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2637B1 - 기능성 양말 - Google Patents

기능성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637B1
KR101382637B1 KR1020130042449A KR20130042449A KR101382637B1 KR 101382637 B1 KR101382637 B1 KR 101382637B1 KR 1020130042449 A KR1020130042449 A KR 1020130042449A KR 20130042449 A KR20130042449 A KR 20130042449A KR 101382637 B1 KR101382637 B1 KR 10138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insertion portion
body portion
extending
s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섭
Original Assignee
박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균섭 filed Critical 박균섭
Priority to KR102013004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637B1/ko
Priority to PCT/KR2014/003226 priority patent/WO2014171691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기능성 양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 검지 발가락과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2 삽입부,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3 삽입부, 및 삽입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턴 증후군(Morton's syndrom)의 발생 원인을 제거 및 방지하는 기능성 양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능성 양말{Socks with Functionality}
본 발명은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턴 증후군의 발생 원인을 제거 및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평발을 개선함으로써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잘못된 보행 습관에 의해 발생되는 모톤 증후군(Morton's syndrom)의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다.
발바닥의 거골이 1˚만큼 내측(허벅지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거골은 주상골을 위쪽으로 밀어내고, 그에 따라 주상골이 1,2,3번 설상골을 밀어올림으로써 1,2,3번 중족골은 앞쪽으로 이동된다.
그에 따라 4,5번 중족골은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밀려남으로써, 3번 중족골과 4번 중족골의 어긋남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3번 중족골과 4번 중족골의 어긋남으로 인해 발바닥의 1횡궁의 아치가 무너지면서 3번 중족골과 4번 중족골은 서로 밀착되게 된다. 이는 발바닥에서의 모톤 증후군(Morton's syndrom)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발바닥의 1횡궁의 아치가 무너지게 되면, 2횡궁 및 3횡궁의 아치가 순차적으로 무너지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바닥은 평발의 형태를 갖게 되며, 이상적인 보행인 4박자 보행을 하지 못하고 각종 질병을 야기시키는 2박자 보행을 하게 된다.
한편, 4,5번 중족골은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내측으로 회전(엄지 발가락 방향으로의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3번 중족골과 4번 중족골은 더욱 밀착된다.
아울러, 4,5번 중족골이 내측으로 회전(엄지 발가락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것에 대한 보상 작용으로서 1,2,3번 중족골은 외측으로 회전(소지 발가락 방향으로의 회전)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49630호(2006.09.21. 공개),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141536호(2008.04.16.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턴 증후군의 발생 원인을 제거 및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평발을 개선함으로써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성 양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1); 검지 발가락과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2);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3 삽입부(113); 및 상기 제1 삽입부(111), 상기 제2 삽입부(11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1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통부(130)는, 상기 제1 삽입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몸통부(131), 상기 제2 삽입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몸통부(13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몸통부(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111) 및 상기 제1 몸통부(131)는 탄성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삽입부(113) 및 상기 제3 몸통부(133)는 탄성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13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삽입부(112)와 상기 제3 삽입부(113)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용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1횡궁(151), 2횡궁(152) 또는 3횡궁(153)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발가락이 삽입되는 발가락 삽입부(100); 및 상기 발가락 삽입부(10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13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용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1횡궁(151), 2횡궁 또는 3횡궁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1), 검지 발가락과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2),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3 삽입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130)는, 상기 제1 삽입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몸통부(131), 상기 제2 삽입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몸통부(13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몸통부(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삽입부(112)와 상기 제3 삽입부(113)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111) 및 상기 제1 몸통부(131)는 탄성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삽입부(113) 및 상기 제3 몸통부(133)는 탄성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턴 증후군의 발생 원인을 제거 및 방지하는 기능성 양말이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평발을 개선함으로써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성 양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바닥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사용자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발가락 삽입부(100), 발가락 삽입부(10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130)를 포함한다.
