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4719B1 -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주행식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주행식 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719B1
KR101384719B1 KR1020097012308A KR20097012308A KR101384719B1 KR 101384719 B1 KR101384719 B1 KR 101384719B1 KR 1020097012308 A KR1020097012308 A KR 1020097012308A KR 20097012308 A KR20097012308 A KR 20097012308A KR 101384719 B1 KR101384719 B1 KR 101384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arking brake
clutch
pedal
par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906A (ko
Inventor
가츠아키 고다카
히데토시 사타케
가즈히로 이치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7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 지령에 의하여 작동을 개시하는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 장치와, 주차 브레이크 지령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와, 출력부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면, 운전자의 페달 조작에 관계없이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주행식 작업차량 {CONTROL DEVICE FOR WORK VEHICLE AND TRAVELING WORK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휠식 유압셔블이나 휠로더 등의 작업차량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 종류의 작업차량에서는,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를 구비하여, 유압원으로부터 브레이크 해제압을 공급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해제압의 공급을 정지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은, 트랜스미션에 제 1 및 제 2 클러치 장치를 설치하고,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지령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클러치 장치를 동시에 걸어 맞춤 상태로 하여 트랜스미션을 록(lock)하고,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79931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는, 주차 브레이크 작동 지령이 출력되고 나서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작동할 때까지의 사이에 타임 래그가 있다. 이 때문에, 오르막길 등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경우,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작동할 때까지의 사이에,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조작할 필요가 있어, 번잡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량의 제어장치는, 주차 브레이크 지령에 의하여 작동을 개시하는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 장치와, 주차 브레이크 지령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와, 출력부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면, 운전자의 페달 조작에 관계없이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한다.
출력부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면, 소정 시간만큼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주차 브레이크 지령의 출력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개시 후, 주차 브레이크력이 소정값까지 증가하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브레이크 해제압을 작용시키는 압유의 온도를 검출하는 오일 온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오일 온도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오일 온도가 높을수록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페달 조작 검출부를 가지고, 페달 조작 검출부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밟기 조작이 검출되면, 출력부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어 있지 않아도, 운전자의 페달 조작에 관계없이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밟기 조작은, 최대 밟기 조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를 가지고, 차속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차속이 소정값 이하일 때,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었을 때의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허가하고, 차속이 소정값보다 클 때,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었을 때의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금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주행용 동력을 차축에 전달하는 네거티브형의 제 1 클러치 장치와 제 2 클러치 장치를 가지는 트랜스미션에 의하여 구성하고, 이 트랜스미션이,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면, 제 1 클러치 장치와 제 2 클러치 장치를 동시에 걸어 맞춰 차축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 1 클러치 장치와 제 2 클러치 장치를, 스프링의 가세력(付勢力)에 의하여 각각 걸어 맞추고, 오일압력에 의하여 각각 해방되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 1 클러치 장치가 해방되고, 또한, 제 2 클러치 장치가 걸어 맞춰지면, 트랜스미션은 제 1 변속비가 되어, 제 1 클러치 장치가 걸어 맞춰지고, 또한, 제 2 클러치 장치가 해방되면, 트랜스미션은 제 1 변속비보다도 작은 제 2 변속비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의 제어장치는, 유압모터에 의하여 차륜을 회전하는 주행장치와, 굴삭장치를 가지는 주행식 작업차량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면, 운전자의 페달 조작에 관계없이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오르막길 등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할 필요가 없고, 주차 브레이크를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차량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도 1의 CPU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
도 4는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량의 제어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주로 주행용 유압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어장치는, 유압셔블이나 휠로더 등, 타이어를 장비하여 작업현장이나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작업차량에 설치된다. 이 종류의 작업차량은, 붐(boom)이나 버킷(bucket)으로 이루어지는 굴삭장치를 가진다. 굴삭장치는, 유압 실린더 등, 유압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엔진(원동기)(1)에 의하여 구동되는 메인 펌프(2)로부터의 토출유는, 컨트롤 밸브(3)에 의하여 그 방향 및 유량이 각각 제어되어, 센터 조인트(5)를 통과하고, 카운터 밸런스 밸브(6)를 지나 주행모터(7)로 공급된다. 주행모터(7)의 회전은 트랜스미션(8)에 의하여 변속되고, 차축(9), 액슬(axle)(10)을 거쳐 타이어(11)에 전달되어, 작업차량이 주행한다.
