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3699B1 -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699B1
KR101383699B1 KR1020120064829A KR20120064829A KR101383699B1 KR 101383699 B1 KR101383699 B1 KR 101383699B1 KR 1020120064829 A KR1020120064829 A KR 1020120064829A KR 20120064829 A KR20120064829 A KR 20120064829A KR 101383699 B1 KR101383699 B1 KR 101383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ballast
water treatment
tank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826A (ko
Inventor
박규원
김성태
이해돈
박용석
이익환
Original Assignee
(주) 테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로스 filed Critical (주) 테크로스
Priority to KR102012006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6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6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커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미 피크 탱크, 엔진룸, 펌프룸,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 및 선두 피크 탱크를 포함하는 탱커선에 있어서, 상기 펌프룸에 위치하고,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로 전달하는 제 1 배관, 상기 선미 피크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선체 외부로 빠져나온 후 상기 펌프룸으로 인입되는 제 2 배관,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WBT)중 어느 하나의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제 3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선미 피크 탱크의 밸러스트수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TANKER AND BALLAST WATER 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ballast water)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PT 구조를 변형 설계한 탱커선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는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해 살균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선박 평형수 탱크는 주로 선체 하단부 및 측면부에 넓게 부착되어 선박 전체의 무게를 고르게 배분하도록 설치 되며, 카고 탱크(Cargo Tank)를 구비하여 짐을 카고 탱크 내부에 싣는 선박을 탱커선(Tanker)이라 한다.
그러나, 탱커선의 카고 탱크(Cargo Tank)에 실린 짐의 무게 또는 탱커선에 구비된 다수개의 밸러스트 탱크들에 채워진 선박평형수의 무게 때문에 선미의 스크류가 들뜸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류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의 선미에 선미 피크 탱크(A.P.T; After Peak Tank)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선미 피크 탱크에 밸러스트 탱크를 채워 넣는다. 이 때, 선미 피크 탱크는 밸러스트 탱크에서 사용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와는 별도로, 단독적인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따로 구비해야 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탱커선은 선미 피크 탱크(APT)에 별도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해야 했으므로 선체 구조에 있어서 장치(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중복설치로 인한 가격상승 및 시스템의 복잡성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선미 피크 탱크(APT)에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선미 피크 탱크(APT) 와 밸러스트 탱크(WBT)를 잇는 배관을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선미 피크 탱크(APT) 내부의 선박평형수를 밸러스트 탱크(water ballast tank : W.B.T)로 이송시켜 밸러스트 탱크(WBT)에 구비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서 디밸러스팅 처리 되는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탱커선은 선미 피크 탱크, 엔진룸, 펌프룸,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 및 선두 피크 탱크를 포함하는 탱커선에 있어서, 상기 펌프룸에 위치하고,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로 전달하는 제 1 배관, 상기 선미 피크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선체 외부로 빠져나온 후 상기 펌프룸으로 인입되는 제 2 배관,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WBT)중 어느 하나의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제 3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선미 피크 탱크의 밸러스트수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관의 일부분이 선체 외부에 구비될 때, 제 2 배관은 선체의 갑판 위로 형성한다.
상기 엔진룸에 구비된 제 2 배관에 FIRE & G.S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FIRE & G.S 펌프를 펌핑함으로써, 상기 선미 피크 탱크의 밸러스트수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한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은,
엔진룸의 S.C로부터 선미 피크 탱크에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제 1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 펌프룸의 S.C로부터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유입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유입 단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유입단계로부터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제 1 밸러스트수 처리단계, 제 1 밸러스트수 처리단계로부터 전기분해 처리 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하는 제 2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밸러스트수 유입단계는 FIRE & G.S 펌프를 펌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유입단계는 펌프룸의 밸러스트 펌프를 펌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한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은, 선미 피크 탱크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펌프룸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유입하는 제 1 밸러스트수 배출 단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상기 제 1 밸러스트수 배출 단계로부터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제 2 밸러스트수 처리단계, 제 2 밸러스트수 처리단계로부터 전기분해 처리 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 중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하는 제 3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 밸러스트 탱크들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처리된 밸러스트수를 배출하는 제 2 밸러스트수 배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에서, 모든 밸러스트 탱크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동시에 배출한다.
