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7253B1 - 안경 렌즈의 가공을 위한 레이아웃 설정 장치, 이것을 갖는안경 렌즈 가공 장치,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및 컵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의 가공을 위한 레이아웃 설정 장치, 이것을 갖는안경 렌즈 가공 장치,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및 컵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253B1
KR101397253B1 KR1020070020089A KR20070020089A KR101397253B1 KR 101397253 B1 KR101397253 B1 KR 101397253B1 KR 1020070020089 A KR1020070020089 A KR 1020070020089A KR 20070020089 A KR20070020089 A KR 20070020089A KR 101397253 B1 KR101397253 B1 KR 10139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display
layout
bending ang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635A (ko
Inventor
교지 다케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07008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2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3Measuring during assembly or fitting of spectacles
    • G02C13/005Measuring geometric parameters required to locate ophtalmic lenses in spectacles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B2215/40Spec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31Spectacle-fram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해 안경 렌즈를 가공할 때에, 가공 형상인 렌즈형 (target lens shape) 의 렌즈에 대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로서,
렌즈형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과, 디스플레이와, 프레임의 착용자의 동공간 거리 (pupillary distance) 와, 프레임의 프레임 동공간 거리 (frame pupillary distance) 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화면과, 프레임의 휨 각도 (warp angle) 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전환 표시 또는 동시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와, 제 1 화면을 사용하여 레이아웃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아웃 설정장치

Description

안경 렌즈의 가공을 위한 레이아웃 설정 장치, 이것을 갖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및 컵 부착 장치{A LAYOUT SETT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PECTACLES LENS AND A CUP ADHERING APPARATUS, A SPECTACLES FRAME MEASURING APPARATUS AND A SPECTACLES LEN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LAYOUT SETTING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인 안경 렌즈 가공 장치의 개략 외관도이다.
도 2 는 렌즈 가공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장치의 제어계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4 는 안경 프레임의 휨 각도 측정용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휨 각도를 측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휨 각도를 측정하는 변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횡어긋남량 (치우침량) 의 연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휨 각도 측정용 화면의 변용예(變容例)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휨 각도를 측정하는 다른 변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레이아웃 설정 장치가 안경 렌즈 가공 장치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의 안경 렌즈 가공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이다.
특허문헌 : US 533341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93164호)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해 안경 렌즈를 가공할 때에, 가공 형상인 렌즈형 (target lens shape) 의 렌즈에 대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와, 이것을 갖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및 컵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 프레임과 안경 렌즈에 의해 안경이 제조되는 경우에는, 착용자(裝用者)의 좌안의 동공 중심 (pupil center) 에 좌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 (optical center) 이 일치되고, 착용자의 우안의 동공 중심에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이 일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프레임을 걸쳤을 때에 창용자의 좌우의 동공 중심에 프레임의 좌우의 림 (rim) 형상 (이하, 렌즈형) 의 기하 중심 (geometric center) 이 일치하면, 프레임의 렌즈형의 기하 중심에 렌즈의 광학 중심이 일치하도록 프레임에 렌즈를 부착되면 좋지만, 현실적으로는, 기성품의 프레임에서는,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프레임의 렌즈형의 기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해 렌즈의 주연을 가공할 때에는,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대한 프레임의 렌즈형의 기하 중심의 횡방향 (대략 수평 방향) 및 종방향 (대략 수직 방향) 의 각 편차량에 기초하여, 렌즈의 광학 중심에 대한 프레임의 렌즈형의 기하 중심의 위치 결정, 즉, 렌즈에 대한 렌즈형의 레이아웃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장치는 에저 (edger) 라고도 불리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에 형성되어 있거나, 트레이서 (tracer) 라고도 불리는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나 블로커 (blocker) 라고도 불리는 컵 부착 장치에 형성되어 있다.