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7581B1 -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581B1
KR101377581B1 KR1020090000669A KR20090000669A KR101377581B1 KR 101377581 B1 KR101377581 B1 KR 101377581B1 KR 1020090000669 A KR1020090000669 A KR 1020090000669A KR 20090000669 A KR20090000669 A KR 20090000669A KR 101377581 B1 KR101377581 B1 KR 10137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balanced conductor
pressing member
balanced
hous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026A (ko
Inventor
히데토 야마구치
타츠야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250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48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251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4803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5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평형도체(平型導體)를 용이하게 접속 위치로 오게 하고, 다소 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도 있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평형도체(P)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본체(10)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대하여 고착가능한 누름부재(11)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본체(10)는 일방의 측에 평형도체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14)가 그리고 대향하는 타방의 측에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위한 끼워맞춤부(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4)와 끼워맞춤부(13)가 연통되어 있고, 상기 누름부재(11)의 하우징본체(10)로의 고착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평형도체를 지지면으로 누르는 누름부를 갖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누름부재(11)는, 하우징본체(10)로의 고착시에, 평형도체(P)의 절결부(P3)에서, 상기 평형도체(P)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돌기부(27)를 갖고 있다.
평형도체, 누름부재, 삽입구, 끼워맞춤부, 전기커넥터

Description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도체(平型導體; flat conductor)용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전기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커넥터는, FPC(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가 접속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로 끼워맞춤 접속되어 사용된다. 이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서로 지지하여 개폐되는 전기절연재의 표면부재와 이면부재를 가지며, 표면부재에는, 열림(open) 상태에서 FPC가 배치되는 배치면에 2개의 핀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로의 FPC의 접속시에는, 우선, 커넥터를 열림 상태로 해두고, 표면부재의 상기 배치면을 개방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어림잡으면서, 상기 배치면의 상방에서 FPC의 구멍부가 상기 배치면의 핀과 대응한다고 생각되는 위치로 오게 하고, 그대로 상기 FPC를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강하시켜, 상기 구멍부로 상기 핀을 삽입관통시킨다. 그 후, 이면부재를 닫힘(close) 위치를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이면부재가 FPC의 상면을 규제하기 때문 에, 이에 따라 FPC의 구멍부로부터 핀이 빠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FPC는 그 길이방향으로 당겨져도, 상기 구멍부로 핀이 관통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핀과 걸어맞춤되어 빠지는 일은 없다.
이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FPC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속부가, 표면부재와 이면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된 접속 공간에 드러나고, 이 접속 공간에 상대 커넥터가 끼워넣어짐으로써, 상기 상대 커넥터와 접속되고, 따라서 상기 상대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런 종류의 전기커넥터의 또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커넥터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평형도체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로 끼워맞춤 접속되어 사용된다. 이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으로부터 대향 타단면으로 관통하는 케이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평형도체는 상기 일단면의 입구 개구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평형도체의 선단측의 접속부가 타단면의 출구 개구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입구 개구는 평탄한 상기 일단면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출구 개구에는 상기 출구 개구의 하방가장자리(下緣)으로부터 판 형상의 끼워맞춤부가 연장돌출 형성되어 있다. 평형도체의 접속부는 출구 개구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끼워맞춤부의 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커넥터는, 사용시에, 상기 끼워맞춤부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넣어, 상기 접속부가 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058173호
[특허문헌 2] 일본실용신안 등록 제3135164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FPC를 표면부재의 배치면에 배치하려면, 우선, 배치면에 대하여 상방의 공간에서, FPC의 구멍부가 배치면의 핀에 대응하는 위치로 오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공간에서는, FPC를 위치잡아 주는 것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이 위치잡기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항상 상기 구멍부 내의 시야에 핀이 보이도록 FPC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FPC를 상기 배치면까지 강하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가령, 구멍부 내에 핀이 보이지 않게 되면, FPC의 위치의 수정은 매우 번거롭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일단면이 평탄면으로, 그 평탄면에 형성된 가는(thin) 슬릿 형상의 입구 개구로 평형도체를 삽입한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평형도체는 통상, 매우 얇기 때문에, 이것이 삽입되는 입구 개구도 매우 가늘어져 있음과 아울러, 평형도체의 길이방향으로의 휨에 따라, 상기 평형도체의 선단을 평탄한 일단면 상에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입구 개구의 위치로 하는 것은 곤란하며, 나아가서는, 평형도체가 폭이 넓을 때에는 폭방향으로도 휘어져 버려, 폭방향의 일측단이 입구 개구로 들어가도 타측단이 구부러져 있어 입구 개구로부터 빠져 버리는 일이 많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FPC 등의 평형도체를 용이하게 접속 위치로 오게 할 수 있고, 다소 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평형도체를 단단히 누르는 누름부재에 의해, 자동적으로 위치 수정이 이루어지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를 제공하 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형도체가, 비록 가요성을 갖고 있어도, 용이하게 하우징의 삽입구로부터 삽입할 수 있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는, 선단측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형도체를 하우징본체의 지지면으로 지지하면서 도입가능하게 하는 도입공간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대하여 고착(固着; fastening)가능한 누름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본체는 일방의 측에 평형도체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가 그리고 대향하는 타방의 측에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fitting)을 위한 끼워맞춤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와 끼워맞춤부가 연통(communication)되어 있어, 삽입된 평형도체의 접속부가 상기 끼워맞춤부로 돌입(突入; 돌출삽입)하여 상대 커넥터와 접촉 가능해지고, 상기 누름부재의 하우징본체로의 고착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평형도체를 상기 지지면으로 누르는 누름부를 갖는다.
