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755B1 - 다공성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금속 공기 배터리 - Google Patents
다공성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금속 공기 배터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5755B1 KR101405755B1 KR1020120112236A KR20120112236A KR101405755B1 KR 101405755 B1 KR101405755 B1 KR 101405755B1 KR 1020120112236 A KR1020120112236 A KR 1020120112236A KR 20120112236 A KR20120112236 A KR 20120112236A KR 101405755 B1 KR101405755 B1 KR 1014057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id electrolyte
- porous
- metal
- lithium
- positive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이에 본 발명은, 다공성 3차원 구조의 제1 다공성 고체전해질과, 이 고체전해질의 각 열린 기공 내에 충진되는 양극 합재로 된 양극; 다공성 3차원 구조의 제2 다공성 고체전해질과, 이 고체전해질의 각 열린 기공 내에 충진되는 리튬금속 또는 리튬합금 또는 금속합금으로 된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치밀성 고체전해질; 상기 양극과 음극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는 집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배터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수용성 전해질을 이용한 금속 공기 배터리를 나타낸 모식도.
110 : 양극
111 : 제1 다공성 고체전해질
111a : 기공
112 : 양극 집전체
120 : 음극
121 : 제2 다공성 고체전해질
121a : 기공
122 : 음극 집전체
131 : 치밀성 고체전해질
Claims (9)
- 다공성 3차원 구조의 제1 다공성 고체전해질과, 이 고체전해질의 각 열린 기공 내에 충진되는 양극 합재로 된 양극;
다공성 3차원 구조의 제2 다공성 고체전해질과, 이 고체전해질의 각 열린 기공 내에 충진되는 리튬금속 또는 리튬합금 혹은 금속합금으로 된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치밀성 고체전해질;
상기 양극과 음극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는 집전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양극에 결합되는 양극 집전체로는 공기 중의 산소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나 다공성 구조의 전도성 소재가 사용되며,
상기 음극의 제2 다공성 고체전해질의 각 열린 기공 내에서 리튬금속과 고체전해질 또는 리튬합금과 고체전해질 또는 금속합금과 고체전해질 간 계면에 계면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중간이온전도물질을 초박막형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배터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체전해질은 20 ~ 90%의 기공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배터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체전해질은 0.1 ~ 50㎛의 기공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배터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체전해질은 1 ~ 50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배터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및 치밀성 고체전해질은 상온에서 10-2 ~ 10-3 S/cm 의 이온전도도를 가진 소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배터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세리아-알루미나 또는 세리아-질코니아로 된 지지체를 함유한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배터리.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체전해질은 콜로이드 결정 주형법, 카본 주형법, 동결 주조법, 에어로겔 합성법, 테입 주조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다공성 3차원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배터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공성 고체전해질은 박막 코팅법, 분말 입자 페이스트 충진법, 용융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각 기공 내에 리튬금속 또는 리튬합금 혹은 금속합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배터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236A KR101405755B1 (ko) | 2012-10-10 | 2012-10-10 | 다공성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금속 공기 배터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236A KR101405755B1 (ko) | 2012-10-10 | 2012-10-10 | 다공성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금속 공기 배터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6157A KR20140046157A (ko) | 2014-04-18 |
KR101405755B1 true KR101405755B1 (ko) | 2014-06-10 |
Family
ID=5065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2236A Active KR101405755B1 (ko) | 2012-10-10 | 2012-10-10 | 다공성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금속 공기 배터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575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050622A1 (en) * | 2018-02-08 | 2021-02-18 | Japan Fine Ceramics Co., Ltd. | Solid electrolyte body, all-solid-state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solid electrolyte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all-solid-state battery |
WO2022031009A1 (en) * | 2020-08-06 | 2022-02-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ll-soli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1909028B2 (en) | 2019-10-23 | 2024-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athode for metal-air battery,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metal-ai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180814B1 (en) | 2014-08-12 | 2019-04-03 |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 Phytic acid based metallogel and applications thereof |