상기 제3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와 상기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에 있어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와 직접 연결된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 내부의 밸러스트수의 배출 유량을 조절하며 배출하고, 상기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를 제외한 나머지 밸러스트 탱크들 배출 유량 조절 없이 탱크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배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탱커선은 선미 피크 탱크에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도, 선미피크 탱크 내부의 선박평형수를 디밸러스팅 함으로써 구조적 복잡함을 해소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선체 내부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는 해수를 밸러스트수(ballast water), 선박 평형수로 혼용 병기 되며, 이는 같은 용어이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이 오해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탱커선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의 탱커선은 선미 피크 탱크(10), 엔진룸(30), 펌프룸(40), 다수 개의 밸러스트 탱크(60, 61), 선두 피크 탱크(50),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 제 1 배관(120), 제 2 배관(70), 제 3 배관(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 탱커선에서의 밸러스팅(Ballasting)과정을 도시하였고, 도 2는 본 발명 탱커선에서의 디-밸러스팅(De-Ballasting)과정을 도시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밸러스팅과 디밸러스팅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 탱커선에서의 선박 평형수(ballast water)의 밸러스팅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탱커선에서, 선미 피크 탱크(10)는 탱커선의 뒷부분에 구비되는 탱크로, 엔진룸(30)에 구비된 해수 유입구(Sea Chest, S.C) (201)로부터 유입된 선박평형수를 저장한다.
이 때, 선미 피크 탱크(10)와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ECS, 21)를 연결하는 배관을 제 2 배관(70)이라 한다. 선미 피크 탱크(10)의 선박평형수 유입은 제 2 배관(70)을 통해 이루어지며, S.C(201)로부터 유입되는 선박평형수는 제 2 배관(70)에 형성된 FIRE & G.S (general service) 펌프(100)를 펌핑 함으로써 선미 피크 탱크(10)에 전달된다.
엔진룸(30)의 S.C(201)에 유입된 선박평형수가 선미 피크 탱크(10)에 제 2 배관(70)을 통해 전달될 때, 제 2 배관(70)에 형성된 밸브(90)를 잠그도록 제어함으로써, 선박평형수가 S.C(201)->선미 피크 탱크(10)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펌프룸(40)에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가 구비된다.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는 펌프룸(40)의 S.C(401, 402)로부터 유입된 선박평수를 전달받아, 이를 전기분해 처리한다. S.C(401, 402)에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 선박평형수를 전달하는 배관에는 밸러스트 펌프(110)가 구비되고, 밸러스트 펌프(110)를 펌핑 함으로써 밸러스트수가 전달된다. 이 때, 배관에 형성된 밸브(93)을 잠그도록 제어함으로써 선박평형수가 S.C(401, 402)->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 유입되어 전기분해 처리된 선박평형수는 밸러스트 탱크(60, 61)로 전달된다. 여기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와 다수개의 밸러스트 탱크(60, 61)를 잇는 배관을 제 1 배관(120)이라 하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선박평형수는 제 1 배관(120)을 통해 밸러스트 탱크(60, 61)로 전달된다.
밸러스트 탱크(60, 61)에 저장되는 선박평형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로부터 전기분해 처리 된 선박평형수임은 자명하다. 또한, 전기분해 처리장치(21)에서 처리된 선박평형수가 제1 배관(120)을 통해 밸러스트 탱크(60, 61)에 전달될 때, 선두 피크 탱크(front peak tank : F.P.T)(50)로도 처리된 선박평형수가 전달된다.
전기분해 처리된 선박평형수가 제1 배관(120)을 통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으로부터 밸러스트 탱크(60, 61) 및 선두 피크 탱크(50)로 전달될 때, 제 1 배관(120)에 형성된 밸브(93)을 잠그도록 제어함으로써 선박평형수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 -> 밸러스트 탱크(60, 61)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탱커선의 제 1 실시 예는, 선박평형수를 탱크들(10, 50, 60, 61)에 주입하는 밸러스팅(Ballasting) 과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탱커선의 제 2 실시 예인, 선체 내의 탱크들(10, 50, 60, 61)의 선박평형수를 선체 외부로 배출하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실시 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탱커선에서는, 선미 피크 탱크(10)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를 연결하는 제 2 배관(70)을 이용하여, 선미 피크 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선박평형수를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 전달한다.