한편, 발가락 삽입부(100)는 제1 삽입부(111), 제2 삽입부(112), 및 제3 삽입부(113)로 나뉘어져 있으며, 제1 삽입부(111)에는 사용자의 엄자 발가락이 삽입되고, 제2 삽입부(112)에는 검지 발가락과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며, 제3 삽입부(113)에는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턴 증후군은 4,5번 중족골이 내측으로 회전(엄지 발가락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4번 중족골이 연결되어 있는 약지 발가락과 5번 중족골이 연결되어 있는 소지 발가락을 제3 삽입부(113)에 함께 삽입함으로써, 제2 삽입부(112)와의 반발력을 통해 일체로서 외측(소지 발가락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받게 되며, 이로써 모턴 증후군의 발생 원인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몸통부(130)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 삽입부(111)로부터 발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몸통부(131), 제2 삽입부(112)로부터 발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몸통부(132), 및 제3 삽입부(113)로부터 발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몸통부(133)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1 삽입부(111) 및 제1 삽입부(111)에서 연장되는 제1 몸통부(131)와 제3 삽입부(113) 및 제3 삽입부(113)에서 연장되는 제3 몸통부(133)는, 제2 삽입부(112) 및 제2 삽입부(112)에서 연장되는 제2 몸통부(13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삽입부(112) 및 제2 삽입부(112)에서 연장되는 제2 몸통부(132)를 일반 양말의 재질로 제작한다면, 제1 삽입부(111) 및 제1 삽입부(111)에서 연장되는 제1 몸통부(131)와 제3 삽입부(113) 및 제3 삽입부(113)에서 연장되는 제3 몸통부(133)는 스판덱스(Spandex) 등의 고탄성 섬유로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턴 증후군은 1번 중족골이 외측으로 회전(소지 발가락 방향으로의 회전)하게 됨으로써 가속화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1번 중족골이 연결되어 있는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어 있는 제1 삽입부(111) 및 제1 삽입부(111)에서 연장되는 제1 몸통부(131)를 고탄성 섬유로 제작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엄지 발가락의 내측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고, 그로 인해 모턴 증후군의 발생 원인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모턴 증후군은 4,5번 중족골이 내측으로 회전(엄지 발가락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4번 중족골이 연결되어 있는 약지 발가락과 5번 중족골이 연결되어 있는 소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113) 및 제3 삽입부(113)에서 연장되는 제3 몸통부(133)를 고탄성 섬유로 제작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에 외측(소지 발가락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며, 이로써 모턴 증후군의 발생 원인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바닥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71,172,173,175)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171,172,173,175)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특정 부위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바닥면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석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돌출부(171)는 바닥면상에서 사용자의 발바닥의 1횡궁(15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1횡궁(151)에 압력을 가하여 1횡궁(151)을 지지함으로써, 발바닥의 아치 형상이 복원되어 평발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면 상에서 돌출부(171)는 사용자의 중지 발가락과 약지 발가락의 경계선과 1횡궁(151) 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171)에 의해 발바닥의 아치 형상의 복원력을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중지 발가락이 연결된 3번 중족골과 약지 발가락이 연결된 4번 중족골을 이격시킴으로써, 모턴 증후군의 발생 원인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기능성 양말의 제조자는 검지 발가락 및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2)와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113)의 경계선과 발바닥의 1횡궁(151) 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돌출부(171)를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돌출부(175)는 기능성 양말의 바닥면 상에서 발바닥의 용천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 돌출부(175)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용천 부위에 직접 압력을 가함으로써, 용천 부위를 지지하여 발바닥의 아치 형상을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따른 필요에 의해 돌출부(171,172,173)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1횡궁(151)에 대응되는 위치뿐만 아니라, 2횡궁(152) 또는 3횡궁(153)에 대응되는 위치에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발가락 삽입부, 130: 몸통부,
151: 1횡궁, 152: 2횡궁,
153: 3횡궁, 171: 1횡궁 돌출부,
172: 2횡궁 돌출부, 173: 3횡궁 돌출부,
175: 용천 돌출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1);
    검지 발가락과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2);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3 삽입부(113); 및
    상기 제1 삽입부(111), 상기 제2 삽입부(11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130)
    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130)는,
    상기 제1 삽입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몸통부(131), 상기 제2 삽입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몸통부(13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몸통부(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엄지 발가락의 내측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제1 삽입부(111) 및 상기 제1 몸통부(131)는 탄성 보강된 것인 기능성 양말.
