부터 보아 탑재면 이간 방향측이 되도록, 리셉터클(5)에 대한 플러그(3)의 자세를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의 삽입부(31)를 리셉터클(5)의 수용부(11) 내로 삽입한다. 이때, 도 6에 나타내는 플러그 안내부(10c)는, 플러그(3)의 삽입부(31)를 측판(10a)과 측판(10b)의 사이로 끌어들이는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저판(8)은, 수용부(11)로부터 빠짐 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삽입부(31)를 수용부(11) 내로 끌어들이는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의 삽입부(31)를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에 삽입해 가면,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탄성편(36)은, 수용부(11)의 천판(9)에 형성된 리셉터클측 걸어맞춤부(18)의 만곡부(19) 및 피걸어맞춤부(20)에 의해 탑재면 근접 방향측으로 눌러 내려진다.
도 14의 상태에서, 플러그(3)의 삽입부(31)를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에 추가로 삽입해 가면, 결국,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자유 단부(39)가 리셉터클(5)의 리셉터클측 걸어맞춤부(18)의 피걸어맞춤부(20)를 타고 넘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36)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자유 단부(39)가 탑재면 이간 방향으로 변위하여 피걸어맞춤부(20)에 걸어맞춤되고, 이 결과, 플러그(3)가 리셉터클(5)과 끼워맞춤된다(도 1∼도 3도 아울러 참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 단부(39)가 피걸어맞춤부(20)에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플러그(3)의 외부 노출부(4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에 의해 덮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도 18도 아울러 참조).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의 자유 단부(39)와 리셉터클(5)의 피걸어맞춤부(20)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걸어맞춤된다. 상세하게는, 플러그(3)의 자유 단부(39)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면(44)이, 리셉터클(5)의 피걸어맞춤부(20)에 대하여, 삽입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탄성편(36)은, 탄성편(36)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자유 단부(39)의 근방에 있어서, 수용부(11)의 내주면(11a)(즉, 천판(9)의 내면(9a))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탄성편(36)의 곡면 접촉부(40)는, 탄성편(36)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11)의 내주면(11a)(즉, 천판(9)의 내면(9a))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다. 플러그(3)의 탄성편(36)의 곡면 접촉부(40)와,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의 내주면(11a)과의 접점이, 플러그(3)와 리셉터클(5)의 주된 접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때, 저판(8)과 본체판(35)은,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2)에 외력(F)이 빠짐 방향으로 작용하면, 화살표(T)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 단부(39)는 본체부(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탑재면 이간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여 피걸어맞춤부(20)와의 걸어맞춤이 유지된다.
이어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작동을 평면에서 볼 때로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의 삽입부(31)를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에 삽입하면,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자유 단부(39)가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의 피걸어맞춤부(20)에 걸어맞춤되어(도 15를 아울러 참조),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가 리셉터클(5)에 걸어맞춤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3)의 삽입부(31)를 리셉터클(5)의 수용부(11)로 추가로 삽입하려고 하면,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의 천판(9)의 단부(17)에 형성된 스토퍼 가장자리면(21)에 대하여,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측판(37a)의 스토퍼 돌기부(51)가 접촉하고, 그 이상의 삽입이 금지된다. 마찬가지로,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의 천판(9)의 슬릿 구획 가장자리면(16)에 대하여,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측판(37b)의 키(62)가 접촉하고, 그 이상의 삽입이 금지된다. 즉, 스토퍼 돌기부(51)와 키(62)는,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의 삽입부(31)를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에 삽입할 때,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키(62)가,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의 슬릿(15)에 삽입된다. 이 슬릿(15)과 키(62)의 존재에 의하면,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오삽입」이란, 예를 들면, 도 17에 있어서, 플러그(3)가 도시하는 자세의 뒤집힌 상태로 되어 있으며, 그 자세대로, 플러그(3)를 리셉터클(5)에 삽입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플러그(3)가 도시하는 자세의 뒤집힌 상태로 되어 있으며, 그 자세대로, 플러그(3)를 리셉터클(5)에 삽입하려고 하면,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키(62)가 리셉터클(5)의 저판(8)에 대하여 물리적으로 간섭하여,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삽입은 저해되게 된다. 또한,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키(62)는, 삽입부(31)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부(31)를 수용부(11)로 삽입할 때에는, 오삽입인지 아닌지를 비교적 조기에 알아차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해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 단부(39)가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외부 노출부(34)는, 도 3,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에 의해 덮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5)로부터 플러그(3)를 뽑아내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노출부(43)를 2점 파선으로 나타내는 가늘고 긴 지그(R) 등으로 탑재면 근접 방향으로 눌러 내리도록 조작하여 하면 좋다. 상세하게는, 외부 노출부(43)의 압압 에어리어(a)(도 11을 아울러 참조)를 2점 파선으로 나타내는 가늘고 긴 지그(R) 등으로 탑재면 근접 방향으로 눌러 내리도록 조작하여 하면 좋다. 이 조작에 의하면, 도 15에 나타내는 탄성편(36)은 탑재면 근접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탄성 변형하여,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게 된다.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나중에는, 전선(2)을 파지하여 플러그(3)를 리셉터클(5)로부터 빼내면 좋다.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제1 실시 형태는, 이하의 특장을 갖고 있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전선(2)에 부착되는 플러그(3)(제1 단자)와, 기판(4)에 실장되는 리셉터클(5)(제2 단자)을 구비한다. 