이러한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누름부재는, 하우징본체로의 고착시에, 평형도체의 절결부(切欠部; cutting portion)에서, 상기 평형도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돌기부(engaging protrusion)를 갖고 있어 상기 평형도체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평형도체의 삽입장착시에, 평형도체를 하우징본체의 지지면 상에서 슬라이드시켜 앞쪽으로 이동시켜 도입 후, 누름부재를 하우징본체로 고착시키면, 걸림돌기부가 평형도체의 절결부로 돌입하여 평형도체의 빠짐을 저지한다. 여기서, 절결부란, 평형도체의 측방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홈 혹은 평형도체의 폭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구멍부를 의미하고 있고, 본 발명에서는, 오목홈과 구멍부의 적어도 한쪽이 절결부로서 갖고 있고, 걸림돌기부가 이들 절결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부재는 하우징본체에 대하여, 일정한 고착 위치로 오기 때문에, 상기 걸림이 확실해진다. 가령, 절결부가 다소 어긋나 배치되어 있어도, 걸림돌기부가 절결부로의 돌입시에 절결부의 가장자리부(緣部)와 맞닿도록 형성하면, 평형도체의 자동 위치 수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평형도체는 절결부의 앞쪽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도체가 후방으로 당겨져도 절결부보다 앞쪽의 부분이 비교적 강성이 높아, 휨 등의 변형을 생기게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부에 의한 걸림이 크게 유효해진다.
본 발명은, 누름부재가 하우징본체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어, 지지면을 향한 회전운동에 의해, 하우징본체로의 고착위치에 오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누름부재의 하우징본체로의 고착의 형태는 여러가지 고려될 수 있지만, 축이나 힌지에 의해 누름부재가 하우징본체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어, 단순히 회전운동하는 것만으로, 하우징본체로 고착되도록 하면, 고착을 위한 조작은 매우 간단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입공간은,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판부의 하면에서, 평형도체의 양면의 위치를 규제하여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양면에서의 규제에 의해, 평형도체는, 폭방향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휨이 없어, 안정되고 그리고 확실하게 삽입구로 도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돌기부는 평형도체의 폭방향 양측의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평형도체를 상기 평형도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서 위치의 규제를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걸림돌기부가 절결부에 돌입할 때에 절결부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아 평형도체를 길이방향 그리고 폭방향에서 위치잡아 주어 그 위치를 확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누름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힌지부에 의해 하우징본체와 일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어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어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누름부재가 하우징본체와 일체인 일부재(一部材)로 됨으로써, 커넥터의 부품 갯수를 줄여, 보관 관리 그리고 사용시의 취급이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누름부재는 로크(lock)돌기를 갖고 있어, 하우징본체로의 고착시에, 상기 로크돌기가 하우징본체의 대응하는 걸림부와 걸림되어 고착위치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누름부재의 고정위치가 확실히 유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로크돌기는, 평형도체의 폭방향에서, 누름부재의 양측단에 측단돌기로서 형성되어, 하우징본체의 걸림부가 이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돌기는, 측단돌기에 더하여, 평형도체의 폭방향 에서 중간부에 중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돌기는, 하우징본체의 상판부의 가장자리부와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이 형태는 폭이 넓은 평형도체를 위한 커넥터에 대하여 유효하다. 폭방향으로 큰 커넥터에서는, 같은 방향 중간부에서, 누름부재나 하우징본체의 상판부가 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중간부에서도, 누름부재와 상판부가 서로 로크하면, 양자가 어우러져 강성을 높여 휨을 작게 하여 로크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형 전기커넥터는, 선단측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형도체가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하우징본체와, 삽입된 평형도체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된 누름부재를 갖고, 상기 하우징본체는 일방의 측에 평형도체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가 그리고 대향하는 타방의 측에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위한 끼워맞춤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와 끼워맞춤부가 연통되어 있어, 삽입된 평형도체의 접속부가 상기 끼워맞춤부에 돌입하여 상대 커넥터와 접촉가능해진다.