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대한 프레임의 렌즈형의 기하 중심의 횡방향의 편차량에 기초하는 렌즈의 광학 중심에 대한 프레임의 렌즈형의 기하 중심의 횡방향의 어긋남량 (이하, 횡어긋남량 (치우침량)) 은, 착용자의 동공 중심간 거리 (이하, 동공간 거리 (pupillary distance) : PD) 와 프레임의 렌즈형의 기하 중심간 거리 (이하, 프레임 동공간 거리 (frame pupillary distance) : FPD) 의 차로부터 구해진다. 이 횡어긋남량은, 특히, 크게 휜 림을 갖는 프레임의 경우에는, 이 휜 상태를 고려하여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특허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 (림) 의 휨 각도 (warp angle) 에 기초하여 횡어긋남량 (치우침량) 을 구하는 (보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림이 있는 프레임에 대해서는,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에 의해 얻어진 림의 3 차원적인 형상 데이터로부터 휨 각도가 얻어진다. 그러나, 림이 없는 프레임에 대해서는, 통상은, 림이 없는 프레임의 형판 (template, pattern) 또는 더미 렌즈 (demo lens, model lens) 가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그 결과 얻어지는 것은 2 차원적인 형상 (렌즈형) 데이터이기 때문에, 휨 각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 대응으로는, 더미 렌즈가 부착된 림이 없는 프레임의 휨 각도를 분도기 등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분도기의 준비 등은 수고스럽다.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의 휨 각도가 용이하게 얻어지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와, 이것을 갖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및 컵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① 안경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해 안경 렌즈를 가공할 때에, 가공 형상인 렌즈형 (target lens shape) 의 렌즈에 대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로서, 렌즈형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과, 디스플레이와, 프레임의 착용자의 동공간 거리 (pupillary distance) 와, 프레임의 프레임 동공간 거리 (frame pupillary distance) 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화면과, 프레임의 휨 각도 (warp angle) 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전환 표시 또는 동시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와, 제 1 화면을 사용하여 레이아웃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
② 항목 1에 있어서, 제 2 화면을 사용하여 측정된 프레임의 휨 각도를 입력하는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
③ 항목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기준 라인 상의 점을 중심으로 회 전 가능한 각도 측정 라인을 상기 제 2 화면 내에 표시하게 하며, 상기 휨 각도 입력 수단은, 상기 측정 라인의 상기 기준 라인에 대한 회전량 또는 회전 각도를 입력하여 프레임의 휨 각도를 입력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
④ 항목 2의 레이아웃 설정 장치를 가지며, 상기 렌즈형 데이터 입력 수단은, 측정에 의해 프레임의 렌즈형을 얻는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⑤ 항목 2의 레이아웃 설정 장치를 가지며, 렌즈에 가공용 지그인 컵을 부착시키는 컵 부착 유닛을 갖는 컵 부착 장치.
⑥ 항목 2에 있어서, 입력된 레이아웃 데이터와 입력된 휨 각도에 기초하여 렌즈형의 기하 중심 (geometric center) 에 대한 렌즈의 광학 중심 (optical center) 의 동공간 거리 방향의 횡어긋남량을 구하는 연산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
⑦ 항목 5의 레이아웃 설정 장치를 가지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척과, 가공구와, 구해진 횡어긋남량에 기초하여 가공 데이터를 구하는 연산부와, 구해진 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지된 렌즈와 상기 가공구의 위치 관계를 제어하여 렌즈의 주연을 가공하는 가공 제어부를 가지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⑧ 항목 5의 레이아웃 설정 장치를 가지며, 상기 렌즈형 데이터 입력 수단은 측정에 의해 프레임의 렌즈형을 얻는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⑨ 항목 5의 레이아웃 설정 장치를 가지며, 렌즈에 가공용 지그인 컵을 부착시키는 컵 부착 유닛을 갖는 컵 부착 장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인 안경 렌즈 가공 장치의 개략 외관도이다. 안경 렌즈 가공 장치 (1) 에는,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2) 가 내장되어 있다. 측정 장치 (2) 로는, US 522824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93163), US Re.35898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12661)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가공 장치 (1) 의 케이싱 상면에는 측정 장치 (2) 용 스위치 패널 (입력부 ; 110), 레이아웃 설정 장치를 구성하는 터치 스크린식 디스플레이 (표시부 겸 입력부 ; 115) 및 스위치 패널 (입력부 ; 120), 가공 스타트 스위치 등을 갖는 가공 장치 (1) 용 스위치 패널 (입력부 ; 125) 등이 배치되어 있다. 피가공 렌즈 (LE) 는 개폐 커버 (130) 내의 가공실 내에서 가공된다. 또한, 측정 장치 (2) 및 스위치 패널 (110) 은 가공 장치 (1) 와는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115) 및 스위치 패널 (120) 도 측정 장치 (2) 등과 함께 가공 장치 (1) 와는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는 가공 장치 (1) 내에 형성된 렌즈 가공부 (200) 의 개략 구성도이다. 렌즈 (LE) 는 캐리지 (carriage ; 210) 가 갖는 2 개의 렌즈 척 (lens chuck ; 211L 및 211R) 에 유지 (협지) 되어 회전되고, 숫돌 스핀들 (grindstone spindle ; 250) 에 부착되어 회전되는 가공구인 숫돌 (251) 에 의해 연삭 가공된다. 본 실시양태의 숫돌 (251) 은, 유리용 조(粗) 가공 (roughing) 숫돌 (251a), 플라스틱 용 조가공 숫돌 (251b) 및 마무리 가공 (finishing) 숫돌 (251c) 의 3 개의 숫돌 로 구성되어 있다. 숫돌 (251c) 은 약연 (bevel) 형성용 V 자 홈과 평탄 가공 면을 갖는다. 숫돌 스핀들 (250) 은 벨트 등의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하여 숫돌 회전용 모터 (253) 에 의해 회전된다.
