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2223B1 -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223B1
KR101372223B1 KR1020130146759A KR20130146759A KR101372223B1 KR 101372223 B1 KR101372223 B1 KR 101372223B1 KR 1020130146759 A KR1020130146759 A KR 1020130146759A KR 20130146759 A KR20130146759 A KR 20130146759A KR 101372223 B1 KR101372223 B1 KR 10137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storage tank
upper plate
pillar
hoo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603A (ko
Inventor
김성우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산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산,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to KR102013014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2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2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지반의 진동 또는 균열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구조물을 유지하고 시공시 지반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The water-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지반의 진동 또는 균열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구조물을 유지하고 시공시 지반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 상승에 따라서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되지 않고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는 현상이 우기 시에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최근 도시발달에 따라 건축물 등 각종 구조물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주차장 시설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빗물이 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직접 유출되어 한꺼번에 많은 양의 빗물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우기 시 하천에서 우수의 유입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우수에 의해 도로의 침수나 가옥 및 건물의 침수로 이어지는 홍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우수의 하천 유입량이 적어지면 하천의 수질이 악화되는 단점과 아울러 지하수 역시 고갈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우수를 지하에 임시로 저장하여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저류조가 개발되어 왔다.
저류조는 통상 지하에 매설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연약지반의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200)을 굴착하고 굴착면에 네일(5; nail) 또는 어스앵커를 시공하여서 지반의 균열로부터 보호하고, 이후 복수의 기둥(6)을 일정간격으로 세운후 기둥 사이에 버팀보(7)들을 연결시켜서 기둥들을 안정화시키고, 기둥들 사이에 토류벽(8)들을 장착하여서 저류조의 시공공간을 확보한 후 저류조를 조립시공하거나 현장타설 시공하여 제작하고 있다.
저류조의 시공은 한국특허등록 제10-0994805호(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장제작된 부재들을 현장에서 조립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저류조의 측벽을 이루는 외곽부재(100-1)들이 저류조의 설계높이로 공장제작되어 조립되게 되는데,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팀보(7)들과 간섭되므로 외곽부재(100-1)들의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외곽부재(100-1)들을 공장에서 제작가능한 높이길이가 최대 7.5m인점을 감안하면, 지반으로 부터 12~15m 깊이에 저류조를 설치하는 경우 외곽부재들의 공장제작 및 운반이 어렵다.
또한, 저류조가 매립되는 경우 토압에 의한 상판부재(600)의 지지력 확보를 위하여 상판부재의 두께를 증대시킬 경우 운반등의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상판부재(600)들 사이의 틈새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9948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연약지반에서 버팀보와 같은 시설물과의 간섭없이 저류조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벽부재들 또는 기둥부재와 측벽부재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부재들의 토압에 의한 저항력 확보 및 지반균열 및 진동에도 불구하고 일체적으로 안정적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며, 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굴착된 지반에 시공되고 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또한 유출되는 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복수의 제1기둥부재와; 상기 저류조의 내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각 제1기둥부재들과 이격되어 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복수의 제2기둥부재와; 상기 인접된 제1,2기둥부재들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복수의 보부재와; 상기 인접된 제1기둥부재 사이에 결합되고 적층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상기 지반의 바닥에 마련되는 하판부재와; 상기 보부재들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측벽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둥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2단턱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단턱과 제2단턱에 의해서 폐쇄된 폐쇄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측벽부재의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상기 폐쇄공간부와 연통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1단턱에 "U"형상의 제1훅크가 매입되고, 상기 각 제2단턱에는 상기 제1훅크와 교차되도록 "U"형상의 제2훅크가 매입되며,