이러한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의 상기 일방의 측에 있어서의 삽입구의 개구둘레부의 상방가장자리(上緣)가 하방가장자리(下緣) 그리고 측방가장자리(側緣) 보다도 상기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누름부재의 개방시에, 평형도체의 선단부를 삽입구의 하방가장자리측의 상면의 위에 배치한다. 이 삽입구의 개구둘레부는 상방가장자리가 하방가장자리 그리고 측방가장자리보다도 하우징본체의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고, 즉 하방가장자리의 측에서 상방으로 개방된 상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평형도체의 선단부를 상방으로부터 이 상면의 위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개구둘레부로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선단부를 삽입구로 유도하여 그대로 상기 삽입구 내로 삽입한다. 이 평형도체는 삽입구로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평형도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속부는 삽입구를 관통하여 수용 오목부 내로 돌출한다. 그 후에, 누름부재가 누름위치로 오게 되어, 이 평형도체의 위치를 고정하고, 또한, 평형도체의 빠짐을 방지한다.
커넥터의 사용시에는, 상기 끼워맞춤부로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접속대상부, 예를 들면, 단자가 상기 평형도체의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누름부재는 삽입구보다도 상방위치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우징본체에 부착되어 있어, 하방으로의 회전운동으로 평형도체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누름부재의 누름동작, 혹은 개방 동작은, 단순히 상기 누름부재를 회전운동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조작을 매우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구는, 평형도체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상기 평형도체의 폭방향 그리고 두께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의 치수가 앞이 가늘게 되어 있어, 평형도체의 압입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형도체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폭방향 혹은 두께방향에서의 자동 위치잡기가 되어지고, 삽입의 종료시에는 압입에 의해 위치잡기뿐만 아니라 평형도체의 지지라는 기능도 얻는다. 압입 삽입은, 삽입구의 안쪽부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무 앞쪽 위치부터 압입삽입하면 삽입 저항이 커져, 원활한 삽입을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본체는 저벽(底壁)에 창부(窓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벽의 하면에 부착된 시일드판(shield plate)의 일부를 잘라 올려 만든 탄성편(片)이 상기 창부를 관통하여, 상기 탄성편의 선단측에 형성된 접촉부가 상기 삽입구로 돌입한 위치에 있어, 삽입된 평형도체의 하면의 시일드면과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일드판의 부착에 의해, 커넥터에 시일드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시일드판은 탄성편의 접촉부가 평형도체의 하면에서 시일드면과 접촉하여, 그라운드를 취하게 된다.
상기 시일드판의 탄성편에 형성된 접촉부는, 평형도체의 삽입방향으로, 누름부재의 누름부와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평형도체의 상면이 누름부재에 의해, 하면이 탄성편에 의해 각각 눌려져 빠짐 방지가 도모되고, 또한, 그때, 누름부와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에 있어서의 평형도체의 가요성에 의해 탄성편에 누름부재로부터의 큰 힘이 직접 탄성편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탄성편의 소성 변형이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시일드판의 탄성편은, 하우징본체의 일방의 측에 가까운 가장자리부가 상기 일방의 측을 향함에 따라 평형도체로부터 떨어지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구로의 평형도체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도체의 선단부가 테이퍼면의 위에 올라 안내되기 때문에,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접촉부에서의 누름접촉을 충분히 얻기 때문에 탄성편의 접촉부에서의 탄성 변위량을 크게 취해도, 삽입에 지장을 가져오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일드판의 탄성편은, 평형도체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커넥터는 접속되는 평형도체의 길이방향으로는 작은 치수인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평형도체의 폭방향에서는, 필연적으로 평형도체의 폭치수 이상의 것이 된다. 따라서, 평형도체의 심선(core wire)의 선수(線數)가 매우 많아 상기 폭치수가 큰 것에 대해서는, 커넥터로서는 그 치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편은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하여, 커넥터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주어진 치수 내에서 충분히 긴 탄성편을 얻는다. 이러한 경우, 탄성편은, 평형도체의 폭방향으로, 2개소로부터 대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평형도체를 하우징본체의 지지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도입공간으로 도입한 후에, 누름부재를 하우징본체로 고착하면 누름부재의 걸림돌기가 평형도체의 절결부로 돌입하도록 했기 때문에, 평형도체를 간단히 소정의 도입 위치에서, 확실히 걸림돌기를 절결부에 걸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평형도체는 절결부의 앞쪽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도체가 후방으로 당겨져도 절결부보다 앞쪽의 부분이 비교적 강성이 높아 휨 등의 변형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부에 의한 걸림이 크게 유효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의 일방의 측에 형성된 삽입구의 개구둘레부 중 상방가장자리를 다른 가장자리보다도 타방의 측에 위치하게 했기 때문에, 하방가장자리의 상면이 개방되어, 이 상면에 평형도체의 선단부를 올려놓고 나서 삽입할 수 있어, 평형도체의 삽입구로의 위치잡기가 매우 간단해지며, 평형도체의 커넥터로의 삽입장착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킨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 은,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로 평형도체가 삽입되기 직전에 있어서의, 후부측(後部側)에서 본 상기 커넥터와 평형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 는 삽입 직후로 아직 누름부재가 열려 있어 평형도체에 대하여 누름동작에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이하, 이 상태를 열림 상태라고 하며, 그 위치를 열림 위치라고 함)에 있어서의 전부측(前部側)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3 은, 도1 과 동일한 상태에서의 커넥터만을 나타내는,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5 는 누름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도1 의 상태에서 커넥터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6 은 전방에서 본 도면이며, 또한, 도7 은 누름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를 후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평형도체(P)는, 상하로 절연층에 의해 끼워지고, 상기 평형도체(P)의 길이방향으로 연장(extend)하는 복수의 도체가 평형도체(P)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전단측(도1 에서는 왼쪽 상단측) 부분의 절연층이 박리되어 있어 각 도체의 접속부(P1)가 드러나 있다. 