트랜스미션(8)은 선 기어, 플래니터리 기어, 링 기어로 이루어지는 유성 감속기구와, 그 선 기어측 및 링 기어측에 각각 설치된 클러치(81, 82)를 가지는 주지의 것이다. 즉, 도시는 생략하나, 클러치(81, 82)는, 각각 스프링을 내장한 클러치용 실린더를 가지고,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하여 클러치용 실린더가 디스크에 가압됨으로써, 클러치(81, 82)는 걸어 맞춤 상태가 된다. 또,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작용하는 유압원(12)으로부터의 오일압력에 의하여 클러치용 실린더의 가압력이 제거됨으로써, 클러치(81, 82)는 해방상태가 된다. 클러치(81, 82)에 작용하는 오일압력은, 전자(電磁) 변환밸브(13)의 구동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하여 걸어 맞춤 상태가 되고, 오일압력에 의하여 해방상태가 되는 클러치를 네거티브형 클러치라 부른다.
전자 변환밸브(13)는 CPU(30)(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변환된다. 또한, 컨트롤러는, CPU(30), ROM, RAM, 그 외의 주변회로 등을 가지는 연산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도면에서는 컨트롤러를 대표하여 CPU(30)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 변환밸브(13)가 위치 (가)로 변환되면, 유압원(12)으로부터의 압유가 관로(14)를 거쳐 클러치(81)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81)가 해방, 클러치(82)가 걸어 맞춤 상태가 되고, 트랜스미션(8)은 소정의 변속비(R1)(로우 기어)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주행모터(7)의 회전에 의한 주행용 동력이 차축(9)에 전달되어, 저속 고(高)토오크의 1속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 변환밸브(13)가 위치 (나)로 변환되면, 유압원(12)으로부터의 압유가 관로(15)를 거쳐 클러치(82)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82)가 해방, 클러치(81)가 걸어 맞춤 상태가 되 고, 트랜스미션(8)은 소정의 변속비(R2)(하이 기어)가 되어, 고속 저(低)토오크의 2속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변속비(R1)는 변속비(R2)보다 크다.
한편, 전자 변환밸브(13)가 위치 (다)로 변환되면, 관로(14, 15)는 탱크에 연통한다. 이 경우는, 클러치(81, 82)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걸어 맞춤 상태가 되기 때문에, 트랜스미션(8)이 록되어 차축(9)의 회전이 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차축(9)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클러치(81, 82)를 주차 브레이크로서 사용한다.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경우는, 한쪽의 클러치(81 또는 82)에 압유(브레이크 해제압)를 작용하여, 클러치(81 또는 82)를 해방상태로 한다. 또한,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하여 작동하고, 오일압력에 의하여 해제되는 것과 같은 브레이크를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차 브레이크는, 전자 변환밸브(13)가 위치 (다)로 변환되어도 클러치(81, 82) 내의 압력이 바로 탱크압이 되는 것은 아니고,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에 지연이 생긴다. 또한, 트랜스미션(8)과 전자 변환밸브(13)의 사이의 관로(14, 15)에 스로틀을 거쳐 어큐뮬레이터를 접속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에 한층 더 지연이 생긴다.