  4.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1);
    검지 발가락과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2);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3 삽입부(113); 및
    상기 제1 삽입부(111), 상기 제2 삽입부(11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130)
    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130)는,
    상기 제1 삽입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몸통부(131), 상기 제2 삽입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몸통부(13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몸통부(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약지 발가락과 상기 소지 발가락에 외측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제3 삽입부(113) 및 상기 제3 몸통부(133)는 탄성 보강된 것인 기능성 양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3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된 것인 기능성 양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삽입부(112)와 상기 제3 삽입부(113)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것인 기능성 양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용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인 기능성 양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1횡궁(151), 2횡궁(152) 또는 3횡궁(153)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위치하는 것인 기능성 양말.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42449A 2013-04-17 2013-04-17 기능성 양말 Active KR10138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449A KR101382637B1 (ko) 2013-04-17 2013-04-17 기능성 양말
PCT/KR2014/003226 WO2014171691A1 (ko) 2013-04-17 2014-04-15 기능성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449A KR101382637B1 (ko) 2013-04-17 2013-04-17 기능성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637B1 true KR101382637B1 (ko) 2014-04-10

Family

ID=5065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449A Active KR101382637B1 (ko) 2013-04-17 2013-04-17 기능성 양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2637B1 (ko)
WO (1) WO20141716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750A1 (ko) * 2015-01-21 2016-07-28 오상선 기능성 발가락 커버
KR20230000077U (ko) 2021-07-01 2023-01-1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630A (ja) 2005-03-14 2006-09-21 Iwasho Orimono Kk 靴下
JP3141536U (ja) * 2008-02-25 2008-05-08 神谷マテリアル岐阜株式会社 被服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62Y1 (ko) * 2007-07-23 2008-07-04 유원 기능성 양말
KR20110009801U (ko) * 2010-04-09 2011-10-17 박광수 캐릭터 양말
KR200457048Y1 (ko) * 2011-03-08 2011-12-02 홍정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JP5785424B2 (ja) * 2011-04-08 2015-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外反母趾用靴下、および外反母趾用靴下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630A (ja) 2005-03-14 2006-09-21 Iwasho Orimono Kk 靴下
JP3141536U (ja) * 2008-02-25 2008-05-08 神谷マテリアル岐阜株式会社 被服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750A1 (ko) * 2015-01-21 2016-07-28 오상선 기능성 발가락 커버
KR20230000077U (ko) 2021-07-01 2023-01-1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1691A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9008885A (es) Media o calcetin reforzado para la prevencion y/o tratamiento de hallux valgus.
JP2013530734A (ja) 矯正用足指靴下
ATE526842T1 (de) Schuhsohle
US20150359652A1 (en) Toe correction device
EP1897456A3 (en) Protective sock
KR20170107348A (ko) 양말
KR101382637B1 (ko) 기능성 양말
JP5463576B2 (ja) 整形外科靴下
KR200271214Y1 (ko) 기능성 압박 양말
JP3161696U (ja) ソックス
JP3158946U (ja) 靴下等の足覆い
KR102165071B1 (ko) 맞춤형 발가락 교정구가 구비된 신발 안창
JP2011122256A (ja) 足指矯正靴下
US7954176B2 (en) Foot prosthesis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a dancer's foot
JP2005009011A (ja) 靴下
JP6615239B2 (ja) 足関節矯正用靴下
CN220494401U (zh) 一种乳胶鞋垫
KR20110019062A (ko) 기능성 건강 신발 깔창
KR200343775Y1 (ko) 스프링이 내재된 기능성신발
JP2008245677A (ja) トゥシューズ装着補助具
JP2005281917A (ja) 靴下
CN217429369U (zh) 一种带矫形功能的儿童鞋
KR101669247B1 (ko) 영유아용 양말신발
KR102540620B1 (ko)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KR20140100249A (ko) 토우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