캐리지 (210) 의 좌완 (210L) 에는 렌즈 척 (211L)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블록 (214) 이 부착되어 있다. 블록 (214) 에는 렌즈 회전용 모터 (215) 가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 (215) 의 회전이 기어 등의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하여 좌완 (210L) 에 배치된 렌즈 척 (211L) 에 전달되어, 렌즈 척 (211L) 이 회전된다. 또, 렌즈 척 (211L) 의 회전은, 캐리지 (210) 내에 배치된 벨트 등의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하여 캐리지 (210) 의 우완 (210R) 에 배치된 렌즈 척 (211R) 에 전달되어, 렌즈 척 (211R) 이 렌즈 척 (211L) 과 동기하여 회전된다.
가공시에는, 렌즈 (LE) 의 전면 (전측 굴절면) 에 가공용 지그인 컵이 점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고, 컵의 기부가 렌즈 척 (211L) 의 선단의 컵받이에 장착된다. 우완 (210R) 에는 렌즈 척 (211R) 을 그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유지 (협지) 용 모터 (212) 가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 (212) 의 회전이 캐리지 (210) 내에 배치된 벨트 등의 회전 전달 기구 및 축 방향 이동 기구를 통하여 렌즈 척 (211R) 에 전달되어, 렌즈 척 (211R) 이 렌즈 척 (211L) 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렌즈 척 (211R) 의 선단에는 렌즈 누름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렌즈 (LE) 의 후면 (후측 굴절면) 에 렌즈 누름부가 맞닿게 됨으로써, 렌즈 (LE) 가 렌즈 척 (211L 및 211R) 에 의해 유지 (협지) 된다.
캐리지 (210) 는 렌즈 척 (211L 및 211R) 과 평행한 캐리지 샤프트 (220) 에 회전 가능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캐리지 좌우 이동용 모터 (222) 에 의해 이동 아암 (221) 과 함께 캐리지 샤프트 (220) 의 중심축 방향인 좌우 방향 (이하, X 축 방향이라고 한다) 으로 이동된다. 또, 이동 아암 (221) 에는, 숫돌 스핀들 (250)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블록 (230) 이 부착되어 있다. 블록 (230) 에는 캐리지 상하 이동용 모터 (231) 와 2 개의 가이드 샤프트 (235) 가 고정되고, 또한 엄지 나사 (232) 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모터 (231) 의 회전이 벨트 등의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엄지 나사 (232) 에 전달되어, 엄지 나사 (232) 가 회전된다. 엄지 나사 (232) 의 상단에는, 블록 (214) 의 하단면에 맞닿는 가이드 블록 (233) 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 (233) 은 가이드 샤프트 (235) 를 따라 이동된다. 이 가이드 블록 (233) 의 이동에 의해, 캐리지 (210) 는, 캐리지 샤프트 (220) 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 (렌즈 척 (211L 및 211R) 의 중심축과 숫돌 스핀들 (250) 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방향, 이하, Y 축 방향이라고 한다) 으로 이동된다. 또한, 캐리지 (210) 와 이동 아암 (221)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걸쳐져 있어, 캐리지 (210) 가 항상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렌즈 (LE) 가 숫돌 (251) 에 가압된다. 이러한 캐리지 기구는, US 647865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8155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주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캐리지 (210) 의 후방에는, 드릴링 가공 (drilling)ㆍ그루빙 가공 (grooving) 부 (300) 와 렌즈 측정부 (렌즈단(端) (lens edge) 위치 측정부 ; 350) (도 3 참조) 가 배치되어 있다. 