주행용 파일럿 회로는, 엔진(1)에 의하여 구동되어 압유를 생성하는 파일럿 유압원(16)과, 액셀러레이터 페달(17)의 밟기에 따라 파일럿 2차 압력을 발생하는 주행 파일럿 밸브(18)와, 이 파일럿 밸브(18)에 후속하여, 파일럿 밸브(18)로의 리턴 오일을 지연하는 슬로우 리턴 밸브(19)와, 이 슬로우 리턴 밸브(19)에 접속하여 차량의 전진, 후진, 중립을 선택하는 전후진 전환 밸브(20)를 가진다. 전후진 전환 밸브(20)는 조작 레버(21)의 조작에 의하여 전환된다. 파일럿 유압원(16)으로부터의 파일럿압은 컨트롤 밸브(3)의 파일럿 포트에 작용하여, 컨트롤 밸브(3)를 구동한다. 이때의 밸브 스트로크량을 액셀러레이터 페달(17)로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작업차량에는, 브레이크 페달(22)의 조작에 따른 감속력을 미치게 하는 주지의 유압 풋 브레이크(서비스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풋 브레이크용 파일럿 회로는, 엔진(1)에 의하여 구동되어 압유를 생성하는 파일럿 유압원(23)과, 브레이크 페달(22)의 밟기에 따라 파일럿 2차 압력(브레이크 작동압)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밸브(24)를 가진다. 브레이크 페달(22)의 조작에 의하여, 브레이크 밸브(24)로부터의 브레이크 작동압이 각각 전륜(前輪)용 브레이크 장치(25) 및 후륜(後輪)용 브레이크 장치(26)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페달 조작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25, 26)가 작동하고, 브레이크 장치(25, 26)를 주행시에 서비스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브레이크 밸브(24)에는, 전자밸브(27)를 거쳐 유압원(12)이 접속되어 있다. 전자밸브(27)는 CPU(3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전환된다. 전자밸브(27)가 위치 (가)로 변환되면, 유압원(12)으로부터의 파일럿압이 브레이크 밸브(24)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브레이크 밸브(24)가 구동되어, 유압원(23)으로부터의 압유가 브레이크 장치(25, 26)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22)을 조작하지 않아도 브레이크 장치(25, 26)를 작동할 수 있고, 브레이크 장치(25, 26)를 굴삭작업 등의 작업시에 작업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자밸브(27)가 위치 (나)로 전환되면, 유압원(12)으로부터 브레이크 밸브(24)로의 파일럿압의 작용이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작업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브레이크 페달(22)의 조작에 의하여 브레이크 장치(25, 26)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전자밸브(27)를 위치 (가)로 전환하면 브레이크 장치(25, 26)는 바로 작동하여, 작업 브레이크는 주차 브레이크보다도 응답성이 좋다. 전자밸브(27)는, 예를 들면 도시 생략한 작업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에 의하여 위치 (가)로, 오프에 의하여 위치 (나)로 전환된다.
전자 변환밸브(13)와 전자밸브(27)는 CPU(30)에 의하여 제어된다. CPU(30)에는, 브레이크 밸브(24)로부터의 브레이크 작동압, 즉 브레이크 페달(22)의 조작을 검출하는 압력센서(31)와,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지령하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와, 1속/2속의 변속을 지령하는 변속 스위치(33)와,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34)가 접속되어 있다. CPU(30)에서는 이하와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도 2는, CPU(3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 차트는, 예를 들면 엔진 키 스위치의 온에 의하여 스타트한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는 전자밸브(27)는 위치 (나)로 전환되어 있다. 단계 S1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가 온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가 오프라고 판정되면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변속 스위치(33)의 조작을 판정한다. 변속 스위치(33)에 의하여 1속이 지령으로 판정되면 단계 S7으로 진행하고, 전자 변환밸브(13)를 위치 (가)로 전환한다. 변속 스위치(33)에 의하여 2속이 지령으로 판정되면 단계 S8로 진행하고, 전자 변환밸브(13)를 위치 (나)로 전환한다.
한편, 단계 S1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가 온이라고 판정되면 단계 S2로 진행한다. 단계 S2에서는, 전자밸브(27)를 위치 (가)로 전환하고, 작업 브레이크를 작동한다. 이어서, 단계 S3에서 전자 변환밸브(13)를 위치 (다)로 전환하고, 유압원(12)으로부터 클러치(81, 82)로의 압유의 작용을 정지한다.
