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1556B1 -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556B1
KR101521556B1 KR1020130117938A KR20130117938A KR101521556B1 KR 101521556 B1 KR101521556 B1 KR 101521556B1 KR 1020130117938 A KR1020130117938 A KR 1020130117938A KR 20130117938 A KR20130117938 A KR 20130117938A KR 101521556 B1 KR101521556 B1 KR 101521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rtition
underground
guide member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406A (ko
Inventor
양숙경
Original Assignee
(주)천마엔지니어링
(주)경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마엔지니어링, (주)경민산업 filed Critical (주)천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1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55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5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에 트임부가 형성된 장방형 박스 구조의 본체(110); 격자 구조가 되도록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격벽(120); 격벽(120)의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30);를 포함하며, 가이드 부재(130)는 보강철근(133)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부재(131); 관부재(131)와 격벽(120)의 내측 전면 또는 관부재(131)와 격벽(120)의 내측 후면에 결합하여 상호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부재(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부재(100)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지중벽체(흙막이 벽체) 및 본 벽체(합벽)의 구조를 융합화함에 따라, 공사 중에는 우수한 횡방향의 강성을 확보하여 토류 시설물로서 배면 변위를 최소화하고, 공사 후에는 주 구조 벽체로서 활용 가능하며, 벽체의 소요 단면을 축소하고, 벽체의 강도를 극대화하며, 외측 그라우팅을 통한 본체(110)의 피복효과로 부식 방지 및 구조성능 향상, 차수성 및 방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WALL MEMBERS}
본 발명은 토목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벽체를 형성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Top-Down 공법 등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이는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S.C.W.(soil cement wall) 공법 등에 의해 먼저 가시설로서 지중벽체(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고, 이에 인접하여 다시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본 벽체(합벽)를 형성한 후, 이 본 벽체 위에 기둥 또는 내력벽을 형성함으로써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식을 취한다.
즉, 굴착영역을 따라 지반을 천공하고, 천공 홀 내부에 철근 망, H 파일 등의 보강재를 근입한 후, 콘크리트(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소일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철근 콘크리트의 양생 후, 강도 발현까지 토류벽에 의한 토압지지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벽체를 보강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철근을 조립하여 배근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중벽체 공법은 벽체와 철근 사이의 간격 확보가 어렵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철근이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철근의 종방향으로는 강성이 양호하나 횡방향으로는 별도로 각각의 공으로 시공됨에 따라 강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우므로, 굴착 중 벽체에 변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의 철근에 의한 보강효과는 낮으므로 영구벽체의 강도 역시 저하되며, 차수나 방수성이 불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지중벽체(흙막이 벽체) 및 본 벽체(합벽)를 이중으로 시공해야 하므로, 단면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경제적인 비용이 많이 들고,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지중벽체(흙막이 벽체) 및 본 벽체(합벽)의 구조를 융합화함에 따라, 공사 중에는 우수한 횡방향의 강성을 확보하여 토류 시설물로서 배면 변위를 최소화하고, 공사 후에는 주 구조 벽체로서 활용 가능하며, 벽체의 소요 단면을 축소하고, 벽체의 강도를 극대화하며, 차수성 및 방수성을 높일 수 있는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에 트임부가 형성된 장방형 박스 구조의 본체(110); 격자 구조가 되도록 상기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격벽(120); 상기 격벽(120)의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130)는 보강철근(133)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부재(131); 상기 관부재(131)와 상기 격벽(120)의 내측 전면 또는 상기 관부재(131)와 상기 격벽(120)의 내측 후면에 결합하여 상호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부재(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부재(100)를 제시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130)는 상기 격벽(120)의 내면에 