드릴링 가공ㆍ그루빙 가공부 (300) 및 렌즈 측정부 (350) 는 US 679012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45328호) 에 기재되어 있는 주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장치의 동작을, 도 3 의 제어계의 개략 블록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휨이 큰 림이 없는 프레임에 부착되는 렌즈의 가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림이 없는 프레임의 형판 또는 더미 렌즈가 측정 장치 (2) 의 측정 유닛 (750) 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에 의해 얻어진 렌즈형의 데이터는, 스위치 패널 (110 또는 120) 의 전송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측정 장치 (2) 의 연산 제어부 (700) 와, 가공 장치 (1) 의 연산 제어부를 겸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의 연산 제어부 (500) 를 통하여, 메모리 (501) 에 입력되어 기억된다. 또한, 일방의 안용(眼用) 렌즈형 데이터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그 렌즈형 데이터를 미러로 반전함으로써, 타방의 안용 렌즈형 데이터가 얻어진다. 또, 렌즈형 데이터의 입력은, 도시하지 않는 통신 수단 등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입력, 도시하지 않는 데이터 메모리에 미리 기억된 것을 판독하는 것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렌즈형 데이터가 입력되면, 도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115) 에는 좌우의 렌즈형 도형 (FT) 을 포함하는 레이아웃 데이터 입력용 화면이 표시되어, 스위치 패널 (120) 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레이아웃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 에서는, 광학 중심 가공 모드 (렌즈의 광학 중심에 컵이 고정되고, 렌즈 척 (211L 및 211R) 에 의해 유지 (협지) 되어 가공되는 모드) 가 스위치 (121a) 에 의해 선택된 경우가 나타나 있다. 착용자의 PD, 프레임의 FPD 등의 레이아웃 데이터는, 스위치 (121b) 의 조작에 의해 각 항목에 커서 (151) 가 이동되고, 스위치 (121c) 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다. 렌즈형 도형 (FT) 에 있어서, FC 는 렌즈형의 기하 중심을 나타내고, OC 는 렌즈의 광학 중심을 나타낸다. 또, 스위치 패널 (120) 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렌즈의 재질, 프레임의 종류, 가공 모드 등의 가공 조건이 입력된다.
다음으로, 프레임 (림) 의 휨 각도 (경사 각도) 가 측정된다. 이 경우, 스위치 (121d) 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115) 의 레이아웃 데이터 입력용 화면이 휨 각도 측정용 화면으로 전환된다. 디스플레이 (115) 의 표시는 연산 제어부 (500) 에 의해 제어된다.
도 4 는 디스플레이 (115) 의 휨 각도 측정용 화면의 표시예이다. 이 화면에 표시되는 휨 각도 측정용 지표 (400) 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라인 (이하, 횡 기준 라인 ; 401) 과 횡 기준 라인 (401) 의 중점 (405) 을 통과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라인 (이하, 종 기준 라인 ; 402) 과, 종 기준 라인 (402) 상에 위치하는 중심점 (415) 을 갖고, 횡 기준 라인 (401) 을 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상측에 0°에서 30°까지 5°간격으로 구성된 각도 측정 라인 (410) 을 포함한다. 그리고, 스위치 (121b) 의 조작에 의해, 기준 라인 (401 및 402) (이하, 합쳐서 좌표축 (403) 이라고도 한다) 및 측정 라인 (410) 은 상하로 이동된다. 또, 스위치 (121e) 의 조작에 의해, 측정 라인 (410) 만이 상하로 이동된다. 또한, 측정 라인 (410) 의 간격은 1°간격 등의 소정의 각도 간격이면 된 다.
디스플레이 (115) 의 하측에는 프레임받이 (116) 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받이 (116) 는 디스플레이 (115) 의 화면보다 높게 되어 있으며, 앞측으로 경사진 디스플레이 (115) 의 화면 상에 놓여진 프레임이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 참조).
도 4 의 휨 각도 측정용 화면에 의한 프레임의 휨 각도의 측정에 대하여 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림이 없는 프레임에 부착된 좌우의 더미 렌즈의 가장 노우즈(nose)측 (브릿지측) 의 위치가 프레임의 최내점이 되고, 가장 이어(ear)측 (템플측) 의 위치가 프레임의 최외점으로 되어 있다.