길이방향으로 전단에서 상기 접속부(P1)보다도 후방 위치까지의 범위의 하면에, 보강 시트(P2)가 접착되어 있다. 이 보강 시트(P2)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에 있어서, 평형도체(P)는 그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폭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대략 사각형상의 절결부(P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평형도체(P)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보강 시트(P2)의 후부 영역에 걸치도록 하여, 하면측에 시일드층(shield layer; P4)이 형성되고, 또한, 후방을 향하여 주위에 절연 피복(P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일드층(P4)은, 평형도체(P)의 폭방향 양측단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1 에서는 보이지 않는 영역에 있어, 도5 및 도8 의 단면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도5 및 도8 에서는, 평형도체(P)가 절연 피복(P5)보다도 전방 영역만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 절연피복(P5)은 나타나 있지 않다.
상기 평형도체(P)의 선단측을 수용하여 이것을 정위치에 수용하는 하우징본체(10)는 전기절연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이 평형도체(P)를 하우징본체(10)와의 사이에서 지지하는 누름부재(11)가 상기 하우징본체(10)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부재(11)가, 가요성을 갖는 힌지부(1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본체(10)와 동일부재로 일부재로서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이 힌지부(12)는, 평형도체(P)의 폭방향(커넥터의 폭방향이기도 함)으로, 복수 개소에 두께가 얇은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가요한(flexible) 상기 힌지부(12)를 축선으로 하여 누름부재(11)가 하우징본체(10)를 향하여 근접하고 또한 떨어지는 방향으로 왕복 회전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본체(10)는, 전부(前部)에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여 끼워맞춤하기 위한 끼워맞춤부인 수용 오목부(13)(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부(後部)에 평형도체(P)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3)는 전방으로 개구하고, 삽입구(14)는 후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13)와 삽입구(14)는 하우징본체(10) 내에서 연통하고 있어, 전후로 관통하는 하나의 연속 공간을 이루고 있다. 도8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구(14)와 수용 오목부(13)는, 그들 하측 내면이 연속된 면을 이루고, 따라서, 평형도체(P)의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의 삽입구(14)에 대하여,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3)는 보다 상방으로까지 미치고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0)는, 전후 방향으로 수용 오목부(13)가 존재하는 전부(前部)범위와 삽입구(14)가 존재하는 후부(後部)범위의 경계부를 이루는 중간벽(15)을 갖고 있어, 상기 중간벽(15)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부(前部)저벽(16), 전부상벽(17), 그리고 양자를 폭방향 양단에서 연결하는 전부격벽(18)의 내면에서 상기 수용 오목부(13)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중간벽(1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부(後部)저벽(19), 후부상벽(20), 그리고 후부저벽(19)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세워지는 후부측벽(21)의 내면에서 상기 삽입구(1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후부상벽(20)과 후부측벽(21)과의 사이에는 간극(gap)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부상벽(20)은, 후부측벽(21)과는 연결되지 않고, 단독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상판부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13)는, 상대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수용하기에 적합한 형의 내면을 이루고 있지만, 전부저벽(16)의 상면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평형도체(P) 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의 돌기조부((protrusion part;22)가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어, 삽입된 평형도체(P)의 전단이 상기 돌기조부(22)에 맞닿아 삽입방향에서의 위치의 규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13)의 개구부의 폭방향 양단 위치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플랜지부(13A)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13A)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테이퍼 형상의 끼워맞춤 안내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안내부(13B)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도입 안내를 행한다.
후방으로부터 커넥터를 본 도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후부측벽(21)의 내면측 상부에는 갈고리(claw) 형상의 걸림부(23)가 폭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후술하는 누름부재(11)의 대응하는 로크돌기와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 로크돌기와의 걸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후부측벽(21)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벽부분을 얇게 하여 탄성을 주고 있다. 그 결과, 걸림부(23)는 로크돌기에 눌려졌을 때에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고, 그 탄성 변위의 결과, 로크가 이루어진다.