플러그(3) 및 리셉터클(5)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3)를 리셉터클(5)과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전선(2)을 기판(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리셉터클(5)은, 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11)를 갖는다. 플러그(3)는,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에 삽입되는 삽입부(31)를 갖는다. 삽입부(31)는, 본체판(35)과, 본체판(35)에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 지지된 탄성편(36)을 갖는다. 삽입부(31)의 탄성편(36)에 자유 단부(39)(제1 걸어맞춤부)를 형성한다. 수용부(11)에 피걸어맞춤부(20)(제2 걸어맞춤부)를 형성한다. 삽입부(31)를 수용부(11)에 삽입하면, 탄성편(36)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자유 단부(39)가 피걸어맞춤부(20)에 걸어맞춤되고, 이 결과, 플러그(3)가 리셉터클(5)과 걸어맞춤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자유 단부(39)가 피걸어맞춤부(20)와 걸어맞춤될 때의 자유 단부(39)의 변위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와의 걸어맞춤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전선(2)에 외력이 작용해도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36)은, 삽입부(31)를 수용부(11)에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빠짐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걸어맞춤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에는, 수용부(11)의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피걸어맞춤부(20)(내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걸어맞춤부(20)는, 수용부(11)의 빠짐 방향의 단부(17)를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걸어맞춤부(20)는, 수용부(11)의 빠짐 방향의 단부(17)를 대략 180도,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탄성편(36)은, 탄성편(36)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자유 단부(39)의 근방에 있어서, 수용부(11)의 내주면(11a)에 접촉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은, 이하와 같은 기술적 의의를 갖는다. 즉,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2)에 외력(F)이 빠짐 방향으로 작용하면, 자유 단부(39)는 본체판(3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여,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되고, 따라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가 한층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36)의 자유 단부(39)의 근방에는, 곡면 접촉부(40)(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탄성편(36)의 곡면 접촉부(40)는, 탄성편(36)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11)에 접촉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탄성편(36)은, 자유 단부(39)를 피걸어맞춤부(20)에 걸어맞춤시키는 기능과, 수용부(11)에 대한 곡면 접촉부(40)의 접촉 압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겸함으로써, 따라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가 구조상 심플해진다.
또한, 도 3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36)에는,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수용부(11)에 의해 덮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노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노출부(43)를 조작함으로써 탄성편(36)을 강제적으로 탄성 변형시켜, 자유 단부(39)와 피걸어맞춤부(20)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에는, 리셉터클(5)에 접촉함으로써,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스토퍼 돌기부(51)(과삽입 방지부) 및 키(62)(과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에는, 슬릿(15)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1)에는, 슬릿(15)으로 삽입되는 키(62)(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키(62)는,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기능과,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발휘한다. 바꾸어 말하면, 키(62)는,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과삽입 방지부와, 삽입부(31)의 수용부(11)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오삽입 방지부를 겸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31)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37a) 및 측판(37b)을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삽입부(31)의 자세가 안정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36)은, 한 쌍의 측판(37a) 및 측판(37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는, 기판(4)측이 되는 저판(8)과, 저판(8)을 사이에 두고 기판(4)과 반대측이 되는 천판(9)과, 천판(9)과 저판(8)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10a) 및 측판(10b)을 갖고 대략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저판(8)은, 삽입부(31)를 수용부(11)에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빠짐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저판(8)을 이용하여, 삽입부(31)를 수용부(11)에 부드럽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는, 판금 절곡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의 이음매(12)에는, 수용부(11)의 통 형상으로 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구(E)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형상 유지 기구(E)는, 형상 유지 돌기(13)와, 형상 유지 돌기(13)가 수용되는 형상 유지 돌기 수용구멍(14)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저판(8)에는,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 스프링편(70)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스프링편(70)은, 저판(8)의 중앙 부분을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스프링편(70)은, 저판(8)에 의해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는 지지 스프링편(71)과, 지지 스프링편(71)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접촉부(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72)는, 콘택트 스프링편(70)의 무(無)부하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11)의 내부 공간 내로 돌출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의 삽입부(31)를 리셉터클(5)의 수용부(11)에 삽입하면, 도 20의 콘택트 스프링편(70)의 접촉부(72)가, 지지 스프링편(17)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본체판(35)에 대하여 강력하게 접촉하고, 따라서, 콘택트 스프링편(70)의 접촉부(72)와 플러그(3)의 삽입부(31)의 본체판(35)과의 접점이, 플러그(3)와 리셉터클(5)과의 접점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Claims (21)