먼저, 프레임 (600) (의 브릿지) 의 횡방향 (PD 방향) 의 중심 (601) 이 기준 라인 (402) 상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600) 이 디스플레이 (115) 상에 놓여진다. 다음으로, 좌우의 프레임 최내점 (602a 및 602b) 이 기준 라인 (401) 상에 위치하도록, 스위치 (121b) 의 조작에 의해, 좌표축 (403) 및 측정 라인 (410) 이 상하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좌측의 프레임 최내점 (602a) 과 프레임 최외점 (603a) 을 연결하는 라인과 우측의 프레임 최내점 (602b) 과 프레임 최외점 (603) 을 연결하는 라인의 교점 (650) 이 중심점 (415) 에 일치하도록, 스위치 (121e) 의 조작에 의해, 측정 라인 (410) 이 상하로 이동된다.
이러한 좌표축 (403) 및 측정 라인 (410) 의 표시에 의해, 프레임 (600) 의 휨 각도 (도 5 에서는 15°) 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 휨 각도 표시란 (660) 의 값이 스위치 (121c) 의 조작에 의해 변경되고, 프레임 (600) 의 휨 각도가 입력 된다. 그리고, 스위치 (121d) 의 조작에 의해 휨 각도 측정용 화면이 원래의 레이아웃 데이터 입력용 화면으로 전환됨에 따라, 입력된 휨 각도가 메모리 (501) 에 기억된다.
또한, 프레임 (600) 이 디스플레이 (115) 상에 놓여질 때에는,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의 프레임 최내부 및 프레임 최외부에 의해서만 프레임 (600) 의 휨 각도가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되어도 된다. 이 경우, 육안으로 확인된 휨 각도 (도 6 에서는 30°) 의 절반이 프레임 (600) 의 휨 각도로서 표시란 (660) 에 입력된다.
휨 각도가 입력되면, 연산 제어부 (500) 는, 레이아웃 데이터, 휨 각도 등에 기초하여 횡어긋남량 (치우침량) 을 구한다. 횡어긋남량 (치우침량) 을 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US 533341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93164) 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횡어긋남량을 구하는 방법을 도 7 에 기초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횡방향 (PD 방향) 이 x 축 방향이 되고, 종방향이 y 축 방향이 되고, 이들과 직교하는 방향이 z 축 방향이 된다. 이 xz 면에 있어서, 렌즈형이 x 축에 대해 경사각 (α) 만큼 기울어진 경우를 고려하여, 이 때의 렌즈형의 가장 노우즈측의 위치가 점 V1 (x1, z1) 이 되고, 가장 이어측의 위치가 점 V2 (x2, z2) 가 된다. 그리고, 점 V1 과 점 V2 를 연결하는 직선의 중점이 OF 가 된다. 중점 (OF) 은 렌즈형의 기하 중심에 대응한다. 또, 렌즈의 전면 커브 (C) 의 반경이 rL 이 되고, 점 V1 및 V2 를 통과하는 반경 (rL) 의 원의 중심점이 OL 이 된다.
다음으로, 렌즈의 전면 커브 (C) 와 입력된 PD 로부터, 렌즈의 전면 커브 (C) 상에서의 점 OPD (xPD, zPD) 가 구해진다. 그리고, 중심점 (OL) 및 점 (OPD) 을 통과하는 직선과 점 V1 과 점 V2 를 연결하는 직선의 교점 (OFPD) 이 구해진다. 그리고, 중점 (OF) 과 교점 (OFPD) 사이의 거리 (I2) 가 횡어긋남량으로서 얻어진다.
가공시에는, 연산 제어부 (500) 는 렌즈형 데이터, 레이아웃 데이터, 횡어긋남량 등에 기초하여 조가공 데이터 및 마무리 가공 데이터를 구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부 (500) 는, 각 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 (LE) 의 회전 중심축 (렌즈 척 (211L 및 211R) 의 중심축) 과 숫돌 (251) 의 회전 중심축 (숫돌 스핀들 (250) 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고 (본 실시양태에서는, 캐리지 (210) 의 이동에 의해 렌즈 (LE) 가 숫돌 (251) 에 대해 이동되는데, 숫돌이 렌즈에 대해 이동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렌즈 (LE) 의 주연이 가공된다. 평평하게 마무리 가공된 렌즈 (LE) 의 주연면 (단면) 에 그루빙 가공할 때에는, 그루빙 가공 데이터가 구해지고, 드릴링 가공ㆍ그루빙 가공부 (300) 의 제어에 의해 그루빙 가공된다. 또, 렌즈 (LE) 의 굴절면에 드릴링 가공할 때에는, 드릴링 가공 데이터가 구해지고, 드릴링 가공ㆍ그루빙 가공부 (300) 의 제어에 의해 드릴링 가공된다.