상기 후부측벽(21)은, 걸림부(23)보다도 하방의 부분에서는, 양쪽의 전부측벽의 내면끼리 사이의 거리가 평형도체(P)의 폭치수보다도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고, 평형도체(P)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부측벽(21)의 좀더 외측에는, 상기 후부측벽(21)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수직신장하는 누름벽(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벽(25)으로부터는 전방을 향해 로크아암(25A) 이 연장되어 있고, 그 전단측부에는 갈고리 형상의 로크돌기(2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돌기(25B)는 도2 그리고 도10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3A)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로크돌기(25B)는 상대 커넥터와의 로크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누름벽(25)을 폭방향 안쪽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로크아암(25A)을 휘게 하여 상기 로크돌기(25B)를 변위시켜,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로크를 해제한다.
양측의 후부측벽(21)의 하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후부저벽(19)은 그 상면에 배치되는 평형도체(P)를 지지하는 지지면(19A)을 갖고 있다. 상기 지지면(19A)은 폭방향 양단에서 상기 후부측벽(21)과의 연결 부분보다 약간 들어간 단부(端部;19D)를 이루어, 상기 지지면(19A)의 폭치수는 평형도체(P)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큰 정도로 되어 있다. 이 지지면(19A)보다도 상방의 위치, 즉 상기 단부(19D)보다도 상방위치에서는, 양쪽의 후부측벽(21)의 내면끼리 사이의 거리가 상기 평형도체(P)쪽의 폭보다도 충분히 크기 때문에, 평형도체(P)의 도입이 쉽게 이루어지고, 도입 후에 평형도체(P)를 상기 지지면(19A)으로까지 강하시키면, 이 지지면(19A)의 폭이 평형도체(P)의 폭보다도 약간 큰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평형도체(P)는 그 폭방향에서, 거의 소정 위치에 오게 된다.
상기 후부저벽(19)에는, 폭방향의 두 위치에, 관통하는 대략 사각형의 창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창부(26)는 상기 폭방향으로 늘어서 있어 같은 방향에서 대칭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부저벽(19)에는, 그 폭방향 양단측에, 관통하는 구멍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부(19B)는, 평형도체(P)가 소 정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평형도체(P)의 절결부(P3)와 위치 그리고 형상이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중간벽(1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후부상벽(상판부)(20)은, 그 폭방향 양단이 후부측벽(21)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면서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고, 삽입구(14)의 개구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방가장자리인 단(端)가장자리(20A)는 하방가장자리인 상기 후부저벽(19) 그리고 측방가장자리인 후부측벽(21)의 후단면보다도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후부상벽(20)은, 전방으로 들어가 위치하고 있고, 그 들어간 거리의 분(分)만큼, 상기 후부저벽(19)의 상면인 지지면(19A)보다도 상방을 개방 공간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평형도체(P)(의 선단부)를 상기 지지면(19) 상에 배치하는 것이 쉽게 행해진다. 상기 후부상벽(20)의 후방가장자리 하면에서는, 평형도체(P)의 전방으로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면(20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20C)과 지지면(19A)의 사이가 평형도체의 도입을 위한 도입공간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후부상벽(20)의 상면에는, 그 보강을 위한 리브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요성을 갖는 힌지부(12)에 의해, 하우징본체(10)에 대하여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자유롭고, 상기 하우징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재(11)는, 도1 그리고 도2 에 보여지는 열림 위치의 상태에서, 상방으로 수직신장하고 폭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누름부재(11)의 폭방향 치수는, 전술한 양쪽의 후부측벽(21)의 내면끼리 사이의 거리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로 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11)의 상단 후면(도1 에 있어서의 상방 그리고 후방이, 닫힘 위치에 있어서는 각각 후방 그리고 하방이 되기 때문에, 도1 에 있어서의 상단 후면은 닫힘 위치에서 후단 하면이 됨)은,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했을 때에 평형도체와 면접촉하는 누름면(11A)을 누름부로서 형성하고 있다. 누름부(11A)는, 상기 닫힘 위치의 상태에서, 절결부(P3)의 후방 위치에서 평형도체의 폭방향의 범위에 걸쳐 누른다.