KR102280684B1 (ko) * | 2014-08-27 | 2021-07-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튬공기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712877B1 (ko) * | 2015-01-15 | 2017-03-07 | 울산과학기술원 | 인명 구조 장치 |
KR102123988B1 (ko) * | 2018-10-04 | 2020-06-17 | 울산과학기술원 | 광전극 기반의 해수 전지 시스템 및 자발적 광충전 방법 |
KR102771618B1 (ko) * | 2018-11-09 | 2025-02-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금속-공기 전지 |
KR20200078039A (ko) * | 2018-12-21 | 2020-07-0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리튬-공기 전지용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 전지 |
CN114300787B (zh) * | 2021-12-29 | 2024-03-22 | 吉林大学 | 光辅助宽温固态锂空气电池及其制备方法 |
KR20220093053A (ko) * | 2022-06-16 | 2022-07-05 | 한국세라믹기술원 | 초음파 스프레이법을 이용 미세구조 제어를 통한 고활성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7659A (ko) * | 2002-11-20 | 2003-01-23 | 주식회사 파인셀 | 미세 다공성 고체 무기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030036966A (ko) * | 2001-11-01 | 2003-05-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다공성 이온 전도성 세리아 막 코팅으로 삼상 계면이확장된 미세구조의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040096381A (ko) * | 2003-05-09 | 2004-11-1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다공성의 3차원 집전체로 구성된 전극과 이를 이용한리튬전지, 및 그 제조방법 |
JP2008226666A (ja) * | 2007-03-13 | 2008-09-25 | Ngk Insulators Ltd | 全固体電池用の固体電解質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
-
2012
- 2012-10-10 KR KR1020120112236A patent/KR10140575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6966A (ko) * | 2001-11-01 | 2003-05-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다공성 이온 전도성 세리아 막 코팅으로 삼상 계면이확장된 미세구조의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030007659A (ko) * | 2002-11-20 | 2003-01-23 | 주식회사 파인셀 | 미세 다공성 고체 무기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040096381A (ko) * | 2003-05-09 | 2004-11-1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다공성의 3차원 집전체로 구성된 전극과 이를 이용한리튬전지, 및 그 제조방법 |
JP2008226666A (ja) * | 2007-03-13 | 2008-09-25 | Ngk Insulators Ltd | 全固体電池用の固体電解質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050622A1 (en) * | 2018-02-08 | 2021-02-18 | Japan Fine Ceramics Co., Ltd. | Solid electrolyte body, all-solid-state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solid electrolyte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all-solid-state battery |
US11909028B2 (en) | 2019-10-23 | 2024-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athode for metal-air battery,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metal-ai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WO2022031009A1 (en) * | 2020-08-06 | 2022-02-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ll-soli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2191444B2 (en) | 2020-08-06 | 2025-01-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ll-soli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6157A (ko) | 2014-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5755B1 (ko) | 다공성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금속 공기 배터리 | |
US12244036B2 (en) | Separators for three-dimensional batteries | |
KR101382869B1 (ko) | 배터리용 복합형 고체 고이온전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배터리 | |
KR101417268B1 (ko) | 리튬금속배터리용 리튬전극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28025B1 (ko) | 3차원 배터리들을 위한 전극 구조들 | |
KR102097838B1 (ko) | 미세구조화된 전극 구조 | |
KR20170057421A (ko) | 보호된 음극을 갖는 전기 화학 전지 | |
JP7181866B2 (ja) |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22538619A (ja) | 複合固体状バッテリーセル | |
KR20130136150A (ko) | 리튬금속배터리용 고체 고이온전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금속배터리 | |
KR101417282B1 (ko) | 리튬황 배터리의 유황전극과 이의 제조방법, 및 유황전극을 적용한 리튬황 배터리 | |
US20190131660A1 (en) | Solid-state battery design using a mixed ionic electronic conductor | |
JP2009187700A (ja) |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14765252A (zh) | 电极及使用该电极的二次电池 | |
HK40028119A (en) | Separators for three-dimensional batteries | |
HK1209527B (en) | Electrode structures for three-dimensional batter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