상기 제1훅크와 제2훅크의 교차부분에 삽입되는 삽입철근이 구비되고, 상기 폐쇄공간부 및 연결홈에 모르타르가 충전되고,
상기 각 상판부재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서, 인접하는 상판부재들 사이에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각 상판부재의 내부에는 보강철근이 매입되고 상기 보강철근의 일부가 상기 각 경사면을 통하여 인접하는 상판부재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각 상판부재의 상면에는 복수의 스터드가 고정되고,
상기 각 상판부재의 상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서 상기 스터드 및 상기 돌출된 각 보강철근이 매입된 상판보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재는 상면에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면이 형성되어서,
상기 상하로 적층된 측벽부재들의 상기 하향경사면과 상향경사면에 의해서 메움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공간부에 메움모르타르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저류조 시공방법은,
지반을 굴착하여 시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시공공간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기둥을 일정간격으로 세운후, 기둥들 사이에 버팀보들을 연결시켜서 기둥들을 안정화시키고, 기둥들 사이에 토류벽들을 장착하여서 저류조의 시공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토류벽의 내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제1기둥부재들을 세우는 단계;
상기 각 제1기둥부재들과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제2기둥부재들을 세우는 단계와;
상기 인접된 제1,2기둥부재들의 상단부에 상기 복수의 보부재들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접된 제1기둥부재 사이에 상기 복수의 측벽부재들중 최하단의 측벽부재를 결합시키되, 최하단의 측벽부재에는 연결철근을 매설하고 그 단부가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반의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판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철근의 돌출된 부분이 매입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최하단의 측벽부재 상단에 다른 측벽부재들을 적층시키되 상기 제1훅크와 제2훅크가 교차되도록 하고, 교차부분에 상기 삽입철근을 삽입시키며, 상기 폐쇄공간부와 연결홈에 모르타르를 충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측벽부재들을 적층시킬때 적층되는 측벽부재와 간섭되는 상기 버팀보를 제거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부재들의 상단에 상기 상판부재들을 인접되게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상판부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스터드) 및 상기 돌출된 각 보강철근이 매입되도록 상기 상판보강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르타르를 충전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하로 적층된 측벽부재들 사이의 상기 메움공간부에 메움모르타르를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측벽부재(40)의 제1훅크(44)와 제1기둥부재(10)의 제2훅크(12)의 교차부분에 삽입철근(70)이 결합됨으로써 측벽부재(40)와 제1기둥부재(10)간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폐쇄공간부(15)에는 모르타르(2)가 충전되어서 측벽부재(40)와 제1기둥부재(10) 사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폐쇄공간부(15)에 모르타르(2)의 주입으로 연결홈(45)(46)으로 모르타르(2)가 유입됨으로써, 상하로 적층된 측벽부재(40)들간의 접합 및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둘째, 각 상판부재(60)로부터 돌출된 보강철근(101)에 의해서 인접된 상판부재(60)들이 함께 거동하게 되고, 스터드(102)에 의해서 상판보강부재(160)와 상판부재(60)가 함께 거동하게 되어서, 지반의 진동이나 균열에 의해서도 안정적으로 저류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세째, 제1기둥부재(10)들 사이에 측벽부재(40)들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면서 시공하게 되므로, 버팀보(7)들을 순차적으로 제거시키면서 시공할 수 있어서 지반 안정화를 유지하면서 저류조의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통상의 지반 안정화 시공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종래 저류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저류조를 나타낸 시공상태도,
도 5a는 도 4의 저류조에서 제2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5b는 도 5a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측벽부재와 제1기둥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적층된 측벽부재들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측벽부재와 제1기둥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9a 및 도 9b는 상판부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은 연약지반에서 버팀보와 같은 시설물과의 간섭없이 저류조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측벽부재들 또는 기둥부재와 측벽부재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지반의 진동 또는 균열에 의해서도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저류조를 나타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굴착된 지반에 시공되는 것으로써, 저류조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복수의 제1기둥부재(10)와, 상기 저류조의 내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각 제1기둥부재(10)들과 이격되어 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복수의 제2기둥부재(20)와, 상기 인접된 제1,2기둥부재(10)(20)들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복수의 보부재(30)와, 상기 인접된 제1기둥부재(10) 사이에 결합되고 적층되는 복수의 측벽부재(40)와, 상기 지반의 바닥에 마련되는 하판부재(50)와, 상기 보부재(30)들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판부재(60)를 구비한다.