도1 의 상기 누름부재(11)의 후면의 폭방향 양단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7)는, 그 돌출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27A)에 의해 2개의 편(片; 27C, 27D)으로 분할되어 있고, 선단부 외주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돌기부(27)의 일방의 편(27C)의 하면(도1 에서 하면)은 돌출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타방의 편(27D)의 상면은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27)의 폭방향 내외면에는, 상기 타방의 편(27D)의 테두리를 따라 돌기조부(2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11)는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되어, 평형도체(P)의 절결부(P3)를 관통하여, 후부저벽(19)의 구멍부(19B)로 가볍게 압입된다. 그때, 돌기조부(27B)는 평형도체(P)의 폭방향을 규제하여, 평형도체(P)는, 그 폭방향에서, 거의 소정 위치에 오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릿(27A)은 당해 슬릿(27A)에 의해 구분된 일방의 편(27C)이 상기 슬릿(27A)의 극간을 좁히도록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11)는, 그 폭방향 양측단면에, 갈고리 형상의 로크돌기(11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도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0)의 저면에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진 시일드판(3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시일드판(30) 자체는, 상방에서 본 사시도인 도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지만, 평판부(31)에 대략 사각형의 창부(31A)가 늘어서서 2개 형성되어 있고, 양쪽의 측단으로부터는 1개씩의 걸림편(31B)이 그리고 후방가장자리로부터 3개의 걸림편(3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편(31B, 31C)은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저면에 부착되었을 때, 하우징본체(10)의 후부저벽(19)의 하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9C, 19D)에 각각 압입되어 고정된다(도3 참조). 상기 평판부(31)의 2개의 창부(31A)의 각각의 측단 안쪽 가장자리로부터 탄성편(32)이 잘려 올려져 있다. 2개의 탄성편(32)은, 대향하여 그 선단끼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이 방향은 커넥터의 폭방향이기도 함)으로 연장하고, 선단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되어 있고, 그 선단에 접촉부(32A)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2개의 탄성편(32)이 연장하는 방향은, 커넥터에 삽입된 평형도체(P)의 폭방향과 일치한다. 상기 탄성편(32)의 접촉부(32A)는 후방가장자리부(도4 에서 오른쪽 하방가장자리)가 하방을 향하는 테이퍼면(32B)을 형성하고 있다.
평판부(31)로부터는, 경사부(33)를 거쳐, 평탄부(34)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탄부(34)는 평판부(3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시일드판(30)이 하우징본체(10)에 부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평판부(31)가 하우징본체(10)의 후단저벽(19)의 하면에 면접촉하고, 상기 평탄부(34)가 전부저벽(16)의 하면에 면접촉, 전체로서 하우징본체(10)의 하면을 덮는다. 이러한 시일드판(30)이 하우징본체(10)에 부착되면, 상기 시일드판(30)의 창부(31A)가 하우징본체(10)의 후부저벽(19)의 창부(26)와 일치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편(32)은 창부(26)를 관 통하여, 상기 탄성편(32)의 접촉부(32A)는, 삽입되는 평형도체(P)의 하면에 형성된 시일드면에 대하여 탄성 접촉하는 위치에 오게 된다. 또한, 평형도체(P)의 삽입방향(전후방향)에서는, 상기 접촉부(32A)는, 중간벽(1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후부상벽(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그리고, 닫힘 위치의 누름부재(11)의 누름면(11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도8(b) 참조) 때문에, 평형도체에 외력이 가해져도 접촉부(32)는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단단히 접촉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0)에 형성된, 후부저벽(19)의 상면인 지지면(19A), 삽입구(14)의 하면, 전부저벽(16)의 내면은 서로 연속한 1개의 평면을 이루어, 평형도체(P)의 선단부를 지지면(19A)으로부터 삽입구(14)를 거쳐 전부저벽(16)의 내면으로 원활하게 안내한다(도8 참조). 상기 삽입구(14)는, 전방을 향하여 평형도체의 폭방향 혹은 두께방향에서의 치수가 조금 앞이 가는 부분(14-1)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평형도체의 삽입에 수반하여, 폭방향 그리고 두께방향에서의 평형도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고, 특히 삽입의 최종시에 압입된다면, 상기 평형도체(P)의 선단 양측부(P6)의 위치에서 지지력도 얻는다. 이러한 앞이 가는 부분(14-1)은, 수용 오목부에 있어서의 전부저벽의 상면에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1) 우선, 누름부재(11)를 열림 위치로 오게 한다. 즉, 도1 그리고 도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11)를 상방으로 수직신장하도록 위치잡는다. 이 누름부재(11)가 열림 위치로 오게 되면, 삽입구(14)의 후방, 즉 바로 앞 부분에서, 후부저벽(19)의 지지면(19A)의 상방이 크게 개방된다.
(2) 다음으로, 커넥터에 삽입장착되어야 할 평형도체(P)를 준비하여, 접속부(P1)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를 상기 지지면(19A) 상에 배치하고, 그대로 상기 평형도체(P)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평형도체(P)는 상기 지지면(19A)에서 지지되면서, 상기 접속부(P1)가 삽입구(14)를 거쳐 수용 오목부(13)의 전부저벽(16)의 상면에 도달한다(도8(a), 도9(a) 참조). 평형도체(P)의 선단은 전부저벽(16)의 돌기조부(22)에 맞닿아, 정규의 삽입 위치로 오게 된다.