단계 S4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가 온되고 나서 소정 시간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 시간은,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온하고 나서 클러치(81, 82) 내가 탱크압이 될 때까지의 시간, 즉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을 개시하고 나서 완전히 작동하기까지의 시간과 동일한 정도의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단계 S4가 부정되면 단계 S2로 되돌아가,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4가 긍정되면 단계 S5로 진행하여, 전자밸브(27)를 위치 (나)로 전환하고, 작업 브레이크를 해제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차량의 제어장치의 특징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1) 주행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오프한 상태에서, 변속 스위치(33)에 의하여 1속을 지령하면, 전자 변환밸브(13)가 위치 (가)로 전환되어, 유압원(12)으로부터의 압유가 관로(14)를 거쳐 클러치(81)에 작용한다(단계 S7).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81)가 해방, 클러치(82)가 걸어 맞춤 상태가 되어, 트랜스미션(8)은 소정의 변속비(R1)가 되고, 액셀러레이터 페달(17)의 조작에 의하여 저속 고토오크의 1속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변속 스위치(33)에 의하여 2속을 지령하면, 전자 변환밸브(13)가 위치 (나)로 전환되어, 유압원(12)으로부터의 압유가 관로(15)를 거쳐 클 러치(82)에 작용한다(단계 S8).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82)가 해방, 클러치(81)가 걸어 맞춤 상태가 되어, 트랜스미션(8)은 소정의 변속비(R2)가 되고, 고속 저토오크의 2속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주행시에 브레이크 페달(22)를 조작하면, 유압원(24)으로부터의 압유가 브레이크 장치(25, 26)에 작용하고, 브레이크 페달(22)의 조작량에 따라 차량을 감속할 수 있다.
(2) 주차시
주차시의 동작을 도 3(a)의 타임 챠트에 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작업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장치(25, 26)에 작용하는 오일압력의 크기를 나타내고, 주차 브레이크는, 클러치(81, 82)에 작용하는 오일압력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작업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은, 브레이크 장치(25, 26)에 작용하는 오일압력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고, 주차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은 클러치(81, 82)에 작용하는 오일압력의 감소에 따라 증가한다.
예를 들면 차량 정차상태에서, 작업 브레이크 스위치를 오프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온하면(시점 t1), 전자밸브(27)가 위치 (가)로 전환됨과 동시에, 전자 변환밸브(13)가 위치 (다)로 전환된다(단계 S2, 단계 S3). 이것에 의하여 유압원(23)으로부터의 압유가 브레이크 장치(25, 26)에 작용하고, 작업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또, 클러치(81 또는 82)로의 압유의 작용이 정지하고, 클러치용 실린더로부터 디스크에 가압력이 작용하여,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을 개시한다. 이때, 클러치(81 또는 82)에 작용하는 압력이 서서히 저하하고, 주차 브레이크력이 서서히 증가한다. 시점 t2에서는 주차 브레이크력이 최대가 되고,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작동(온)한다. 시점 t3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온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자밸브(27)가 위치 (나)로 전환된다(단계 S5). 이것에 의하여 작업 브레이크가 해제(오프)된다.
이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하여 작업 브레이크를 온하고, 소정 시간 후에 작업 브레이크를 오프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작동하기 전이어도 차량의 이동이 저지되어, 오르막길 등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를 조작한 경우에 원하지 않는 차량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작동할 때까지의 사이에,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2)을 계속하여 조작할 필요가 없고,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할 때의 조작이 용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1)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개시와 동시에 작업 브레이크를 작동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에 지연이 있어도, 작업 브레이크에 의하여 차량의 움직임이 저지되어, 오르막길 등에서 잘못해서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조작하여 바로 운전석을 떠나는 경우에도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경우는 없어, 안전성이 높다.