여기서, 선미 피크 탱크(10)에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로의 선박평형수 전달을 위하여, 제2 배관(70)의 FIRE & G.S 펌프(100)를 펌핑한다. 또한, 제2 배관(70)은 엔진룸(30)으로부터 선체 외부로 빠져 나와서, 펌프룸(40)으로 다시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탱커선에서는, 제2 배관(70)을 선미 피크 탱크(10)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를 연결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탱커선의 구조가 갖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탱커선은 선미 피크 탱크(10)에 적재 된 선박평형수의 처리를 위하여 엔진룸(30)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구비해야 했으므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엔진룸(30) 및 펌프룸(40)에 각각 설치되어야 한다는 구조적 복잡함 및 장비의 이중 구비로 인한 비용 상승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관(70)이 엔진룸(30)에서 펌프룸(40)으로 직접 연결될 때, 엔진룸(30)과 펌프룸(40) 사이를 관통해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배관(70)의 일부분을 선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형성함으로써,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를 하나만 설치하면서도 선체의 세이프티 존(Safety zone) 계수를 기준 치에 부합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선체가 갖는 세이프티 존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 탱커선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커선의 카고 탱크(Cargo Tank; 62)를 기준으로 근접 거리에 따라 각 위치에 따른 세이프티 존의 계수가 결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세이프티 존 계수를 z0, z1와 같이 표기하도록 한다. 먼저, 세이프티 존의 기준이 되는 카고 탱크(62)는 z0이다. 카고 탱크(62)와 인접하는 밸러스트 탱크(60, 61)들과, 선두 피크 탱크(50) 및 펌프룸(40)은 모두 세이프티 존 계수가 1만큼 증가하므로, z1이 된다. 그리고, 연료통(31)은 세이프티 존 계수가 z1인 펌프룸(40)과 인접하므로, 연료통(31)이 세이프티 존 계수는 1만큼 증가한 z2이 된다.
본 발명 탱커선에서는 엔진룸(30)에서 빠져나온 제2 배관(70)이 선체의 갑판 위로 형성되고 펌프룸(40)으로 설치되며, 이는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61)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배관(70)도 하나의 세이프티 존을 형성하며, 이 때 제2 배관(70)의 세이프티 존 계수는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61)의 계수 z1과 같은 z1이다.
제2 배관(70)이 격벽으로 나눠진 것이 아니라, 밸러스트 탱크(6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펌프룸(40)을 관통하므로 세이프티 존 계수는 밸러스트 탱크(60) 및 펌프룸(40)의 계수와 동일하다.
또한, 제2 배관(70)이 연결되는 엔진룸(30) 역시 세이프티 존 계수가 제2 배관(70)의 계수와 동일한 z1이 된다. 마지막으로, 선미 피크 탱크(10)는 인접하는 엔진룸(30)의 계수는 z1이지만, 연료통(31)과 격벽을 두고 먼 거리에 위치하므로, 선미 피크 탱크(10)의 계수는 z3이 된다.
세이프티 존 계수는 최소 z3이어야 선체를 설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센체 내의 세이프티 존이 최대 z2인 경우라면, 선체가 불량으로 판별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2 배관(71)을 엔진룸(30)에서 밸러스트 탱크(60)로 관통하며 연결되도록 구성한다면, 밸러스트 탱크(6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관(71)의 세이프티 존 계수는 밸러스트 탱크(60)의 계수와 동일한 z1이 되고, 제2 배관(71)이 관통하는 펌프룸(40), 연료통(31) 및 엔진룸(30) 모두 z1이 된다. 선미 피크 탱크(10)는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1만큼 증가한 z2의 계수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배관(71)과 같이 형성되는 경우 세이프티 존 계수가 최대 2밖에 되지 않으므로, 엔진룸(30)과 밸러스트 탱크(60)을 연결하는 제2 배관(70)은 선체 밖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갑판 위로 구성하지만, 선체 측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선체 외부에 구성되는 제2 배관(70)의 위치를 한정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 탱커선을 설명하자면, 제2 배관(70)을 통해 선미 피크 탱크(10)로부터 전달된 선박평형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서 전기분해 처리된다.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서 처리된 선박평형수는, 제 3 배관(80)을 통해 밸러스트 탱크(60)로 전달된다. 여기서, 선미 피크 탱크(10)로부터 유입 되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서 처리되는 선박평형수만 제3 배관(80)을 통해 밸러스트 탱크(60)에 전달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밸러스트 탱크(60)의 위치는 단지 하나의 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밸러스트 탱크(60)의 위치 또는 설치 개수는 ㅣㄹ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그러나, 밸러스트 탱크(60)에는 측면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처리된 선미 피크 탱크(10) 내의 선박평형수를 전달 받으므로, 다른 밸러스트 탱크들(61)과는 그 구조가 상이하다.