  1. 전선에 부착되는 제1 단자와, 기판에 실장되는 제2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제2 단자와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을 상기 기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선 대(對)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제2 단자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갖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에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 지지된 탄성편을 갖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탄성편에 제1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제2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면, 상기 탄성편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2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되고, 이 결과,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와 끼워맞춤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측으로 돌출하는 내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돌출부가 상기 제2 걸어맞춤부로서 기능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빠짐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걸어맞춤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빠짐 방향의 단부(端部)를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빠짐 방향의 상기 단부를 180도,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탄성편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걸어맞춤부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에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에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의해 덮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노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노출부는, 상기 탄성편의 자유 단부로 이어지고, 커넥터 폭방향 또는 커넥터 삽발(insertion/removal)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됨으로써 압압 에어리어를 갖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에는, 상기 제2 단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상기 수용부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과(過)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슬릿으로 삽입되는 오(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삽입 방지부는, 상기 과삽입 방지부를 겸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슬릿으로 삽입되는 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기판측이 되는 저판과,
    상기 저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반대측이 되는 천판과,
    상기 천판과 상기 저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고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판은,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빠짐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저판에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에 접촉하는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 스프링편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9.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판금 절곡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이음매의 근방에는, 상기 수용부의 통 형상으로 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형상 유지 기구는, 형상 유지 돌기와, 상기 형상 유지 돌기가 수용되는 형상 유지 돌기 수용구멍에 의해 실현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수용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상기 수용부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과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과삽입 방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빠짐 방향측의, 가장자리면의 일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상기 수용부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20120122766A 2011-11-25 2012-11-01 전선 대 기판 커넥터 Active KR101406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6969A JP5890157B2 (ja) 2011-11-25 2011-11-25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JP-P-2011-256969 2011-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601A KR20130058601A (ko) 2013-06-04
KR101406883B1 true KR101406883B1 (ko) 2014-06-13

Family

ID=4721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2766A Active KR101406883B1 (ko) 2011-11-25 2012-11-01 전선 대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160089B2 (ko)
EP (2) EP2930792A1 (ko)
JP (1) JP5890157B2 (ko)
KR (1) KR101406883B1 (ko)
CN (1) CN103138078B (ko)
TW (1) TWI4784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3623B2 (en) * 2012-09-29 2017-10-17 Harumoto Technology (Shen Zhen) Co., Ltd.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a receptor connector
US20140120786A1 (en) 2012-11-01 2014-05-01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US8721376B1 (en) * 2012-11-01 2014-05-13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WO2015037808A1 (ko) * 2013-09-12 2015-03-19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6356974B2 (ja) * 2014-02-03 2018-07-1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金属端子
JP6014075B2 (ja) * 2014-04-17 2016-10-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265857B2 (ja) * 2014-07-25 2018-01-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9391386B2 (en) 2014-10-06 2016-07-12 Avx Corporation Caged poke home contact
JP6350876B2 (ja) * 2015-06-18 2018-07-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WO2017081794A1 (ja) * 2015-11-12 2017-05-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サーバ、クライアント、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22934B2 (ja) * 2016-04-11 2020-07-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端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10320096B2 (en) 2017-06-01 2019-06-11 Avx Corporation Flexing poke home contact