도 4, 도 6,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각 측벽부재(4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단턱(47)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둥부재(1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2단턱(11)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단턱(47)과 제2단턱(11)에 의해서 폐쇄된 폐쇄공간부(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측벽부재(40)의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상기 폐쇄공간부(15)와 연통되는 연결홈(45)(4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제1단턱(47)에 "U"형상의 제1훅크(44)가 매입되고, 상기 각 제2단턱(11)에는 상기 제1훅크(44)와 교차되도록 "U"형상의 제2훅크(12)가 매입되며, 상기 제1훅크(44)와 제2훅크(12)의 교차부분에는 삽입철근(70)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훅크(44)와 제2훅크(12)의 교차부분에 삽입철근(70)이 결합됨으로써 측벽부재(40)와 제1기둥부재(10)간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폐쇄공간부(15)에는 모르타르(2)가 충전되어서 측벽부재(40)와 제1기둥부재(10) 사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폐쇄공간부(15)에 모르타르(2)의 주입으로 연결홈(45)(46)으로 모르타르(2)가 유입됨으로써, 상하로 적층된 측벽부재(40)들간의 접합 및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재(40)는 상면에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경사면(4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면(42)이 형성되어서, 상기 상하로 적층된 측벽부재(40)들의 상기 하향경사면(41)과 상향경사면(42)에 의해서 메움공간부(43)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공간부(43)에 메움모르타르(1)가 충전된다.
이 경우 적층된 측벽부재(40)들 사이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각 상판부재(60)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면(61)이 형성되어서, 인접하는 상판부재(60)들 사이에 홈부(65)를 형성한다.
상기 각 상판부재(60)의 내부에는 보강철근(101)이 매입되고 상기 보강철근(101)의 일부가 상기 각 경사면(61)을 통하여 인접하는 상판부재(60) 상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각 상판부재(60)의 상면에는 복수의 스터드(102)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판부재(60)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서 상기 스터드(102) 및 상기 돌출된 각 보강철근(101)이 매입된 상판보강부재(16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보강철근(101)에 의해서 인접된 상판부재(60)들이 함께 거동하게 되고, 스터드(102)에 의해서 상판보강부재(160)와 상판부재(60)가 함께 거동하게 되어서, 지반의 진동이나 균열에 의해서도 안정적으로 저류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저류조를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200)을 굴착하여 시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시공공간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기둥(6)을 일정간격으로 세운후, 기둥(6)들 사이에 버팀보(7)들을 연결시켜서 기둥(6)들을 안정화시키고, 기둥(6)들 사이에 토류벽(8)들을 장착하여서 저류조의 시공공간을 확보한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토류벽(8)의 내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제1기둥부재(10)들을 일정간격으로 지반에 세우고, 상기 각 제1기둥부재(10)들과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제2기둥부재(20)들을 지반에 세운다.
또한, 상기 인접된 제1,2기둥부재(10)(20)들의 상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보부재(30)들을 안착시킨다.
이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둥부재(20)의 상면과 보부재(30)의 측면에는 철근(21)(31)들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서, 제2기둥부재(20)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2기둥부재(20)와 보부재(30)가 모르타르(35) 충전에 의해서 일체화되도록 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보부재(30)의 상면에는 철근(32)이 돌출되도록 하여서,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부재(60)가 안착된후 시공되는 상기 상판보강부재(160)의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되도록 한다.
상기 제2기둥부재(20)의 하단부로 돌출된 철근(21)은 추후 하판부재(50)를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할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도록 하여 하판부재(50)와 제2기둥부재(20)가 일체화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기둥부재(10)들 사이에 최하단의 측벽부재(40)를 설치한 후 하판부재(50)를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하여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반의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판부재(50)를 형성할때, 상기 최하단의 측벽부재(40)의 하단부에는 연결철근(48)이 돌출되도록 하여서, 하판부재(50)를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할때 매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기둥부재(10)들 사이에 측벽부재(40)들을 적층시킬때에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훅크(44)와 제2훅크(12)가 교차되도록 하고, 교차부분에 상기 삽입철근(70)을 삽입시킨 후, 상기 폐쇄공간부(15)에 모르타르(2)를 충전시킨다.