이 때, 다수개의 밸러스트 탱크(61) 및 선두 피크 탱크(50)에는, 도 1에서 펌프룸(40)의 S.C(401, 402)을 통해 유입되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서 전기분해 처리 된 선박평형수가 저장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밸러스트 탱크(60, 61) 및 선두 피크 탱크(50) 내부에 저장된 처리된 선박평형수를 배관을 따라 선체 외부로 배출한다. 이 때, 밸브(92)를 잠그도록 제어함으로써, 선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선박평형수 배출에 있어서, 밸러스트 탱크(60) 내부의 선박평형수와, 다른 밸러스트 탱크들(60) 및 선두 피크 탱크(50) 내부의 선박평형수를 동시에 배출 할 수도 있으나, 따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는, 밸러스트 탱크들(61)의 선박평형수의 디-밸러스팅 과정과 동시에 선미 피크 탱크(10)의 선박평형수는 밸러스트 탱크(60)에 유입되므로, 배출 시 유량조절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 탱커선에서의 선박평형수 디밸러스팅 과정의 두 가지 방법은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탱커선에 따라, 탱커선을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 탱커선을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탱커선의 밸러스팅(Ballasting)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커선의 밸러스팅 과정은 제1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S11),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유입 단계(S12), 제1 밸러스트수 처리단계(S13) 및 제2 밸러스트수 유입단계(S14)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4의 흐름도를 설명하자면, 제1 밸러스트수 유입단계(S11)에서는, 엔진룸(30)의 S.C(201)로부터 선미 피크 탱크(10)에 밸러스트수가 유입된다. 여기서, 밸러스트수의 유입은 FIRE & G.S 펌프(100)를 펌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유입단계(S12)에서는, 펌프룸(40)의 S.C(401, 402)로부터 유입된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 유입 된다. 여기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로의 밸러스트수 유입은, 펌프룸(40)의 밸러스트 펌프(110)를 펌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제1 밸러스트수 처리단계(S13)에서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유입단계(S12)로부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제2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S14)에서는, 제1 밸러스트수 처리단계(S13)로부터 전기분해 처리 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61)에 유입하는 단계이다.
도 5는 본 발명 탱커선을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탱커선의 디-밸러스팅(De-Ballasting)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커선의 디-밸러스팅 과정은 제1 밸러스트수 배출 단계(S21), 제2 밸러스트수 처리단계(S22), 제3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S23) 및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S24)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5의 흐름도를 설명하자면, 제1 밸러스트수 배출 단계(S21)에서는, 선미 피크 탱크(10) 내부의 밸러스트수가 펌프룸(40)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 유입된다.
제2 밸러스트수 처리 단계(S22)에서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가 제1 밸러스트수 배출단계(S21)로부터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 처리 한다.
그리고, 제3 밸러스트수 유입단계(S23)에서는, 제2 밸러스트수 처리단계(S22)에서 전기분해 처리 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60)에 유입한다. 여기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에서 처리 된 밸러스트수를 전달 받는 밸러스트 탱크(60)는 특정 밸러스트 탱크로, 선미 피크 탱크(10)의 처리 밸러스트수를 전달받기 위한 별도의 구멍 및 제3 배관(80)이 연결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S24)에서는, 밸러스트 탱크(60, 61)들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밸러스트수를 배출한다. 이 때, 밸러스트 탱크(61)들 내부에 적재된 밸러스트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로부터 전기분해 처리 된 밸러스트수이다.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S24)에서, 모든 밸러스트 탱크(60)들과 특정 밸러스트 탱크(60)의 선박평형수를 동시에 배출할 수도 있고, 밸러스트 탱크(61)들의 선박평형수 배출과 특정 밸러스트 탱크(60)의 선박평형수 배출을 시간의 차(差)를 두어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밸러스트수 유입단계(S23)와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S24)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S24)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1)와 직접 연결된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60) 배출 유량을 조절하며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배출하고,
특정 밸러스트 탱크(60)를 제외한 나머지 밸러스트 탱크(61)들은 배출 유량 조절 없이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배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선미 피크 탱크 21 :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30 : 엔진룸 40 : 펌프룸
50 : 선두 피크 탱크 60, 61 : 밸러스트 탱크
70 : 제 2 배관 80 : 제 3 배관
100 : FIRE & G.S 펌프 110 : 밸러스트 펌프
201, 401, 402 : 해수 유입구

Claims (9)

  1. 선미 피크 탱크, 엔진룸, 펌프룸,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 및 선두 피크 탱크를 포함하는 탱커선에 있어서,
    상기 펌프룸에 위치하고,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로 전달하는 제 1 배관,
    상기 선미 피크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선체 외부로 빠져나온 후 상기 펌프룸으로 인입되는 제 2 배관,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중 어느 하나의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제 3 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선미 피크 탱크의 밸러스트수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관의 일부분이 선체 외부에 구비될 때, 제 2 배관은 선체의 갑판 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에 구비된 제 2 배관에 화재소화 및 범용(FIRE & G.S;fire&general service)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화재소화 및 범용 펌프를 펌핑함으로써, 상기 선미 피크 탱크의 밸러스트수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
  4.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은,
    엔진룸의 해수 유입구로부터 선미 피크 탱크에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제 1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