높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벽체부재(100)를 이용한 지중벽체로서, 상기 가이드 부재(130)의 상기 복수의 관부재(131)에 높이방향을 따라 보강철근(133)이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벽체부재(100)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벽체(200)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중벽체(200)의 시공방법으로서, 연속적으로 다수의 천공 홀(10)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다수의 천공 홀(10) 내측에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팅 단계; 상기 다수의 천공 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부재(100)를 삽입하는 벽체부재 삽입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벽체(200)를 형성하는 지중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벽체 시공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벽체부재 삽입단계 및 상기 지중벽체 형성단계 사이에, 상기 벽체부재(100)의 내부 그라우트 제거 및 청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중벽체 형성단계 이후, 상기 지중벽체(200)의 전방 영역을 굴토하는 굴토단계; 노출된 상기 지중벽체(200)의 전면에 연결부재(320)를 설치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 철근 조립체(310)와 상기 연결부재(320)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31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감벽체(400)를 형성하는 마감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상기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격벽(120)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121)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중벽체 형성단계는 상기 다수의 천공 홀(10)과 상기 벽체부재(100) 사이 영역을 그라우팅하는 외측 그라우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중벽체(흙막이 벽체) 및 본 벽체(합벽)의 구조를 융합화함에 따라, 공사 중에는 우수한 횡방향의 강성을 확보하여 토류 시설물로서 배면 변위를 최소화하고, 공사 후에는 주 구조 벽체로서 활용 가능하며, 벽체의 소요 단면을 축소하고, 벽체의 강도를 극대화하며, 차수성 및 방수성을 높일 수 있는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벽체부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가이드 부재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지중벽체 및 마감벽체의 설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천공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벽체부재 삽입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지중벽체 형성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철근 조립체 및 연결부재 설치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마감벽체 형성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지중벽체 및 마감벽체의 공용 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벽체부재(100)는 상하에 트임부가 형성된 장방형 박스 구조의 본체(110); 격자 구조가 되도록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격벽(120); 격벽(120)의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30);를 포함하며, 가이드 부재(130)는 보강철근(133)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부재(131); 관부재(131)와 격벽(120)의 내측 전면 또는 관부재(131)와 격벽(120)의 내측 후면에 결합하여 상호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부재(132);를 포함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도 1).
즉, 종래의 지중벽체 공법은 벽체와 철근 사이의 간격 확보가 어렵고, 철근이 이탈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철근의 벽체 보강효과가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부재(130)를 설치함으로써, 벽체부재(100)의 내부에서 격벽(120)의 내면과 보강철근(133)의 간격을 영구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도 2).
따라서, 간격부재(132)를 통해 격벽(120)과 보강철근(133)의 간격을 영구적으로 확보함에 따라 보강철근(133)에 의한 보강효과를 높여 벽체의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고, 벽체에 변위가 발생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더불어, 벽체에 변위가 발생할 우려를 방지함으로써, 벽체의 차수성 및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체부재(100)는 철판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지중에 안정적인 근입이 이루어지고, 내구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벽체부재(100)는 철판 구조로 형성되며, 가이드 부재(130)를 설치함에 따라 우수한 강도와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즉, 벽체부재(1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지중벽체(200)의 전면에 마감벽체(400)를 형성한 후, 지중벽체(200)와 마감벽체(400)의 일체화 구조를 구현하여 이를 전체적인 영구벽체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3,4).
다시 말해, 종래에는 지중벽체가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벽체로서의 기능을 영구적으로 발휘할 수 없으므로, 공사 중에 가시설로서만 사용하였고, 지중벽체의 전면에 설치한 마감벽체 즉, 합벽을 영구적으로 사용하였다.