또한, 상기 측벽부재(40)들을 적층시킬때에는, 적층되는 측벽부재(40)와 간섭되는 상기 버팀보(7)(도 2 참조)를 제거시키면서 측벽부재(40)들을 적층시킨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로 적층된 측벽부재(40)들 사이의 상기 메움공간부(43)에 메움모르타르(1)를 충전시킨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부재(30)들의 상단에 상기 상판부재(60)들을 인접되게 안착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재(60)에는 보강철근(101)과 스터드(102)를 설치하여서, 상기 상판부재(60)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스터드(102) 및 상기 돌출된 각 보강철근(101)이 매입되도록하여서 상기 상판보강부재(160)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보강철근(101)에 의해서 인접된 상판부재(60)들이 함께 거동하게 되고, 스터드(102)에 의해서 상판보강부재(160)와 상판부재(60)가 함께 거동하게 되어서, 지반의 진동이나 균열에 의해서도 안정적으로 저류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제1기둥부재 20...제2기둥부재
30...보부재 40...측벽부재
50...하판부재 60...상판부재

Claims (4)

  1. 굴착된 지반에 시공되고 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또한 유출되는 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복수의 제1기둥부재(10)와; 상기 저류조의 내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각 제1기둥부재(10)들과 이격되어 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복수의 제2기둥부재(20)와; 상기 인접된 제1,2기둥부재(10)(20)들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복수의 보부재(30)와; 상기 인접된 제1기둥부재(10) 사이에 결합되고 적층되는 복수의 측벽부재(40)와; 상기 지반의 바닥에 마련되는 하판부재(50)와; 상기 보부재(30)들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판부재(60);를 구비하고,
    상기 각 측벽부재(4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단턱(47)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둥부재(1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2단턱(11)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단턱(47)과 제2단턱(11)에 의해서 폐쇄된 폐쇄공간부(15)가 형성되며,
    상기 각 측벽부재(40)의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상기 폐쇄공간부(15)와 연통되는 연결홈(45)(46)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1단턱(47)에 "U"형상의 제1훅크(44)가 매입되고, 상기 각 제2단턱(11)에는 상기 제1훅크(44)와 교차되도록 "U"형상의 제2훅크(12)가 매입되며,
    상기 제1훅크(44)와 제2훅크(12)의 교차부분에 삽입되는 삽입철근(70)이 구비되고, 상기 폐쇄공간부(15) 및 연결홈(45)(46)에 모르타르(2)가 충전되고,
    상기 각 상판부재(60)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면(61)이 형성되어서, 인접하는 상판부재(60)들 사이에 홈부(65)를 형성하며,
    상기 각 상판부재(60)의 내부에는 보강철근(101)이 매입되고 상기 보강철근(101)의 일부가 상기 각 경사면(61)을 통하여 인접하는 상판부재(60)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각 상판부재(60)의 상면에는 복수의 스터드(102)가 고정되고,
    상기 각 상판부재(6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서 상기 스터드(102) 및 상기 돌출된 각 보강철근(101)이 매입된 상판보강부재(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40)는 상면에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경사면(4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면(42)이 형성되어서,
    상기 상하로 적층된 측벽부재(40)들의 상기 하향경사면(41)과 상향경사면(42)에 의해서 메움공간부(43)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공간부(43)에 메움모르타르(1)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
  3. 제 2 항의 저류조를 시공하기 위한 저류조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200)을 굴착하여 시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시공공간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기둥(6)을 일정간격으로 세운후, 기둥(6)들 사이에 버팀보(7)들을 연결시켜서 기둥(6)들을 안정화시키고, 기둥(6)들 사이에 토류벽(8)들을 장착하여서 저류조의 시공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토류벽(8)의 내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제1기둥부재(10)들을 세우는 단계;
    상기 각 제1기둥부재(10)들과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제2기둥부재(20)들을 세우는 단계와;