    펌프룸의 해수 유입구로부터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유입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유입 단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유입단계로부터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제 1 밸러스트수 처리단계;
    제 1 밸러스트수 처리단계로부터 전기분해 처리 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하는 제 2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제1 밸러스트수 유입단계는 화재소화 및 범용 펌프를 펌핑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유입단계는 펌프룸의 밸러스트 펌프를 펌핑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7.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은,
    선미 피크 탱크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펌프룸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유입하는 제 1 밸러스트수 배출 단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상기 제 1 밸러스트수 배출 단계로부터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제 2 밸러스트수 처리단계;
    제 2 밸러스트수 처리단계로부터 전기분해 처리 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 중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하는 제 3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
    밸러스트 탱크들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처리된 밸러스트수를 배출하는 제 2 밸러스트수 배출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에서, 모든 밸러스트 탱크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동시에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밸러스트수 유입 단계와 상기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밸러스트수 배출단계에 있어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와 직접 연결된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 내부의 밸러스트수의 배출 유량을 조절하며 배출하고,
    상기 어느 한 밸러스트 탱크를 제외한 나머지 밸러스트 탱크들 배출 유량 조절 없이 탱크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선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KR1020120064829A 2012-06-18 2012-06-18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Active KR10138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829A KR101383699B1 (ko) 2012-06-18 2012-06-18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829A KR101383699B1 (ko) 2012-06-18 2012-06-18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826A KR20130141826A (ko) 2013-12-27
KR101383699B1 true KR101383699B1 (ko) 2014-04-09

Family

ID=4998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829A Active KR101383699B1 (ko) 2012-06-18 2012-06-18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09B1 (ko) * 2020-07-03 2021-09-03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439A (ko) 2015-02-13 2016-08-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wms용 필터링 유닛
KR101653666B1 (ko) * 2015-12-10 2016-09-02 (주) 테크로스 잠수형 펌프가 설치된 선박의 기관실 내 선박평형수 처리부를 갖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CN110979555A (zh) * 2019-12-19 2020-04-10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压载水集成管路系统
KR102500175B1 (ko) * 2021-06-03 2023-02-16 주식회사 테크로스 선미 피크 탱크의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89A (ja) * 1997-07-08 1999-02-02 T K Shitsupingu Japan Kk バラスト水自動換水システム
JP2005536402A (ja) * 2002-08-23 2005-12-02 サウジ アラビアン オイル カンパニー 船のバラストタンクのバラスト水の交換方法及び装置
JP2009067253A (ja) * 2007-09-13 2009-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89A (ja) * 1997-07-08 1999-02-02 T K Shitsupingu Japan Kk バラスト水自動換水システム
JP2005536402A (ja) * 2002-08-23 2005-12-02 サウジ アラビアン オイル カンパニー 船のバラストタンクのバラスト水の交換方法及び装置
JP2009067253A (ja) * 2007-09-13 2009-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09B1 (ko) * 2020-07-03 2021-09-03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826A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699B1 (ko) 탱커선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KR101627662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EP3178736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with a ballast water treatment unit in the engine room of a ship having a submergible pump
KR20120022380A (ko) 선박용 해수 소방시스템
KR20080106927A (ko) 해수 및 소방수의 결합 시스템
US5901656A (en) Watercraft with stacked wing ballast tanks
KR20170052922A (ko) 선박의 평형수 자동관리장치와 그 작동방법
KR20120043796A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10119240A (ko) 밸러스트로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운반선의 밸러스트 운용 방법
JP5798797B2 (ja) 液化燃料輸送船及び船舶の改造方法、船舶並びに液化燃料輸送船
KR20130014166A (ko) 선박의 밸러스트 수 이송 시스템
KR20140020817A (ko) 선박 및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KR20220157125A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101411494B1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KR101695886B1 (ko) 소화수 모니터가 구비된 시추선
KR20170001834U (ko) 선박의 발라스트 시스템
KR101614585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전해조 해수 공급장치
KR20160108954A (ko) 선박의 해수 공급 장치
KR101880529B1 (ko) 잠수형 펌프가 설치된 선박의 기관실 내 선박평형수 처리부를 갖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KR102782303B1 (ko) 밸러스트 장치 및 그의 충수 방법
JP2020158057A (ja) ばら積み貨物船
KR101797615B1 (ko) 잭업 선박의 조수시스템
KR20110139992A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CN115430078A (zh) 一种邮轮主消防系统及邮轮
KR20120068214A (ko) 발라스트 처리부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