(2)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의 조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작업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때문에, 작업 브레이크의 작동시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주차 브레이크와 작업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시간은 짧아지고, 기어의 백래시 등에 기인하여, 작업 브레이크에 드래그(drag)되어 주차 브레이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트랜스미션(8)에 주차 브레이크의 기능을 갖게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주차 브레이크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서는,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작동한 후에 작업 브레이크를 해제하였으나,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작동하기 전에 작업 브레이크를 해제하여도 된다. 즉, 주차 브레이크력이 어느 일정 레벨 이상이 되어 있으면, 작업 브레이크를 해제하여도 실질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이고, 소정 시간의 설정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러치(81, 82)로부터의 압유의 유출 속도, 즉 주차 브레이크의 응답성은, 오일 온도에 의하여 변화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오일 온도 센서에 의하여 관로(14, 15) 내의 오일 온도를 검출하고, 작업 브레이크의 작동하는 소정 시간을 오일 온도에 따라 변경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온도가 높으면 기름의 점성이 작아져,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작동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오일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면 된다.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의 온 시에 바로 전자밸브(27)와 전자 변환밸브(13)를 전환하는 것은 아니고, 차속센서(34)에 의하여 검출된 차속이 소정값 이하의 저속 주행상태가 되었을 때에 전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속 주행시에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가 조작된 경우, 차속이 소정값보다 큰 상태에서는 작업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는 작동하지 않고, 시점 t4에서 차속이 소정값 이하가 되면, 작업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주차 브레이크 가 작동을 개시한다. 따라서, 고속 주행시에 급브레이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에 의하여 전자밸브(27)를 위치 (가)로 전환하여, 작업 브레이크를 작동하도록 하였으나, 소정의 페달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또는 소정의 차량 상태가 성립하였을 때에 전자밸브(27)를 위치 (가)로 전환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차속이 소정값 이하의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22)이 소정량 이상 밟기 조작되었을 때에(예를 들면 최대 밟기 조작시), 전자밸브(27)를 위치 (가)로 전환하여, 작업 브레이크를 작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레버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22)의 조작만으로 작업 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어,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또, 작업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일단 브레이크 페달(22)의 조작을 멈춘 후, 다시 브레이크 페달(22)이 소정량 이상 밟기 조작되었을 때에 전자밸브(27)를 위치 (나)로 전환하여, 작업 브레이크를 해제하도록 하여도 된다.
페달(22)의 소정량 이상의 밟기 조작(예를 들면 최대 밟기 조작)은, 압력센서(31)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소정량 이상의 밟기 조작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이루어졌을 때에, 작업 브레이크를 작동/해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브레이크 페달(22)을 조작하여도 작업 브레이크는 작동/해제되지 않고, 작업 브레이크가 빈번하게 작동/해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센서 이외의 페달 조작 검출부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스미션(8)의 클러치[81(제 1 클러치 장치), 82(제 2 클러치 장치)]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였으나, 클러치(81, 82)와는 별도로 주차 브레이크를 설치하여도 되고,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지령을 출력하도록 하였으나, 다른 출력부에 의하여 출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32)의 온에 의하여 전자밸브(27)를 전환하여, 브레이크 페달(22)의 조작에 관계없이 브레이크 장치(25, 26)를 작동시키도록 하였으나, 브레이크 제어부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브레이크 장치(25, 26)와는 별도로 작업 브레이크를 설치하여도 되고,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작업 브레이크와 겸용하지 않아도 된다. 클러치(81)의 해방 또한 클러치(82)의 걸어 맞춤으로 트랜스미션(8)의 변속비를 R1(제 1 변속비)으로 하고, 클러치(81)의 걸어 맞춤 또한 클러치(82)의 해방으로 변속비를 R2(제 2 변속비)로 하였으나, 클러치 장치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을 개시하고 나서 완전히 작동할 때까지의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서 설정하고, 소정 시간만큼 작업 브레이크(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도록 하였으나, 소정 시간의 설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차 브레이크력이 소정값 이상이 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서 설정하여도 된다. 주차 브레이크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물리량을 검출하여, 이 물리량에 따라 작업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되고, 시간 이외를 파라미터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클러치(81, 82)에 작용하는 오일압력을 압력센서에 의하여 검출하여, 이 오일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 전자밸브(27)를 위치 (나)로 전환하 여, 작업 브레이크를 오프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본 발명의 특징,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의 작업차량의 제어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06-337935호(2006년 12월 15일 출원)를 기초로 하여, 그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조합된다.