도 8 은 휨 각도 측정용 화면의 변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115) 에는, 기준 라인 (401 및 402) (좌표축 403) 이 표시되어 있다. 또, 기준 라인 (402) 상의 중심점 (475) 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각도 측정 라인 (470) 이 표시되어 있다. 이 측정 라인 (470) 은, 스위치 (121c) 의 조작에 의 해, 중심점 (475) 을 중심으로 화살표 (477) 의 방향으로 좌우 대칭으로 회전된다. 또, 좌표축 (403) 및 측정 라인 (470) 은, 스위치 (121b) 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또, 측정 라인 (470) 은 스위치 (121e) 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도 8 의 휨 각도 측정용 화면에 의한 프레임의 휨 각도의 측정에 대하여 도 9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위치 (121e) 의 조작에 의해, 교점 (650) 이 중심점 (475) 에 일치된다. 다음으로, 스위치 (121c) 의 조작에 의해, 프레임 최내부 (602a 및 602b) 와 프레임 최외부 (603a 및 603b) 가 측정 라인 (470) 상에 위치된다. 휨 각도 표시란 (660) 의 값은, 스위치 (121c) 에 의해 입력되는 측정 라인 (470) 의 회전 신호 (회전량 또는 회전 각도) 에 의해 변경된다. 입력된 휨 각도는, 스위치 (121d) 의 조작에 의해 휨 각도 측정용 화면이 원래의 레이아웃 데이터 입력용 화면으로 전환됨으로써, 메모리 (501) 에 기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115) 는 도 5 및 도 9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 (600) 전체의 가로폭보다 큰 가로폭의 화면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한데, 적어도 프레임 (600) 의 중심 (601) 을 포함하는 편측의 가로폭보다 큰 가로폭의 화면을 갖는 것이면 된다. 또, 디스플레이 (115) 의 화면의 사이즈가 큰 경우 등에 있어서는, 레이아웃 데이터 입력용 화면과 휨 각도 측정용 화면이 전환되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표시되어도 된다.
또, 상기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가 가공 장치 (1) 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 설정 장치는, 가공 장치 (1) 로부터 분리된 측정 장치 (2) 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또, 안경 렌즈에 가공용 지그인 컵을 부착시키는 컵 부착 장치 등, 안경 렌즈의 가공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주변 장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용 장치로서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도 10 은 레이아웃 설정 장치 (10) 가 가공 장치 (1) 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의 안경 렌즈 가공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로서, 도 10A 는 설정 장치 (10) 가 측정 장치 (2) 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10B 는 설정 장치 (10) 가 컵 부착 장치 (3) 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도 10A 의 경우, 설정 장치 (10) 는 디스플레이 (115), 스위치 패널 (120), 연산 제어부 (500), 메모리 (501) 등을 갖고, 연산 제어부 (500) 는 측정 유닛 (750) 을 갖는 측정 장치 (2) 의 연산 제어부 (700) 와 접속되어 있다 (연산 제어부는 겸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 (2) 에 의한 렌즈형 데이터, 설정 장치 (10) 에 의한 레이아웃 데이터 및 휨 각도 등은, 가공 장치 (1), 측정 장치 (2) 또는 설정 장치 (10) 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따라, 출력부 (510) 로부터 통신선 (20) 을 통해 가공 장치 (1) 의 연산 제어부 (100) 에 출력된다. 또한, 설정 장치 (10) 의 연산 제어부 (500) 에 의해 횡어긋남량이 구해져 가공 장치 (1) 의 연산 제어부 (100) 에 출력되어도 된다.