즉, 지중벽체와 마감벽체를 이중으로 시공해야 하므로 단면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경제적인 비용이 많이 들고,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벽체부재(100)는 우수한 강도와 구조적 안정성을 영구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사 중에는 토류 시설물로 사용하되, 공사 후에도 주 구조 벽체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벽체부재(100)를 이용한 지중벽체(200)와 그 전면에 설치한 마감벽체(400)를 일체화하여, 영구적인 벽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벽체의 소요 단면을 축소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벽체의 강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체부재(100)는 내부에 가이드 부재(130)가 설치된 구조 또는 가이드 부재(130) 및 보강철근(133)까지 설치된 구조로 설계되어 공장에서 제작이 이루어지므로, 현장 근입 후 콘크리트 타설만으로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지중벽체(200)와 마감벽체(400)를 시공한 후, 공용 중에 지중벽체(200)는 전단 보강 기능을 갖게 되며, 벽체부재(100)에 설치된 보강철근(133)은 마감벽체(400)의 휨 부재 기능을 하게 되므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가이드 부재(130)는 격벽(120)의 내면에 높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복수의 관부재(131)에 높이방향을 따라 보강철근(133)이 삽입되거나 사전에 보강철근(133)이 삽입된 상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벽체부재(100)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지중벽체(200)가 형성된다(도 3).
본 발명에서 제시한 지중벽체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구성된다.
먼저, 연속적으로 지중에 다수의 천공 홀(10)을 형성하는 천공단계가 이루어진다(도 5).
다수의 천공 홀(10) 내측에 그라우팅을 한 후, 천공 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벽체부재(100)를 삽입하는 벽체부재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도 6).
이 벽체부재(100)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 부재(130) 및 보강철근(133)이 설치된 상태로 공장에서 제작이 되어 현장에서 근입이 이루어지므로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벽체부재(1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내부 그라우트를 제거하고 청소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관부재(131)에 보강철근(133)이 삽입된 상태의 벽체부재(1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벽체(200)를 형성하는 지중벽체 형성단계가 이루어진다(도 7).
본 발명의 지중벽체(200)는 가이드 부재(130)를 통해 보강철근(133)과 격벽(120)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지중벽체(200)의 강도를 영구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지중벽체(200)의 전방에 설치하는 마감벽체(400)와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영구벽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중벽체 형성단계는 다수의 천공 홀(10)과 벽체부재(100) 사이 영역을 그라우팅하는 외측 그라우팅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측 그라우팅 단계를 통하여 양생이 완료됨에 따라 본체(110)의 피복효과로 벽체부재(100)의 부식 방지 및 구조성능 향상, 차수성 및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감벽체(400)의 형성단계는 먼저, 지중벽체 형성단계 이후, 지중벽체(200)의 전방 영역을 굴토하는 굴토단계가 이루어진다.
노출된 지중벽체(200)의 전면에 연결부재(320)를 설치한 후, 철근 조립체(310)와 연결부재(320)를 결합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도 8).
그리고 철근 조립체(31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감벽체(400)를 형성하는 마감벽체 형성단계가 이루어진다(도 9,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벽체(200)와 마감벽체(400)의 일체화 구조를 통하여, 영구적인 벽체의 강도를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벽체의 소요 단면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 위의 연결부재(320)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격벽(120)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121)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연결부재(320)는 스터드를 사용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보다 바람직하다.