Claims (11)

  1. 주차 브레이크 지령에 의하여 작동을 개시하는,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하여 작동하고, 오일압력에 의하여 해제되는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 지령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출력부로부터의 주차 브레이크 지령 출력에 따라, 운전자의 페달 조작에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상기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주차 브레이크 지령의 출력에 의한 상기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개시 후, 주차 브레이크력이 미리 정해진 값까지 증가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브레이크 해제압을 작용시키는 압유의 온도를 검출하는 오일 온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오일 온도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오일 온도 가 높을수록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페달 조작 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페달 조작 검출부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밟기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출력부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어 있지 않아도, 운전자의 페달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밟기 조작은, 최대 밟기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상기 차속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차속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일 때, 상기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었을 때의 상기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허가하고, 차속이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클 때, 상기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었을 때의 상기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형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주행용 동력을 차축에 전달하는 네거티브형의 제 1 클러치 장치와 제 2 클러치 장치를 가지는 트랜스미션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 트랜스미션은, 상기 주차 브레이크 지령이 출력되면,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와 제 2 클러치 장치를 동시에 걸어 맞춰 차축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와 제 2 클러치 장치는,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하여 각각 걸어 맞춰지고, 오일압력에 의하여 각각 해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가 해방되고, 또한, 상기 제 2 클러치 장치가 걸어 맞춰지면, 상기 트랜스미션은 제 1 변속비가 되고,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가 걸어 맞춰지고, 또한, 상기 제 2 클러치 장치가 해방되면, 상기 트랜스미션은 상기 제 1 변속비보다도 작은 제 2 변속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3항에 기재된 작업차량의 제어장치와,
    유압모터에 의하여 차륜을 회전하는 주행장치와,
    굴삭장치를 가지는 주행식 작업차량.
KR1020097012308A 2006-12-15 2007-12-12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주행식 작업차량 Active KR101384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37935 2006-12-15
JP2006337935A JP4956171B2 (ja) 2006-12-15 2006-12-15 作業車両の制御装置
PCT/JP2007/073953 WO2008072662A1 (ja) 2006-12-15 2007-12-12 作業車両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906A KR20090088906A (ko) 2009-08-20
KR101384719B1 true KR101384719B1 (ko) 2014-04-14

Family

ID=3951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308A Active KR101384719B1 (ko) 2006-12-15 2007-12-12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주행식 작업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88498B2 (ko)
EP (1) EP2116435B1 (ko)
JP (1) JP4956171B2 (ko)
KR (1) KR101384719B1 (ko)
CN (1) CN101535104B (ko)
WO (1) WO2008072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6775B2 (ja) * 2007-02-28 2012-03-14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械の安全装置
JP4896774B2 (ja) * 2007-02-28 2012-03-14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械の安全装置
WO2011142447A1 (ja) * 2010-05-13 2011-11-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旋回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JP5536683B2 (ja) * 2011-01-21 2014-07-02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JP5882066B2 (ja) 2012-01-19 2016-03-09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5705755B2 (ja) * 2012-01-19 2015-04-2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油圧制御装置
US20130338630A1 (en) * 2012-06-07 2013-12-19 Medtronic Minimed, Inc. Diabetes therapy management system for recommending adjustments to an insulin infusion device
JP5816150B2 (ja) * 2012-09-27 2015-11-18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駆動型ホイール式作業車両
JP5960585B2 (ja) * 2012-12-06 2016-08-02 株式会社Kcm オートブレーキ装置とそれを備えた産業用車両
JP2015223110A (ja) * 2014-05-27 2015-12-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KR101970238B1 (ko) * 2014-05-30 2019-04-22 주식회사 만도 제동 시스템 및 주차시 제동 제어 방법
KR101574932B1 (ko) * 2014-09-25 2015-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CN106080552A (zh) * 2016-06-29 2016-11-09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装载机自动驻车系统