TWD192839S (zh) * 2018-01-29 2018-09-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Connector terminal
CN113169540B (zh) * 2018-12-17 2022-07-26 住友电装株式会社 配线部件的安装结构
JP2020123513A (ja) * 2019-01-31 2020-08-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及び、端子付き基板
JP7461225B2 (ja) * 2020-06-05 2024-04-0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
JP7472008B2 (ja) * 2020-12-15 2024-04-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688959B2 (en) * 2021-08-11 2023-06-27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Positive lock sealed terminal connector
CN114256688A (zh) * 2021-12-01 2022-03-29 深圳市精睿兴业科技有限公司 一种接线连接器及电子设备
WO2025052954A1 (ja) * 2023-09-04 2025-03-13 日本端子株式会社 雄型端子及びそれを備えた端子対
JP7629582B1 (ja) 2023-09-04 2025-02-13 日本端子株式会社 雄型端子及びそれを備えた端子対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884Y1 (ko) 2001-05-18 2001-10-15 이육권 전기, 전자제품의 접지단자 및 접지장치
US7329158B1 (en) * 2006-06-30 2008-02-12 Yazaki North America, Inc. Push-lock terminal connection assembly
US20080305668A1 (en) 2007-06-11 2008-12-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for sola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535A (en) * 1974-02-21 1975-10-28 Amp Inc Coaxial cable receptacle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4003617A (en) 1976-03-17 1977-01-18 Essex International, Inc.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JP3067471B2 (ja) 1993-06-03 2000-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5383788A (en) * 1993-05-20 1995-01-24 W. L. Gore & Associates, Inc.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DE9310699U1 (de) * 1993-07-17 1993-09-02 Richard Hirschmann Gmbh & Co, 73728 Esslingen Kontaktelement
JP3509401B2 (ja) 1996-07-25 2004-03-2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H10255926A (ja) 1997-03-07 1998-09-25 Sharp Corp コネクタ
JP3323930B2 (ja) 1998-06-17 2002-09-09 有限会社アールキャパ 液体充填用紙カートン及びその密封方法
JP3365549B2 (ja) * 1998-11-19 2003-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端子
FR2786613B1 (fr) * 1998-11-30 2001-02-02 Radiall Sa Dispositif pour raccorder un cable coaxial a une carte de circuit imprime
JP3488873B2 (ja) * 2001-08-10 2004-01-19 大宏電機株式会社 光・電気共用コネクタ
JP2003151652A (ja) * 2001-11-09 2003-05-2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線のアース接続構造
JP2003323930A (ja) * 2002-05-07 2003-11-14 Union Machinery Co Ltd 表面実装用コネクタ
EP1566860B1 (en) 2002-11-28 2016-01-20 Asahi Glass Company, Limited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conductor formed on glass surface
FR2850797A1 (fr) 2003-02-05 2004-08-06 Radiall Sa Connecteur pour raccorder un cable coaxial a une carte de circuit imprime
JP2004296182A (ja) 2003-03-26 2004-10-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918798B2 (en) * 2003-07-15 2005-07-19 Molex Incorporated Female terminal with flexible sidewalls and flat angled contacts
DE102007040937B3 (de) 2007-08-30 2009-01-15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Kontakt
US8360812B2 (en) * 2008-07-28 2013-01-29 Illinois Tool Works Inc. Tab-form terminal with reduc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cost
US7892007B2 (en) * 2008-08-15 2011-0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0186663A (ja) 2009-02-13 2010-08-26 Nec Tokin Corp 低背形表面実装ファストンタブ端子
US7942707B2 (en) * 2009-04-28 2011-05-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with locking barb
JP4885320B1 (ja) * 2011-03-23 2012-02-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線対基板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884Y1 (ko) 2001-05-18 2001-10-15 이육권 전기, 전자제품의 접지단자 및 접지장치
US7329158B1 (en) * 2006-06-30 2008-02-12 Yazaki North America, Inc. Push-lock terminal connection assembly
US20080305668A1 (en) 2007-06-11 2008-12-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for sola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90157B2 (ja) 2016-03-22
CN103138078A (zh) 2013-06-05
US9472875B2 (en) 2016-10-18
TWI478449B (zh) 2015-03-21
US20130137314A1 (en) 2013-05-30
EP2930792A1 (en) 2015-10-14
US20150229050A1 (en) 2015-08-13
US9160089B2 (en) 2015-10-13
TW201322564A (zh) 2013-06-01
JP2013114758A (ja) 2013-06-10
CN103138078B (zh) 2015-07-01
EP2597729B1 (en) 2016-03-02
EP2597729A1 (en) 2013-05-29
KR20130058601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883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1478585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06486806A (zh) 具有刀片连接器的连接器组件
JP4291341B2 (ja) 接続装置
US5803761A (en) Edge connector
CN108631102B (zh) 母连接器以及母连接器和公连接器的连接结构
CN105977704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CN1937325A (zh) 电线连接用连接器
KR20150035450A (ko) 접속 단자
CN114520436A (zh) 电连接构造
CN104466472A (zh) 电缆体用保持件、插头式连接器及连接器组装体
CN110364893B (zh) 具有端子按压构造的连接器装置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JP5957114B2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2021061173A (ja) コネクタ
JP6195797B2 (ja) コネクタ
JP7218718B2 (ja)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JP5414317B2 (ja) 低挿入力コネクタ
JP202102247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