또, 도 10B 의 경우, 설정 장치 (10) 는 디스플레이 (115), 스위치 패널 (120), 연산 제어부 (500), 메모리 (501) 등을 갖고, 연산 제어부 (500) 는 컵 부착 유닛 (850) 을 갖는 부착 장치 (3) 의 연산 제어부 (800) 와 접속되어 있다 (연 산 제어부는 겸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설정 장치 (10) 에 의한 레이아웃 데이터 및 휨 각도 등은, 가공 장치 (1), 부착 장치 (3) 또는 설정 장치 (10) 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따라, 출력부 (510) 로부터 통신선 (20) 을 통하여 가공 장치 (1) 의 연산 제어부 (100) 에 출력된다. 또한, 설정 장치 (10) 의 연산 제어부 (500) 에 의해 횡어긋남량이 구해져 가공 장치 (1) 의 연산 제어부 (100) 에 출력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 장치 (10) 는 측정 장치 (2) 와 부착 장치 (3) 가 일체화된 장치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의 휨 각도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하능하며, 특히 림이 없는 프레임에 대해서도 휨 각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휨 각도를 얻기 위하여 더미 렌즈가 부착된 림이 없는 프레임의 휨 각도를 분도기 등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등의 번거로운 작업등을 해야하는 수고가 덜어진다.

Claims (9)

  1. 안경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해 안경 렌즈를 가공할 때에, 가공 형상인 렌즈형의 렌즈에 대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는,
    렌즈형 데이터를 입력하는 렌즈형 데이터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렌즈형 데이터 입력 수단에 입력된 렌즈형의 렌즈의 광학 중심에 대한 위치관계를 레이아웃하기 위한 레이아웃 데이터로서, 프레임의 착용자의 동공간 거리와, 프레임의 프레임 동공간 거리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화면과, 프레임의 휨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환 표시 또는 동시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를 갖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면을 사용하여 측정된 프레임의 휨 각도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휨 각도 입력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기준 라인과, 상기 기준 라인 상의 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각도 측정 라인을 상기 제 2 화면 내에 표시하게 하며,
    상기 휨 각도 입력 수단은, 상기 측정 라인의 상기 기준 라인에 대한 회전량 또는 회전 각도를 입력하여 프레임의 휨 각도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
  4. 제 2 항의 레이아웃 설정 장치를 가지며, 상기 렌즈형 데이터 입력 수단은, 측정에 의해 프레임의 렌즈형을 얻는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5. 제 2 항의 레이아웃 설정 장치를 가지며, 렌즈에 가공용 지그인 컵을 부착시키는 컵 부착 유닛을 갖는 컵 부착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입력된 레이아웃 데이터와 입력된 휨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형 데이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렌즈형의 기하 중심에 대한 렌즈의 광학 중심의 동공간 거리 방향의 횡어긋남량을 구하는 연산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설정 장치.
  7. 제 6 항의 레이아웃 설정 장치를 가지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척과,
    가공구와,
    구해진 횡어긋남량에 기초하여 가공 데이터를 구하는 연산부와,
    구해진 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척에 유지된 렌즈와 상기 가공구의 위치 관계를 제어하여 렌즈의 주연을 가공하는 가공 제어부를 가지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70020089A 2006-02-28 2007-02-28 안경 렌즈의 가공을 위한 레이아웃 설정 장치, 이것을 갖는안경 렌즈 가공 장치,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및 컵 부착장치 Active KR101397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4098 2006-02-28
JP2006054098A JP4699243B2 (ja) 2006-02-28 2006-02-28 眼鏡レンズ周縁加工のためのレイアウト設定装置及び眼鏡レンズ周縁加工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635A KR20070089635A (ko) 2007-08-31
KR101397253B1 true KR101397253B1 (ko) 2014-05-20

Family

ID=3847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089A Active KR101397253B1 (ko) 2006-02-28 2007-02-28 안경 렌즈의 가공을 위한 레이아웃 설정 장치, 이것을 갖는안경 렌즈 가공 장치,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및 컵 부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40294B2 (ko)
JP (1) JP4699243B2 (ko)
KR (1) KR101397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1269B2 (ja) * 2006-02-28 2011-12-2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5179172B2 (ja) * 2007-12-29 2013-04-1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
FR2950160B1 (fr) * 2009-09-14 2011-10-07 Essilor Int Methode d'elaboration d'une consigne de detourage d'une lentille ophtalmique.