WO2018021688A1 (ko) * 2016-07-25 2018-02-01 한승우 차량 구동 장치, 차량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8189202A1 (en) * 2017-04-11 2018-10-18 Dana Italia S.R.L. A hydraulic circuit for an adaptive park bra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GB201720471D0 (en) * 2017-12-08 2018-01-24 Agco Int Gmbh Utility vehicle braking
JP6946228B2 (ja) * 2018-03-29 2021-10-0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
GB2580663B (en) * 2019-01-22 2021-11-17 Caterpillar Sarl Brake control assembly with manual and electrical actuation
AU2020203698A1 (en) 2020-06-04 2021-12-23 Caterpillar Inc.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1340A1 (en) * 2000-09-08 2003-06-2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Parking brake device of working vehicle
JP2005067496A (ja) * 2003-08-27 2005-03-1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舗装機械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20060186731A1 (en) * 2003-10-31 2006-08-24 Lucas Automotive Gmbh Method for stabilizing a motor vehicle whose speed is reduced to a standstill and brake system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064A (en) * 1979-02-01 1982-01-12 Kazarian Jr Adam Multi-purpose automobile brake anti-creep device
JPS59124761U (ja) 1983-02-10 1984-08-22 マツダ株式会社 電動駐車ブレ−キ装置
JPH02114046A (ja) 1988-01-14 1990-04-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ホイール走行式建設機械の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DE69210713T2 (de) * 1991-02-05 1997-01-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System zum regeln der drehzahl einer kraftmaschine in einem hydraulisch angetriebenen fahrzeug
JPH05116605A (ja) 1991-10-30 1993-05-14 Daikin Ind Ltd 雪上車のブレーキ装置
JPH0848222A (ja) * 1994-08-08 1996-02-20 Akebono Brake Ind Co Ltd 車両用停止維持装置
JPH11334550A (ja) * 1998-05-21 1999-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停車ブレーキ装置
DE10221740A1 (de) * 2002-05-16 2003-12-04 Daimler Chrysler Ag Fahrzeugbremsanlage mit einer Betriebsbremsanlage und einer Feststellbremsanlage
JP4374942B2 (ja) * 2003-08-07 2009-12-02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DE10336611A1 (de) * 2003-08-08 2005-03-03 Wabco Gmbh & Co.Ohg Druckmittelbetriebene Bremsanlage für ein Fahrzeug
JP4788203B2 (ja) 2005-06-06 2011-10-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431444B (en) * 2005-10-21 2011-04-13 Ford Global Tech Llc Brake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1340A1 (en) * 2000-09-08 2003-06-2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Parking brake device of working vehicle
JP2005067496A (ja) * 2003-08-27 2005-03-1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舗装機械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20060186731A1 (en) * 2003-10-31 2006-08-24 Lucas Automotive Gmbh Method for stabilizing a motor vehicle whose speed is reduced to a standstill and brake system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906A (ko) 2009-08-20
EP2116435A4 (en) 2011-03-23
CN101535104B (zh) 2013-07-10
JP2008149802A (ja) 2008-07-03
US8388498B2 (en) 2013-03-05
EP2116435A1 (en) 2009-11-11
US20100016123A1 (en) 2010-01-21
CN101535104A (zh) 2009-09-16
JP4956171B2 (ja) 2012-06-20
EP2116435B1 (en) 2013-09-04
WO2008072662A1 (ja)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719B1 (ko)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주행식 작업차량
EP0617215B1 (en) Electro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 drive train of a vehicle
EP0589870B1 (en) An electro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 drive train of a vehicle
EP2805858B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 work machine
EP1321340B1 (en) Parking brake device of working vehicle
US7361121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nput clutch of work vehicle
JP4589649B2 (ja) ホイールローダのクラッチ制御装置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
WO2006030783A1 (ja) 作業車両の入力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5973326B2 (ja) 作業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285448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단 레인지 자동 선택방법
JP2006321341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0088007A (ja) 産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20000006297U (ko) 자동변속기차량의 아이들상태 출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