스터드는 용접에 의하여 장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본 발명의 벽체부재(100)가 철판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스터드의 장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320)를 복수의 격벽(120)의 결합부(121)에 일직선이 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전단보강효과가 결합부(121)에 직접 가해지게 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천공 홀 100 : 벽체부재
110 : 본체 120 : 격벽
121 : 결합부 130 : 가이드 부재
131 : 관부재 132 : 간격부재
133 : 보강철근 200 : 지중벽체
320 : 연결부재 310 : 철근 조립체
400 : 마감벽체

Claims (9)

  1. 상하에 트임부가 형성된 장방형 박스 구조의 본체(110);
    격자 구조가 되도록 상기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격벽(120);
    상기 격벽(120)의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130)는
    보강철근(133)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부재(131);
    상기 관부재(131)와 상기 격벽(120)의 내측 전면 또는 상기 관부재(131)와 상기 격벽(120)의 내측 후면에 결합하여 상호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부재(132);를 포함하는 벽체부재(100)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30)의 상기 복수의 관부재(131)에 높이방향을 따라 보강철근(133)이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벽체부재(100)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된 지중벽체(200)의 시공방법으로서,
    연속적으로 다수의 천공 홀(10)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다수의 천공 홀(10) 내측에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팅 단계;
    상기 다수의 천공 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부재(100)를 삽입하는 벽체부재 삽입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내부 그라우트 제거 및 청소단계;
    상기 벽체부재(1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벽체(200)를 형성하는 지중벽체 형성단계;
    상기 지중벽체(200)의 전방 영역을 굴토하는 굴토단계;
    노출된 상기 지중벽체(200)의 전면에 연결부재(320)를 설치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
    철근 조립체(310)와 상기 연결부재(320)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철근 조립체(31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감벽체(400)를 형성하는 마감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벽체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30)는
    상기 격벽(120)의 내면에 높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벽체 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20)는
    상기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격벽(120)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121)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벽체 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20)는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벽체 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벽체 형성단계는
    상기 다수의 천공 홀(10)과 상기 벽체부재(100) 사이 영역을 그라우팅하는 외측 그라우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20130117938A 2013-10-02 2013-10-02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Active KR101521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38A KR101521556B1 (ko) 2013-10-02 2013-10-02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38A KR101521556B1 (ko) 2013-10-02 2013-10-02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406A KR20150039406A (ko) 2015-04-10
KR101521556B1 true KR101521556B1 (ko) 2015-05-19

Family

ID=5302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938A Active KR101521556B1 (ko) 2013-10-02 2013-10-02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66B1 (ko) 2018-04-27 2019-05-15 주식회사 천마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2188120B1 (ko) 2019-01-14 2020-12-07 주식회사 천마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65218B1 (ko) 2019-01-14 2021-06-15 주식회사 천마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
KR102097919B1 (ko) * 2019-09-23 2020-04-10 (주)제이피이엔씨 개량벽체와 치환말뚝이 혼합된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824A (ja) * 1993-09-10 1995-03-20 Nippon Steel Corp 鋼矢板
JPH08260481A (ja) * 1995-03-22 1996-10-0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フーチング基礎用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礎の施工工法
JPH0913390A (ja) * 1995-06-29 1997-01-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基礎あるいは壁体の構築方法
KR970065904A (ko) * 1996-03-20 1997-10-13 심동수 강재지보에 의한 지하연속벽(steel box-d-wall)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824A (ja) * 1993-09-10 1995-03-20 Nippon Steel Corp 鋼矢板
JPH08260481A (ja) * 1995-03-22 1996-10-0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フーチング基礎用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礎の施工工法
JPH0913390A (ja) * 1995-06-29 1997-01-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基礎あるいは壁体の構築方法
KR970065904A (ko) * 1996-03-20 1997-10-13 심동수 강재지보에 의한 지하연속벽(steel box-d-wall)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406A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032B1 (ko) 지중 매입 파일을 이용한 주열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72561B1 (ko) 엄지말뚝 시공을 위한 강재조립체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48704B1 (ko) 지중벽체 구조물
KR20140055639A (ko)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KR101521556B1 (ko)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KR101524303B1 (ko) 근입 안정성이 우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JP2018009388A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KR101521557B1 (ko) 차수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1521558B1 (ko) 그라우트 또는 슬라임의 관내 유입을 방지하는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1122330B1 (ko) 가설 흙막이벽을 지하실외벽의 일부로 영구 사용하는 합성외벽 공법
KR100965795B1 (ko) 응용 합성형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85971B1 (ko) 터널 시공공법
KR20100113957A (ko)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1222172B1 (ko) 배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c.i.p. 공법
KR101406865B1 (ko) 증축 기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증축 공법
JP2013053465A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地下構造物および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
JP2011157719A (ja) 山留め工法
KR101219445B1 (ko) 지중 벽체 시공방법
JP2007162266A (ja) 二段山留め壁とその構築方法
KR101978766B1 (ko)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1151052B1 (ko) 가설 흙막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설치 방법
KR101516746B1 (ko) 거더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19451B1 (ko)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