(3) 그 후, 누름부재(11)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시킨다. 닫힘 위치로 오게 되면, 누름부재(11)의 누름면(11A)은 평형도체(P)의 상면을 누르고, 돌기부(27)가 평형도체(P)의 절결부(P3)를 지나 하우징본체(10)의 후부저벽(19)의 구멍부(19B) 내로 돌입하고, 나아가서는, 로크돌기(11B)가 걸림부(23)에 걸린다(도8(b), 도9(b), 도10 참조). 상기 돌기부(27)는 구멍부(19B) 내로 가볍게 압입되고, 누름부재(11)의 닫힘 위치를 확보한다. 이 돌기부(27)는 상기 평형도체(P)의 절결부(P3)를, 평형도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평형도체(P)는 후방으로 당겨져도, 절결부(P3)의 전방가장자리에서 상기 돌기부(27)와 걸려지기 때문에, 빠지는 일은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평형도체(P)의 하면의 시일드면은 시일드판(30)의 탄성편(32)의 접촉부(32A)와 탄성 접촉한다.
(4) 이와 같이 하여, 누름부재(11)가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하는 것만으로, 돌기부(27)에 의해 평형도체(P)의 빠짐을 방지한다. 또한, 평형도체(P)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누름부재(11)의 닫힘 위치로의 회전운동시에, 돌기부(27)의 일방의 편(27C)의 평탄한 전면(열림 위치에서는 하면)이 절결부(P3)의 전방가장자리를 전방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평형도체는 상기 누름부재(11)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규 위치로 오게 된다. 또한 평형도체(P)의 전단부로부터 절결부(P3)의 전방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가 다소 길어도, 걸림돌기(27)의 슬릿(27A)의 간극을 좁히도록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평형도체를 너무 누르거나 손상시켜 버리는 일이 없다.
(5) 이와 같이 하여, 정규 위치에서 지지된 평형도체(P)의 접속부(P1)는, 수용 오목부(13)에서 전부저벽(16)의 상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8(c) 와 같이,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부(C1)를 상기 수용 오목부(13)로 수용하면, 상대 커넥터(C)의 단자(C2)의 접촉부(C3)가 상기 접속부(P1)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술한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이 가능하다. 누름부재(11)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본체(10)와의 로크를 측단에 형성된 로크돌기에 의해 행해지고 있었지만, 이 로크돌기는 측단돌기뿐만아니라, 이것에 더하여, 폭방향 중간부에 중간돌기를 형성함으로서, 더욱 로크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커넥터의 폭이 큰 경우에는, 이 중간돌기가 크게 유효하다. 도11(a) 에 나타난 예에서는, 누름부재(11)는, 열림 위치에서, 상기 후면측에 갈고리 형상의 중간돌기(11C)가 형성되어, 누름부재(11)가 닫힘 위치로 오게 되었을 때, 도11(b)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의 후부상벽(20)의 후단 가장자리와 걸려진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 누름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커넥터와 이것에 삽입장착되는 평형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평형도체의 삽입장착 전의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2 는 도1 의 커넥터와 평형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평형도체의 삽입장착 후의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3 은 도1 의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4 는 도3 의 시일드판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5 는 도1 의 커넥터와 평형도체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6 은 도1 의 커넥터와 평형도체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7 은 도1 의 커넥터로, 누름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배면도이다.
도8 은 도1 의 커넥터의 폭방향 중앙부에서의 종단면도로서, 도8(a) 는 누름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도8(b) 는 누름부재가 닫힘 위치에서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이며, 도8(c) 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9 는 도1 의 커넥터의 걸림돌기부에서의 종단면도로서, 도9(a) 는 누름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도9(b) 는 누름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10 은 도1 의 커넥터의 걸림돌기부에서의 횡단면도로서, 평형도체의 삽입 후로 누름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종단면도로서, 도11(a) 는 누름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도11(b) 는 누름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본체
11 : 누름부재
11A : 누름부(누름면)
12 : 힌지부
13 : 끼워맞춤부(수용 오목부)
14 : 삽입구
19 : 저벽(후부저벽)
19A : 지지면
20 : 상판부(후부상벽)
25B : 로크돌기
26 : 창부
30 : 시일드판(shield plate)
32 : 탄성편
32A : 접촉부
P : 평형도체(flat conductor)
P1 : 접속부
P3 : 절결부

Claims (16)

  1. 선단측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형도체를 하우징본체의 지지면에서 지지하면서 도입가능하게 하는 도입공간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대하여 고착가능한 누름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본체는 일방의 측에 평형도체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가 그리고 대향하는 타방의 측에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위한 끼워맞춤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와 끼워맞춤부가 연통되어 있어, 삽입된 평형도체의 접속부가 상기 끼워맞춤부에 위치하여 상대 커넥터와 접촉 가능해지고, 상기 누름부재의 하우징본체로의 고착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평형도체를 상기 지지면으로 누르는 누름부를 갖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누름부재는, 하우징본체로의 고착시에, 평형도체의 폭방향 양측의 절결부에서, 상기 평형도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돌기부를 갖고 있어 상기 평형도체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누름부재는 하우징본체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어, 지지면을 향한 회전운동에 의해, 하우징본체로의 고착위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도입공간은,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판부의 하면에서, 평형도체의 양면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걸림돌기부는 평형도체의 폭방향 양측의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평형도체를 상기 평형도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서 위치의 규제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누름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힌지부에 의해 하우징본체와 일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어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6. 