JP5542467B2 (ja) * 2010-02-08 2014-07-09 株式会社トプコン 加工可否判定装置
JP6338039B2 (ja) * 2012-03-09 2018-06-06 株式会社ニデック カップ取り付けユニットを有する装置
US9421658B2 (en) * 2012-03-09 2016-08-23 Nidek Co., Ltd. Apparatus having cup attaching unit
JP5983139B2 (ja) 2012-07-23 2016-08-3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枠形状測定装置
FR3039660B1 (fr) * 2015-07-30 2017-09-08 Essilor Int Methode de verification d'une caracteristique geometrique et d'une caracteristique optique d'une lentille ophtalmique detouree et dispositif associe
JP6922137B2 (ja) 2017-04-28 2021-08-1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変調デバイス
JP2020052285A (ja) * 2018-09-27 2020-04-02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イウェアの前枠調整装置、及び、アイウェアの前枠調整方法
KR102812685B1 (ko) * 2019-10-03 2025-05-27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안경 렌즈 주연 가공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8657B2 (ja) 1990-08-09 1999-07-1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研削加工機
JP2925685B2 (ja) 1990-08-02 1999-07-28 株式会社ニデック フレーム形状測定装置
JP2001062689A (ja) 1999-08-31 2001-03-13 Nidek Co Ltd カップ取付装置
JP2002166344A (ja) 2000-08-30 2002-06-11 Topcon Corp レンズ研削加工装置のレイアウト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412A (en) * 1990-08-09 1994-08-02 Nidek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obtaining processing information for fitting lenses in eyeglasses frame and eyeglasses grinding machine
JP3011526B2 (ja) 1992-02-04 2000-02-21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周縁加工機及びレンズ周縁加工方法
JPH10277903A (ja) 1997-03-31 1998-10-20 Nidek Co Ltd 眼鏡レンズレイアウト入力装置及びレンズ研削加工装置
JP4162332B2 (ja) 1999-07-07 2008-10-0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US6751522B2 (en) * 2000-08-30 2004-06-15 Kabushiki Kaisha Topcon Lens layout setting apparatus for lens grinding process and display apparatus for the same
JP4104297B2 (ja) 2001-03-29 2008-06-18 株式会社ニデック カップ取付け装置
JP3916445B2 (ja) 2001-11-08 2007-05-1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US6478637B1 (en) * 2001-12-24 2002-11-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tact for CPU socket
JP4368693B2 (ja) * 2004-01-29 2009-11-18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研削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4774203B2 (ja) * 2004-10-01 2011-09-1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5685B2 (ja) 1990-08-02 1999-07-28 株式会社ニデック フレーム形状測定装置
JP2918657B2 (ja) 1990-08-09 1999-07-1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研削加工機
JP2001062689A (ja) 1999-08-31 2001-03-13 Nidek Co Ltd カップ取付装置
JP2002166344A (ja) 2000-08-30 2002-06-11 Topcon Corp レンズ研削加工装置のレイアウト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99243B2 (ja) 2011-06-08
JP2007233009A (ja) 2007-09-13
KR20070089635A (ko) 2007-08-31
US20070213861A1 (en) 2007-09-13
US7840294B2 (en)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253B1 (ko) 안경 렌즈의 가공을 위한 레이아웃 설정 장치, 이것을 갖는안경 렌즈 가공 장치, 안경 프레임 측정 장치 및 컵 부착장치
KR101363184B1 (ko) 안경렌즈 가공 방법 및 안경렌즈 가공 장치
KR101456301B1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KR101415475B1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EP2052814B1 (en) Method for deciding a bevel curve, method for deciding a locus of a bevel, method for processing a len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lens
JPH1148114A (ja) 眼鏡枠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れらを備える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
KR20070079940A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JP4774203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
US8460056B2 (en) Device for machining an ophthalmic lens
JP5209358B2 (ja) ヤゲン軌跡設定方法及び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4708035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
KR102178881B1 (ko) 광학 렌즈를 에칭하기 위한 방법 및 기계
JP4707965B2 (ja) 眼鏡レンズ周縁加工方法及び眼鏡レンズ周縁加工システム並びに眼鏡枠形状測定装置
EP1199134B1 (en) Lens grinding apparatus
KR101437160B1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JP5356082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4865462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および眼鏡レンズの加工方法
KR101415449B1 (ko) 파셋 가공 영역 설정 장치 및 이것을 갖는 안경 렌즈 가공장치
JP6950286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および加工制御プログラム
JP2714519B2 (ja) レンズ研削装置
JP2011016191A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及び該装置に使用されるヤゲン加工具
JP6652002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および加工制御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US2406789A (en) Abrading machine
KR102112639B1 (ko) 안경 렌즈 가공 방법 및 안경 렌즈 가공 장치
KR20190025668A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및 가공 제어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