    상기 인접된 제1,2기둥부재(10)(20)들의 상단부에 상기 복수의 보부재(30)들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접된 제1기둥부재(10) 사이에 상기 복수의 측벽부재(40)들중 최하단의 측벽부재(40)를 결합시키되, 최하단의 측벽부재(40)에는 연결철근(48)을 매설하고 그 단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반의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판부재(50)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철근(48)의 돌출된 부분이 매입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최하단의 측벽부재(40) 상단에 다른 측벽부재(40)들을 적층시키되 상기 제1훅크(44)와 제2훅크(12)가 교차되도록 하고, 교차부분에 상기 삽입철근(70)을 삽입시키며, 상기 폐쇄공간부(15)와 연결홈(45)(46)에 모르타르(2)를 충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측벽부재(40)들을 적층시킬때 적층되는 측벽부재(40)와 간섭되는 상기 버팀보(7)를 제거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부재(30)들의 상단에 상기 상판부재(60)들을 인접되게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상판부재(60)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스터드(102) 및 상기 돌출된 각 보강철근(101)이 매입되도록 상기 상판보강부재(16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의 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2)를 충전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하로 적층된 측벽부재(40)들 사이의 상기 메움공간부(43)에 메움모르타르(1)를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의 시공방법.
KR1020130146759A 2013-11-29 2013-11-29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Active KR10137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59A KR101372223B1 (ko) 2013-11-29 2013-11-29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59A KR101372223B1 (ko) 2013-11-29 2013-11-29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603A KR20140012603A (ko) 2014-02-03
KR101372223B1 true KR101372223B1 (ko) 2014-03-11

Family

ID=5026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759A Active KR101372223B1 (ko) 2013-11-29 2013-11-29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104A (zh) * 2019-02-12 2019-05-07 江苏富亚给排水科技有限公司 一种地埋式抗浮箱泵一体化水箱及其施工方法
KR102331979B1 (ko) * 2020-07-16 2021-12-01 (주)에센디엔텍 일체식 수직 접합부를 가지는 pc 벽체구조 및 이를 적용한 지하층 외벽 pc화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23B1 (ko) *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0994805B1 (ko) * 2010-03-05 2010-11-17 도청산업주식회사 복합저류장치
KR20120131034A (ko) * 2011-05-24 2012-12-04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KR101259156B1 (ko) * 2012-12-04 2013-04-30 주재호 우수저류조의 구축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23B1 (ko) *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0994805B1 (ko) * 2010-03-05 2010-11-17 도청산업주식회사 복합저류장치
KR20120131034A (ko) * 2011-05-24 2012-12-04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KR101259156B1 (ko) * 2012-12-04 2013-04-30 주재호 우수저류조의 구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603A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092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87858A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345183B1 (ko) 우수 저류조
KR101118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KR101902786B1 (ko) 합성쉬트파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KR100988806B1 (ko)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69910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설치구조 및 방법
KR101183691B1 (ko)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54696B1 (ko) 슬러리 월에서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토압 지지가이루어지도록 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구축 공법
KR101372223B1 (ko)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1521556B1 (ko)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KR20150039409A (ko) 근입 안정성이 우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1212619B1 (ko)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JP4888293B2 (ja) 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構造、及び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構築方法、並びに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工法
KR101521558B1 (ko) 그라우트 또는 슬라임의 관내 유입을 방지하는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1159097B1 (ko) 종방향으로 연속화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교대 및 그 시공방법
KR101544756B1 (ko) 석재가 부착된 옹벽블록 시공 방법
KR101306626B1 (ko) 블럭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292283B1 (ko)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920228B1 (ko) 직벽형 옹벽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