제1, 2,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누름부재는 로크돌기를 갖고 있어, 하우징본체로의 고착시에, 상기 로크돌기가 하우징본체의 대응하는 걸림부와 걸려져 고착위치를 유지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로크돌기는, 평형도체의 폭방향에서, 누름부재의 양측단에 측단돌기로서 형 성되고, 하우징본체의 걸림부가 이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로크돌기는, 측단돌기에 더하여, 평형도체의 폭방향에서 중간부에 중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돌기는, 하우징본체의 상판부의 가장자리부와 걸려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9. 선단측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평형도체가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하우징본체와, 삽입된 평형도체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된 누름부재를 갖고, 상기 하우징본체는 일방의 측에 평형도체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가 그리고 대향하는 타방의 측에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위한 끼워맞춤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와 끼워맞춤부가 연통되어 있어, 삽입된 평형도체의 접속부가 상기 끼워맞춤부에 위치하여 상대 커넥터와 접촉가능하게 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본체의 상기 일방의 측에 있어서의 삽입구의 개구둘레부의 상방가장자리가 하방가장자리 그리고 측방가장자리보다도 상기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누름부재는 삽입구보다도 상방위치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우징본체에 부 착되어 있고, 하방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평형도체를 누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삽입구는, 평형도체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상기 평형도체의 폭방향 그리고 두께방향의 적어도 일방향에서의 치수가 앞이 가늘게 되어 있어, 평형도체의 압입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하우징본체는 저벽에 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벽의 하면에 부착된 시일드판의 일부를 잘라 올려 만들어진 탄성편이 상기 창부를 관통하고, 상기 탄성편의 선단측에 형성된 접촉부가 상기 삽입구로 돌입한 위치에 있어, 삽입된 평형도체의 하면의 시일드면과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시일드판의 탄성편에 형성된 접촉부는, 평형도체의 삽입방향에서, 누름부재의 누름부와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시일드판의 탄성편은, 하우징본체의 일방의 측에 가까운 가장자리부가 상기 일방의 측으로 향함에 따라 평형도체로부터 떨어지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시일드판의 탄성편은, 평형도체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탄성편은, 평형도체의 폭방향으로, 2개소로부터 대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KR1020090000669A 2008-02-05 2009-01-06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Active KR101377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5078A JP4514802B2 (ja) 2008-02-05 2008-02-05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JP-P-2008-025104 2008-02-05
JPJP-P-2008-025078 2008-02-05
JP2008025104A JP4514803B2 (ja) 2008-02-05 2008-02-05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026A KR20090086026A (ko) 2009-08-10
KR101377581B1 true KR101377581B1 (ko) 2014-03-25

Family

ID=4120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669A Active KR101377581B1 (ko) 2008-02-05 2009-01-06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7581B1 (ko)
TW (1) TWI3921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9203B2 (ja) * 2013-07-04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784A (ja) 2001-06-22 2003-01-07 Lonwood:Kk 野球用素振りバット
JP2005008173A (ja) 2003-06-17 2005-01-13 Daiwa Seiko Inc ケースのハンド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7273418A (ja) * 2006-03-31 2007-10-18 Fujikura Ltd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3887697B2 (ja) * 2001-12-19 2007-02-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816007B2 (ja) * 2005-10-31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基板接続構造、光送受信モジュール及び光送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784A (ja) 2001-06-22 2003-01-07 Lonwood:Kk 野球用素振りバット
JP2005008173A (ja) 2003-06-17 2005-01-13 Daiwa Seiko Inc ケースのハンド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7273418A (ja) * 2006-03-31 2007-10-18 Fujikura Ltd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026A (ko) 2009-08-10
TWI392160B (zh) 2013-04-01
TW200935673A (en) 200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480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EP224214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925919B2 (ja)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US7611360B2 (en) Terminal lock device for screw lock terminal
JP373215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6514101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board
KR101727363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TWI552448B (zh) 連接器
CN111224251B (zh) 连接器
CN110416824B (zh) 连接器组以及连接器
EP3979434A1 (en) Connector set and connector
JP2021064445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EP3979432A1 (en) Plug housing and plug connector
US20080194136A1 (en) Connector
US20160261069A1 (en) Lever-type connector
US11128070B2 (e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KR101377581B1 (ko)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US6729915B2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method of assembling it
EP1204177A2 (en) Board mount type connector and connector board mounting structure
US2022017354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451480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10186800B2 (en) Wiring cover, and connector having wiring cover
KR20180023818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20040087891A (ko) 전기 커넥터
KR20200107815A (ko)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